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우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우룽은 홍콩의 가우룽반도와 신가우룽 지역을 포괄하는 지역으로, 중국 왕조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1842년 홍콩섬이 영국 식민지가 되고 1860년 가우룽반도 남쪽이 할양되었으며, 1898년 신가우룽이 99년간 영국에 조차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으며, 현재는 가우룽반도를 중심으로 5개의 구(區)로 구성된다. 가우룽이라는 이름은 9개의 용과 관련된 여러 설이 있으며, 빅토리아 항구를 사이에 두고 홍콩 섬과 마주하고 있다. 2011년 기준 210만 명이 거주하며, 한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대중교통이 발달했으며, 첵랍콕에 홍콩 국제공항이 건설되기 전까지는 카이탁 공항이 홍콩의 관문 역할을 했다. 가우룽은 네이선 로드를 중심으로 상업, 주거 지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침사추이, 웡곡, 훙함 등 주요 지역이 있다. 또한, 홍콩의 문화 콘텐츠에서 촬영지나 무대로 자주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우룽 - 베이징 조약
    베이징 조약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톈진 조약 비준 강요, 영토 할양 및 배상금 지불을 통해 청나라 주권을 훼손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심화시켰으며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가우룽 - 제2차 아편 전쟁
    제2차 아편 전쟁은 1856년부터 1860년까지 영국과 프랑스가 아편 무역 합법화와 무역 확대를 목표로 청나라를 상대로 일으킨 전쟁으로, 애로호 사건을 빌미 삼아 톈진 조약을 체결하게 했고, 청나라는 서구 열강에 더 많은 이권을 양도하며 문화적 손실을 겪었다.
  • 홍콩의 지역 - 짐사저이
    침사추이는 홍콩 야우짐웡 구에 위치한 '뾰족한 모래톱'이라는 뜻의 지명으로, 관광, 쇼핑, 숙박 시설이 밀집된 홍콩의 주요 관광지이며 빅토리아 항과 스타의 거리 등이 있는 명소이다.
  • 홍콩의 지역 - 코즈웨이베이
    코즈웨이베이는 홍콩섬의 쇼핑,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며, 과거 어촌에서 간척 사업을 통해 개발되어 소고 백화점, 타임스 스퀘어 등 대형 쇼핑몰과 빅토리아 공원 등의 명소가 위치하고 MTR 등 대중교통이 발달했다.
가우룽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홍콩 섬에서 바라본 구룡
홍콩 섬에서 바라본 구룡
홍콩 내 위치 (녹색)
홍콩 내 위치 (녹색)
지리
면적 (육지)67 km²
인구 통계
인구 (2011년)2,108,419 명 (210만 명)
인구 밀도43,033/km2
일반 정보
공식 명칭구룡
로마자 표기Gaullong
중국어 (간체)九龙
표준 중국어 병음Jiǔlóng
광동어 예일Gáulùhng
광동어 광표gau2 lung4
객가어Giu3-lung2
오어Chiu3-lung2
민난어Jiu2-long2

2. 역사

1842년 난징 조약으로 홍콩섬이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가우룽(구룡)반도 남쪽이 영국령이 되었다.[3] 1898년 제2차 베이징 조약에 따라 가우룽반도 북쪽 지역(신가우룽)이 99년 동안 신계의 일부로 영국에 조차되었다. 신가우룽 안에는 과거 구룡성채(구룡채성)가 있던 홍콩의 지역인 가우룽 시가 있는데, 송나라 시대(960-1279)에는 꽌푸창()이라고 불렸다. 구룡성채는 1993년에 철거되었다.[3]

1937년, 당시 홍콩 정부는 도시권 확장을 위해 신계의 일부 지역을 신가우룽으로 정했다. 레이유먼 - 페이응산 - 타이로산 - 사자산 - 비컨 힐 - 메이푸신춘 - 옹선저우를 잇는 선보다 남쪽 지역이었다.

법적으로 "가우룽"은 경계선 남쪽과 스톤커터스 섬 지역만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신가우룽은 신계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고, 경계선 북쪽이나 남쪽을 막론하고 가우룽 도시 지역의 일부로 간주된다.

가우룽의 대규모 개발은 20세기 초 가우룽-광저우 철도와 가우룽 부두 건설과 함께 시작되었지만, 카이탁 공항과 매우 가까워 건물 높이가 제한되었다. 그 결과, 홍콩 섬에 비해 가우룽은 훨씬 낮은 스카이라인을 가지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우룽은 새로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온 난민을 위한 슬럼이 공공 주택 단지로 바뀌면서 개인 주거, 상업 및 산업 지역과 혼합되어 극도로 혼잡해졌다.

1911년 인구 조사는 7,306명으로 기록되었으며, 대부분이 객가인이었다.[4] 1937년 일본의 중국 침략으로 인해 가우룽의 인구가 급증했다. 1937년에서 1939년 사이에 75만 명의 난민이 가우룽과 인근 지역에 도착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거주지가 없었다.[5]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과 함께 가우룽 전 지역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다.

3. 명칭

가우룽(九龍)이라는 이름은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남송의 유황제가 몽골 제국에 쫓겨 피난가면서 주위에 있는 8개 산을 용에 비유하고 자신을 포함해서 가우룽이라고 했다는 설, 주위에 있는 9개 산에서 용이 내려와 이곳이 발전하게 된다는 풍수설, 9형제 어부가 물가에서 놀고 있던 중에 용이 산으로 변했다는 설, 이 땅에 용씨 성을 가진 가족이 9명 살고 있다는 설 등이 있다.[1] 9라는 숫자는 중국에서는 "영원하다"라는 의미를 지녀, 경사스러운 단어로 간주된다. 그리고 도 중국에서는 상상 속의 동물이자 행운의 동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설에 나오는 산이 어느 산인가 하는 것은 몇 가지 설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아래와 같다.

산 이름한자높이
칭산/캐슬피크靑山583m
다이모산大帽山958m
다이로산/테이츠케언大老山583m
시지산/라이언록獅子山495m
페이오산/가우룽피크飛鵝山602m
남세짐/샤프피크蚺蛇尖468m



일본에서는 구룡을 "'''쿠론'''"이라고 읽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병대 시나어(피진 언어의 일종)이다.[7]

4. 행정 구역

가우룽은 홍콩의 행정 구역상 다음의 구(區)들로 구성된다.

구(區) 이름
가우룽싱 구
야우짐웡 구
삼서이보 구
군통 구
웡다이신 구



입법회 선거에서는 가우룽을 2개의 선거구로 나눈다.

선거구 이름포함되는 구
가우룽 동쪽 (Kowloon East)군통 구, 웡다이신 구
가우룽 서쪽 (Kowloon West)가우룽싱 구, 야우짐웡 구, 삼서이보 구



신가우룽(新九龍)은 원래 신계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가우룽의 도시권으로 간주된다.

5. 지리

가우룽은 빅토리아 항구를 사이에 두고 홍콩 섬의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는 레이유문 해협, 서쪽으로는 메이푸 선춘, 버터플라이 밸리, 스톤커터스 섬에 접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테이츠 카언과 라이언 록을 포함한 산맥, 남쪽으로는 빅토리아 항구에 접해 있다.[7]

6. 인구

2011년 기준으로, 가우룽의 인구는 2,108,419명이다.[6]

가우룽 주민의 약 94.2%는 한족이며, 인도네시아인(1.8%), 필리핀인(1.5%), 인도인(0.5%), 네팔인(0.4%), 영국인(0.3%) 등이 주요 소수 민족이다.[6] 주민의 약 86%는 광둥어를 일상 언어로 사용하며, 2.3%는 영어, 1.2%는 표준중국어를 사용한다.[6]

7. 교통

가우룽 시가지 내에는 철도 노선, 지하철 노선, 버스 노선 등 대중교통이 종횡으로 정비되어 있다. 구룡 지역을 통과하는 철도로는 MTR이 있다. MTR의 홍함역은 광저우나 포산중국 본토 도시로 향하는 월경 열차의 발착역이 되고 있다. 홍콩 국제공항과 연결되는 공항철도 (Airport Express)는 구룡역을 이용할 수 있다.

버스 노선으로는 2층 버스로 대표되는 구룡 버스 (구바) 등의 대형 버스 회사 노선, 미니버스 운용에 의한 미니버스 노선 등이 있다. 구룡 지역에서의 택시 영업 구역별 차체 도색은 홍콩 섬 등과 마찬가지로 빨간색이다.

구룡 지역에서 홍콩 섬으로 가는 빅토리아 항을 건너는 해저 터널이 있다. 3개의 철도용 터널 (지하철 노선용, 공항철도 및 MTR 둥충선용, MTR 취안완선용, MTR 둥티에선용), 2개의 자동차 전용 터널 (해저 터널과 서부 해저 터널), 및 1개의 지하철 노선과 자동차 도로 병용 터널 (둥구 해저 수이더이는 MTR 장군오선과의 병용)의 총 6개가 개통되어 있다. 섬과 가우룽을 연결하는 다리는 없다.

침사추이에 있는 중항객운마두 (China Ferry Terminal)에서는 광둥성선전, 주하이, 중산, 광저우 난사, 마카오 등으로 가는 제트포일 편 (터보제트)이 발착한다.

8. 주요 지역

가우룽은 네이선 로(彌敦道)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1998년 카이탁 공항 폐쇄 이후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홍콩 섬과 가우룽 지구 사이에는 빅토리아항을 가로지르는 해저 터널이 개통되어 있는데, 지하철 터널 2개, 자동차 터널 2개, 지하철과 자동차 병용 터널 1개 등 총 5개의 터널이 있다. 가우룽은 빅토리아 항구를 사이에 두고 홍콩 섬 바로 북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레이유문 해협, 서쪽으로는 메이푸 선춘, 버터플라이 밸리, 스톤커터스 섬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테이츠 카언과 라이언 록을 포함한 산맥, 남쪽으로는 빅토리아 항구와 접하고 있다.

가우룽을 구성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앤더슨 로드 지역
오스틴
차콰링
청사완
다이아몬드 힐
조던
해머 힐
훙홈
호만틴
카이탁
가우룽 베이
가우룽 시티
가우룽 퉁
관탕
레이치콕
람틴
레이유문
마토와이
몽콕
응아우치완
응아우타우콕
프린스 에드워드
산포콩
사우마우핑
샴수이포
석협미
타이콕추이
토콰완
침사추이
쯔완산
서구룡
웡타이신
야우마테이
야우통


8. 1. 짐사저이와 조던

짐사저이 및 조던은 가우룽반도의 가장 끝 지역에 있는 지구로, 네이선 로드의 시작점이다. 신제방면에서 버스가 이곳으로 오며, 홍콩섬에서 빅토리아 항을 건너는 스타 페리(天星小輪, Star Ferry) 선착장도 설치되어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전에는 홍콩 최대의 철도역인 가우룽역이 있어서, 이 역에서는 주광 철도(KCR:Kowloon Canton Railway)이 발착했다. 광둥성의 광저우나, 상하이, 베이징으로 가는 열차나, 멀리는 홍콩의 옛 종주국인 영국런던으로 가는 직통열차도 발착했다. 하지만, 가우룽역은 지금 가우룽반도 중부의 훙함(紅磡, Hung Hom)으로 이전하면서, 이름도 훙함역이 되었다. 옛날 가우룽역 철거지 부근에는 홍콩 문화 센터, 홍콩 예술관, 홍콩 태공관(홍콩에서 천상관)등의 문화 시설이 건설되었다. 사적으로는 지금도 남아 있는 역의 침사추이 시계탑이다. 짐사저이에는 홍콩에서 최고급인 페닌슐라 호텔이 있고, 저렴한 여관으로 알려진 건물인 충킹 맨션(重慶大廈, Chungking Mansions)이 있는 등 과거와 현재가 혼합되어 있다. 가우룽 공원에는 모스크가 있어서 국제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짐사저이의 페리 승강장


홍콩 문화 센터

8. 2. 웡곡과 야우마데이

야우마테이 주변은 관광객이 많이 모이는 곳으로, 고급 의류점, 환전, 기념품점 등이 많다. 낮부터 밤까지 노점상도 활기 넘치는 모습이다. 이 지역의 네이선 로드에는 네온 간판이 많으며, 홍콩의 서민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웡곡(旺角, Mong Kok)은 의료품점이나 스포츠 용품점이 많이 밀집되어 있어서 홍콩의 20~30대 문화의 중심지이다. 전문 상품 판매만 하는 가게도 있고, GSM방식의 휴대 전화, 주로 일본 만화게임, 만화 관련 상품(직수입품 외에도 타이완 저작권 상품도 많다) 등을 판매하는 상점도 있다.

2004년에는 웡곡 서쪽 일대가 재개발되어 랭엄 플레이스가 완공되었다. 쇼핑몰이나 극장, 영화관, 호텔, 255.1m의 건축물 등이 있어서 새로운 경계가 되었다.

8. 3. 훙함

훙함 (紅磡, Hung Hom)은 훙함역이 있는 곳으로, 주광 철도의 주광둥 철도(동철선) 통근 노선이 지나간다. 선전, 광저우 등 중국 본토로 가는 장거리 열차도 이곳에서 탈 수 있다. 동쪽은 주택가이며 고층 아파트가 많다. 가우룽 역 앞에는 홍콩 체육관(Hong Kong Coliseum)이 있는데, 각종 스포츠 경기나 콘서트 같은 행사가 열린다. 과거 훙함은 지하철이 없어 교통 체증이 심했지만, 2004년 주광둥 철도가 훙함역까지 연장되었고, 2003년에는 주광시 철도(서철선)가 개통되었다.

훙함은 허치슨 왐포아 등이 개발한 광대한 주택 단지와 구광철도의 터미널역인 훙함역이 있는 곳이다.

구광철도 훙함역은 원래 첨사추이에 있던 구룡역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어 구룡역으로 불렸으나, 공항철도둥충선의 구룡역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1998년에 훙함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004년까지는 구광동철(현 동철선)의 기점역이었으나, 침사추이 동역 개업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그러나 2009년 서철선과 연결되면서 훙함~침사추이 구간이 서철선으로 이관되어 다시 기점역이 되었다. 광저우나 포산 등 중국 본토 도시로 가는 직통 월경 열차(성제직통차)는 구광동철 연장 후에도 훙함역을 출발역으로 한다.

동쪽에는 주택가가 있으며 고층 아파트가 늘어서 있다. 훙함역 역 건물 앞에는 홍콩 체육관이 있어 각종 스포츠 경기와 행사가 열린다.

8. 4. 가우룽싱

가우룽싱은 과거 카이탁 공항과 가까웠던 곳으로, 홍콩의 행정 구역상 '''가우룽청''' 구에 포함된다.

이곳에는 일찍이 청나라의 군사 시설이었던 가우룽싱자이(정식 명칭은 가우룽자이싱)가 있었다. 난징 조약베이징 조약으로 홍콩 섬과 가우룽 시가지가 영국조차지가 되었지만, 가우룽싱자이중국의 고립된 지역으로 남았다.

이후 가우룽싱자이는 중국 정부의 관리도, 영국의 주권도 미치지 않는 곳이 되어 슬럼화되었다. 그러나 학교, 양로원, 자경단 등 주민들이 독자적으로 설치한 시설도 있었다. 슬럼은 1994년에 철거되었고, 주민들에게 지급된 보상액은 적어(슬럼화로 부동산 가치가 낮았음) 노숙자가 된 주민도 많았다. 현재는 재개발되어 가우룽자이싱 공원이 건설되어 청나라 시대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가우룽청은 음식점, 특히 태국 요리점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다.

한편, 가우룽싱 서쪽에 인접한 가우룽통은 고급 주택 밀집 지역으로, 아파트와 학교가 들어서 있어 슬럼화된 가우룽싱과는 대조적이다.

8. 5. 가우룽완, 군통

가우룽완(九龍灣)에서 군통(觀塘)에 걸쳐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온 주택지가 있다. 초고층 아파트가 지하철 노선을 따라 늘어서 있으며, 주변 산 중턱까지 이어진다.

해안 지역에는 폐쇄된 카이탁 공항이 가까이 있어, 거대한 창고나 과거 소규모 공장으로 사용되던 건물들이 펼쳐져 있다. 카이탁 공항 부지는 폐쇄 후 한동안 공항 터미널 빌딩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고 카트나 볼링장과 같은 오락 시설, 자동차 전시장, 홍콩 정부의 합동 청사 등으로 사용되었다. 터미널 빌딩은 현재 이미 철거되었다. 그 외에는 구 활주로 부지에 시멘트 공장이 건설되었을 뿐, 눈에 띄는 공사는 오랫동안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근 구 공항 부지는 관통 지구와 함께 홍콩 섬의 센트럴을 능가하는 규모의 오피스街로 변모시키는 개발 계획안이 나오는 등 재개발이 시작되었다.

8. 6. 삼서이보

삼서이보(深水埗, Sham Shui Po)는 과거 단민이라 불리는 수상 생활자들이 밀집해 있었지만, 최근 급속한 개발로 연안 지구가 매립되고 홍콩 사회가 근대화되면서 현재는 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아시아에서 손꼽히는 전자상가가 있는 곳으로, 일본 도쿄아키하바라오사카의 닛폰바시 정도는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삼서이보 전자상가의 모습


鴨寮街중국어(Apliu Street) 등을 중심으로 신품, 중고를 가리지 않고 전기 기구를 취급하는 가게들이 모여 있으며, 최근에는 컴퓨터 부품, 휴대 전화 등 첨단 기기를 취급하는 가게들이 많아졌다. 삼서이보 골든 컴퓨터 센터(Sham Shui Po Golden Computer Centre)나 黃金大廈중국어(Golden Computer Arcade) 등 컴퓨터 기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복합 건물도 있다. 웡곡처럼 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관련 상품도 판매하며 미디어 문화가 확산되었다. 근처 시장 거리와는 격리되어 줄어드는 추세지만, 식재료 가게가 여러 채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서구룡 중심이라는 쇼핑 센터를 갖춘 대규모 실내형 유원지가 있으며, 주변에는 저렴한 의류를 파는 소매점, 도매점도 많다.

8. 7. 사이가우룽

사이가우룽 불물관(안)


'''사이가우룽'''(西九龍, West Kowloon)은 대규모 개발이 진행 중인 곳으로, 부지의 대부분이 매립지이다. 매립 이전에는 선박이 태풍 등 거친 날씨를 피하기 위한 장소(Typhoon Shelter)가 많았다.

홍콩 국제공항으로 직통하는 철도의 가우룽역(홍험에 있는 KCR(현재는 MTR East Rail)역과는 다름) 위에 복합 시설 Union Square가 건설 중이다. 이 시설에는 사무실과 호텔 등이 들어선 지상 484m(118층)의 초고층 빌딩인 인터내셔널 코머스 센터가 KPF에 의해 2011년 완공되었다. 이 건물은 상하이에 있는 지상 491.9m의 상하이 월드 파이낸셜 센터에 이어 중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빌딩이며, 홍콩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있는 세계 최고 높이의 초고층 빌딩 부르즈 할리파(828m), 2013년 6월 완공된 뉴욕 맨해튼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541.3m), 중화민국 타이베이시타이베이 101(509.2m)에 이어 상하이 월드 파이낸셜 센터 다음으로 높은 빌딩이다. 그 외에도 수십 동의 초고층 아파트가 건설 중이다.

이 지역에는 올림픽역(奥運駅|아오윈 역중국어)이 있는데, 원래 지역 이름을 딴 다이곡저이 역(大角咀駅|다이곡저이 역중국어)이 될 예정이었으나, 개통에 즈음하여 리라이산이 홍콩의 올림픽 출전 사상 최초의 메달을 획득함에 따라 이를 기념하여 올림픽 역으로 이름 붙여졌다.[1]

9. 교육

홍콩 폴리텍 대학교 (훙홈)


킹 조지 5세 학교 (호만틴)


가우룽에는 여러 대학교와 학교들이 있다.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목록 (구역별):'''

구역학교 목록
구룡 시티 구구룡 시티 구의 학교 목록
관통 구관통 구의 학교 목록
샴수이포 구샴수이포 구의 학교 목록
웡타이신 구웡타이신 구의 학교 목록
야우짐몽 구야우짐몽 구의 학교 목록



'''대학교 목록:'''


  • 홍콩 시립 대학교
  • 홍콩 이공 대학교
  • 홍콩 침례 대학교
  • 홍콩 공개 대학교
  • 둥와 칼리지
  • 홍콩 남인 전문 대학교
  • 그라티아 크리스찬 칼리지

10. 문화

홍콩 영화텔레비전 프로그램콘텐츠 산업이 번성한 홍콩에서, 가우룽은 촬영지나 무대로 자주 등장한다. 일본의 영화, 프로그램, 애니메이션, 게임 등 콘텐츠에서도 가우룽을 무대로 한 작품이 존재한다.

11. 가우룽을 무대로 한 작품


  • 고르고 13: 구룡의 목 (1977년)
  • 폴리스 스토리/홍콩 국제 경찰 (1985년)
  • 폴리스 스토리 2 - 구룡의 눈 (1988년)
  • 중경삼림 (1994년)
  • 구룡에서 만나요 (1999년)
  • 무간도 삼부작 (2002년~2003년)
  • 구룡즈 게이트 일본 게임 (1997년)
  • 구룡 제네릭 로맨스 마유즈키 준 작 일본 만화 (2019년)
  • 소년 탐정 김전일 홍콩 구룡 보물 살인 사건 (2013년)

참조

[1] 서적 Hong Kong and Macau Lonely Planet Publishing 2006
[2] 웹사이트 KAWLOONG FERRY STATION: Hong Kong postcard (C48147) https://web.archive.[...] 2022-02-27
[3] 서적 10,000 Chinese Numbers https://books.google[...] Lulu.com 2020-02
[4] 서적 The Hong Kong Region 1850–1911 Hong Kong 2012
[5] 웹사이트 Hong Kong 2003 History http://www.yearbook.[...] 2018-04-28
[6] 웹사이트 District Profiles http://www.census201[...] Hong Kong Census 2011
[7] 문서 ベトナム語ではメコン川のことをSông Cửu Long(瀧九龍:ソン・クー・ロン)と呼ぶが、クー・ロンの部分を漢字で書くと「九龍」となる。
[8] 서적 転がる香港に苔は生えない 情報センター出版局 2000-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