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장죽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장죽족(Pleioblastus)은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한국에는 섬조릿대속, 아룬디나리아속, 왕대속, 이대속, 조릿대속, 해장죽속 등이 자생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속들이 해장죽족에 포함된다. 해장죽족은 벼과의 대나무아과에 속하며, 올리라족, 대나무족과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2년 기재된 식물 - 한란
한란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겨울에 꽃을 피우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녹색 바탕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는 꽃이 피고 관상 가치가 높아 동양란으로 인정받지만, 한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대나무아과 - 죽순
죽순은 대나무의 어린 순으로, 온대지방에서는 초봄, 열대지방에서는 여름에 땅속줄기에서 빠르게 자라 2~3개월 후 어린 대나무가 되며, 전 세계 약 100종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갓 채취한 죽순은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후죽순'과 같은 속담에도 등장한다. - 대나무아과 - 죽림
죽림은 대나무가 주종을 이루는 숲을 의미하며, 튼튼한 줄기와 빠른 성장 속도로 인해 다른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아시아 지역 사회의 생계에 중요한 자원이다.
해장죽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족 | 해장죽족 |
학명 | Arundinarieae |
명명자 | Asch. & Graebn. (1902) |
이명 | Chimonocalameae Keng f. (1982, nom. inval.) Shibataeeae Nakai (1933) |
모식속 | 아룬디나리아속 (Arundinaria Michx.) |
하위 분류 | |
속 | 30개 속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대나무아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속한다.
속(Genus) 이름 | 한글 표기 |
---|---|
Acidosasa | 아시도사사 |
Ampelocalamus | 암펠로칼라무스 |
Arundinaria | 아룬디나리아속 |
Bashania | 바샤니아 |
Bergbambos | 베르그밤보스 |
Chimonobambusa | 키모노밤부사 |
Chimonocalamus | 키모노칼라무스 |
Drepanostachyum | 드레파노스타키움 |
Fargesia | 파르게시아 |
Ferrocalamus | 페로칼라무스 |
Gaoligongshania | 가오리궁샤니아 |
Gelidocalamus | 젤리도칼라무스 |
Himalayacalamus | 히말라야칼라무스 |
Hsuehochloa | |
Indocalamus | 인도칼라무스 |
Indosasa | 인도사사 |
Kuruna | 쿠루나 |
Oldeania | 올데아니아 |
Oligostachyum | 올리고스타키움 |
× Phyllosasa | |
Sarocalamus | 사로칼라무스 |
Sasaella | 사사에라 |
Semiarundinaria | 세미아룬디나리아 |
Shibataea | 시바타에아 |
Sinobambusa | 시노밤부사 |
Thamnocalamus | 탐노칼라무스 |
Vietnamocalamus | 베트남오칼라무스 |
Yushania | 유샤니아 |
2. 1. 기타 속
- 섬조릿대속(''Sasa'')
- 왕대속(''Phyllostachys'')
- 이대속(''Pseudosasa'')
- 조릿대속(''Sasamorpha'')
- 해장죽속(''Pleioblastus'')
- ''Acidosasa''
- ''Ampelocalamus''
- ''Bashania''
- ''Bergbambos''
- ''Chimonobambusa''
- ''Chimonocalamus''
- ''Drepanostachyum''
- ''Fargesia''
- ''Ferrocalamus''
- ''Gaoligongshania''
- ''Gelidocalamus''
- ''Himalayacalamus''
- ''Hsuehochloa''
- ''Indocalamus''
- ''Indosasa''
- ''Kuruna''
- ''Oldeania''
- ''Oligostachyum''
- × ''Phyllosasa''
- ''Sarocalamus''
- ''Sasaella''
- ''Semiarundinaria''
- ''Shibataea''
- ''Sinobambusa''
- ''Thamnocalamus''
- ''Yushania''
- 아시도사사(Acidosasa)
- 암펠로칼라무스(Ampelocalamus)
- 아룬디나리아(Arundinaria)
- 바샤니아(Bashania)
- 베르그밤보스(Bergbambos)
- 키모노밤부사(Chimonobambusa)
- 키모노칼라무스(Chimonocalamus)
- 드레파노스타키움(Drepanostachyum)
- 파르게시아(Fargesia)
- 페로칼라무스(Ferrocalamus)
- 가오리궁샤니아(Gaoligongshania)
- 젤리도칼라무스(Gelidocalamus)
- 히말라야칼라무스(Himalayacalamus)
- 인도칼라무스(Indocalamus)
- 인도사사(Indosasa)
- 쿠루나(Kuruna)
- 올데아니아(Oldeania)
- 올리고스타키움(Oligostachyum)
- 필로스타키스(Phyllostachys)
- 플레이오블라투스(Pleioblastus)
- 사사(Pseudosasa)
- 사로칼라무스(Sarocalamus)
- 사사(Sasa)
- 사사에라(Sasaella)
- 사사모르파(Sasamorpha)
- 세미아룬디나리아(Semiarundinaria)
- 시바타에아(Shibataea)
- 시노밤부사(Sinobambusa)
- 탐노칼라무스(Thamnocalamus)
- 베트남오칼라무스(Vietnamocalamus)
- 유샤니아(Yushania)
3. 계통 분류
벼과 BOP 분지군에 속하는 대나무아과는 벼아과, 올리라족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다.[5]
3. 1. 상세 계통도
다음은 벼과의 계통 분류이다.[5]{| class="wikitable"
|-
! 계통 분류
|-
|
{| class="wikitable"
|-
| 아노모클로아아과 (4)
|-
|
{| class="wikitable"
|-
| 파루스아과 (13)
|-
|
{| class="wikitable"
|-
| 푸엘리아아과 (11)
|-
|
{| class="wikitable"
|-
! BOP 분지군
|-
|
{| class="wikitable"
|-
| 벼아과 (110)
|-
|
{| class="wikitable"
|-
! 대나무아과 (1450)
|-
|
{| class="wikitable"
|-
| 해장죽족
|-
|
|}
|}
|}
|}
|-
| 포아풀아과 (3850)
|}
|}
|-
! PACMAD 분지군
|-
|
{| class="wikitable"
|-
| 아리스티다아과 '''C3''' & '''C4''' (350)
|-
|
{| class="wikitable"
|-
| 기장아과 '''C3''' & '''C4''' (3250)
|-
|
{| class="wikitable"
|-
|
|-
|
|}
|}
|}
|}
|}
|}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2]
논문
Higher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based on five plastid markers
http://www.isu.edu/~[...]
2015-07-25
[3]
서적
Synopsis der Mitteleuropäischen Flora
[4]
저널
Higher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based on five plastid markers
http://www.isu.edu/~[...]
2016-01-06
[5]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