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콩의 구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의 구의회는 홍콩의 지역 자치 기구로, 1982년 설치되었다. 구의회는 홍콩 정부에 지역 현안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며, 구민 복지, 공공 시설 및 서비스, 정부 정책 시행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구의원은 선거, 당연직, 임명직으로 구성되었으나, 2023년 개편으로 선출 의석이 축소되고 간접 선거 및 정부 임명 의석이 증가했다. 구의회는 예산 승인이나 조례 제정 권한은 없으며, 자문 기구로서 행정에 제한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정치 - 홍콩 반환 협정
    홍콩 반환 협정은 1984년 중국과 영국이 체결한 국제 협정으로, 1997년 홍콩의 주권을 중국에 반환하며,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 특별행정구는 50년간 고도의 자치권을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홍콩의 정치 - 우산 운동
    우산 운동은 2014년 홍콩에서 중국 정부의 선거 개혁안에 반대하며 완전한 보통선거를 요구한 민주화 시위로, 시위대가 우산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고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국내외 연대를 이끌어내며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홍콩의 구의회
개요
유형자문 기관 (2023년 이후)
설립1982년
관할 지역홍콩
구성
의석479석 (1982년–2019년)
임명 의석폐지됨 (2015년)
선출 의석88석 (2023년 이후)
당연직 의석27석 (2023년 이후)
지명 의석179석 (2023년 이후)
선거
선거 제도단기 이양식 투표제 (1991년–2015년, 일부)
최다 득표제 (1982년–2019년, 대부분)
정부 지명 (2023년 이후, 대부분)
최근 선거2019년 11월 24일
기타
웹사이트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민정사무총서 구의회

2. 역사

홍콩의 지역 자치 제도는 초기 민간 조직인 가방회(街坊會)에서 출발했으나, 1960년대 이후 그 역할이 줄어들면서 정부 주도의 기구 설립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특히 1967년 홍콩 폭동 이후 지역 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968년 첫 공식 지역행정기구가 마련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지역위원회, 상호지원위원회, 자문위원회 등 다양한 형태의 지역 참여 조직이 운영되었다.[16]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82년, 머레이 맥레호스 총독 재임 시 구 행정 계획에 따라 현재 구의회의 모태가 되는 구의회(District Board, 區議會)가 처음 설치되어 구 차원의 행정 및 공공 서비스 조정을 담당하게 되었다.[16][17] 초기 구의회는 임명직과 공무직 위주였던 자문위원회와 달리 선출직 의원을 포함하며 점차 홍콩 입법회 구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16][18]

2. 1. 설립 이전

홍콩의 초기 지역 자치 기구로는 1949년에 설치된 가방회(街坊會, Kaifong association)가 있었다.[16] 하지만 1960년대에 이르러 가방회가 지역 대표 기구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자, 1968년 홍콩 정부는 각 구에 사무소를 둔 최초의 공식적인 지역행정기구를 설립했다. 이 기구는 보건 및 범죄 예방과 같은 지역 정책 및 사업에 대한 지원을 조직하는 역할을 했으며, 특히 1967년 폭동 이후 지역 사회의 여론을 살피고 민심을 수습하려는 목적도 있었다.[16][1]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된 '지역사회 관여 계획'(Community Involvement Plan)에 따라 홍콩섬가우룽 지역은 각각 약 45,000명의 인구를 기준으로 총 74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에는 구청장이 임명한 2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지역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이는 홍콩 입법회의 비공식 의원들이 주도하여 지역 사회의 다양한 계층을 포함시킨 첫 시도였다. 지역위원회의 초기 주요 활동은 '클린 홍콩'(Clean Hong Kong) 캠페인을 위한 홍보물을 배포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았다.[1]

홍콩 정부는 지역 사회에 대한 참여와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1973년 6월, 고층 주거 건물들을 중심으로 '상호지원위원회'(Mutual Aid Committee, MAC)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홍콩 정부는 이 위원회를 "청결 및 보안과 같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책임감 있는 시민들의 모임"이라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정부의 엄격한 통제하에 운영되었다. 홍콩 정부의 적극적인 장려로 상호지원위원회는 민간 건물에서 빠르게 늘어나 1973년 1,214개에서 1980년에는 3,463개로 급증했다. 이 제도는 공공 주택 단지(1980년 기준 800곳)뿐만 아니라 신가이의 공장 지대로까지 확대되었다.[16][1]

다음 단계로 1977년에는 신가이의 8개 구에 자문위원회를 설립했는데, 췬완구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 위원회는 위원 전원이 임명직이었으며, 기존의 도시 지역 기구보다 더 공식적인 조직으로서, 지역 문제 자문, 소규모 지역 사업 건의, 문화 및 여가 활동 시행 등을 담당했다.

2. 2. 설립 이후

1982년, 머레이 맥레호스 총독 재임 시절 구 행정 계획(District Administration Scheme)에 따라 구의회(District Board, 區議會)가 처음 설치되었다. 구의회의 설립 목적은 구(區) 차원에서 행정 서비스 및 공공시설 제공과 관련하여 정부 활동의 조정을 개선하는 것이었으며, 초기에는 기존 구 자문위원회(District Advisory Board)의 역할을 인수했다.[1][2] 자문위원회 시절에는 임명직과 공무직 의원으로만 구성되었으나, 1982년 구의회로 전환되면서부터는 선거로 선출된 의원도 포함하게 되었다.[1]

홍콩 입법회에 민주주의적 요소를 도입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홍콩 정부는 일부 입법회 의원을 구의회 의원들이 간접적으로 선출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1985년에는 구의회 의원들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12명의 입법회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이 방식은 1988년과 1995년에도 이어졌다.[3]

1997년 홍콩 특별행정구(HKSAR)가 수립된 후, 소위 '직통열차(through-train)'(영국령 홍콩의 마지막 입법국 의원들이 1997년 이후에도 임기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한 초기 구상이었으나, 중국 측의 반대로 무산되고 임시입법회가 구성되었다. 구의회 차원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임시 구의회가 구성되었음을 시사한다) 논의와는 별개로 기존 구의회는 임시 구의회(Provisional District Board)로 전환되었다. 이 임시 구의회는 기존 구의회 의원 전원에 더해 행정장관이 임명한 인물들이 추가로 포함되었다. (영국 식민 통치 하에서는 총독이 의원을 직접 임명하지는 않았다.)

이후 1999년 초, 입법회는 임시 구의회를 대체할 새로운 구의회의 설립, 구성, 기능을 규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과정에서 식민 당국에 의해 폐지되었던 향의국(Rural Committee)의 당연직 의석 27석이 부활했다.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여론 조사나 주민투표 요구를 거부하고, 1997년부터 관련 문제를 검토해 98건의 긍정적 의견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파 진영은 이 조치가 식민 시대보다 후퇴한 것이라며 '민주주의의 퇴보'라고 비판했다.[4]

2010년, 정부는 선출직 구의원들의 비례대표제로 선출되는 5명의 입법회 의석(구의회 기능 선거구)을 추가하는 안을 제안했다.[5] 민주당과 중국 정부 간의 정치적으로 논란이 된 합의(이 합의는 당시 민주당 내에서도 큰 논란을 일으켰으며, 일부 강경파는 탈당하여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기도 했다)를 통해, 이 5석은 다른 기능 선거구 투표권이 없는 일반 유권자들이 선출하는 방식(소위 '슈퍼 구의원')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의 구의원 임명 제도 하에서는 전체 534명의 구의원 중 102명이 행정장관에 의해 임명되었고, 나머지는 각 지역구 유권자들에 의해 선출되었다. 이 임명 제도는 2013년에 폐지되었으며, 2015년 선거 이후 구성된 구의회부터는 더 이상 임명직 의원이 없게 되었다.

2023년, 홍콩 정부는 구의회 직접 선출 의석 수를 기존 452석에서 88석으로 대폭 축소하고, 전체 의석 수는 479석에서 470석으로 소폭 줄이는 개편안을 발표했다. 또한, 선거에 출마하려는 모든 구의원 후보자는 신설된 구의회 자격심사위원회(District Council Eligibility Review Committee)의 심사를 통과해야만 하도록 변경되었다. 이 개편안은 2023년 7월 입법회에서 통과되었다.[6][7][8] 이는 구의회의 민주적 대표성을 크게 약화시키는 조치로 평가받는다.

3. 기능

홍콩 구의회는 홍콩 정부 측에 지역 현안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자문 범위는 다음과 같다.[1][2]


  • 구(區) 내 주민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 구 내 공공 시설 및 서비스의 제공 및 사용
  • 구에 대한 정부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우선순위
  • 지역 공공 사업 및 지역 사회 활동을 위해 구에 할당된 공적 자금의 사용


또한, 구의회는 정부로부터 배정받은 예산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정(區政) 활동을 수행한다.[1][2]

  • 환경 개선
  •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 활동 장려
  • 지역 사회 활동


그러나 구의회는 예산 승인권이나 조례 제정권 등 실질적인 의결 권한을 갖지 못하는 자문 기관에 가깝다.[3] 따라서 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이며, 공공 시설 운영이나 도시 계획 등에 대해 정부에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의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3]

홍콩의 구(區)는 자치 단체나 지방 정부가 아니며, 구의회 설치에 따라 행정 편의상 구분된 것이다. 홍콩 정부는 필요에 따라 구를 나누거나 합칠 수 있다.[3] 각 구의회에 대응하는 행정 조직은 해당 구의 민정 사무처이며, 이는 홍콩 정부 민정 사무국 산하 민정 사무 총서의 하부 기관이다. 민정 사무처의 책임자인 민정 사무 전원이 주재하는 지구 운영 위원회에는 구의회 의장과 부의장도 참여하여 정부와 구의회 간의 의견 교환이 이루어진다.[3]

과거 쩡인취안 행정 장관은 2005년 시정 보고에서 구의회의 권한 강화를 추진하며 도서관, 커뮤니티 홀, 수영장 등 일부 공공 시설의 관리 권한을 구의회에 위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4] 이에 따라 2007년부터 툰먼구, 완차이구, 황다이센구, 사이쿵구 4개 구에서 시범적으로 실시될 예정이었다.[4] 또한, 비록 입법회에서 부결되었지만, 2005년 홍콩 정부가 제시했던 정치 제도 개혁안에는 선거 위원회의 정원을 대폭 늘리고 그 상당수를 구의회 의원으로 채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4] 이는 향후 구의회 및 구의원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4. 구성

위원회도시
의회비공식공식1982년1982년 4월 1일 – 1985년 3월 31일1322730—1341674901985년1985년 4월 1일 – 1988년 3월 31일2372730—132—4261988년1988년 4월 1일 – 1991년 3월 31일2642730—141—4621991년1991년 4월 1일 – 1994년 9월 30일27427——140—4411994년1994년 10월 1일 – 1997년 6월 30일34627————373(임시)1997년 7월 1일 – 1999년 12월 31일————469—4691999년2000년 1월 1일 – 2003년 12월 31일39027——102—5192003년2004년 1월 1일 – 2007년 12월 31일40027——102—5292007년2008년 1월 1일 – 2011년 12월 31일40527——102—5342011년2012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41227——68—5072015년2016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43127————4582019년2020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45227————4792023년2024년 1월 1일 – 현재8827—176179—470



''출처: [https://www.legco.gov.hk/yr05-06/english/panels/ca/papers/ca0427cb2-consultation-e.pdf Review of the Roles, Functions and Composition]''

구의회 선거는 일반적으로 입법회 선거보다 투표율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이는 구의회의 제한된 권한과 생활 밀착형 쟁점 중심의 선거 운동 때문으로 분석된다. 선거구 규모가 작아(기준 인구 약 1만 7천 명) 적은 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의 영향으로 치러진 2019년 선거에서는 투표율이 71.23%까지 치솟아 홍콩 직접 선거 도입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이 선거에서 민주파 진영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4. 1. 의원

홍콩 구의회는 다음 세 종류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 결과에 따른 2020년 1월 2일 기준 구의회별 정당 의석 분포이다.

구의회/
정당
중서완차이동구남구야우짐몽삼수이포구룡성웡타이신관통추엔완툰문위엔롱북구타이포사이쿵사틴퀘이칭도서합계
민주당7474210693775612190
공민당511424373232
신민주동맹2349119
민주민생협진회113519
사틴 지역사회88
추호이딕 팀1247
노동당212117
청관오 생계 관심 그룹66
지역사회 행진55
지역사회 연합415
툰문 네트워크44
가방급공인복무처134
톈수이웨이 연결44
타이포 민주 연합33
빅토리아 사회 협회213
공민 열정112
위엔롱 민주 연합22
심사 추엔완22
청관오 개척자22
사회민주연선112
사이쿵 공통22
청관오 샤이닝22
시민의 힘11
홍콩 권한 부여11
칭이 사람들11
룽문 관심 그룹11
창사완 서부 전선11
샤우케이완 동부의 미래11
추엔완 네트워크11
구룡 동부 지역사회11
시너지 구룡11
시민 자율 권한11
톈수이웨이 생계 진전 연합11
무소속 & 기타 (민주)58197744131336137731684147
'친민주 진영'1493215172215252816283315192640277388
민주건항협진연맹11246113121
공회련합회111115
자유당111115
경민련3115
공옥련회213
원탁회의112
무소속 & 기타 (친중)3122321252511048
'친중국 진영'143232100124412725251189
기타112
공석
구의원151335172025252540213245222131423218479


4. 2. 구의회 목록

홍콩의 18개 구역 지도


홍콩에는 총 18개의 구의회가 각 구역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구의회 목록은 아래 표와 같다.

홍콩 18개 구의회 목록 (2021년 기준, 표의 번호는 오른쪽 지도 번호와 일치)[9]
번호구역지역의석수인구 (2021년)
1중서구홍콩섬20235,953
2동구30529,603
3남구20263,278
4완차이구10166,695
5구룡성구구룡20410,634
6관당구40673,166
7심수보구20431,090
8황대선구20406,802
9유점망구20310,647
10도서구신계18185,282
11과이칭구32495,798
12북구24309,631
13서공구32489,037
14사전구42692,806
15대포구22316,470
16전만구22320,094
17둔문구32506,879
18원랑구46668,080


5. 역대 선거

1982년 머레이 맥레호스 경 총독 재임 시절, 구 행정 계획에 따라 구의회 제도가 처음 도입되었다. 이는 지역 수준에서 정부 서비스 및 시설 제공의 조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기존의 지구 자문 위원회 역할을 대체했다.[1][2] 초기 구의회는 임명직 의원과 정부 관리로만 구성되었으나, 1982년부터는 각 구의회의 일부 의원을 선거로 선출하기 시작했다.[1]

입법회에 민주적 요소를 도입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정부는 일부 입법회 의원을 구의회 의원들이 간접적으로 선출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1985년에는 구의원들로 구성된 '선거인단'이 12명의 입법회 의원을 선출했으며, 이러한 방식은 1988년과 1995년에도 이어졌다.[3]

구의회 설립과 함께 만 21세 이상의 홍콩 시민에게 선거권이 주어졌으며, 구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현재 민선 의원은 소선거구제로 선출되지만, 과거에는 한 선거구에서 2명을 선출하고 유권자가 2표를 행사하는 특수한 중선거구제가 사용되기도 했다.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의원 외에도, 행정장관이 임명하는 위임(임명) 의원과 특정 직위에 따라 당연직으로 의원이 되는 당연(겸직) 의원 제도가 존재했다. 위임 의원은 패튼 총독 시절인 1995년 개혁으로 잠시 폐지되었으나, 홍콩 반환 이후 부활하여 한때 전체 구의원 중 102석을 차지했다. 당연직 의원은 신계 원주민의 자치 조직인 향사위원회에서 호선으로 선출하는 대표(전체 구의원 중 27석)이다. 입법회와 비교할 때, 구의회는 상대적으로 민선 의원의 비율이 높았다.

1997년 홍콩 특별 행정구(HKSAR) 수립 후, 기존 구의회는 임시 구의회로 전환되었으며, 기존 의원 전원에 더해 행정장관이 임명한 인사들이 추가되었다. 이는 영국 통치 하에서 총독이 의원 임명을 자제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조치였다.

1999년 초, 입법회는 임시 구의회를 대체할 새로운 구의회의 설립, 구성, 기능을 규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식민 당국에 의해 폐지되었던 향촌 위원회의 당연직 의석 27석을 복원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여론 조사나 국민 투표를 거부하며, 1997년부터 연구해 왔고 98건의 긍정적 의견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주 진영은 이를 식민 시대로의 회귀이자 "민주주의의 후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4]

2010년, 정부는 5명의 입법회 의원을 구의회 기능 선거구에 추가하고, 선출된 구의원들의 비례대표제로 선출할 것을 제안했다.[5] 그러나 민주당과 중국 베이징 정부 간의 정치적으로 논란이 많은 타협(2012년 행정 장관 선출 및 입법회 구성 방식에 관한 협의 문서 참조)을 통해, 이 5석은 기능 선거구 투표권이 없는 일반 유권자 중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구의원 임명 제도는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으며, 특히 친정부 성향 인사 위주로 임명되어 민주 진영의 영향력을 약화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이 제도는 2013년 폐지 결정이 내려졌고, 2015년 선거 이후 출범한 구의회부터는 임명직 의원이 완전히 사라졌다.

그러나 2023년, 정부는 구의원 직접 선출 의석을 기존 452석에서 88석으로 대폭 줄이는 한편, 전체 의석수는 479석에서 470석으로 소폭 줄이는 개편안을 발표했다. 또한, 선거에 출마하려는 모든 후보자는 신설된 구의회 적격 심사 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해야만 한다. 이 개편안은 민주주의의 심각한 후퇴라는 비판 속에서 2023년 7월 입법회에서 통과되었다.[6][7][8]

대수임기의장 선출방식비공무직공무직의원수 합계
지역구 의원임명 의원직무 의원시의회 의원
1대1982년 4월 1일 ~ 1985년 3월 31일구청 임원1321342730167490
2대1985년 4월 1일 ~ 1988년 3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2371322730426
3대1988년 4월 1일 ~ 1991년 3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2641412730462
4대1991년 4월 1일 ~ 1994년 9월 30일의원 중에서 선출27414027441
5대1994년 10월 1일 ~ 1997년 6월 30일의원 중에서 선출34627373
6대1997년 7월 1일 ~ 1999년 12월 31일
(임시구의회)
임시구의회 의원 중에서 선출469469
7대2000년 1월 1일 ~ 2003년 12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39010227519
8대2004년 1월 1일 ~ 2007년 12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40010227529
9대2008년 1월 1일 ~ 2011년 12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40510227534
10대2012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4126827507
11대2016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43127458
12대2020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의원 중에서 선출45227479



선거구는 인구 1만 7천 명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큰 아파트 단지 하나가 하나의 선거구가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구의회 의원은 주민들과 물리적 거리가 매우 가깝고, 선거에서는 거대 담론보다는 생활 밀착형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유권자들이 반드시 민주화에 적극적인 민주파 후보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며, 친중 성향의 노동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DAB) 등 친중파 정당에 투표하는 비율도 상당하다.

또한 구의회의 권한이 제한적이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인식되어, 일반적으로 투표율은 입법회 선거(보통 50%대)보다 낮은 40~45% 수준에 머물렀다. 소선거구제 특성상 한 선거구의 총 투표수가 적어(일부 선거구는 2000표 내외), 적은 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기도 한다.

=== 역대 주요 선거 ===

;1999년 선거

1999년 11월 28일 실시되었다. 홍콩 반환 후 첫 구의회 선거로, 민주파와 친중파(좌파) 세력이 팽팽하게 맞섰다. 선거 후 둥젠화 행정장관은 자유당, 민주건항협진연맹(DAB), 홍콩 진보연맹 등 친정부 성향 정당 소속 41명을 포함한 100명의 의원을 임명했으며, 민주 진영 인사는 단 한 명도 임명되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11]

;2003년 선거

2003년 11월 23일 실시되었다. 홍콩 기본법 23조에 따른 국가보안법 제정 추진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감이 크게 작용하여, 친중파가 참패하고 민주당을 비롯한 민주파가 압승을 거두었다. 선거 후 둥젠화 행정장관은 또다시 자유당 8명, DAB 6명, 진보연맹 6명 등 21명의 친정부 성향 인사를 임명하여 민주 진영의 영향력을 희석시키려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2] 홍콩 링난 대학교의 리펑광 교수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임명직은 친정부 성향이거나 뚜렷한 정치적 입장이 없는 사람들로, 어떤 구의회도 민주 진영의 손에 들어가지 않도록 했다"고 지적했다.[11] 민주 진영은 임명직 의원들이 정부 지원을 통해 향후 선거에서 불공정한 이점을 갖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11]

;2007년 선거

2007년 11월 18일 실시되었다. 친중파인 민주건항협진연맹(DAB)이 의석을 크게 늘린 반면, 민주파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선거 후 도널드 창 행정장관은 자유당 13명, DAB 11명 등 27명의 임명직 의원을 지명했으며, 2003년에 이어 이번에도 민주 진영 인사를 배제하여 비판을 받았다.[12]

;2011년 선거

2011년 11월 6일 실시되었다. 친중파인 민주건항협진연맹(DAB)이 다시 한번 의석을 늘리며 제1당 지위를 굳혔고, 민주파는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선거 후 도널드 창 행정장관은 68명의 의원을 임명했으며, 여전히 민주 진영 인사는 포함되지 않았다.

;2015년 선거

2015년 11월 22일 실시되었다. 임명직 의원 제도가 폐지된 후 치러진 첫 선거였다. 친중파와 민주파의 전체 의석수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민주파 의석수가 소폭 증가했다. 특히 우산 혁명의 영향으로 정치에 참여한 신진 후보들, 소위 '우산병(Umbrella Soldiers)' 중 8명이 당선되어[14] 일부 기존 친중파 의원을 낙선시키는 이변을 낳기도 했다. 투표율은 47.01%로 당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15]

;2019년 선거

2019년 11월 24일 실시되었다.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가 격화되는 가운데 치러진 선거로, 민주파가 전체 의석의 약 85% (452석 중 388석)를 휩쓸며 압승을 거두었고, 친중파는 참패했다. 민주파는 사상 처음으로 구의회 전체 의석의 과반수를 차지했으며, 18개 구 중 17개 구에서 과반수를 확보했다 (이 중 웡타이신구와 타이포구에서는 민선 의석 전체를 석권). 투표율 역시 홍콩 역사상 최고인 71.23%를 기록하며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열망을 보여주었다.

;2023년 선거

2023년 선거 제도가 대폭 변경된 후 치러질 예정이다. 직접 선출 의석이 크게 줄어들고 후보자 자격 심사가 도입되어 선거의 민주성이 크게 후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비판 및 논란

구의회는 때때로 정부를 맹목적으로 지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홍콩 령남대학교의 리펑광 교수는 구의회가 내무민정사무국 산하에 있어 정부와 지나치게 긴밀하게 협력하게 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는 13개 구의회에서 정부 결정을 지지하기 위해 통과된 "복사 및 붙여넣기"식 퀸스 부두 보존 관련 결의안을 예로 들며, 이는 구의회가 정부의 거수기 역할에 머물며 독립성이 부족하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비판했다. 리 교수는 2007년 보편적 선거권 문제에 대한 정부 주도의 유사한 "공청회" 당시에도 3분의 2에 달하는 구의회가 정부 입장을 지지하는 결정을 내렸던 사례를 언급했다.

2008년에는 퀸스 부두 이전을 지지하는 구의회 결의안이 실제로는 정부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민주파 정치인 호알버트는 정부가 구의회를 조작하여 "여론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역 공무원들을 선동가로 만들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10]

참조

[1] 서적 Political Change and the Crisis of Legitimacy in Hong Kong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
[2] 웹사이트 District Administration http://www.gov.hk/en[...] Hong Kong Government 2008-09-07
[3] 뉴스 Universal suffrage an elusive goal South China Morning Post 2009-11-14
[4] 뉴스 Referendum ruled out on seats issue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1999-01-20
[5] 뉴스 Grab this golden chance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0-04-15
[6] 뉴스 Hong Kong cuts directly elected District Council seats as overhaul unanimously approved https://hongkongfp.c[...] Hong Kong Free Press 2023-07-06
[7] 웹사이트 Ordinance passed and promulgated https://www.gld.gov.[...] Hong Kong Government Gazette 2023-07-10
[8] 웹사이트 District Councils (Amendment) Ordinance 2023--Ordinance No. 19 of 2023 https://www.gld.gov.[...] Hong Kong Government Gazette 2023-07-10
[9] 간행물 2021 Population Census: Summary Results https://www.censtatd[...]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Government of Hong Kong 2022-02
[10] 뉴스 'Rubber stamp' council lashed over pier vote 2008-06-24
[11] 뉴스 Tung picks 'dilute' bodies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03-12-29
[12] 뉴스 Tsang grooms his kind of political talent South China Morning Post 2008-06-24
[13] 웹사이트 普查結果〉地區概覽 http://www.census201[...] 2013-02-06
[14] 웹사이트 香港区議会選:民主派やや伸長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12-01
[15] 웹사이트 香港区議選、親中国派が多数維持 改選議席の5割獲得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12-01
[16] 서적 Political Change and the Crisis of Legitimacy in Hong Ko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
[17] 웹사이트 District Administration http://www.gov.hk/en[...] Hong Kong Government 2008-09-07
[18] 뉴스 Universal suffrage an elusive goal South China Morning Post 2009-11-14
[19] 웹인용 地區概覽 https://www.bycensus[...] 2020-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