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나무는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나무처럼 목질 줄기를 가지며 속이 비어있고 마디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에서 가장 빨리 자라는 식물 중 하나로, 하루에 최대 1m까지 성장하며, 짧은 지하 뿌리줄기를 가진 군생형과 긴 지하 뿌리줄기를 가진 포복형으로 나뉜다. 대나무 숲은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 기후 변화 대응에 기여하며, 열대에서 온대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아시아 지역에서 관상용, 건축 자재, 음식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죽순은 식용으로, 줄기는 건축 및 공예 재료로 활용된다. 또한, 여러 아시아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한국에서는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사군자 중 하나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상징 - 백로 (새)
    백로는 여러 종의 새를 통칭하며 흰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습지 등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며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울산광역시의 상징 -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며 회색빛을 띠는 해양 포유류로, 해저 무척추동물을 먹고 얕은 바다에서 생활하며, 북태평양에 두 개의 개체군이 존재하고 인간과의 관계는 고래 관광 및 문화적 상징으로 나타난다.
  • 1893년 기재된 식물 - 모기골
    모기골은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묶여 자라는 여러 줄기와 가는 잎, 가을에 피는 옅은 갈색 이삭, 황갈색 열매를 가지며, 해안가 모래땅이나 경작지에서 자라는 일본, 한반도,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 1893년 기재된 식물 - 비둘기콩
    비둘기콩은 인도에서 기원하여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콩과 식물로, 식량, 사료, 녹비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며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작물이다.
  • 대나무아과 - 죽순
    죽순은 대나무의 어린 순으로, 온대지방에서는 초봄, 열대지방에서는 여름에 땅속줄기에서 빠르게 자라 2~3개월 후 어린 대나무가 되며, 전 세계 약 100종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갓 채취한 죽순은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후죽순'과 같은 속담에도 등장한다.
  • 대나무아과 - 죽림
    죽림은 대나무가 주종을 이루는 숲을 의미하며, 튼튼한 줄기와 빠른 성장 속도로 인해 다른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아시아 지역 사회의 생계에 중요한 자원이다.
대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Bambusoideae Luerss.
이명Olyroideae Pilg. (1956)
Parianoideae Butzin (1965)
다양성1,462종 이상 (115속)
화석 범위초기 에오세 (55백만년 전) – 현재
하위 분류
아룬디나리에아에
밤부세아에
올리레아에
특징
높이최대 46m
굵기최대 36cm
무게최대 450kg
최대 성장 속도하루에 최대 120cm
가장 작은 대나무Raddiella vanessiae, 높이 10-20mm
가장 큰 대나무Dendrocalamus sinicus (최대 높이 46m, 둘레 36cm)
생태 및 용도
서식지온대, 열대, 아열대 지역
용도건축 자재
식량
종이
직물
바이오 연료
토양 침식 방지
탄소 격리
폐기물 처리
전통 의약품
악기
장식용

2. 특징

대나무는 벼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상록 식물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자라는 식물로, 지역 토양과 기후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에 최대 100cm까지 자랄 수 있다.[115] 싹이 난 뒤 약 4~5년이 지나면 완전히 자라며, 어떤 대나무는 최고 40m까지 자라기도 한다.

대나무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마디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나무 죽순이라 하고, 죽순을 감싼 잎을 죽피라고 한다.

대나무 꽃은 매우 드물게 피며, 개화 주기는 종에 따라 수십 년에서 최대 100년 이상까지 다양하다.[115] 같은 뿌리에서 나온 줄기는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 같은 해에 꽃을 피우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대나무 숲 전체가 시들어 쓰러지기도 한다.[115]

대나무 숲은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 1 헥타르 당 연간 약 30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는 일반 나무의 4배에 달하는 양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1970년대까지 대한민국에서는 대나무 숲 근처에 살면서 대나무 가정용품과 제품을 만들어 소득을 올리기도 했다.

3. 분포

대나무는 열대 지역부터 추운 산악 지방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서식한다. 북위 50도 경의 사할린 부근에서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까지, 인도히말라야산맥에서도 자란다.[112] 미국 남동부,[113] 아르헨티나칠레에서도 발견된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동아시아 전역, 사할린 북위 50도,[27]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서쪽으로는 인도와 히말라야 산맥까지 분포한다. 중국, 일본, 한국, 인도, 오스트레일리아는 모두 여러 고유종이 서식한다.[28]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도 소수가 서식하는데, 북쪽의 세네갈 남부부터 남쪽의 모잠비크마다가스카르까지 열대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46]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아르헨티나 남부의 남위 47도와 중앙 칠레의 너도밤나무 숲에서부터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을 거쳐 에콰도르의 안데스 산맥 근처까지 자생한다.[29]

대나무(Bambusoideae)의 세계적 분포


세 종류의 대나무(''Arundinaria'' 속에 속함)는 중앙아메리카멕시코를 거쳐 북쪽으로 미국 남동부까지 자생한다.[29] 캐니브레이크(canebrake)라고 불리는 대나무 숲은 한때 미국 남동부 일부 지역의 주요 생태계를 형성했지만, 현재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생태계로 간주된다.[30][31][32] 캐나다유럽 대륙에는 자생 대나무 종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최근 아프리카 동중부의 대호수 지역, 특히 르완다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대나무를 재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34] 미국에서는 ''Phyllostachys nigra''(헤논)과 ''Phyllostachys edulis''(모소)와 같은 종을 재배, 수확 및 유통하고 있다.[35]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대나무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상세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오죽검은 대나무인 오죽이 자생하는 지역이다.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남도 담양군한국의 대표적인 대나무 산지 중 하나이다.
전라남도 영암군
경상북도 울진군
경상남도 거제시맹종죽 군락지가 있으며, 죽순 생산지로 유명하다.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서정리 비봉내마을33000m2 규모의 대나무 삼림욕장이 있다. 1960년대까지는 쓸모없는 야산이었으나, 마을 주민들이 대나무를 심어 울창한 숲을 이루었다. 2007년 농림부가 녹색농촌 체험마을로 지정하여 대나무 및 농사 체험이 가능하다.[114]
제주특별자치도제주조릿대가 자생한다.


4. 하위 분류

대나무아과는 크게 대나무족(Bambuseae), 올리라족(Olyreae), 해장죽족(Arundinarieae)의 세 족으로 나뉜다.[25][4] 목본 대나무는 하나의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으며, 열대 목본 대나무와 초본 대나무는 온대 목본 대나무의 자매군이다.[23][22]

특징분포 지역
대나무족(Bambuseae)열대 목본 대나무열대 지역
올리라족(Olyreae)초본 대나무중남미, 아프리카, 뉴기니
해장죽족(Arundinarieae)온대 목본 대나무온대 지역



총 1,400종 이상이 115속으로 분류된다.[23] 과거에는 벼과에서 가장 먼저 분화했다는 설도 있어, 대나무과로 독립시키기도 했다.

대한민국에는 좁은 의미의 대나무족해장죽족이 분포한다.

5. 계통 분류

벼과 BOP 분지군에 속하며, 벼아과, 포아풀아과와 자매군이다.[116] 대나무아과는 해장죽족, 올리라족, 대나무족의 세 족으로 나뉜다.[25][4] 이들은 지리적 분포와 형태적 특징에 따라 나뉘는데, 목본 대나무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으며, 열대 목본 대나무와 초본 대나무는 온대 목본 대나무의 자매군이다.[23][22]

계통군특징주요 서식지
해장죽족온대 목본아시아
올리라족초본아메리카, 아프리카, 뉴기니
대나무족열대 목본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대나무는 오랫동안 벼과에서 가장 먼저 분화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의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벼과의 BOP 족에 속하며, 포아풀아과의 자매군이다.[22]

6. 쓰임새

대나무는 동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 관상용, 건축 자재, 음식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13]

속이 비어 있고 길게 쪼개지는 성질을 이용해 부채, 돗자리, 죽부인 등 생활용품이나 단소, 대금, 퉁소, 피리 등 관악기를 만든다. 과거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오시타 히로시 선수가 대나무 배트를 사용하기도 했다.

자이언트 판다[43], 레서 판다[44], 대나무 여우원숭이[45] 등은 대나무를 주식으로 삼는다. 특히 자이언트 판다는 식단의 99%를 대나무에 의존한다.[41] 마운틴 고릴라는 발효된 대나무 수액을 섭취해 알코올을 섭취하기도 한다.[46]

대나무숯(竹炭)은 명나라 초주(楚州)에서 1486년에 사용된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녔으며,[108] 다공성 구조를 가진 대나무숯은 활성탄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대나무 섬유는 레이온 형태로 가공되어 의류, 침구류 등에 쓰이지만, 가성소다, 이황화탄소 등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73]

6. 1. 식용

죽순은 수많은 아시아 요리와 국물에 사용되며, 신선하거나 통조림 형태로 বিভিন্ন 슬라이스 형태로 슈퍼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다.[59] 조리하면 약간의 쓴맛이 제거된다.[59] 발효된 죽순은 히말라야 요리의 중요한 재료이다. 인도 아삼주에서는 ''khorisa''라고 불린다.[60] 네팔에서는 여러 민족에 걸쳐 인기 있는 별미로, 울금과 기름으로 발효시켜 감자와 함께 밥과 함께 먹는 요리(आलु तामा|alu tamane)[61]가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얇게 썰어서 ''santan''(진한 코코넛 밀크)과 향신료와 함께 끓여 ''gulai rebung''이라는 요리를 만든다. 죽순을 사용하는 다른 요리로는 ''사유르 로데''(코코넛 밀크에 섞은 채소)와 ''lun pia''(때로는 ''룸피아''로 쓰임: 채소와 함께 튀긴 죽순말이)가 있다.

절인 죽순은 조미료로 사용되며, 어린 죽순의 으로 만들 수도 있다. 우기 동안 채취한 어린 줄기의 수액은 ''ulanzi''(단맛이 나는 술)[62]를 만들기 위해 발효시키거나 간단하게 청량음료로 만들 수 있다.[63] 대나무 잎은 찹쌀과 다른 재료(예: 중국의 쫑즈)를 포함하는 찐 만두의 포장지로도 사용된다.

''Khao lam'' ()은 설탕과 코코넛 크림을 넣은 찹쌀을 다양한 지름과 길이의 특별히 준비된 대나무 조각에 넣어 익힌 요리이다.


한국 죽순차


일본 시장의 가공되지 않은 죽순


절인 죽순 (तामा|tamane)은 네팔에서 검은 눈 완두콩과 함께 별미로 요리된다. 전 세계의 많은 네팔 레스토랑에서 이 요리를 ''aloo bodi tama''로 제공한다. 신선한 죽순은 얇게 썰어 겨자씨와 울금으로 절이고 유리병에 담아 직사광선에 두면 가장 좋은 맛을 낸다.

인도 삼발푸르에서는 부드러운 죽순을 주리엔으로 갈아서 발효시켜 ''kardi''를 만든다. 이 이름은 죽순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karira''에서 유래했다. 이 발효 죽순은 다양한 요리, 특히 신맛이 나는 채소 수프인 ''amil''에 사용된다. 또한 쌀가루를 결합제로 사용하여 팬케이크로 만들기도 한다.[64]

콘카니 요리에서는 부드러운 죽순(''kirlu'')을 갈아서 으깬 잭푸르트 씨앗과 함께 요리하여 ''kirla sukke''를 만든다.

동티모르에서는 대나무로 음식을 요리하는 것을 ''tukir''이라고 한다.


남인도와 중국 남서부 일부 지역에서는 죽는 대나무의 씨앗을 "대나무 쌀"이라는 곡물로 섭취한다. 익힌 대나무 씨앗의 맛은 밀과 비슷하고 모양은 쌀과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나무 씨앗은 밀과 쌀 모두보다 영양소 함량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65]

큰 대나무의 줄기 속의 빈 공간은 많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음식을 요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수프는 삶아지고 쌀은 신선한 대나무 줄기의 속에서 직접 불 위에 올려 익힌다.

6. 2. 건축 및 공예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고, 길게 쪼개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부채, 돗자리, 죽부인 등의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단소, 대금, 퉁소, 피리와 같은 관악기를 만드는 데에도 적합하다.[13] 과거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오시타 히로시 선수가 대나무로 만든 배트를 사용하기도 했다.

린 안 타이 역사 박물관의 대나무 스타일 창살, 타이베이


대나무는 높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가진 천연 건축 자재로, 간단한 현수교를 지탱하는 케이블이나 비계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홍콩에서는 고층 건물에도 대나무 비계가 사용된다.[78] 필리핀의 니파 헛은 쪼개고 엮은 대나무를 벽 재료로 사용하고, 일본 건축에서는 울타리, 분수, 격자, 홈통 등 건물의 보조적 또는 장식적 요소로 활용된다.[79]

필리핀 팔라완에 있는 현대식 리조트 게스트하우스. 전통적인 엮은 대나무 벽(사왈리)을 사용했다.


필리핀 바탄주 아부카이에서 사용되는 대나무 바구니(홍합 양식)


대나무 찜통. 딤섬 등의 요리에 사용된다.


대나무는 젓가락이나 대나무 찜통과 같은 조리 도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쟁반, 차 숟가락과 같은 식기류, 도마[89], 중국 대나무 가구, 대나무 마루[91], 보석류[92] 등 다양한 생활용품 및 공예품의 재료로 활용된다.

과거 중국에서는 대나무 조각을 종이가 발명되기 전까지 문서를 기록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했다.[67] 또한, 대나무 섬유는 제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68] 펄프는 인쇄 및 필기용 종이의 재료로 쓰인다.[69] 인도에서는 대나무 막대기를 이용하여 펜을 만들기도 했다.[72]

억새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는 미국 남동부 원주민들의 생활에 중요한 재료였다.[97] 체로키족은 이 대나무를 이용하여 바구니, 매트, 낚싯대, 피리, 불총, 화살, 집 등을 만들고, 씨앗과 어린 싹을 식용으로 사용했다.[98][99]

6. 3. 기타

대나무는 야구 방망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1948년 일본 프로 야구 경기에서 오시타 히로시 선수가 대나무 배트를 사용한 기록이 있다.[115] 그 외에 낚싯대, 붓대, 부채살, 죽부인 등 다양한 생활용품의 재료로 활용된다. 또한, 대나무를 서로 엮어 바구니나 돗자리를 만들기도 한다. 속이 빈 특징을 이용하여 단소, 소금, 대금, 퉁소, 피리 등 다양한 관악기를 제작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대나무숯(竹炭)은 대나무를 구워 만든 숯으로, 명나라 시대인 1486년 초주(楚州)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108] 다공성 구조를 가진 대나무숯은 활성탄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대나무 섬유는 의류, 침구류 등 다양한 섬유 제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대나무 섬유는 매우 짧아(3mm 미만) 화학적 처리를 통해 레이온 형태로 가공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섬유는 가성소다, 이황화탄소 등의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73]

자이언트 판다[43], 레서 판다[44], 대나무 여우원숭이[45] 등 일부 동물들은 대나무를 주식으로 삼는다. 특히 자이언트 판다는 식단의 99%를 대나무에 의존한다.[41] 마운틴 고릴라는 발효된 대나무 수액을 섭취하여 알코올을 섭취하기도 한다.[46]

7. 문화

대나무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안다만 제도를 비롯한 여러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인류가 대나무 줄기에서 나왔다고 믿는다. 대나무의 긴 수명은 중국에서 올곧음을, 인도에서는 우정을 상징한다. 대나무 꽃은 드물게 피기 때문에 기근의 징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는 쥐들이 대나무 꽃을 먹고 개체 수가 늘어나 식량 공급을 파괴하기 때문일 수 있다. 가장 최근의 개화는 2006년 5월에 시작된 마우탐이다.[93]

서위(徐渭)의 ''대나무'' 그림, 명나라


17세기 명나라 말기 또는 청나라 초기 장희황(張熙黃)이 제작한 대나무 원통형 필통 또는 두루마리 시화(詩畫) 보관함. 장희황의 서체로 4세기 시인 도연명(陶淵明)의 시 '귀거래사(歸去來辭)'가 새겨져 있다.


1918년 조각된 중국 대나무 벽걸이 화병 사진. 브루클린 박물관 기록 보관소, Goodyear 기록 보관 컬렉션.


일본의 설날에 사용되는 대나무 가도마쓰


일본에서는 중국의 "겨울의 세 친구"(간사이 산유) 개념이 전통적인 계급 시스템으로 사용되는데, 소나무(松일본어 ''matsu'')가 1위, 대나무(竹일본어 ''take'')가 2위, 매화(梅일본어 ''ume'')가 3위이다. 이 시스템은 스시 세트, 기모노 자수 또는 전통 ''료칸'' 여관의 숙박 시설 계층과 같은 많은 전통 예술에서 사용된다. 대나무는 강한 재료로 알려져 있으며 극심한 열에도 견딜 수 있다. 1945년 히로시마 원자 폭격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식물이다.[95]

7. 1. 대한민국

사군자 중 하나로, 꿋꿋한 지조를 상징한다. 옛 문학 작품이나 일상에서 매화, 난초, 국화와 더불어 지조와 절개의 지표로 집안과 가구를 꾸몄다. 한국 문헌에서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대나무가 기록되어 있다. 신라 이서국 침략 시기에 댓잎을 귀에 꽂은 병사들이 도와주고 사라졌다고 한다.

7. 2. 중국

중국 문화에서 대나무는 매화, 난초, 국화와 함께 사군자(四君子)로 불리며, 유교 사상에서 '군자'의 네 가지 덕목을 상징한다. 소나무, 대나무, 매화는 "세한삼우(歲寒三友)"라 하여 혹독한 환경에서도 견디는 강인함으로 존경받는다.[93]

대나무는 곧고, 끈기 있으며, 겸손한 속성 때문에 청렴, 우아함, 소박함을 상징하며 군자의 모범으로 여겨진다. 고대 중국 시인들은 대나무를 칭송하는 시를 많이 지었는데, 이는 대나무의 특성을 통해 인간의 덕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백거이는 군자가 되려면 육체적 강인함보다는 정신적 강인함, 정직함, 끈기가 중요하며, 속이 빈 대나무처럼 열린 마음으로 유익함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보았다.

대나무는 불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불교 계율은 동물 학대를 금지하므로, 부드러운 죽순은 영양가 있는 대체 식품으로 활용되었다. 불교 승려 잠녕은 다양한 죽순의 종류와 조리법을 담은 '순보(筍譜)'를 저술했다.[94] 죽순은 특히 중국 남부 지방에서 중요한 전통 음식 재료였다.

요임금의 두 딸과 순임금의 전설에 따르면, 슬픔에 잠긴 두 딸의 눈물이 대나무에 떨어져 얼룩대나무가 생겨났다고 한다.

7. 3. 일본

일본에서 대나무는 번영의 상징이며, 설날 장식인 가도마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대나무 숲은 때때로 신사와 불교 사찰을 둘러싸고 악으로부터의 신성한 장벽 역할을 한다. 설화 ''다케토리 모노가타리''(대나무 베는 이야기)에서 가구야 공주는 빛나는 대나무 마디에서 나온다.[95]

7. 4. 인도

인도 북동부 지방에서 대나무는 동아시아와 달리 재앙의 상징이다. 이 지역에서는 평균 48년마다 대나무 숲 전체가 한 번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문제는 이 열매를 좋아하는 쥐들이 대나무 숲에 꽃이 피면 숲에 들어가 땅굴을 짓고, 열매를 먹으면서 개체 수가 기하급수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갑자기 늘어난 쥐들은 대나무 숲과 주변 밭의 농작물까지 먹어 치운다. 이 시기에 주 정부는 대나무 숲 주변을 출입금지인 재난 지역으로 선포한다. 쥐들이 대나무 숲을 무리 지어 다니면서 열매를 모두 먹고 나면, 폭증한 쥐들은 먹이가 없어 서로 공격하여 잡아먹는다. 이 과정에서 쥐의 개체 수가 안정적으로 변할 때 재난 지역을 해제한다.

7. 5. 기타 지역

안다만 제도를 비롯한 여러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인류가 대나무 줄기에서 나왔다고 믿는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대나무 밑에서 자던 한 남자가 아름다운 여자를 꿈꾸는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잠에서 깨어나 대나무 줄기를 꺾었는데, 그 안에서 여자를 발견한다.

필리핀 신화에서 가장 유명한 창세 신화 중 하나는 하늘과 바다의 싸움 이후 형성된 섬에서 갈라진 대나무 줄기의 각 절반에서 첫 번째 남자 '말라카스'(Malakás, "강한")와 첫 번째 여자 '마간다'(Maganda, "아름다운")가 각각 나왔다는 이야기이다.

설날 장식 나무 - 대나무로 만든 베트남 설날 나무


대나무는 베트남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나무는 보비남(베트남 무술)의 정신, 즉 '강유배전'(강함과 부드러움의 조화(강과 유(무술)))을 상징한다. 또한 대나무는 베트남의 고향과 베트남인의 정신, 곧 신사다움, 정직함, 근면성, 낙관주의, 단결, 적응력을 상징한다. 베트남 속담에 "Tre già, măng mọc"(대나무가 늙으면 죽순이 돋아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베트남이 결코 멸망하지 않을 것임을, 즉 전 세대가 죽으면 자식들이 그 자리를 대신할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트남 민족과 베트남의 가치는 영원히 유지되고 발전할 것이다. 전통적인 베트남 마을은 빽빽한 대나무 울타리(''lũy tre'')로 둘러싸여 있다.

응오딘지엠 대통령 시절, 대나무는 남베트남의 국가 상징이었으며, 당시 국가 문장, 대통령 깃발, 남베트남 동전에 등장했다.

대나무 지팡이는 베트남의 전설적인 영웅 베트남의 성웅의 무기이기도 하다. 성웅은 3살 때부터 침략자 Ân으로부터 땅을 해방시키고자 하는 소망 때문에 즉시 그리고 마법처럼 자랐다. 고대 베트남 전설 ''Cây tre trăm đốt''(부처(''Bụt'')가 농부에게 나타나 그러한 나무는 여러 다른 나무의 100개의 마디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부처는 그에게 많은 대나무 마디를 연결하는 네 가지 마법의 단어 ''Khắc nhập, khắc xuất''(Khắc nhập, khắc xuất|칵 녑, 칵 쑤엇vi)을 주었다. 이는 "즉시 합쳐지고, 즉시 분리된다"는 뜻이다. 승리한 농부는 지주에게 돌아와 딸을 요구했다. 그렇게 긴 대나무를 보고 호기심을 느낀 지주는 젊은 농부가 처음 두 마법의 단어를 말하자 그것을 만진 순간 마법처럼 대나무에 합쳐졌다. 이 이야기는 지주가 결혼에 동의하고 대나무에서 분리되도록 요청한 후 농부와 지주의 딸이 행복하게 결혼하는 것으로 끝난다.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2] 서적 The Bamboos: A Fresh Perspective https://www.degruyt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3-08-29
[3] 논문 The global distribution of bamboos: assessing correlates of introduction and invasion https://doi.org/10.1[...] 2016-12-23
[4] 논문 Bamboo forests in Nepal: Status, distribution, research trends and contribution to local livelihoods 2023-08-01
[5] 웹사이트 World's Biggest Bamboo Plant Found in Southwest China https://web.archive.[...] 2004-04-04
[6] 웹사이트 Bamboos of Thailand - Kinabaluchloa wrayi https://sites.google[...] 2015-02-24
[7] 논문 Some Accounts of the Curata....etc 1841
[8] 논문 The World's Smallest Bamboo: Raddiella Vanessiae (Poaceae: Bambusoideae: Olyreae), a New Species from French Guiana https://www.biodiver[...] 2007
[9] 논문 Higher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based on five plastid markers https://www.scienced[...] 2013-05-01
[10] OED bamboo
[11] 서적 Bota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2] 서적 The Book of Bamboo https://archive.org/[...] Sierra Club Books
[13] 웹사이트 Fastest growing plant http://www.guinnessw[...] 2014-08-22
[14] 서적 Bamboo Walker/Weatherhill 1970
[15] 논문 Eco-rejuvenation of degraded land by microbe assisted bamboo plantation https://www.scienced[...] 2020-11-01
[16] 논문 Fighting climate change with bamboo in Africa: The case of Kyela, Rungwe and Mufindi districts – Tanzania 2022-12-01
[17] 논문 Ecological restoration of coal fly ash–dumped area through bamboo plantation https://doi.org/10.1[...] 2021-07-01
[18] 논문 Structural use of bamboo. Part 1: Introduction to bamboo https://pure.coventr[...] 2016
[19] 논문 Structural use of bamboo. Part 3: Design values https://pure.coventr[...] 2016
[20] 서적 1948 Yearbook of Agriculture - Grass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48
[21] 서적 The Book of Bamboo Sierra Club Books 1984
[22] 논문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3] 논문 Higher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based on five plastid markers https://web.archive.[...]
[24] 논문 A Phylogeny of the Grass Family (Poaceae) Based on ndhF Sequence Data
[25] 서적 Bamboo: Origin, Habitat, Distributions and Global Prospective https://doi.org/10.1[...] Springer 2023-08-29
[26] 웹사이트 Permaculture Plants: Bamboo http://tcpermacultur[...] 2017-07-28
[27]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Reference Guide for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Daniel & Daniel 2014-06-18
[28] 논문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forest bamboo biodiversity in the Asia-Pacific Region 2003-09
[29] PLANTS
[30] 웹사이트 Canebrake Restoration https://friendsofthe[...] 2022-11-27
[31] 논문 Environmental and landscap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ed suppression of canebrakes (Arundinaria gigantea, Poaceae) within restorations of bottomland hardwood forests 2018
[32] 웹사이트 Giant Cane and Other Native Bamboos: Establishment and Use for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e Southeast https://www.nrcs.usd[...]
[33]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34] 웹사이트 Bamboo Farming: An Opportunity To Transform Livelihoods http://www.newtimes.[...] 2016-08-02
[35] 뉴스 MS Business Journal https://web.archive.[...] 2011-07-07
[36] 논문 Extended flowering intervals of bamboos evolved by discrete multiplication http://www.people.fa[...] 2015-07-01
[37] 서적 The Bamboos - A Fresh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01-01
[38] 논문 A Commentary o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39] 웹사이트 Bamboos and invasiveness https://www.inbar.in[...] 2018-05-25
[40] 웹사이트 Terrestrial Invasives: Golden Bamboo https://www.invasiv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41] 논문 Dietary Evolution: The Panda Paradox 2019-06-03
[42] 뉴스 Bamboo Is Basically 'Fake Meat' for Giant Pandas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43] 웹사이트 What do pandas eat? And other giant panda facts https://www.worldwil[...]
[44] 웹사이트 Where do red pandas live? And other red panda facts https://www.worldwil[...]
[45] 웹사이트 What Animals Eat Bamboo? https://animalsresea[...] 2023-03-28
[46] 웹사이트 Gorillas get drunk on bamboo sap https://www.telegrap[...] 2009-03-23
[47] 논문 Nutritional potential of bamboo leaves for feeding dairy cattle 2019-01-01
[48] 서적 Non-Wood Forest Products of the Philippines El Guapo Printing Press, Calamba Printing Press
[49] 서적 Bamboo Plantation and Utilization Handbook Asia Pacific Business Press, Inc. 2011-10-06
[50] 뉴스 Bamboo Harvesting and Growing https://www.weekand.[...] Hearst Newspapers
[51] 웹사이트 Harvesting Bamboo: When, why and how https://bambubatu.co[...] 2022-08-22
[52] 논문 STUDIES ON GROWTH AND MATURITY OF BAMBOO CULMS 1975-06-01
[53] 웹사이트 When and How to Harvest Bamboo https://www.guaduaba[...] Guadua Bamboo
[54] 웹사이트 Structural Bamboo Design in East Africa https://www.academia[...] Kansas State University
[55] 논문 Contact allergy caused by bamboo shoots
[56] 논문 Typ IV-Allergie gegen Bambusblätter - ein Fallbereicht
[57] 웹사이트 Thinning bamboos, with itchy consequences https://www.succulen[...] 2012-09-04
[58] 논문 Determination of cyanide in bamboo shoots by microdiffusion combined with ion chromatography–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2018-04-18
[59]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 Department of the Army Skyhorse Publishing
[60] 웹사이트 Bamboo Shoots – Khorisa https://www.farmtora[...] 2020-07-18
[61] 웹사이트 Alu tama {{!}} Traditional Soup From Nepal https://www.tasteatl[...]
[62] 웹사이트 Ulanzi (Bamboo Wine) http://elkinvanaeon.[...]
[63] 웹사이트 Ulanzi: The Miracle Drink of Tanzania https://hellofrompea[...] 2018-07-22
[64] 웹사이트 Kardi bhaja / Bamboo shoot cutlets Recipe by Sona Senapati https://cookpad.com/[...] 2021-07-14
[65] 논문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nutrient content and morphology in seeds of bamboo, rice, and wheat https://doi.org/10.1[...] 2021-09-01
[66] 웹사이트 In Fight Against Plastic Pollution, Sikkim Introduces Bamboo Water Bottles For Tourists https://www.indiatim[...] 2020-03-01
[67] 서적 New Sources of Early Chinese History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68] 논문 Bamboo Mechanical Pulp for Manufacture of Chinese Ceremonial Paper 1961-04-01
[69] 서적 The World of Market Pulp WOMP, LLC
[70] 서적 Tropical Bamboo: Molecular profiling and genetic diversity study Lambert Academic Publishing
[71] 서적 Working Plan for Chandrapur Forest Division https://mahaforest.g[...] Govt. of Maharashtra 2020-12-23
[72] 논문 An Artisanal History of Kalam? https://doi.org/10.1[...] 2019-01-02
[73] 논문 Bamboo Boom: Is This Material for You? https://www.scientif[...] 2009-06-01
[74] 뉴스 "Competition Bureau Takes Action to Ensure Accuracy for Textile Articles Labelled and Advertised as Bamboo" http://www.competiti[...] Competition Bureau Canada 2018-07-01
[75] 뉴스 Four Companies Charged with Labeling Rayon Clothing As Bamboo https://web.archive.[...] GreenBiz.com 2009-08-12
[76]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of bamboo, a natural composite 1981-06-01
[77] 논문 Comparison of bonding behaviour of bamboo reinforcement in concrete beam using bonding material https://www.research[...] 2019-01-01
[78] 뉴스 Hong Kong Journal; For Raising Skyscrapers, Bamboo Does Nicely https://www.nytimes.[...] 2009-08-12
[79] 서적 Bamboo in Japan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80] 서적 Barangay. Sixteenth-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https://archive.org/[...]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81] 서적 Filipino Martial Culture Tuttle Publishing 2011-01-01
[82] 서적 Blowgun Techniques: The Definitive Guide to Modern and Traditional Blowgun Techniques Tuttle Publishing 2012-04-17
[83] 논문 Sumpit (Blowgun) as Traditional Weapons with Dayak High Protection 2018-03-30
[84] 웹사이트 Bamboo: an untapped and amazing resource https://web.archive.[...] UNIDO 2009-11-30
[85] 서적 Historical Perspectives on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Singapore University Press
[86]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Caves Books, Ltd
[87] 웹사이트 About My Planet: Bamboo Bikes https://web.archive.[...] 2010-01-04
[88] 웹사이트 Made in Africa: Bamboo bikes put Zambian business on right track http://edition.cnn.c[...] CNN 2012-05-31
[89] 서적 Bamboo in Old Japan: Art and Culture on the Threshold to Modernity. The Hans Sporry Collection in the Ethnographic Museum of Zurich University Arnoldsche Art Publishers
[90] 서적 Containing Beauty: Japanese Bamboo Flower Baskets Museum of Cultural History, UCLA
[91] 논문 Selected phys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bamboo flooring https://www.proquest[...] 2017-05-10
[92] 웹사이트 Bamboo, Bamboo uses and benefits, Bamboo sustainability https://econation.on[...] 2024-05-12
[93] 논문 Bamboo silviculture https://web.archive.[...] 1959-01-01
[94] 서적 Bamboo Firefly Books (U.S) Inc.
[95] 웹사이트 10 Things You Didn’t Know About Bamboo https://www.bamboobi[...] 2024-12-18
[96] 웹사이트 Bamboo: Africa's untapped potential https://www.un.org/a[...] 2023-08-29
[97] 웹사이트 RIVER CANE Cultural Workhorse and Ecological Powerhouse https://www.conserva[...]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herokee Artisan Resources
[98] 웹사이트 River Cane – Cultural Workhorse and Ecological Powerhouse https://www.conserva[...]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herokee Artisan Resources
[99] 웹사이트 River Cane https://www.cherokee[...] Cherokee Nation
[100] 서적 Wildlife Stewardship on Tribal Land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3-01-01
[101] 논문 Non-monophyly of the woody bamboos (Bambuseae; Poaceae): a multi-gene region phylogenetic analysis of Bambusoideae s.s. http://www.springerl[...]
[102] 웹사이트 How to Grow Edible Bamboo Shoots https://modernfarmer[...] 2024-06-26
[103] 웹사이트 Vegetable Stems We Eat – The Guide to Edible Stems https://foodsguy.com[...] 2024-06-26
[104] 웹사이트 Bamboo: An Ancient Natural Supplement Introduction https://www.herbalgo[...] 2024-06-26
[105] 웹사이트 Alu tama https://www.tasteatl[...] 2024-06-26
[106] 웹사이트 The Definitive Guide to Bamboo Charcoal https://purggo.com/b[...] 2024-06-26
[107] 웹사이트 Bamboo Charcoal https://www.pyroener[...] 2024-06-26
[108] 웹사이트 All about Bamboo in China https://www.chinasag[...] 2024-06-26
[109] 웹사이트 Air resource management : what we have been doing https://www.biodiver[...] 2024-06-26
[110] 웹사이트 Why bamboo https://pandalondon.[...] 2024-06-26
[111] 서적 Grundzüge der Botanik 1893
[112] 논문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forest bamboo biodiversity in the Asia-Pacific Region http://www.springerl[...] 2003-09
[113] 웹인용 Arundinaria gigantea (Walt.) Muhl. giant cane http://plants.usda.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14] 뉴스 경남 비봉내마을, 대나무 향 가득한 숲길…"休~ 여기가 천국"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2-07-26
[115] 서적 식물의 역사와 신화 갈라파고스 2005
[116]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