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광전사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광전사천(湖廣填四川)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사천 지역의 인구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호광 지역 등지에서 사천으로 이주민을 대거 유치한 역사적 사건이다. 명나라 초기와 청나라 강희제 시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특히 청 강희제는 이주민에게 부세 면제 정책을 시행하여 대규모 이주를 촉진했다. 이로 인해 사천 지역의 인구는 급증했지만, 호광 지역의 인구는 감소하여 강서 등지에서 호광으로의 인구 유입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주는 주로 장강을 이용한 수로와 육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오늘날 사천 성 주민의 상당수가 호광 지역 출신이다. 이 과정에서 호광회관과 같은 이주민 단체가 형성되었고, 사천 지역의 문화는 개방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역사 - 오교병변
    오교병변은 1631년 명나라 말기에 산둥 지역에서 발생한 군사 반란으로, 명나라 장수들의 반란과 청나라 투항으로 명나라 쇠퇴를 가속화하고 청나라의 중국 정복에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 중국의 인구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구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구는 1949년 5억 4천만 명에서 시작하여 2020년 14억 명을 넘어섰으며, 사망률 감소와 한 자녀 정책의 영향으로 변화해 왔고, 도시화, 고령화, 성비 불균형 등의 특징을 보이며, 2023년에는 인도에 의해 세계 최대 인구 국가 지위를 잃었다.
  • 중국의 인구 - 주링허우 세대
    주링허우 세대는 중국의 개혁개방 시기에 태어나 시장 경제 발전을 경험하며 성장한 세대로,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 인터넷 발달로 인한 소통 방식 변화, 해외 브랜드 선호, 개인주의적 성향, 심리적 불안 등의 특징을 보이며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청나라의 역사 - 천계령
    천계령은 17세기 중반 청나라가 정성공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시행한 해금 정책으로, 연해 지역 주민을 내륙으로 강제 이주시켜 해안선을 비워 정성공 세력과의 교류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했다.
  • 청나라의 역사 - 만주원류고
    만주원류고는 청나라 건륭제의 칙명으로 1778년에 편찬된 역사책으로, 만주족의 기원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청나라 통치의 정통성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부족, 강역, 산천, 국속의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광전사천
개요
명칭호광전사천 (湖廣填四川)
다른 이름강서전호광 (江西填湖廣), 칙전천사천 (勅塡四川)
시기원나라 말기 ~ 청나라 초기
위치쓰촨성
역사적 배경
원인원나라 말기의 혼란
명나라 말기의 혼란
장헌충의 쓰촨 학살
청나라의 정복 전쟁
결과쓰촨성 인구의 급격한 감소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대규모 이주
쓰촨 문화와 언어의 변화
이주민 출신 지역
주요 출신지후광성 (현재의 후베이성, 후난성)
장시성
광둥성
푸젠성
기타 출신지산시성
산둥성
광시성
영향
문화적 영향쓰촨 방언의 변화
새로운 풍습과 종교의 유입
다양한 지역 문화의 혼합
경제적 영향황무지 개간 및 농업 생산력 증가
상업 및 무역 활성화
새로운 기술과 산업의 도입
논쟁
장헌충의 역할장헌충의 쓰촨 학살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논쟁
이주민의 기여이주민들이 쓰촨 재건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다양한 시각
추가 정보
관련 역사서《사천통지》
《호광전사천실록》
관련 인물장헌충
강희제

2. 역사

호광전사천(湖廣塡四川)은 명나라 초기와 청나라 초기에 걸쳐 호광(湖廣) 지역, 즉 지금의 중국 후베이성(湖北)과 후난성(湖南) 지역 주민들이 대규모로 쓰촨성(四川) 지역으로 이주한 현상을 말한다.

명나라 초기에는 명나라 홍무제의 이민 장려 정책으로 인해 호광 지역 주민들이 쓰촨으로 이주했다. (제1차 호광전사천)[1] 청나라 강희제 시기에는 삼번의 난 진압 이후 《초민전천조》(招民塡川詔)를 통해 이주민에게 세금 감면 혜택을 주면서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졌다.(제2차 호광전사천) 100년 동안 약 600만 명이 사천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그중 호광 지역 출신이 300만 명에 달했다. 사천 지역 인구는 1757년 268만 명에서 1790년 888만 명, 1830년 3,495만 명으로 급증했다.[1]

이러한 대규모 인구 이동은 호광 지역의 인구 감소를 초래했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강서 등지에서 호광 지역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현상(강서매호광)이 나타났다.[1]

2. 1. 명나라 초기

명나라 초기 사천 지역은 몽골과의 전쟁, 원나라 말기 군벌들의 반란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이 때문에 중앙 정부와 지방 관청은 외지인의 이주를 장려하는 정책을 펼쳤는데, 그중 호광 지역 출신 이주민이 가장 많았다. 제1차 호광전사천은 명나라 홍무제 시기 이러한 이민 장려 정책의 결과였다.[1]

오늘날 중국 쓰촨성 동부 지역인 광안, 린수 등지의 주민들은 대부분 지금의 후베이성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1]

청나라 말기 《성도통람(成都通覽)》에 따르면, "오늘날의 성도 사람들은 원래 바깥 성에 적(籍)을 두고 있던 사람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도 인구 중 바깥 성 출신 비율은 다음과 같았다.[1]

출신 지역비율
호광25%
하남, 산동5%
섬서10%
운남, 귀주15%
강서15%
안휘5%
강소, 절강10%
광동, 광서10%
복건, 산서, 감숙5%


2. 2. 청나라 초기

청나라 강희제1694년 삼번의 난을 진압한 뒤 《초민전천조》(招民塡川詔)를 발호하여, 사천으로 이민 가는 백성에게 그 해의 부세(賦稅)를 면제하도록 했다. 이 조치로 100년 동안 대략 6백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사천 지역으로 유입되었으며, 이들 가운데 호광(湖廣), 즉 지금의 중국 호북(湖北), 호남(湖南) 지역으로부터 유입된 인구가 3백만 명에 달했다. 이를 제2차 호광전사천이라고 한다. 1757년 사천 지역의 인구는 268만 명이었으나, 1790년에는 888만 명, 1830년에는 3,495만 명까지 늘어났다.[1]

이러한 사천으로의 대대적인 인구 유입과 인구 폭증은 반대로 호광 지역의 인구 구조에도 영향을 주었다. 사천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면서 호광 지역의 인구가 줄어들자, 인근 강서 등지에서 호광 지역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이른바 강서매호광 현상이 나타났다. 오늘날 광안(廣安), 린수(鄰水) 등 중국 쓰촨 성 동부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지금의 중국 후베이 지역에서 이주한 주민들의 후손이다.[1]

사천 지역과 인접한 귀주(貴州) 중북부 및 호광 서부 등지에서 관화(官話)를 사용하는 주민들 또한 호광전사천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1]

청나라 말기 《성도통람》(成都通覽)은 "오늘날의 성도 사람들은 원래 바깥 성에 적(籍)을 두고 있던 사람들이다."(現今之成都人, 原籍皆外省人)라고 기록했다. 성도 인구를 구성한 바깥 성 출신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1]

출신 지역비율
호광25%
하남, 산동5%
섬서10%
운남, 귀주15%
강서15%
안휘5%
강소, 절강10%
광동, 광서각 10%
복건, 산서, 감숙각 5%


3. 이민 노정

호광전사천의 이민로는 크게 물길과 육로로 나뉜다. 물길은 지금의 중국 장강(長江)을 따라 올라가 삼협을 지나 사천 분지로 가는 길로, 호북, 강서 지역 주민들이 주로 이용했다. 육로는 예로부터 천검(川黔, 사천귀주), 천악(川鄂, 사천과 호북)의 좁은 길을 통해 사천으로 가는 길로, 호남, 귀주 사람들이 주로 이용했고, 광동, 복건 지역의 객가인들도 일부 이용했다.

3. 1. 수로(水路)

호광전사천의 이민로는 주로 물길과 육로로 이루어졌다. 물길은 지금의 중국 장강(長江)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서 삼협을 거쳐 사천 분지로 가는 길인데, 대부분 호북, 강서 지역 주민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육로는 고대로부터 천검(川黔, 사천과 귀주), 천악(川鄂, 사천과 호북)의 작은 길로 사천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호남, 귀주 사람들이 많이 활용하였으며, 광동, 복건 지역의 객가인들도 일부 사용하기도 하였다.

3. 2. 육로(陸路)

호광전사천의 이민로는 주로 물길과 육로로 이루어졌다. 육로는 고대로부터 천검(川黔, 사천과 귀주), 천악(川鄂, 사천과 호북)의 작은 길로 사천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호남, 귀주 사람들이 많이 활용하였으며, 광동, 복건 지역의 객가인들도 일부 사용하기도 하였다.

4. 영향

호광전사천은 명나라 초기와 청나라 초기에 걸쳐 호광(湖廣) 지역에서 사천(四川) 지역으로 대규모 인구 이동이 일어난 현상으로, 사천 지역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인구 구조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천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면서 호광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자, 이를 보충하기 위해 강서 등 다른 지역에서 호광 지역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연쇄적인 인구 이동이 발생했다. 이러한 현상은 '강서매호광'이라고 불린다. 오늘날 광안(廣安), 린수(鄰水) 등 중국 쓰촨성 동부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지금의 중국 후베이 지역으로부터 이주한 주민들의 후손이다.[1] 또한 사천 지역과 인접한 귀주(貴州) 중북부 및 호광 서부 등지에서 관화(官話)를 사용하는 주민들도 호광전사천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1]

4. 1. 인구 구조 변화

명나라 초기 사천 지역은 몽골과의 전쟁, 원나라 말기 현지 군벌들의 거병으로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다. 중앙 조정과 지방 관청은 외지 이주민을 유치하는 정책을 펼쳤는데, 그중 호광 지역 이주민이 가장 많았다. 제1차 호광전사천은 명나라 홍무제의 이민 장려 정책으로, 제2차 호광전사천은 청나라 강희제1694년 삼번의 난 진압 후 발표한 《초민전천조》(招民塡川詔)로 촉발되었다. 이 조치로 이민자의 부세(賦稅)가 면제되었고, 100년 동안 약 6백만 명이 사천으로 유입되었으며, 이 중 호광(지금의 호북, 호남 지역) 출신이 3백만 명이었다. 사천 인구는 1757년 268만 명에서 1790년 888만 명, 1830년 3,495만 명으로 급증했다.[1]

사천으로의 대규모 인구 유입은 호광 지역 인구 감소를 야기했고, 이는 다시 강서 등지에서 호광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강서매호광' 현상으로 이어졌다. 오늘날 중국 쓰촨성 동부 광안(廣安), 린수(鄰水) 등지의 주민들은 대부분 후베이 지역 출신이다.[1]

사천과 인접한 귀주 중북부, 호광 서부 등지에서 관화(官話)를 사용하는 주민들 또한 호광전사천과 관련 있는 경우가 많다.[1]

청나라 말기 《성도통람》(成都通覽)에 따르면, "오늘날의 성도 사람들은 원래 바깥 성에 적(籍)을 두고 있던 사람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도 인구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1]

출신 지역비율
호광25%
하남, 산동5%
섬서10%
운남, 귀주15%
강서15%
안휘5%
강소, 절강10%
광동, 광서각 10%
복건, 산서, 감숙각 5%


4. 2. 문화적 영향

명나라 초기와 청나라 초기에 걸쳐 호광(湖廣), 즉 지금의 중국 호북(湖北), 호남(湖南)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천(四川)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이러한 대규모 인구 이동은 사천 지역의 인구 구조뿐 아니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청나라 말기 《성도통람》(成都通覽)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성도(成都) 인구의 25%가 호광 출신이었다. 그 외에도 하남(河南), 산동(山東) 지역이 5%, 섬서(陜西) 10%, 운남(雲南), 귀주(貴州) 15%, 강서 15%, 안휘(安徽) 5%, 강소(江蘇)·절강(浙江) 10%, 광동·광서 각 10%, 복건·산서(山西)·감숙(甘肅) 각 5%였다.[1]

오늘날 파촉(巴蜀)계 주민들은 조상들이 호북의 마성(馬城) 효감향(孝感鄉, 오늘날의 孝感市와는 무관하다)에서 왔다고 전한다. 학자들은 이주민들이 처음에는 마성 지역에 모여 살다가 다 함께 사천으로 이주했거나, 초기 이주민들의 세력이 커서 후대 이주민들이 마성을 자신들의 고향으로 여기게 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주민들은 단결을 위해 호광회관(湖廣會館)을 세웠다. 회관은 명청 시대 외지인들이 고향 사람들과 교류하고 휴식을 취하던 장소였다. 지역별로 달랐지만 고향이 같은 이민자 또는 상인 집단에 의해 세워졌고 그곳에서 고향에서 모시는 토착신이나 그 선현을 제사하기도 하였다. 서생들은 과거에 응시하고 상인은 장사를 하러 다니면서 대부분 본향 회관에 투숙하고는 하였다.

지리적으로 쓰촨 분지 서남부에는 토착민들이 많이 남아 있었지만, 동북부는 이주민들이 많았다. 오늘날 쓰촨 인구의 70% 가량이 호광 지역 이주민의 후예이며, 이러한 대규모 이민은 쓰촨 지역의 문화를 포용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로 만들었다.

4. 3. 사회적 영향

오늘날 파촉(巴蜀)계 주민들은 그들의 조상이 호북의 마성(馬城) 효감향(孝感鄉, 오늘날의 샤오간시와는 무관하다)에서 거주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학자들은 산서의 홍동대괴수(洪洞大槐樹)의 사례처럼 처음 호북 지역으로부터 온 이주민들이 처음에는 마성 지역에 집단으로 거주하다가 다 함께 사천으로 이주한 것을 그 후손들이 그들의 고향을 마성이라고 오인하게 된 것이라고 보거나, 호광전사천이라는 이민 붐 속에서 사천으로 이주한 최초의 이민자들이 마성 출신이었으며, 그들의 세력이 크고 지위도 높았기에 후대에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마성을 그들의 원래 주거지로 가탁했다는 설도 있다.[1]

이민 증가에 따라 이주민들끼리 단합하기 위해 호광회관(湖廣會館)이 탄생하였다. 회관은 명청 시대 성읍에서 외부에 고향이 있는 사람들의 휴식이나 모임을 위한 장소로, 지역별로 달랐지만 고향이 같은 이민자 또는 상인 집단에 의해 세워졌고 그곳에서 고향에서 모시는 토착신이나 선현을 제사하기도 하였다. 서생들은 과거에 응시하고 상인은 장사를 하러 다니면서 대부분 본향 회관에 투숙하였다.[1]

지리적으로는 지금의 중국 쓰촨 분지 서남부에 토착민들이 많이 남아 있는 반면, 동북부는 적었다. 오늘날 전체 인원의 70%가량이 호광 지역으로부터 이주해 온 주민의 후예이며, 이민 붐으로 인해 쓰촨 지역의 문화는 포용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게 되었다.[1]

4. 4. 후광 지역에 미친 영향

명나라 초기 사천 지역은 몽골과의 전쟁, 원나라 말기 군벌들의 반란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이 때문에 명나라 조정은 외지 이주민을 사천으로 유치하는 정책을 펼쳤고, 그중 호광 지역 이주민이 가장 많았다. 청나라 강희제1694년 삼번의 난 진압 후 《초민전천조》(招民塡川詔)를 발표, 사천 이주민에게 부세(賦稅)를 면제해 주면서 100년 동안 약 6백만 명이 사천으로 유입되었다. 이 중 호광(지금의 중국 호북, 호남 지역) 출신이 3백만 명에 달했다. 사천 지역 인구는 1757년 268만 명에서 1790년 888만 명, 1830년에는 3,495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러한 사천으로의 대규모 인구 이동은 호광 지역의 인구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천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호광 지역은 인구가 감소했고, 이를 메우기 위해 강서 등지에서 인구가 유입되는 '강서매호광' 현상이 나타났다. 오늘날 중국 쓰촨성 동부 광안(廣安), 린수(鄰水) 등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후베이 지역에서 이주한 주민들의 후손이다.

사천과 인접한 귀주(貴州) 중북부 및 호광 서부 등지에서 관화(官話)를 사용하는 주민들 역시 호광전사천과 관련이 깊다.

청나라 말기 《성도통람》(成都通覽)에 따르면, "오늘날의 성도 사람들은 원래 바깥 성에 적(籍)을 두고 있던 사람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성도 인구를 구성하는 바깥 성 출신 비율은 다음과 같았다.

출신 지역비율
호광25%
하남(河南), 산동(山東)5%
섬서(陜西)10%
운남(雲南), 귀주(貴州)15%
강서15%
안휘(安徽)5%
강소(江蘇), 절강(浙江)10%
광동(廣東), 광서(廣西)10%
복건(福建), 산서(山西), 감숙(甘肅)5%

[1]

5. 마성(麻城) 효감향(孝感鄕) 전설

오늘날 파촉(巴蜀)계 주민들은 그들의 조상이 호북의 마성(麻城) 효감향(孝感鄕, 오늘날의 孝感市와는 무관하다)에서 거주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학자들은 洪洞大槐樹의 사례처럼, 처음 호북 지역으로부터 온 이주민들이 마성 지역에 집단으로 거주하다가 다 함께 사천으로 이주한 것을 그 후손들이 그들의 고향을 마성이라고 오인하게 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혹은 호광전사천이라는 이민 붐 속에서 사천으로 이주한 최초의 이민자들이 마성 출신이었으며, 그들의 세력이 크고 지위도 높았기에 후대에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마성을 그들의 원래 주거지로 가탁했다는 설도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