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는 1840년 칠레에서 태어나 변호사이자 정치가로 활동했으며, 1886년 칠레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공공 사업, 군사력 강화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의회와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내전으로 이어졌다. 1891년 내전에서 패배한 후, 발마세다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정치 - 페드로 아기레 세르다
    칠레의 대통령이었던 페드로 아기레 세르다는 교육 개혁을 통해 국가 산업화와 교육 평등화를 추구했으며, 생산 개발 공사를 설립하여 칠레 경제의 산업화 기반을 마련했다.
  • 칠레의 정치 - 아르투로 알레산드리
    아르투로 알레산드리는 칠레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1920년 당선 후 사임과 망명을 거쳐 1925년 복귀하여 헌법 개정을 추진했고, 두 번째 임기 동안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논란을 겪었다.
  • 칠레의 외교관 - 파블로 네루다
    파블로 네루다는 20세기 칠레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197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칠레의 외교관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칠레의 시인이자 교육자, 외교관이었던 가브리엘라 미스트랄(1889-1957)은 가난과 상실의 경험을 바탕으로 모성, 자연, 종교, 사회적 정의를 섬세하게 표현한 시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교육 개혁에 헌신하고 국제연맹과 영사로 활동하며 문화 교류에 기여한 라틴 아메리카 최초의 여성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
  • 바스크계 칠레인 - 벤자민 비쿠나
    벤자민 비쿠냐는 1978년 칠레에서 태어난 배우로, 영화,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08년 칠레 유니세프 친선 대사로 임명되었다.
  • 바스크계 칠레인 - 카롤리나 아레기
    칠레의 배우 카롤리나 아레기는 17세에 텔레비전 경력을 시작하여 텔레노벨라에 출연, 마르테 TV 어워드 여우주연상을 3회 수상했고 푸에르토리코 텔레노벨라 '돈 아모르' 출연 및 비냐 델 마르 국제 가요제 여왕으로 선정되었으며, 2000년대에는 텔레노벨라 《마초스》와 《브루하스》, 다양한 연극 작품에도 출연했다.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르난도 라로체가 1891년에 그린 초상화
페르난도 라로체가 1891년에 그린 초상화
대통령 순서제10대
직책칠레의 대통령
임기 시작1886년 9월 18일
임기 종료1891년 8월 29일
이전 대통령도밍고 산타 마리아
다음 대통령마누엘 바케다노
출생일1840년 7월 19일
출생지아시엔다 부칼레무, 칠레
사망일1891년 9월 19일 (향년 51세)
사망지산티아고, 칠레
배우자에밀리아 데 토로 에레라
정당자유당
서명

2. 초기 생애

발마세다칠레 산토도밍고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칼레무에서 마누엘 호세 발마세다 바예스테로스와 엔카르나시온 페르난데스 살라스의 12명의 자녀 중 장남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산업 및 농업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 1849년 프랑스 수사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산티아고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사제 서품을 고려하기도 했다.

2. 1. 정치 입문

1864년 마누엘 몬트의 비서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3] 리마에서 열린 범 남아메리카 회의에 칠레 정부 대표 중 한 명으로 몬트와 함께 참석하여 외교 경험을 쌓았고, 귀국 후 국회에서 훌륭한 웅변가로 명성을 얻었다.

1868년 후스토 아르테아가 알렘파르테, 도밍고 아르테아가 알렘파르테 형제와 함께 신문 "라 리베르타드"(La Libertad|자유es)를 창간하고 발행했다. "레비스타 데 산티아고"에 꾸준히 기고했으며, "선거 자유에서의 정치적 해결책"과 "교회와 국가"라는 두 개의 단행본을 출판했다.

1869년 자유당의 정치적 기반이 된 클럽 데 라 레포르마에 가입했다. 이 정치 프로그램의 핵심 원칙은 종교의 자유, 개인 및 정치적 자유 증진, 선거 과정에서 정부 개입 제거, 1833년 헌법 개혁, 대통령 권한 제한이었다.

2. 2. 국회의원 시절

1864년 마누엘 몬트의 비서가 된 발마세다는 리마에서 열린 범 남아메리카 회의에서 칠레 정부 대표 중 한 명이었던 몬트의 귀국 후 국회에서 훌륭한 웅변가로 큰 명성을 얻었다.[3] 1868년 후스토, 도밍고 아르테아가 알렘파르테와 함께 신문 "라 리베르타드"("자유")를 창간 및 발행했다. 또한 "레비스타 데 산티아고"에 꾸준히 기고했으며, "선거 자유에서의 정치적 해결책"과 "교회와 국가"라는 두 권의 단행본을 출판했다. 1869년 자유당의 정치적 기반이 된 클럽 데 라 레포르마에 가입했다. 이 정치 프로그램의 핵심 원칙은 종교의 자유, 개인 및 정치적 자유 증진, 선거 과정에서 정부 개입 제거, 1833년 헌법 개혁, 대통령 권한 제한이었다.

이러한 급진적인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발마세다는 카렐마푸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여러 차례 선출되었다. (1864–1867, 1870–1873, 1873–1876, 1876–1879, 1879–1882) 아니발 핀토 대통령 재임 시절, 그는 해외에서 여러 외교 임무를 수행했으며, 특히 1878년 아르헨티나태평양 전쟁에 참여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데 기여했다. 1882년, 카렐마푸와 산티아고에서 모두 재선되었으나, 모두 수락하지 않고 도밍고 산타 마리아 대통령 밑에서 외무부 및 식민부 장관과 내무부 장관을 차례로 역임했다. 내무부 장관 재임 시절, 그는 의무적인 시민 결혼 등 보수주의자 및 성직자들에게 매우 불쾌한 여러 법률을 시행했다. 이후 발마세다는 코킴보 지역구 상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82–1888)

3. 대통령 재임

1886년 칠레 대통령 선거에서 발마세다는 도밍고 산타 마리아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단독 후보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의 선거는 보수당과 일부 자유주의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1]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 대통령과 함께 산티아고 극장에서 열린 명사들의 모임 (니콜라스 구즈만 부스타만테 그림)

3. 1. 개혁 정책 추진

발마세다는 취임 후 칠레 국회에서 자유당 내 모든 분파를 화해시키고, 행정부를 지지하는 견고한 다수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여러 정치 그룹의 대표들을 장관으로 임명했다. 6개월 후 내각이 개편되었고, 그의 선거에 가장 격렬하게 반대했던 두 사람이 장관직을 받았다.[1]

발마세다는 광범위한 개혁을 실시했으며, 공공 사업, 학교 건설, 해군 및 군사력 강화에 대한 전례 없는 대규모 지출 정책을 시작했다. 남부 지역 철도 건설에 600만파운드의 계약이 주어졌고, 학교와 대학 건립에 약 1000만달러가 지출되었으며, 순양함 3척과 항해용 어뢰정 2척이 해군에 추가되었다. 탈카우아노 해군 기지 건설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고, 육군 보병 및 포병 부대를 위한 새로운 무기가 구매되었으며, 발파라이소, 탈카우아노, 이키케 항구를 영구적이고 강력하게 요새화하기 위해 대포가 획득되었다.[1]

이러한 정책은 국가에 매우 유익했지만, 부패가 관련된 막대한 지출에 스며들었다. 계약은 실력보다 호의에 의해 주어졌고, 새로운 공공 사업 건설 진전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발마세다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반대는 1887년 말에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1888년에 더욱 강화되었다.[1]

3. 2. 의회와의 갈등 심화

1889년 칠레 의회는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 대통령의 행정부에 명백히 적대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로 인해 정치 상황은 심각해졌으며, 내전으로 이어질 위협까지 있었다. 당시 칠레의 관례에 따르면 내각은 의회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직을 유지할 수 없었다. 발마세다는 상원과 하원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받으면서 자신의 정책과 일치하는 장관을 임명할 수 없는 불가능한 상황에 놓였다. 이에 발마세다는 헌법이 자신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장관을 지명하고 직을 유지할 권한을 부여하며, 의회는 이 문제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 대통령

3. 3. 1891년 칠레 내전

발마세다는 1891년 1월 1일, 1890년 예산을 1891년 공식 예산으로 간주한다는 포고령을 발표했는데, 이는 헌법을 위반한 불법적인 행위였다.[1] 이에 왈도 실바 상원 부의장과 라몬 바로스 루코 하원 의장은 호르헤 몬트 대위를 해군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발마세다 탄핵 결의안에 서명했다. 1891년 1월 7일, 왈도 실바, 바로스 루코 등 의원들은 칠레 군함에 승선하여 발파라이소 항구를 떠나 타라파카로 이동, 대통령에 대한 무장 저항을 조직하며 내전이 시작되었다.[1]

발마세다는 개인적인 야망으로 귀족 계층을 소외시켰고, 세속적인 사상으로 성직자들의 지지를 잃었다.[1]

3. 3. 1. 영국의 개입 의혹

1891년 5월 23일, 칠레 주재 ''런던 타임스'' 특파원 모리스 허비는 발마세다 전복에 영국의 개입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반박의 여지없이, 소위 혁명의 선동자, 배후 조종자, 재정적 지원자는 타라파카의 질산염 광산 소유자인 영국인 또는 앵글로 칠레인이었다"라고 썼다.[3]

4. 몰락과 죽음

라 플라실라 전투에서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의 군대가 궤멸되면서, 그는 더 이상 권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1891년 8월 29일, 발마세다는 마누엘 바케다노 장군에게 권력을 넘기고 아르헨티나 공사관에 망명을 요청했다.[1]

1891년 9월 19일, 대통령 임기 종료일에 맞춰 발마세다는 새 정부에 항복하는 대신 자살을 선택했다.[1][2] 그는 정복자들이 자신에게 공정한 재판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1]

5. 가족

마테오 데 토로 잠브라노, 라 콩키스타 백작의 손녀인 에밀리아 데 토로 에레라와 1865년 10월 11일에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6명이 성인이 되었다.[2][3][4]

이름출생일사망일비고
마리아 에밀리아 델 카르멘1866년 7월 14일
도밍고 니콜라스1870년 9월 14일
페드로 알베르토 호세1868년 4월 23일1889년시인, 작가 (21세 사망)[4]
마리아 엘리사1873년 3월 24일에밀리오 벨로 코드세도와 결혼
훌리아1874년 5월 10일
마리아 카탈리나1875년 11월 6일1967년
엔리케 빅토르 아킬레스1878년 3월 3일1962년 1월 4일칠레 외교관
호세 마누엘1882년 3월 13일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de Chile http://html.rinconde[...] 2003-06-26
[2] 서적 Marriage of Emilia Toro Herrera and Jose Manuel Balmaceda Fernandez Chile, Select Marriages, 1579–1930
[3] 서적 Visión y Verdad Sobre Balmaceda https://web.archive.[...] Fundación Presidente Balmaceda 2017-08-11
[4] 서적 Breve Esbozo de la Familia del Presidente Jose Manuel Balmaceda Y Sus Relaciones Afines (1850–1925) http://repositorio.u[...] 2017-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