맨위로가기

항공시스템통신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공시스템통신대는 일본 항공자위대의 부대로, 항공자위대 이치가야 기지 내에 위치하며 통신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1955년 1월 항공막료감부 통신소로 창설되어 중앙 항공 통신군을 거쳐 2000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다. 시스템 관리군, 보전 감사군, 이동 통신군으로 구성되며, 각 군은 통신 시스템 관리, 보전, 감사, 이동 통신 임무를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통신부대 - 시스템통신단
    시스템통신단은 1960년 창설된 일본 육상자위대 부대로, 중앙기지통신대 등을 예속받아 육상총대 예하 부대로 개편되었으며, 중앙야외통신군 등을 산하 부대로 두고 있다.
  • 신주쿠구 - 도쿄도청
    도쿄도청은 도쿄도의 행정 기관으로, 도쿄도지사를 정점으로 정책기획, 재정, 복지, 도시계획 등 광범위한 업무를 총괄하며, 특별구와의 업무 분장 조정 및 지방분권화 추세 속에서 행정 체계의 변화를 거듭해 왔다.
  • 신주쿠구 - 도쿄도의회
    도쿄도의회는 도쿄도의 의결기관으로, 선거로 선출된 12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 임기를 갖는 의원들이 활동하고 과거 성희롱 논란과 잦은 해산 결정 등의 사건이 있었다.
항공시스템통신대
개요
항공 시스템 통신대 휘장
항공 시스템 통신대의 심볼마크
창설1961년(쇼와 36년) 7월 15일 (중앙 항공 통신군)
재편성2000년(헤이세이 12년) 5월 8일
소속항공자위대
위치도쿄도신주쿠구
상급 부대방위대신 직할
상세 정보
임무군사 통신,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본부방위성 이치가야 지구
명령 체계항공감료감부
명칭
일본어航空システム通信隊 (こうくうシステムつうしんたい, Kōkū Shisutemu Tsūshintai)
영어Air Communications and System Wing (ACSW)

2. 연혁


  • 1955년 1월 17일: "'''항공막료감부 통신소/航空幕僚監部通信所일본어'''"로 엣츄지마에 편성[1]
  • 1956년 3월 25일: 항공막료감부 통신소가 엣츄지마에서 카스가세키로 이전.
  • 1958년 5월 23일: 항공막료감부 통신소가 "'''중앙통신대/中央通信隊일본어'''"로 개편.
  • 1960년 1월 12일: 중앙 항공 통신대가 카스가세키에서 이치가야 기지로 이전.
  • 1961년 7월 15일: 중앙 항공 통신대가 "'''중앙항공통신군/中央航空通信群일본어'''"으로 개편.

# 이치가야 통신대가 신편.

# 히노키마치 통신대가 신편.

# 이동 통신대가 쿠마가야 기지에 신편.

  • 1967년 10월 25일: 이치가야 통신대, 히노키마치 통신대를 폐지·통합하여, 중앙 통신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
  • 1981년 2월 10일: 기지 업무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
  • 1982년 1월 12일: 통신 보전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
  • 1988년
  • * 3월 31일: 이동 통신대가 제1이동 통신대로 개편. 제2이동 통신대가 카스가 기지에 신편.
  • * 10월 1일: 통신 감사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
  • 1990년 3월 31일: 제3이동 통신대가 치토세 기지에 신편.
  • 1992년 3월 31일: 제4이동 통신대가 샤카리 분둔기지에 신편.
  • 1998년 3월 31일: 중앙 시스템 관리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
  • 2000년 5월 8일: 중앙 항공 통신군이 "'''항공시스템통신대/航空システム通信隊일본어'''"로 개편.

# 시스템 관리군이 신편. 중앙 통신대 및 중앙 시스템 관리대가 동군 예하로 편입.

# 보전 감사군이 신편. 통신 보전대 및 통신 감사대가 동군 예하로 편입, 시스템 감사대가 신편.

# 이동 통신군이 신편. 제1~제4이동 통신대가 동군 예하로 편입.

# 기지 업무대를 폐지.

  • 2015년 3월 26일: 이동 통신군 예하에 제5이동 통신대(나하 기지)가 신편[3]
  • 2020년 3월 2일: 시스템 관리군 예하의 중앙 시스템 관리대가 클라우드 기반 관리대로 개편[4]

2. 1. 창설 초기 (1955년 ~ 1961년)

1955년 1월 17일, 항공막료감부 통신소가 엣츄지마에 창설되었다.[1] 1956년 3월 25일, 항공막료감부 통신소는 엣츄지마에서 카스가세키로 이전하였다. 1958년 5월 23일, 항공막료감부 통신소는 '''중앙 항공 통신대'''로 개편되었다. 1960년 1월 12일, 중앙 항공 통신대는 카스가세키에서 이치가야 기지로 이전하였다.

1961년 7월 15일, 중앙 항공 통신대는 '''중앙 항공 통신군'''으로 개편되었다. 이와 함께 이치가야 통신대, 히노키마치 통신대, 쿠마가야 기지의 이동 통신대가 신편되었다.

2. 2. 중앙 항공 통신군 시대 (1961년 ~ 2000년)

1961년 7월 15일, 중앙 항공 통신대가 "중앙 항공 통신군"으로 개편되었다.[1] 1967년 10월 25일에는 이치가야 통신대와 히노키마치 통신대가 통합되어 중앙 통신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되었다.[1] 1981년 2월 10일, 기지 업무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되었고,[1] 1982년 1월 12일에는 통신 보전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되었다.[1]

1988년 3월 31일, 이동 통신대가 제1이동 통신대로 개편되었고, 제2이동 통신대가 카스가 기지에 신편되었다.[1] 같은 해 10월 1일, 통신 감사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되었다.[1] 1990년 3월 31일에는 제3이동 통신대가 치토세 기지에,[1] 1992년 3월 31일에는 제4이동 통신대가 샤카리 분둔기지에 각각 신편되었다.[1]

1998년 3월 31일, 중앙 시스템 관리대가 이치가야 기지에 신편되었다.[1] 2000년 5월 8일, 중앙 항공 통신군은 항공시스템통신대로 개편되었다.[1]

2. 3. 항공시스템통신대 시대 (2000년 ~ 현재)

2000년 5월 8일, 중앙 항공 통신군이 항공시스템통신대로 개편되었다.[1] 시스템 관리군이 신편되고 중앙 통신대 및 중앙 시스템 관리대가 동군 예하로 편입되었다. 보전 감사군이 신편되어 통신 보전대 및 통신 감사대가 동군 예하로 편입되었고, 시스템 감사대가 신편되었다. 이동 통신군이 신편되어 제1~제4이동 통신대가 동군 예하로 편입되었으며, 기지 업무대는 폐지되었다.[1]

2015년 3월 26일, 이동 통신군 예하에 제5이동 통신대가 나하 기지에 신편되었다.[3] 2020년 3월 2일에는 시스템 관리군 예하의 중앙 시스템 관리대가 클라우드 기반 관리대로 개편되었다.[4]

3. 부대 편성


  • 대 본부

항공시스템통신대의 본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항공자위대 이치가야 기지 내에 위치해 있으며, 항공시스템통신대의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항공시스템통신대 사령부가 있는 방위성 청사 B동 (왼쪽)

  • 시스템 관리군
  • * 중앙 통신대
  • ** 통신소 소대 (지바현 가시와시)
  • * 클라우드 기반 관리대

  • 보전 감사군 (육자대 통신 보전 감사대 상당 임무)
  • * 통신 보전대
  • * 통신 감사대
  • * 시스템 감사대 (육자대 사이버 방호대 상당 임무)

  • 이동 통신군
  • * 제1이동 통신대 (구마가야 기지)
  • * 제2이동 통신대 (가스가 기지)
  • * 제3이동 통신대 (지토세 기지)
  • * 제4이동 통신대 (샤리키 분둔 기지)
  • * 제5이동 통신대 (나하 기지)

3. 1. 대 본부

항공시스템통신대의 본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항공자위대 이치가야 기지 내에 위치해 있으며, 항공시스템통신대의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시스템 관리군
  • 중앙 통신대
  • 송신소 소대 (지바현 가시와시)
  • 클라우드 기반 관리대
  • 보전 감사군 (육자대 통신 보전 감사대 상당 임무)
  • 통신 보전대
  • 통신 감사대
  • 시스템 감사대 (육자대 사이버 방호대 상당 임무)
  • 이동 통신군
  • 제1이동 통신대 (구마가야 기지)
  • 제2이동 통신대 (가스가 기지)
  • 제3이동 통신대 (지토세 기지)
  • 제4이동 통신대 (샤리카 분둔 기지)
  • 제5이동 통신대 (나하 기지)

3. 2. 시스템 관리군

항공자위대의 통신 계통 관리 및 운용 통제, 정보통신 시스템 관리 운용 및 감시를 담당한다. 시스템 관리군은 중앙통신대, 클라우드 기반관리대, 이동통신군으로 나뉜다. 중앙통신대는 통신소 소대를 지토세현 카시와시에 두고 있다. 이동통신군은 구마가야 기지의 제1이동통신대, 가스가 기지의 제2이동통신대, 지토세 기지의 제3이동통신대, 샤리키 분둔기지의 제4이동통신대, 나하 기지의 제5이동통신대로 구성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항공시스템통신대 사령부는 항공자위대 이치가야 기지 내에 위치해 있으며, 방위성 청사 B동에 있다.

3. 3. 보전 감사군

항공시스템통신대 보전 감사군은 육상자위대의 통신 보전 감사대에 대응되는 임무를 수행하며, 통신 보전대, 통신 감사대, 시스템 감사대로 구성된다. 시스템 감사대는 육상자위대의 사이버 방호대에 상당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3. 4. 이동 통신군

이동 통신군은 작전 운용에 필수적인 통신 회선 중단에 대처하기 위해 전국에 배치된 부대이다. 제1이동통신대는 구마가야 기지에, 제2이동통신대는 가스가 기지에, 제3이동통신대는 지토세 기지에, 제4이동통신대는 샤리키 분둔기지에, 제5이동통신대는 나하 기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4. 주요 간부

항공시스템통신대의 주요 간부 명단은 다음과 같다.


  • 항공시스템통신대 사령: 1등 공좌 타니가와 오사무 (2024년 7월 4일 ~ 현재, 통합막료감부 지휘통신시스템부 지휘통신시스템 운용과장 역임)
  • 부사령: (공석)
  • 시스템 관리군 사령: 1등 공좌 아지오카 타카노리 (2024년 5월 1일 ~ 현재, 항공막료감부 방위부 사업계획 제2과 사이버 보안반장 역임)
  • 보전감사군 사령: 2등 공좌 스즈키 후미토시 (2024년 7월 4일 ~ 현재, 항공자위대 간부학교 교육부 주임교관 겸 항공자위대 간부학교 근무)
  • 이동통신군 사령: 2등 공좌 우에노 토모히로


역대 항공시스템통신대 사령관(1등 공좌(일))은 다음과 같다.

  • 초대: 사토 요시시게 (1955년 1월 17일 ~ 1955년 5월 9일, 해병 57기, 해대 39기, 항공막료감부 통신과장 겸임)
  • 2대: 미우라 요시로 (1955년 5월 10일 ~ 1958년 5월 22일, 2등 공좌)
  • 3대: 가모 이치로 (1958년 9월 25일 ~ 1961년 7월 14일, 2등 공좌, 해병 61기)
  • 4대: 야마다 소이치 (1961년 7월 15일 ~ 1963년 5월 31일, 육사 45기)
  • 5대: 야마시타 슈시 (1963년 6월 1일 ~ 1965년 2월 15일, 육사 48기)
  • 6대: 이노코 테루오 (1965년 2월 16일 ~ 1965년 8월 31일, 육사 47기)
  • 7대: 무카이야마 요시아키 (1965년 9월 1일 ~ 1968년 2월 29일, 해병 66기)
  • 8대: 요시다 미츠이치 (1968년 3월 1일 ~ 1971년 3월 15일, 육사 53기)
  • 9대: 요코우치 히토시 (1971년 3월 16일 ~ 1973년 5월 31일, 육사 55기)
  • 10대: 에가시라 이사무 (1973년 6월 1일 ~ 1974년 12월 4일, 육사 56기)
  • 11대: 토키 토시미 (1974년 12월 5일 ~ 1976년 8월 1일, 해병 72기)
  • 12대: 오다와라 켄지 (1976년 8월 2일 ~ 1977년 7월 31일, 공장보, 육사 58기)
  • 13대: 미야아라 타다시 (1977년 8월 1일 ~ 1979년 3월 15일, 육사 59기)
  • 14대: 이마다 토모유키 (1979년 3월 16일 ~ 1980년 3월 16일, 해병 74기)
  • 15대: 츠다 노부카즈 (1980년 3월 17일 ~ 1982년 3월 15일, 도쿄공전, 5기 간후 ())
  • 16대: 나가타 고키치 (1982년 3월 16일 ~ 1985년 3월 15일, 공장보, 구마모토 대학 쇼와 28년 졸)
  • 17대: 구보 요시즈미 (1985년 3월 16일 ~ 1986년 3월 16일, 공장보, 가고시마 대학, 7기 간후)
  • 18대: 아마노 코지 (1986년 3월 17일 ~ 1987년 3월 15일, 공장보, 오카야마 대학, 7기 간후)
  • 19대: 스즈키 키이치로 (1987년 3월 16일 ~ 1988년 3월 15일, 방대 1기)
  • 20대: 하야세 요이치 (1988년 3월 16일 ~ 1989년 10월 16일, 공장보, 방대 6기)
  • 21대: 기무라 나오키 (1989년 10월 17일 ~ 1990년 11월 30일, 방대 6기)
  • 22대: 나가오 카즈오 (1990년 12월 1일 ~ 1992년 7월 31일, 방대 6기)
  • 23대: 미야타 유키노리 (1992년 8월 1일 ~ 1994년 11월 30일, 방대 7기)
  • 24대: 요시오카 카츠요시 (1994년 12월 1일 ~ 1996년 3월 31일, 방대 8기)
  • 25대: 타카마 쇼이치 (1996년 4월 1일 ~ 1998년 7월 31일, 방대 9기)
  • 26대: 사사키 이사무 (1998년 8월 1일 ~ 2000년 3월 31일, 방대 12기)
  • 27, 28대: 카와니시 코이치 (2000년 4월 1일 ~ 2002년 7월 31일, 방대 14기)
  • 29대: 키쿠치 에츠오 (2002년 8월 1일 ~ 2004년 3월 22일, 방대 17기)
  • 30대: 카베 유시로 (2004년 3월 23일 ~ 2005년 7월 27일, 방대 18기)
  • 31대: 타카다 코지 (2005년 7월 28일 ~ 2007년 7월 31일, 방대 20기)
  • 32대: 이케다 마사루 (2007년 8월 1일 ~ 2008년 7월 31일, 방대 21기)
  • 33대: 요코야마 시게하루 (2008년 8월 1일 ~ 2009년 11월 30일, 방대 21기)
  • 34대: 칸다 마사하루 (2009년 12월 1일 ~ 2011년 4월 14일, 방대 23기)
  • 35대: 엔도 슈이치 (2011년 4월 15일 ~ 2013년 3월 31일, 방대 25기)
  • 36대: 카가미 유키요시 (2013년 4월 1일 ~ 2014년 3월 31일, 방대 27기)
  • 37대: 호리모토 쇼지 (2014년 4월 1일 ~ 2016년 3월 31일, 방대 27기)
  • 38대: 타카야 후미아키 (2016년 4월 1일 ~ 2017년 7월 31일, 생도 23기)[5]
  • 39대: 미시마 노부히코 (2017년 8월 1일 ~ 2019년 12월 19일, 방대 33기)
  • 40대: 테라카와 키요시 (2019년 12월 20일 ~ 2022년 3월 31일, 방대 36기)
  • 41대: 하마자키 테츠야 (2022년 4월 1일 ~ 2024년 7월 3일, 오카야마 이과대 대원 헤이세이 5년 졸)[6]
  • 42대: 타니가와 오사무 (2024년 7월 4일 ~ 현재, 방대 37기)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航空システム通信隊司令挨拶 https://www.mod.go.j[...]
[2] 웹사이트 航空システム通信隊 組織・業務 部隊紹介 https://www.mod.go.j[...]
[3] 웹사이트 航空システム通信隊 部隊紹介 移動通信群業務紹介 https://www.mod.go.j[...]
[4] 웹사이트 航空システム通信隊 部隊紹介 活動状況 https://www.mod.go.j[...]
[5] PDF 自衛隊法第65条の13の規定に基づく平成29年度若年定年等隊員の就職の援助の実施結果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mod.go.j[...]
[6] PDF 自衛隊法第65条の11第5項の規定に基づく自衛隊員の再就職状況の報告(令和6年4月1日~同年6月30日分) https://www.mod.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