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난 FC는 1958년 창단된 중국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중국 슈퍼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1994년 프로화 이후 여러 차례 리그를 오갔으며, 2009년 슈퍼리그 3위로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기도 했다. 2013년 중국 갑급리그 우승 후 슈퍼리그로 복귀했으며, 2024년에는 대한민국 국적의 남기일 감독이 팀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허난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클럽 이름 | 허난 |
전체 이름 | 허난 축구 클럽 |
별명 | 홍마 (Red Devils) |
창단 | 1958년 (세미프로) |
창단 (프로) | 1994년 8월 28일 |
홈 경기장 | 항하이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29,860명 |
구단주 | 중원 부동산 유한공사 |
회장 | 후 바오센 |
감독 | 남기일 |
리그 | 중국 슈퍼리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_henan24h |
홈 유니폼 하의 패턴 | _henan24h |
홈 유니폼 양말 패턴 | 없음 |
홈 유니폼 왼쪽 팔 색상 | A40000 |
홈 유니폼 몸통 색상 | EE0000 |
홈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 | A40000 |
홈 유니폼 바지 색상 | EE0000 |
홈 유니폼 양말 색상 | EE0000 |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 | _henan23a |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 | _henan23a |
원정 유니폼 양말 패턴 | 없음 |
원정 유니폼 왼쪽 팔 색상 | 77BBFF |
원정 유니폼 몸통 색상 | 77BBFF |
원정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 | 77BBFF |
원정 유니폼 바지 색상 | 77BBFF |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 | 77BBFF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허난 FC는 1958년 허난성 대표팀으로 창단되어 1959년 중국 전국운동회에 참가했다. 1994년 8월 27일, 클럽 지분 40%를 Jianye Residential Group (China) Co., Ltd.에 매각하며 프로화되었고, 팀 이름을 허난 건설로 변경했다.[4]
프로화 이후 허난은 1994년 리그 시즌 종료 후 3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5] 1995년 리그 시즌에 준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승격했다. 1999년 1월 15일 허난 지안예 부동산 개발 유한회사가 클럽을 완전히 인수하면서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고, 리그 우승을 통해 다시 2부 리그에 자리 잡았다.[6]
2006년 리그 시즌 종료 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중국 슈퍼 리그로 승격되었다.[7] 2009년 리그 시즌에는 3위를 기록하여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으나, 조별 리그에서 3무 3패로 탈락했다. 2012 시즌에는 16위를 기록하여 중국 갑급리그로 강등당했지만, 2013 시즌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다시 승격되었다. 2015 시즌에는 중국 슈퍼리그에서 5위를 기록하며 2009 시즌 이후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허난 FC의 리그별, 시즌별 상세한 성적은 다음 표와 같다.
시즌 | 디비전 | FA컵 | 비고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순위 | ||||||||||||
1994 | 갑급 리그 B | 20 | 5 | 3 | 12 | 22 | 27 | −5 | 13 | 10위 | 을급 리그 강등 | ||||||||||
1995 | 을급 리그 | 8 | 5 | 2 | 1 | 10 | 2위 | 갑 B 승격 | |||||||||||||
1996 | 갑급 리그 B | 22 | 6 | 6 | 10 | 20 | 33 | −13 | 24 | 8위 | 1회전 탈락 | ||||||||||
1997 | 갑급 리그 B | 22 | 9 | 7 | 6 | 21 | 18 | +3 | 34 | 5위 | 1회전 탈락 | ||||||||||
1998 | 갑급 리그 B | 22 | 5 | 10 | 7 | 23 | 31 | −8 | 25 | 11위 | 1회전 탈락 | 을급 리그 강등 | |||||||||
1999 | 을급 리그 | 21 | 10 | 8 | 3 | 28 | 14 | +14 | 6 | 1위 | 갑 B 승격 | ||||||||||
2000 | 갑급 리그 B | 22 | 6 | 9 | 7 | 28 | 34 | −6 | 27 | 8위 | 1회전 탈락 | ||||||||||
2001 | 갑급 리그 B | 22 | 8 | 5 | 9 | 24 | 30 | −6 | 26 | 10위 | 2회전 탈락 | ||||||||||
2002 | 갑급 리그 B | 22 | 6 | 8 | 8 | 23 | 28 | −5 | 26 | 11위 | 1회전 탈락 | ||||||||||
2003 | 갑급 리그 B | 26 | 14 | 6 | 6 | 33 | 24 | +9 | 48 | 2위 | 8강 탈락 | ||||||||||
2004 | 갑급 리그 | 32 | 11 | 12 | 9 | 29 | 27 | +2 | 45 | 7위 | 2회전 탈락 | ||||||||||
2005 | 갑급 리그 | 26 | 7 | 6 | 13 | 28 | 37 | −9 | 27 | 10위 | 2회전 탈락 | ||||||||||
2006 | 갑급 리그 | 26 | 18 | 5 | 1 | 38 | 13 | +25 | 59 | 1위 | 2회전 탈락 | CSL 승격 | |||||||||
2007 | 슈퍼 리그 | 28 | 5 | 12 | 11 | 20 | 28 | −8 | 27 | 12위 | |||||||||||
2008 | 슈퍼 리그 | 30 | 9 | 9 | 12 | 30 | 31 | −1 | 36 | 10위 | |||||||||||
2009 | 슈퍼 리그 | 30 | 13 | 9 | 8 | 35 | 26 | +9 | 48 | 3위 | 2010 ACL 출전권 획득 | ||||||||||
2010 | 슈퍼 리그 | 30 | 9 | 13 | 8 | 31 | 31 | 0 | 40 | 8위 | |||||||||||
2011 | 슈퍼 리그 | 30 | 7 | 11 | 12 | 29 | 35 | −6 | 32 | 13위 | 8강 탈락 | ||||||||||
2012 | 슈퍼 리그 | 30 | 7 | 5 | 18 | 28 | 56 | −28 | 26 | 16위 | 4회전 탈락 | 갑급 리그 강등 | |||||||||
2013 | 갑급 리그 | 30 | 18 | 8 | 4 | 51 | 21 | +30 | 62 | 1위 | 3회전 탈락 | 슈퍼 리그 승격 | |||||||||
2014 | 슈퍼 리그 | 30 | 6 | 12 | 12 | 32 | 39 | −7 | 30 | 14위 | 8강 탈락 | ||||||||||
2015 | 슈퍼 리그 | 30 | 12 | 10 | 8 | 35 | 30 | +5 | 46 | 5위 | 8강 탈락 | ||||||||||
2016 | 슈퍼 리그 | 30 | 10 | 5 | 15 | 26 | 44 | -18 | 35 | 13위 | 8강 탈락 | ||||||||||
2017 | 슈퍼 리그 | 30 | 7 | 9 | 14 | 34 | 46 | −12 | 30 | 14위 | 4회전 탈락 | ||||||||||
2018 | 슈퍼 리그 | 30 | 10 | 4 | 16 | 30 | 45 | -15 | 34 | 12위 | 4회전 탈락 | ||||||||||
2019 | 슈퍼 리그 | 30 | 11 | 8 | 11 | 41 | 46 | −5 | 41 | 8위 | 4회전 탈락 | ||||||||||
2020 | 슈퍼 리그 | 20 | 9위 |
- 1994-2003: '''갑 B'''(甲级联赛B组|갑급 리그 B중국어)=2부에 해당, 을(乙级联赛|을급 리그중국어)=3부에 해당
- 2004-현재: '''CSL'''(超级联赛|슈퍼 리그중국어)=1부에 해당, 갑(甲级联赛|갑급 리그중국어)=2부에 해당
- 2020 시즌은 코로나19 감염 확산의 영향으로, 8개 팀씩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예선을 치르고, 각 그룹 상위 4개 팀 총 8개 팀이 우승을 다투는 결승 토너먼트, 하위 4개 팀 총 8개 팀이 강등을 다투는 잔류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었다.
2. 1. 창단 초기 (1958년 ~ 1994년)
허난 FC는 1958년 허난성 체육 위원회에 의해 허난성 대표팀으로 창단되었다.[15] 1959년 중국 전국운동회에 참가했다. 1970년대 후반을 제외하고는 주로 중국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81년 3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1982년 리그 우승으로 2부 리그로 복귀했다. 1985년 1부 리그로 승격되었으나, 1988년 리그 시즌 종료 후 강등되었다.2. 2. 프로화와 굴곡 (1994년 ~ 2006년)
1994년 8월 27일, 허난 젠예 그룹의 투자를 받으며 프로 축구단으로 전환, '허난 젠예'로 구단명을 변경했다.[4] 프로화 첫 해, 2부 리그에서 10위를 기록하며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5] 1995년, 3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부 리그로 승격했다. 1998년, 성적 부진으로 다시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1999년 1월 15일, 허난 지안예 부동산 개발 유한회사가 클럽을 완전히 인수하였고, 그해 3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다시 2부 리그로 승격했다.[6] 2003년, 2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승격에는 실패했다. 2006년, 2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했다.[7]시즌 | 디비전 | FA컵 | 비고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순위 | |||
1994 | 갑급 리그 B | 20 | 5 | 3 | 12 | 22 | 27 | −5 | 13 | 10위 | 을급 리그 강등 | |
1995 | 을급 리그 | 8 | 5 | 2 | 1 | 10 | 2위 | 갑 B 승격 | ||||
1996 | 갑급 리그 B | 22 | 6 | 6 | 10 | 20 | 33 | −13 | 24 | 8위 | 1회전 탈락 | |
1997 | 갑급 리그 B | 22 | 9 | 7 | 6 | 21 | 18 | +3 | 34 | 5위 | 1회전 탈락 | |
1998 | 갑급 리그 B | 22 | 5 | 10 | 7 | 23 | 31 | −8 | 25 | 11위 | 1회전 탈락 | 을급 리그 강등 |
1999 | 을급 리그 | 21 | 10 | 8 | 3 | 28 | 14 | +14 | 6 | 1위 | 갑 B 승격 | |
2000 | 갑급 리그 B | 22 | 6 | 9 | 7 | 28 | 34 | −6 | 27 | 8위 | 1회전 탈락 | |
2001 | 갑급 리그 B | 22 | 8 | 5 | 9 | 24 | 30 | −6 | 26 | 10위 | 2회전 탈락 | |
2002 | 갑급 리그 B | 22 | 6 | 8 | 8 | 23 | 28 | −5 | 26 | 11위 | 1회전 탈락 | |
2003 | 갑급 리그 B | 26 | 14 | 6 | 6 | 33 | 24 | +9 | 48 | 2위 | 8강 탈락 | |
2004 | 갑급 리그 | 32 | 11 | 12 | 9 | 29 | 27 | +2 | 45 | 7위 | 2회전 탈락 | |
2005 | 갑급 리그 | 26 | 7 | 6 | 13 | 28 | 37 | −9 | 27 | 10위 | 2회전 탈락 | |
2006 | 갑급 리그 | 26 | 18 | 5 | 1 | 38 | 13 | +25 | 59 | 1위 | 2회전 탈락 | CSL 승격 |
2. 3. 슈퍼리그 시대와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2007년 ~ 2012년)
허난 FC는 2007년에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하여 첫 시즌을 12위로 마감했다.[7] 2008년에는 여러 감독을 거쳐 탕 야오둥 감독을 선임하여 강등을 면했다. 2009년, 탕 야오둥 감독의 지휘 아래 허난 FC는 중국 슈퍼리그 2009에서 3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을 달성했고,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4][5][6]2010년, 허난 FC는 AFC 챔피언스리그에 처음 출전했으나, 수원, G 오사카, 싱가포르 암드 포스와 같은 조에서 3무 3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리그 성적이 하락하여 2011년에는 13위, 2012년에는 중국 슈퍼리그 2012에서 16위를 기록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9]
다음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허난 FC의 리그 및 FA컵 성적이다.
시즌 | 디비전 | FA컵 | 비고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순위 | |||
2007 | 슈퍼 리그 | 28 | 5 | 12 | 11 | 20 | 28 | −8 | 27 | 12위 | ||
2008 | 슈퍼 리그 | 30 | 9 | 9 | 12 | 30 | 31 | −1 | 36 | 10위 | ||
2009 | 슈퍼 리그 | 30 | 13 | 9 | 8 | 35 | 26 | +9 | 48 | 3위 | 2010 ACL 출전권 획득 | |
2010 | 슈퍼 리그 | 30 | 9 | 13 | 8 | 31 | 31 | 0 | 40 | 8위 | ||
2011 | 슈퍼 리그 | 30 | 7 | 11 | 12 | 29 | 35 | −6 | 32 | 13위 | 8강 탈락 | |
2012 | 슈퍼 리그 | 30 | 7 | 5 | 18 | 28 | 56 | −28 | 26 | 16위 | 4회전 탈락 | 갑급 리그 강등 |
2. 4. 다시 갑급리그와 슈퍼리그 복귀 (2013년 ~ 현재)
허난 FC는 2012년 중국 슈퍼리그에서 16위를 기록하며 중국 갑급리그로 강등되었지만,[4] 2013년 갑급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다시 슈퍼리그로 승격했다.[7] 2014년 슈퍼리그에서는 14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고, 2015년에는 5위를 기록하며 2009년 이후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2017년에는 야센 페트로프 감독 부임 이후 성적 부진으로 궈광치 감독으로 교체되었다. 2018년에는 드라간 탈라지치 감독이 부임했으나, 장외룡 감독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왕바오산 감독이 팀을 이끌었다. 2020년에는 하비에르 페레이라 감독이 부임했고, 2021년에는 안토니오 카레뇨 감독으로 교체되었다. 2022년에는 하비에르 페레이라 감독이 다시 팀에 복귀했고, 2023년에는 세르히오 사르코 디아스 감독으로 교체되었다. 2024년에는 대한민국 출신 남기일 감독이 부임했다.
시즌 | 디비전 | FA컵 | 비고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순위 | ||||||||||||
2013 | 갑급 리그 | 30 | 18 | 8 | 4 | 51 | 21 | +30 | 62 | 1위 | 3회전 탈락 | 슈퍼 리그 승격 | |||||||||
2014 | 슈퍼 리그 | 30 | 6 | 12 | 12 | 32 | 39 | −7 | 30 | 14위 | 8강 탈락 | ||||||||||
2015 | 슈퍼 리그 | 30 | 12 | 10 | 8 | 35 | 30 | +5 | 46 | 5위 | 8강 탈락 | ||||||||||
2016 | 슈퍼 리그 | 30 | 10 | 5 | 15 | 26 | 44 | -18 | 35 | 13위 | 8강 탈락 | ||||||||||
2017 | 슈퍼 리그 | 30 | 7 | 9 | 14 | 34 | 46 | −12 | 30 | 14위 | 4회전 탈락 | ||||||||||
2018 | 슈퍼 리그 | 30 | 10 | 4 | 16 | 30 | 45 | -15 | 34 | 12위 | 4회전 탈락 | ||||||||||
2019 | 슈퍼 리그 | 30 | 11 | 8 | 11 | 41 | 46 | −5 | 41 | 8위 | 4회전 탈락 | ||||||||||
2020 | 슈퍼 리그 | 20 | 9위 |
- 2004-현재: '''CSL'''(超级联赛|슈퍼리그중국어)=1부에 해당, 갑(甲级联赛|갑급리그중국어)=2부에 해당
- 2020 시즌은 코로나19 감염 확산의 영향으로, 8개 팀씩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예선을 치르고, 각 그룹 상위 4개 팀 총 8개 팀이 우승을 다투는 결승 토너먼트, 하위 4개 팀 총 8개 팀이 강등을 다투는 잔류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었다.
3. 선수단
2019년 3월 1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비고 |
---|---|---|---|
1 | GK | 온즈샹 | |
3 | DF | 장원타오 | |
4 | DF | 한쉔 | |
5 | DF | 구차오 | 주장 |
6 | MF | 펑줘이 | |
7 | FW | 두창지에 | |
8 | MF | 저우딩양 | |
9 | FW | 엔히키 도라도 | 외국인 선수 |
10 | FW | 크리스티안 바소고그 | 외국인 선수 |
11 | DF | 커자오 | |
12 | FW | 왕이판 | |
13 | DF | 와일리 | |
14 | FW | 프랭크 오한자 | |
16 | DF | 양 | |
17 | GK | 우옌 | |
18 | MF | 양궈위안 | |
19 | GK | 왕궈밍 | |
20 | FW | 한둥 | |
21 | DF | 쑤이둥루 | |
22 | MF | 롱웨이 | |
23 | MF | 왕페이 | |
24 | DF | 류헝 | |
25 | FW | 천하오 | |
26 | MF | 왕샹위안 | |
27 | MF | 루야오 | |
28 | MF | 마싱위 | |
29 | MF | 이보 | 외국인 선수 |
30 | MF | 종진바오 | |
31 | DF | 황추앙 | |
32 | MF | 장쉬 | |
35 | MF | 리번젠 |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 중이다.
- 스청룽 (난징 시티에서 임대)
- 류자후이 (난징 시티에서 임대)
- 올리버 게르비히 (다롄 잉보에서 임대)
- 류쭝위안 (베이징 이공대에서 임대)
- 화밍찬 (베이징 이공대에서 임대)
- 왕하오란 (난징 시티에서 임대)
- 쏭룬통 (포산 난시에서 임대)
- 한동 (후난 빌로우스에서 임대)
감독은 남기일이다.
3.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7월 13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6 | DF | 왕상위안 | 중국 |
2 | DF | 류이신 | 중국 |
4 | DF | 옐잔 시나르 | 중국 |
5 | DF | 구 차오 | 중국 |
7 | MF | 종이하오 | 중국 |
8 | MF | 조르제 데니치 | 세르비아 |
9 | FW | 펑 보이안 | 중국 |
10 | MF | 황 쯔창 | 중국 |
11 | FW | 프랭크 아체암퐁 | 가나 |
13 | DF | 쉬 하오펑 | 중국 |
14 | MF | 두 즈쉬안 | 중국 |
15 | DF | 류 빈 | 중국 |
16 | MF | 양 궈 | 중국 |
17 | GK | 왕 진슈아이 | 중국 |
18 | GK | 왕 구오밍 | 중국 |
19 | MF | 양 이린 | 중국 |
20 | FW | 네마냐 초비치 | 세르비아 |
21 | MF | 천 커창 | 중국 |
22 | MF | 황 루이펑 | 중국 |
23 | DF | 커 자오 | 중국 |
24 | DF | 리 쏭이 | 중국 |
25 | MF | 탕 쉬 | 중국 |
26 | GK | 쉬 지아민 | 중국 |
27 | DF | 니우 즈이 | 중국 |
28 | DF | 허 관 | 중국 (상하이 포트에서 임대) |
30 | DF | 딩 하이펑 | 중국 (톈진 진먼 호랑이에서 임대) |
32 | MF | 리 텅롱 | 중국 |
33 | DF | 장 즈하오 | 중국 |
36 | DF | 이고 마이하나 | 브라질 |
37 | FW | 정 준웨이 | 중국 |
38 | FW | 황 용하이 | 중국 (상하이 포트에서 임대) |
39 | FW | 루 즈위안 | 중국 |
40 | MF | 브루노 나자리우 | 브라질 |
3. 2. 역대 주요 선수
4. 코칭 스태프
현재 허난 FC의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 감독은 남기일이며, 팀 매니저는 Niu Li|뉴 리중국어, 코치는 이순석, 골키퍼 코치는 리 웨이 (1975년)|리 웨이중국어이다. 팀 주치의는 Zhao Yuan|자오 위안중국어, 물리 치료사는 Rodrigo|호드리구pt이다.[9][10]
4. 1. 현재 코칭 스태프 (2017년 8월 기준)
직책 | 스태프 |
---|---|
감독 | 남기일 |
팀 매니저 | Niu Li|뉴 리중국어 |
코치 | 이순석 |
골키퍼 코치 | 리웨이 |
팀 주치의 | Zhao Yuan|자오 위안중국어 |
물리 치료사 | Rodrigo|호드리구pt |
4. 2. 역대 감독
다음은 허난 FC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 1994년 8월 27일, 허난 FC가 완전 프로 구단으로 전환된 이후, 구단과 팀을 지도한 감독들이다.[9][10]감독 | 임기 |
---|---|
贾秀全|자슈취안중국어 | 2008 |
贾秀全|자슈취안중국어 | 2014 ~ 2017 |
장외룡 | 2018 |
남기일 | 2024 ~ |
张长海|장창하이중국어 | 1994년 8월 – 1994년 12월 |
王随生|왕쑤이성중국어 | 1994년 12월 – 1998년 8월 |
丁三石|딩산시중국어 | 1998년 8월 – 1999년 6월 |
王随生|왕쑤이성중국어 | 1999년 6월 – 2001년 7월 |
Miloš Hrstić|밀로시 흐르스티치hr | 2001년 7월 – 2002년 8월 |
迟尚斌|츠상빈중국어 | 2003년 1월 1일 – 2003년 12월 31일 |
殷立华|인리화중국어 | 2004년 10월 – 2005년 9월 |
陈文杰|첸원지에중국어 (임시) | 2005년 9월 – 2005년 11월 |
门文峰|멍원펑중국어 | 2005년 11월 – 2007년 9월 |
裴恩才|페이 엔차이중국어 | 2007년 9월 25일 – 2007년 12월 20일 |
贾秀全|자 시우취안중국어 | 2007년 12월 20일 – 2008년 6월 |
Acácio Casimiro|아카시우 카시미루pt | 2008년 6월 – 2008년 9월 15일 |
唐尧东|탕 야오둥중국어 | 2008년 9월 15일 – 2010년 11월 12일 |
김학범 | 2010년 11월 12일 – 2011년 5월 23일 |
赵伟|자오 웨이중국어 (임시) | 2011년 5월 1일 – 2011년 6월 30일 |
Jo Bonfrère|조 본프레르nl | 2011년 6월 30일 – 2011년 12월 31일 |
Jan Versleijen|얀 페르슬레이옌nl | 2012년 1월 1일 – 2012년 7월 15일 |
沈祥福|선 시앙푸중국어 (임시) | 2012년 7월 16일 – 2012년 11월 30일 |
唐尧东|탕 야오둥중국어 | 2012년 11월 30일 – 2014년 5월 28일 |
贾秀全|자 시우취안중국어 | 2014년 6월 3일 – 2017년 6월 3일 |
Ясен Петров|야센 페트로프bg | 2017년 6월 13일 – 2017년 9월 30일 |
郭光琪|궈 광치중국어 | 2017년 9월 30일 – 2017년 12월 18일 |
Dragan Talajić|드라간 탈라지치hr | 2017년 12월 18일 – 2018년 4월 21일 |
장외룡 | 2018년 4월 26일 – 2018년 9월 27일 |
王宝山|왕 바오산중국어 | 2018년 9월 27일 – 2020년 7월 6일 |
杨戟|양 지중국어 (임시) | 2020년 7월 6일 – 2020년 9월 11일 |
Javier Pereira|하비에르 페레이라es | 2020년 9월 11일 – 2021년 10월 6일 |
Antonio Carreño|안토니오 카레뇨es | 2021년 10월 7일 – 2022년 1월 9일 |
Javier Pereira|하비에르 페레이라es | 2022년 1월 9일 – 2023년 3월 1일 |
Sergio Zarco Díaz|세르히오 사르코 디아스es | 2023년 3월 7일 – 2024년 1월 7일 |
남기일 | 2024년 1월 7일 – |
5. 수상 기록
허난 FC의 수상 기록은 다음과 같다.[11]
; 중국 축구 협회
- 최우수 신인상
- * 2016 - 리샤오밍
; 중국 슈퍼리그
- 페어 플레이상
- * 2014
5. 1. 리그
다음은 허난 FC의 역대 리그 기록이다.- '''중국 갑급 리그/중국 리그 원''' (2부 리그)
- * 우승 (3): 1989, 2006, 2013
- '''중국 을급 리그/중국 리그 투''' (3부 리그)
- * 우승 (2): 1982, 1999
'''역대 리그 순위'''
''2023 시즌 종료 기준''.[12][13]
연도 | 디비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순위 | 중국 FA컵 | 중국 슈퍼컵 | 리그컵 | AFC | 평균 관중 | 경기장 | |
---|---|---|---|---|---|---|---|---|---|---|---|---|---|---|---|---|---|
1963 | 2 | 11 | 5 | 2 | 4 | 12 | 12 | 0 | 3 | 5 | – | – | |||||
1965 | 2 | 5 | – | – | |||||||||||||
1973 | 1 | 19 | 8 | 3 | 8 | 19 | 20 | −1 | 13 | 24 | – | – | |||||
1974 | 1 | 13 | 3 | 3 | 7 | 7 | 18 | −11 | 3 | 34 | – | – | |||||
1976 | 1 | 8 | 0 | 4 | 4 | 2 | 19 | −17 | 4 | 8 | – | – | |||||
1977 | 1 | 7 | 3 | 1 | 3 | 11 | 8 | 3 | 7 | 36 | – | – | |||||
1978 | 2 | 42 | 12 | 13 | 17 | 51 | 53 | −2 | 37 | 16 | – | – | |||||
1979 | 2 | 42 | 15 | 8 | 19 | 46 | 55 | −9 | 38 | 14 | – | – | |||||
1980 | 2 | 30 | 10 | 9 | 11 | 27 | 35 | −8 | 29 | 9 | – | – | |||||
1981 | 2 | 30 | 10 | – | 20 | 20 | 13 | – | – | ||||||||
1982 | 3 | 8 | 7 | – | 1 | 11 | 2 | 9 | 14 | 우승 | – | – | |||||
1983 | 2 | 15 | 8 | – | 7 | 16 | 8 | – | – | ||||||||
1984 | 2 | 7 | 2 | – | 5 | 4 | 7 | DNQ | – | – | |||||||
1985 | 2 | 3 | DNQ | – | – | ||||||||||||
1986 | 1 | 14 | 3 | 3 | 8 | 11 | 16 | −5 | 9 | 12 | – | – | |||||
1987 | 2 | 20 | 7 | 9 | 4 | 24 | 14 | 10 | 23 | 4 | – | – | |||||
1988 | 1 | 25 | 7 | 9 | 9 | 21 | 24 | −3 | 33 | 12 | – | – | |||||
1989 | 2 | 22 | 14 | 7 | 1 | 44 | 17 | 27 | 52 | 우승 | – | – | |||||
1990 | 1 | 14 | 0 | 1 | 13 | 5 | 28 | −23 | 1 | 8 | R1 | – | – | ||||
1991 | 2 | 16 | 4 | 10 | 2 | 19 | 15 | 4 | 18 | 5 | R1 | – | – | ||||
1992 | 2 | 10 | 1 | 7 | 2 | 7 | 10 | −3 | 10 | 5 | R2 | – | – | ||||
1993 | 2 | 5 | 1 | 0 | 4 | 7 | 9 | −2 | 2 | 6 | – | – | |||||
1994 | 2 | 20 | 5 | 3 | 12 | 22 | 27 | −5 | 13 | 10 | – | – | 허난성 경기장 | ||||
1995 | 3 | 8 | 5 | 2 | 1 | 10 | 준우승 | DNQ | DNQ | – | |||||||
1996 | 2 | 22 | 6 | 6 | 10 | 20 | 33 | −13 | 24 | 8 | R1 | DNQ | – | 21,000 | |||
1997 | 2 | 22 | 9 | 7 | 6 | 21 | 18 | 3 | 34 | 5 | R1 | DNQ | – | 20,000 | |||
1998 | 2 | 22 | 5 | 10 | 7 | 23 | 31 | −8 | 25 | 11 | R1 | DNQ | – | 23,000 | 신샹 스포츠 센터 | ||
1999 | 3 | 21 | 10 | 8 | 3 | 28 | 14 | 14 | 6 | 우승 | DNQ | DNQ | – | ||||
2000 | 2 | 22 | 6 | 9 | 7 | 28 | 34 | −6 | 27 | 9 | R1 | DNQ | – | 18,000 | |||
2001 | 2 | 22 | 8 | 5 | 9 | 24 | 30 | −6 | 29 | 7 | R2 | DNQ | – | 18,727 | |||
2002 | 2 | 22 | 6 | 8 | 8 | 23 | 28 | −5 | 26 | 10 | R1 | DNQ | – | 8,500 | 시궁 경기장 | ||
2003 | 2 | 26 | 14 | 6 | 6 | 33 | 24 | 9 | 48 | 준우승 | QF | DNQ | – | 15,385 | 정저우 항하이 경기장 | ||
2004 | 2 | 32 | 11 | 12 | 9 | 29 | 27 | 2 | 45 | 7 | R2 | DNQ | 9,794 | 신샹 스포츠 센터 | |||
2005 | 2 | 26 | 7 | 6 | 13 | 28 | 37 | −9 | 27 | 10 | R2 | DNQ | 10,833 | ||||
2006 | 2 | 24 | 18 | 5 | 1 | 38 | 13 | 25 | 59 | 우승 | R2 | 20,583 | 정저우 항하이 경기장 | ||||
2007 | 1 | 28 | 5 | 12 | 11 | 20 | 28 | −8 | 27 | 12 | 16,857 | ||||||
2008 | 1 | 30 | 9 | 9 | 12 | 30 | 31 | −1 | 36 | 10 | 16,267 | ||||||
2009 | 1 | 30 | 13 | 9 | 8 | 35 | 26 | 9 | 48 | 3 | 19,255 | ||||||
2010 | 1 | 30 | 9 | 13 | 8 | 31 | 31 | 0 | 40 | 8 | 조별 리그 | 18,630 | |||||
2011 | 1 | 30 | 7 | 11 | 12 | 29 | 35 | −6 | 32 | 13 | QF | 16,334 | |||||
2012 | 1 | 30 | 7 | 5 | 18 | 28 | 56 | −28 | 26 | 16 | R4 | DNQ | 17,526 | ||||
2013 | 2 | 30 | 18 | 8 | 4 | 51 | 21 | 30 | 62 | 우승 | R3 | DNQ | 19,076 | ||||
2014 | 1 | 30 | 6 | 12 | 12 | 32 | 39 | −7 | 30 | 14 | QF | DNQ | 18,390 | ||||
2015 | 1 | 30 | 12 | 10 | 8 | 35 | 30 | 5 | 46 | 5 | QF | DNQ | 20,207 | ||||
2016 | 1 | 30 | 10 | 5 | 15 | 26 | 44 | −18 | 35 | 13 | QF | DNQ | 17,282 | ||||
2017 | 1 | 30 | 7 | 9 | 14 | 34 | 46 | −12 | 30 | 14 | R4 | DNQ | 18,933 | ||||
2018 | 1 | 30 | 10 | 4 | 16 | 30 | 45 | −15 | 34 | 12 | R4 | DNQ | 18,402 | ||||
2019 | 1 | 30 | 11 | 8 | 11 | 41 | 46 | -5 | 41 | 8 | R4 | DNQ | 20,360 | ||||
2020 | 1 | 20 | 5 | 5 | 10 | 21 | 37 | -16 | 20 | 9 | R1 | DNQ | |||||
2021 | 1 | 22 | 7 | 9 | 6 | 19 | 20 | -1 | 30 | 10 | SF | DNQ | |||||
2022 | 1 | 34 | 17 | 8 | 9 | 60 | 32 | 28 | 59 | 6 | R16 | DNQ | 정저우 항하이 경기장 | ||||
2023 | 1 | 30 | 9 | 9 | 12 | 38 | 40 | -2 | 36 | 10 | R16 | DNQ | 16,246 |
- 1966–72, 1975년: 리그 경기 없음
- 1961–63년: 2부 리그 경기 없음
- : 최종 그룹 진출
- : 조별 리그 진출
- : 승격 실패
중국 1부 리그 |
중국 2부 리그 |
중국 3부 리그 |
---|
우승 |
준우승 |
3위 |
강등 |
- 경기: 경기 수
- 승: 승리
- 무: 무승부
- 패: 패배
- 득: 득점
- 실: 실점
- 승점: 승점
- 순위: 최종 순위
- DNQ: 진출 실패
- DNE: 불참
- NH: 미개최
- –: 없음
- R1: 1라운드
- R2: 2라운드
- R3: 3라운드
- R4: 4라운드
- F: 결승
- SF: 준결승
- QF: 8강
- R16: 16강
- Group: 조별 리그
- GS2: 2차 조별 리그
- QR1: 1차 예선 라운드
- QR2: 2차 예선 라운드
- QR3: 3차 예선 라운드
5. 2. 유소년 팀
대회명 | 결과 | 연도 |
---|---|---|
중국 U-19 FA컵 | 우승 | 2007 |
중국 U-17 FA컵 | 우승 | 2006, 2007 |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THE ASIAN FOOTBALL STADIUMS
http://www.fussballt[...]
www.FussBallTempel.net
2012-04-18
[2]
웹사이트
俱乐部
https://web.archive.[...]
jianyefc.com
2016-07-25
[3]
웹사이트
China League Tables 2009
https://www.rsssf.or[...]
2010-04-23
[4]
웹사이트
简 介
https://web.archive.[...]
jianyefc.com
2015-06-16
[5]
웹사이트
China League Tables 1994
https://www.rsssf.or[...]
2003-06-19
[6]
웹사이트
China 1999
https://www.rsssf.or[...]
2001-07-02
[7]
웹사이트
China 2006
https://www.rsssf.or[...]
2014-09-04
[8]
뉴스
2023中超河南队一线队大名单
https://k.sina.com.c[...]
新浪网
2023-04-17
[9]
웹사이트
Henan Jianye " Manager history
http://www.worldfoot[...]
worldfootball.net
2015-06-16
[10]
웹사이트
Henan Jianye
https://www.thefinal[...]
footballzz.co.uk
2015-06-16
[11]
웹사이트
China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2015-11-05
[12]
웹사이트
China League History
https://www.rsssf.or[...]
2009-10-22
[13]
웹사이트
河南建业
http://www.sodasocce[...]
sodasoccer.com
2014-02-07
[14]
웹사이트
THE ASIAN FOOTBALL STADIUMS
http://www.fussballt[...]
www.FussBallTempel.net
2012-04-18
[15]
웹사이트
河南建业俱乐部历史
http://www.jianyefc.[...]
2010-03-10
[16]
웹사이트
建业中超主冠名卖1500万 球队将于河南酒业合作
http://sports.enorth[...]
2007-03-07
[17]
웹사이트
建业足球喜获千万赞助 河南四五蓄势待发战中超
http://sports.sohu.c[...]
2007-03-06
[18]
웹사이트
建业2008中超再"喝酒" 四五1500万元买断主冠名
http://sports.sohu.c[...]
2008-02-18
[19]
웹사이트
建业创历史只用了10分钟! 美女老总举牌之速度惊人
http://sports.sina.c[...]
2009-12-31
[20]
뉴스
CSL初の女性経営者、‘かわいらしい’ヤン氏
http://www.the-afc.c[...]
アジアサッカー連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