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장죽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장죽속(해장竹屬, 학명: Phyllostachys)은 벼과에 속하는 대나무 속의 하나이다. 노랑줄무늬사사, 해장죽, 흰줄무늬사사 등 여러 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노랑줄무늬사사, 해장죽, 흰줄무늬사사가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기재된 식물 - 오동나무
오동나무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빠른 성장 속도, 독특한 향기의 연보라색 꽃, 가볍고 습기에 강한 목재, 그리고 가구 및 악기 제작과 혼수 풍습, 화투 그림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1925년 기재된 식물 - 메꽃
메꽃은 메꽃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로 번식하며 6월에서 8월 사이 옅은 분홍색의 깔때기 모양 꽃을 피우고, 어린 잎과 꽃, 줄기, 땅속줄기는 식용 가능하며 전초는 약재로도 사용된다. - 대나무아과 - 죽순
죽순은 대나무의 어린 순으로, 온대지방에서는 초봄, 열대지방에서는 여름에 땅속줄기에서 빠르게 자라 2~3개월 후 어린 대나무가 되며, 전 세계 약 100종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갓 채취한 죽순은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후죽순'과 같은 속담에도 등장한다. - 대나무아과 - 죽림
죽림은 대나무가 주종을 이루는 숲을 의미하며, 튼튼한 줄기와 빠른 성장 속도로 인해 다른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아시아 지역 사회의 생계에 중요한 자원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장죽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leioblastus |
명명자 | Nakai |
모식종 명명자 | (Makino) Nakai |
모식종 | Pleioblastus communis |
하위 분류 | |
하위 종 | Pleioblastus altiligulatus Pleioblastus amarus Pleioblastus argenteostriatus Pleioblastus fortunei Pleioblastus gramineus Pleioblastus guilongshanensis Pleioblastus hattorianus Pleioblastus hsienchuensis Pleioblastus incarnatus Pleioblastus kodzumae Pleioblastus linearis Pleioblastus maculatus Pleioblastus matsunoi Pleioblastus nagashima Pleioblastus pseudosasaoides Pleioblastus rugatus Pleioblastus sanmingensis Pleioblastus simonii Pleioblastus solidus Pleioblastus truncatus Pleioblastus viridistriatus Pleioblastus wuyishanensis Pleioblastus yixingensis |
과거 속했던 종 | |
이명 |
2. 하위 종
해장죽속에는 다양한 종이 있으며, 잎의 무늬, 크기,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름 | 학명 |
---|---|
노랑줄무늬사사 | P. viridistriatus (Regel) Makino |
해장죽 | P. simonii (Carrière) Nakai |
흰줄무늬사사 | P. fortunei (Van Houtte) Nakai |
P. altiligulatus S.L.Chen & S.Y.Chen | |
P. amarus (Keng) Keng f. | |
P. argenteostriatus (Regel) Nakai | |
P. gramineus (Bean) Nakai | |
P. hsienchuensis T.H.Wen | |
P. incarnatus S.L.Chen & G.Y.Sheng | |
P. kodzumae Makino | |
P. kongosanensis Makino | |
P. linearis (Hack.) Nakai | |
P. maculatus (McClure) C.D.Chu & C.S.Chao | |
P. matsunoi Nakai | |
P. nagashima (Mitford) Nakai | |
P. rugatus T.H.Wen & S.Y.Chen | |
P. sanmingensis S.L.Chen & G.Y.Sheng | |
P. solidus S.Y.Chen | |
P. truncatus T.H.Wen | |
P. wuyishanensis Q.F.Zheng & K.F.Huang | |
P. yixingensis S.L.Chen & S.Y.Chen |
2. 1. 한국 자생종
이름 | 학명 |
---|---|
노랑줄무늬사사 | P. viridistriatus (Regel) Makino |
해장죽 | P. simonii (Carrière) Nakai |
흰줄무늬사사 | P. fortunei (Van Houtte) Nakai |
P. altiligulatus S.L.Chen & S.Y.Chen | |
P. amarus (Keng) Keng f. | |
P. argenteostriatus (Regel) Nakai | |
P. gramineus (Bean) Nakai | |
P. hsienchuensis T.H.Wen | |
P. incarnatus S.L.Chen & G.Y.Sheng | |
P. kodzumae Makino | |
P. kongosanensis Makino | |
P. linearis (Hack.) Nakai | |
P. maculatus (McClure) C.D.Chu & C.S.Chao | |
P. matsunoi Nakai | |
P. nagashima (Mitford) Nakai | |
P. rugatus T.H.Wen & S.Y.Chen | |
P. sanmingensis S.L.Chen & G.Y.Sheng | |
P. solidus S.Y.Chen | |
P. truncatus T.H.Wen | |
P. wuyishanensis Q.F.Zheng & K.F.Huang | |
P. yixingensis S.L.Chen & S.Y.Chen |
2. 2. 기타
- 노랑줄무늬사사(''P. viridistriatus'' (Regel) Makino)
- 해장죽(''P. simonii'' (Carrière) Nakai)
- 흰줄무늬사사(''P. fortunei'' (Van Houtte) Nakai)
- ''P. altiligulatus'' S.L.Chen & S.Y.Chen
- ''P. amarus'' (Keng) Keng f.
- ''P. argenteostriatus'' (Regel) Nakai
- ''P. gramineus'' (Bean) Nakai
- ''P. hsienchuensis'' T.H.Wen
- ''P. incarnatus'' S.L.Chen & G.Y.Sheng
- ''P. kodzumae'' Makino
- ''P. kongosanensis'' Makino
- ''P. linearis'' (Hack.) Nakai
- ''P. maculatus'' (McClure) C.D.Chu & C.S.Chao
- ''P. matsunoi'' Nakai
- ''P. nagashima'' (Mitford) Nakai
- ''P. rugatus'' T.H.Wen & S.Y.Chen
- ''P. sanmingensis'' S.L.Chen & G.Y.Sheng
- ''P. solidus'' S.Y.Chen
- ''P. truncatus'' T.H.Wen
- ''P. wuyishanensis'' Q.F.Zheng & K.F.Huang
- ''P. yixingensis'' S.L.Chen & S.Y.Chen
참조
[1]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McClure, Taxon 6(7): 207 (1957)
[2]
웹사이트
Pleioblastus Nakai
http://www.tropicos.[...]
[3]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4]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http://www.ipni.org/[...]
[5]
간행물
Nakai, Takenoshin. 1925. Journal of the Arnold Arboretum 6(3): 145–147
https://www.biodiver[...]
[6]
서적
The Bamboos of the World
Elsevier Science
[7]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8]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121 苦竹属 ku zhu shu Pleioblastus Nakai, J. Arnold Arbor. 6: 145. 1925
http://www.efloras.o[...]
[9]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leioblastus variegatus
http://apps.rhs.org.[...]
2013-05-28
[10]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leioblastus viridistriatus
http://apps.rhs.org.[...]
2013-05-28
[11]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5-07
[12]
간행물
A preliminary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undinaria and related genera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nrDNA (ITS region) and cpDNA (trnL-F intergenic spacer)
Springer
[13]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Pleioblastus
http://www.theplantl[...]
[14]
문서
Nakai, Takenoshin. Journal of the Arnold Arboretum 6(3): 145. 1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