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삼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식물 과로, 과거에는 약 275개 속, 5,000종 이상을 포함하는 큰 과였으나 분자 계통발생 연구를 통해 분류 체계가 변경되었다. 현재는 62개 속, 약 1830종을 포함하며, 10개의 족으로 분류된다. 한국에는 등포풀속, 현삼속, 우단담배풀속 등이 자생한다. 과거 현삼과에 속했던 금어초속, 물부추속, 디기탈리스속 등은 질경이과로, 캘케올라리아속은 캘케올라리아과로, 오동나무속은 오동나무과로 재분류되었다. 현삼과에는 현삼과 벌레총이 등 일부 약초가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삼과 - 미오포룸족
미오포룸족은 과거 꿀풀목 또는 현삼목으로 분류되었으나 APG 분류 체계에서는 현삼과에 포함되며, 과거 미오포룸과에 속했던 속들을 포함한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 현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Scrophulariaceae Juss. |
| 이명 | Bontiaceae Horan. Buddlejaceae K.Wilh., nom. cons. Hebenstretiaceae Horan. Limosellaceae J.Agardh Myoporaceae R.Br., nom. cons. Oftiaceae Takht. & Reveal Selaginaceae Choisy, nom. cons. Spielmanniaceae J.Agardh, nom. illeg. Verbascaceae Bercht. & J.Presl |
| 모식속 | 현삼속(Scrophularia Tourn. ex L.) |
| 하위 분류 | |
| 속 | 본문 참조 |
2. 역사적 분류 및 계통 분류
| 꿀풀목 |
| {{분지군 |
과거 현삼과는 약 275개 속과 5,000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분자 계통발생 연구 결과 다계통군임이 밝혀져 분류 체계가 크게 변경되었다.[2] 많은 속이 꿀풀목 내의 질경이과, 열당과 등 다른 과로 이전되거나 새로운 과로 분리되었다.[3][4]
피셔(Fischer, 2004)는 현삼과를 개구리풀아과, 그라티올라아과, 디기탈리스아과의 세 아과로 나누고, 그라티올라아과를 다시 개구리풀족, 안젤로니아족, 줄풀족, 말즘족, 린데르니아족의 다섯 개 족으로 세분하였다. 개구리풀족은 카프라리나족, 도파트리나족, 그라티올리나족의 세 아족으로 나뉘며, 그라티올리나족은 ''바코파속'', ''메카르도니아속''(''헤르페스티스속''에서 이전), ''암피안투스속'', ''그라티올라속''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질경이과 개구리풀족으로 이전되었다.
2. 1. 전통적 분류
과거에 현삼과로 분류되었던 속들은 APG 식물 분류 체계에 의해 다른 과로 옮겨졌다.- 금어초속(Antirrhinum), 물부추속(Bacopa), 담쟁이덩굴 제비꽃속(Cymbalaria), 디기탈리스속(Digitalis), 아부노메속, 괭이밥속, 글로불라리아속(Globularia), 큰아부노메속, 울름조롱속, 좁은잎차즈기속, 개불알풀속(Linaria), 꽃댕강나무속, 꽃꼬리풀속(Penstemon), 세이타카카나비키소우속, 두루미천남성속(Veronica), 꽃며느리밥풀속(Veronicastrum) 등은 질경이과로 이동되었다.
- 아제나속, 털우름속 등은 린데르니아과 로 독립되었다.
- 캘케올라리아속은 캘케올라리아과로 독립되었다.
- 눈개승마속(Euphrasia), 으름덩굴속(Lathraea), 참깨풀속(Melampyrum), 으아리풀속, 제비꽃속(Pedicularis), 참꽃풀속(Phtheirospermum), 히키요모기속 등 기생 식물은 오로방고과로 옮겨졌다.
- 사초고케속(Mazus), 벌개미취속(Mimulus) 등은 미물루스과 로 이동되었다.
- 오동나무속은 오동나무과로 독립되었다.
다음 속은 종래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다.
- 부들레야속 등은 구 부들레야과였다.
- 하마진초속 등은 구 하마진초과였다.
2. 2. APG 분류 체계
현삼과는 과거 약 275개 속, 5,000종 이상을 포함하는 큰 과였으나, 분자 계통발생 연구 결과 다계통군[2]임이 밝혀져 분류 체계가 크게 변경되었다.[3][4] 많은 속이 질경이과[39], 열당과 등 다른 과로 이동되거나 새로운 과로 독립되었다.피셔(Fischer, 2004)는 현삼과를 개구리풀아과, 그라티올라아과, 디기탈리스아과의 세 아과로 나누고, 그라티올라아과를 다시 5개 족으로, 개구리풀족을 3개 아족으로 세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APG 분류 체계에서 대부분 변경되었다.
APG 분류 체계에 따라 과거 현삼과로 분류되었던 속들은 다음과 같이 재분류되었다.
- 금어초속(Antirrhinum), 물부추속(Bacopa), 담쟁이덩굴 제비꽃속(Cymbalaria), 디기탈리스속(Digitalis), 아부노메속(Dopatrium), 괭이밥속(Ellisiophyllum), 글로불라리아속(Globularia), 큰아부노메속(Gratiola), 울름조롱속(Lagotis), 좁은잎차즈기속(Limnophila), 개불알풀속(Linaria), 꽃댕강나무속(Russelia), 꽃꼬리풀속(Penstemon), 세이타카카나비키소우속(Scoparia), 두루미천남성속(Veronica), 꽃며느리밥풀속(Veronicastrum) 등은 질경이과로 이동되었다.
- 아제나속(Lindernia), 털우름속(Torenia) 등은 외풀과로 이동되었다.
- 캘케올라리아속(Calceolaria)은 칼케올라리아과로 독립되었다.
- 눈개승마속(Euphrasia), 으름덩굴속(Lathraea), 참깨풀속(Melampyrum), 으아리풀속(Monochasma), 제비꽃속(Pedicularis), 참꽃풀속(Phtheirospermum), 히키요모기속(Siphonostegia) 등 기생 식물은 열당과로 이동되었다.
- 사초고케속(Mazus), 벌개미취속(Mimulus) 등은 미나리아재비과 이동되었다.
- 오동나무속(Paulownia)은 오동나무과로 독립되었다.
한편, 과거 별개의 과로 분류되었던 부들레야속(Buddleja, 구 부들레야과)과 하마진초속(Myoporum, 구 하마진초과) 등은 현삼과에 포함되었다.
2. 3. 계통 분류
꿀풀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9]| 꿀풀목 |
| {{분지군 |
현삼과는 APG IV(2016)에 따라 62개 속, 약 1830종을 포함한다.[6] 2024년 5월 기준으로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58개 속을 인정한다.[7]
과거 현삼과는 약 275개 속과 5,000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분자 계통발생 연구 결과 다계통군임이 밝혀져 분류 체계가 크게 변경되었다.[2] 많은 속이 꿀풀목 내의 질경이과, 열당과 등 다른 과로 이전되거나 새로운 과로 분리되었다.[3][4] 꿀풀목의 여러 과는 현삼과 ''광의''에서 이전된 속을 수용하기 위해 분류가 확대되었다.
피셔(Fischer, 2004)는 현삼과를 개구리풀아과, 그라티올라아과, 디기탈리스아과의 세 아과로 나누고, 그라티올라아과를 다시 개구리풀족, 안젤로니아족, 줄풀족, 말즘족, 린데르니아족의 다섯 개 족으로 세분하였다. 개구리풀족은 카프라리나족, 도파트리나족, 그라티올리나족의 세 아족으로 나뉘며, 그라티올리나족은 ''바코파속'', ''메카르도니아속''(''헤르페스티스속''에서 이전), ''암피안투스속'', ''그라티올라속'' 등을 포함하여 온대 및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하는 10개 속(약 121종)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질경이과 개구리풀족으로 이전되었다.
APG 분류 체계에서는 구(舊) 현삼과가 열당과, 오동나무과, 파리풀과, 슐레겔리아과, 질경이과, 칼세올라리아과 등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3. 하위 분류
등포풀속(''Limosella'' L.), ''Agathelpis'' Choisy, ''Barthlottia'' E.Fisch., ''Camptoloma'' Benth., ''Chaenostoma'' Benth., ''Chenopodiopsis'' Hilliard & B.L.Burtt, ''Cromidon'' Compton, ''Dischisma'' Choisy, ''Glekia'' Hilliard, ''Globulariopsis'' Compton, ''Glumicalyx'' Hiern, ''Gosela'' Choisy, ''Hebenstretia'' L., ''Jamesbrittenia'' Kuntze, ''Lyperia'' Benth., ''Manulea'' L., ''Melanospermum'' Hilliard, ''Microdon'' Choisy, ''Phyllopodium'' Benth., ''Polycarena'' Benth., ''Pseudoselago'' Hilliard, ''Selago'' L., ''Strobilopsis'' Hilliard & B.L.Burtt, ''Sutera'' Roth, ''Tetraselago'' Junell, ''Trieenea'' Hilliard, ''Zaluzianskya'' F.W.Schmidt.
''Capraria'' L., ''Eremogeton'' Standl. & L.O.Williams, ''Leucophyllum'' Bonpl..
''Bontia'' L., ''Calamphoreus'' Chinnock, ''Diocirea'' Chinnock, ''Eremophila'' R.Br., ''Glycocystis'' Chinnock, ''Myoporum'' Banks & Sol. ex G.Forst..
''Buddleja'' Houst. ex L., ''Gomphostigma'' Turcz..
''Anticharis'' Endl., ''Aptosimum'' Burch. ex Benth., ''Peliostomum'' E.Mey. ex Benth..
''Dermatobotrys'' Bolus, ''Oftia'' Adans., ''Ranopisoa'' J.-F.Leroy, ''Teedia'' Rudolphi.
''Antherothamnus'' N.E.Br., ''Freylinia'' Colla, ''Manuleopsis'' Thell., ''Phygelius'' E.Mey. ex Benth..
''Alonsoa'' Ruiz & Pav., ''Colpias'' E.Mey. ex Benth., ''Diascia'' Link & Otto, ''Diclis'' Benth., ''Hemimeris'' L.f., ''Nemesia'' Vent..
현삼속(''Scrophularia'' Tourn. ex L.), 우단담배풀속(''Verbascum'' L.), ''Nathaliella'' B.Fedtsch., ''Rhabdotosperma'' Hartl, × ''Scrophulari-verbascum'' P.Fourn..
''Ameroglossum'' Eb.Fisch., S.Vogel & A.V.Lopes, ''Androya'' H.Perrier, ''Chamaecrypta'' Schltr. & Diels, ''Dolichostemon'' Bonati, ''Trungboa'' Rauschert.
3. 1. 주요 족
현삼과는 APG IV(2016)에 따라 62개 속, 약 1830종을 포함한다.[6] 2024년 5월 기준으로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58개 속을 인정한다.[7]
등포풀속(''Limosella'' L.), ''Agathelpis'' Choisy, ''Barthlottia'' E.Fisch., ''Camptoloma'' Benth., ''Chaenostoma'' Benth., ''Chenopodiopsis'' Hilliard & B.L.Burtt, ''Cromidon'' Compton, ''Dischisma'' Choisy, ''Glekia'' Hilliard, ''Globulariopsis'' Compton, ''Glumicalyx'' Hiern, ''Gosela'' Choisy, ''Hebenstretia'' L., ''Jamesbrittenia'' Kuntze, ''Lyperia'' Benth., ''Manulea'' L., ''Melanospermum'' Hilliard, ''Microdon'' Choisy, ''Phyllopodium'' Benth., ''Polycarena'' Benth., ''Pseudoselago'' Hilliard, ''Selago'' L., ''Strobilopsis'' Hilliard & B.L.Burtt, ''Sutera'' Roth, ''Tetraselago'' Junell, ''Trieenea'' Hilliard, ''Zaluzianskya'' F.W.Schmidt.[30][14]3. 2. 한국 자생 주요 속
현삼과는 APG IV(2016)에 따라 62개 속, 약 1830종을 포함한다.[6] 2024년 5월 기준으로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58개 속을 인정한다.[7]
한국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자생한다.
3. 3. 기타 속
현삼과는 APG IV(2016)에 따라 62개 속, 약 1830종을 포함하며,[6] 2024년 5월 기준으로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58개 속을 인정한다.[7] 약 56속 2100종이 속한다.[28]
4. 이용
현삼과에는 일부 약초가 포함된다. 특히 현삼과 벌레총이 등이 이에 속한다.
5. 과거 현삼과로 분류되었던 속
전통적으로 현삼과에 포함되었던 속들은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른 과로 이전되었다.[21][22][3][26]
- 질경이과: ''Acanthorrhinum'', ''Angelonia'', ''Antirrhinum'' (금어초속), ''Asarina'', ''Bacopa'' (물부추속), ''Basistemon'', ''Besseya'', ''Chaenorhinum'', ''Chelone'', ''Chionophila'', ''Collinsia'', ''Cymbalaria'' (담쟁이덩굴 제비꽃속), ''Digitalis'' (디기탈리스속), ''Dopatrium'' (아부노메속), ''Epixiphium'', ''Galvezia'', ''Gambelia'', ''Gratiola'' (큰아부노메속), ''Hebe'', ''Holmgrenanthe'', ''Howelliella'', ''Keckiella'', ''Kickxia'', ''Lagotis'' (울름조롱속), ''Limnophila'' (좁은잎차즈기속), ''Linaria'' (개불알풀속), ''Lophospermum'', ''Mabrya'', ''Maurandella'', ''Maurandya'', ''Mecardonia'', ''Micranthemum'', ''Misopates'', ''Mohavea'', ''Neogaerrhinum'', ''Nothochelone'', ''Nuttallanthus'', ''Penstemon'' (꽃꼬리풀속), ''Pseudorontium'', ''Russelia'' (꽃댕강나무속), ''Sairocarpus'', ''Schistophragma'', ''Scoparia'' (세이타카카나비키소우속), ''Stemodia'', ''Synthyris'', ''Tonella'', ''Veronica'' (두루미천남성속), ''Veronicastrum'' (꽃며느리밥풀속)[27]
- 오로반케과: ''Agalinis'', ''Bartsia'', ''Castilleja'', ''Cordylanthus'', ''Dasistoma''[23], ''Euphrasia'' (눈개승마속), ''Leucosalpa''[24], ''Melampyrum'' (참깨풀속), ''Odontites'', ''Orobanche'', ''Orthocarpus'', ''Parentucellia'', ''Pedicularis'' (제비꽃속), ''Rhinanthus'', ''Striga'', ''Tozzia'', ''Triphysaria''
- 현삼덩굴과: ''Craterostigma''[21], ''Lindernia'' (아제나속)[25], ''Torenia'' (털우름속)
- 칼케올라리아과: ''Calceolaria'' (캘케올라리아속)
- 파리풀과: ''Glossostigma'', ''Mimulus'' (벌개미취속)
- 마전과: ''Mazus'' (사초고케속)
- 파울로니아과: ''Paulownia'' (오동나무속)
- 제스네리아과: ''Peltanthera'', ''Sanango''
6. 한국의 현삼과 식물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Scrophulariaceae'' Juss.,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2]
문서
Fischer says that, if we consider morphology, it has been obvious for the last decades that the Scrophulariaceae do not represent a monophyletic group. See [[#fischer2004scrophulariaceae|FISCHER (2004)]], p. 346.
[3]
논문
Disintegration of the Scrophulariaceae
[4]
논문
Whatever happened to the Scrophulariaceae?
http://www.cnps.org/[...]
[5]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6]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7]
웹사이트
Scrophulariaceae Juss.
https://powo.science[...]
2024-05-13
[8]
문서
Villaverde, T., Larridon, I., Shah, T., Fowler, R.M., Chau, J.H., Olmstead, R.G. and Sanmartín, I. (2023), Phylogenomics sheds new light on the drivers behind a long-lasting systematic riddle: the figwort family Scrophulariaceae. New Phytol, 240: 1601-1615. https://doi.org/10.1111/nph.18845
[9]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Aptosim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0]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Buddlej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1]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Hemimerid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2]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Leucophyll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3]
논문
A linear sequence of Angiosperm Phylogeny Group II families
[14]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Limosell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5]
논문
New circumscription of the tribe Limoselleae (Scrophulariaceae) that includes the taxa of the tribe Manuleeae
[16]
웹사이트
Limosella L. (POWO)
https://powo.science[...]
2024-05-13
[17]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Myopor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8]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Scrophulari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19]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tribe Scrophulari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20]
웹사이트
Genera of Scrophulariaceae
https://npgsweb.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11-28
[21]
논문
Piecing together the "new" Plantaginaceae
[22]
웹사이트
Lindernia All.
http://efloras.org/f[...]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23]
웹사이트
Dasistoma Raf.
https://powo.science[...]
2024-05-13
[24]
웹사이트
Leucosalpa Scott Elliot
https://powo.science[...]
2024-05-13
[25]
논문
Testing the monophyly and position of the North American shrubby desert genus ''Leucophyllum'' (Scrophulariaceae: Leucophylleae)
2013-03
[26]
논문
The Evolution of Parasitism in Scrophulariaceae/Orobanchaceae: Plastid Gene Sequences Refute an Evolutionary Transition Series
https://www.biodiver[...]
1999-09
[27]
웹사이트
GRIN genera sometimes placed in ''Scrophulariac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10-17
[28]
웹사이트
Scrophulariaceae
http://angio.bergian[...]
2014-05-05
[29]
서적
Genera Plantarum 117–118
[30]
서적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52
[31]
간행물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ser. 2 5: 252
[32]
서적
Handbuch des Naturlichen Pflanzensystems 196
[33]
서적
Ordines Naturales Plantarum 172
[34]
서적
Genera Plantarum 2: 915, 916
[35]
간행물
Edwards's Botanical Register 21: ad t. 1770
[36]
간행물
Novon 3(1): 16
1993
[37]
간행물
Edwards's Botanical Register 21: ad t. 1770
1835
[38]
간행물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35
1827
[39]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23-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