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반은 인간과 다른 동물의 눈 망막 중앙에 위치한 타원형의 색소 침착 부위이다. 황반은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심와를 포함한 여러 세부 영역으로 구성된다. 황반은 노란색을 띠며, 루테인과 제아잔틴과 같은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하여 자외선을 흡수하고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황반 손상은 중심 시야 상실을 초래하며, 황반변성, 황반공, 황반 보존과 같은 다양한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눈 (해부학) - 윙크
    윙크는 눈을 깜빡이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친밀감 표현, 은밀한 메시지 전달, 농담 암시, 성적 관심 표현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문화권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일부 동물에게서도 관찰된다.
  • 눈 (해부학) - 홍채
    홍채는 눈의 색을 결정하고 동공 크기를 조절하여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멜라닌 색소의 양에 따라 다양한 색깔을 나타내고 개인 식별 및 건강 상태 분석에 활용되기도 한다.
황반
개요
명칭황반
라틴어macula lutea
설명망막의 중심 부근에 위치한 타원형의 색소 부위
상세 정보
위치망막 중심 부근
형태타원형
크기약 5.5mm
중심오목약 1.5mm
기능중심 시력을 담당
관련 질병
주요 질환황반변성

2. 구조

사람 눈의 망막 사진. 황반, 중심와, 시신경 유두의 위치와 크기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겹쳐져 있음


망막의 황반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그림. 중심주위부, 근중심와, 중심와, 임상적 황반을 보여줌


황반은 사람 눈과 다른 동물의 눈 망막 중앙에 있는 타원형의 색소 침착 부위이다. 중심은 광축에서 약간 측면으로 5°(1.5 mm) 벗어난 곳에 위치한다.[6]

2. 1. 세부 영역



사람 눈의 황반은 직경이 약 5.5mm이며, 움보, 중심오목, 중심와 무혈관 영역, 중심와, 근중심와, 중심주위부 영역으로 나뉜다.[2] 수용체 밀도가 가장 높은 더 작은 중앙 영역(40~80 μm)은 때때로 '중심와 다발(foveal bouquet)'이라고 한다.[7][8][9][10] 해부학적 황반(5.5mm)은 해부학적 중심와(1.5mm)에 해당하는 임상적 황반보다 훨씬 크다.[3][4][5]

임상적 황반은 검안경이나 망막 사진에서처럼 동공을 통해 볼 때 관찰된다. 해부학적 황반은 조직학적으로 두 개 이상의 층의 신경절 세포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된다.[11] 움보는 중심오목의 중앙이며, 중심오목은 중심와의 중앙에 위치한다.

중심와는 황반 중앙 근처에 위치한다. 원뿔 세포가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는 작은 오목이다. 망막의 수용체층에는 두 가지 유형의 감광 세포인 간상 세포와 원뿔 세포가 있다.

2. 2. 색깔

황반은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눈에 들어오는 과도한 청색광과 자외선을 흡수하여 망막의 이 부분에 대한 자연적인 자외선 차단제(선글라스와 유사) 역할을 한다. 이 노란색은 식단에서 유래한 노란색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루테인제아잔틴의 함량 때문이다. 제아잔틴은 황반에서 우세하고, 루테인은 망막의 다른 부분에서 우세하다. 이러한 카로티노이드가 색소 상피를 특정 유형의 황반변성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10mg의 루테인과 2mg의 제아잔틴으로 구성된 제제는 연령 관련 황반변성이 진행 단계로 진행될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카로티노이드가 질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12]

사망 후 또는 안구 적출(눈 제거) 후 황반은 노란색으로 보이는데, 이 색깔은 붉은색이 제거된 빛으로 볼 때를 제외하고는 살아있는 눈에서는 보이지 않는다.[13]

3. 기능

황반은 높은 시력을 위해 특수하게 구성되어 있다. 망막 중심와는 시력을 위해 특화되어 있는데, 중심와 내에는 고밀도의 원추세포를 포함하는 중심오목과 중심와가 있다. 원추세포는 고시력을 가진 광수용체 신경 세포이다. 중심와는 밝은 빛에서 고해상도 색각을 담당하며, 황반변성과 같이 중심와가 손상되면 시력이 손상된다.[14]

3. 1. 고해상도 시력

황반의 구조는 높은 시력을 위해 특수하게 구성되어 있다. 망막 중심와의 구조는 시력을 위해 특화되어 있는데, 중심와 내에는 고밀도의 원추세포를 포함하는 중심오목과 중심와가 있다. 원추세포는 고시력을 가진 광수용체 신경 세포이다.

정상적인 사람의 눈에는 세 가지 종류의 원추세포가 있으며, 각각 다른 스펙트럼 감도 범위를 가지고 있다. 뇌는 이웃하는 원추세포로부터의 신호를 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분한다. 간상세포는 한 종류만 있지만, 간상세포는 원추세포보다 더 민감하기 때문에 어두운 빛에서는 지배적인 광수용체로 작용하며, 원추세포의 별개의 스펙트럼 감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없이는 색상을 구별할 수 없다. 중심와에는 원추세포가 우세하며 고밀도로 존재한다. 따라서 중심와는 밝은 빛에서 가능한 중심부의 고해상도 색각을 담당하며, 예를 들어 황반변성과 같이 중심와가 손상되면 이러한 시력이 손상된다.[14]

3. 2. 색각

황반의 구조는 높은 시력을 위해 특수하게 구성되어 있다. 망막 중심와의 구조는 고시력을 위해 특화되어 있는데, 중심와 내에는 고밀도의 원추세포를 포함하는 중심오목과 중심와가 있다. 원추세포는 고시력을 가진 광수용체 신경 세포이다.

정상적인 사람의 눈에는 세 가지 종류의 원추세포가 있으며, 각각 다른 스펙트럼 감도 범위를 가지고 있다. 뇌는 이웃하는 원추세포로부터의 신호를 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분한다. 간상세포는 한 종류만 있지만, 간상세포는 원추세포보다 더 민감하기 때문에 어두운 빛에서는 지배적인 광수용체로 작용하며, 원추세포의 별개의 스펙트럼 감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없이는 색상을 구별할 수 없다. 중심와에는 원추세포가 우세하며 고밀도로 존재한다. 따라서 중심와는 밝은 빛에서 가능한 중심부의 고해상도 색각을 담당하며, 예를 들어 황반변성과 같이 중심와가 손상되면 이러한 시력이 손상된다.[14]

4. 임상적 의의

검안경이나 망막 사진 촬영처럼 동공을 통해 볼 때 임상적으로 황반이 보인다. 황반 손상은 중심 시야 상실을 초래하여 즉시 명확하게 나타나는 반면, 말초 시야 상실은 어느 정도 시간 동안 눈치채지 못할 수 있다. 황반의 진행성 파괴는 황반변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반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반공은 외상으로 인해 드물게 발생하지만, 심한 타격으로 혈관이 파열되면 황반이 파괴될 수 있다.[14]

황반의 시각 입력은 뇌 시각 능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황반을 포함하지 않는 시야 결손은 '황반 보존'으로 불린다. 시야 검사에서 동측성 반맹과 황반 보존을 확인할 수 있다. 후대뇌 동맥 폐쇄로 인한 후두두정부 허혈의 경우, 환자는 안톤 증후군처럼 실명을 부인하는 피질 실명을 보일 수 있지만, 황반은 중대뇌 동맥의 측부 순환 덕분에 보존될 수 있다.[15] 황반 보존을 확인하는 신경학적 검사는 뇌경색에 의한 손상 유형, 즉 미추 시각 피질(시신경 황반 투영의 주요 수용체) 보존을 나타내는 데 도움이 된다. 외측 슬상핵을 포함한 구심성 피질 손상은 뇌경색의 결과일 가능성이 적다.[16]

4. 1. 황반변성

말초 시야 상실은 어느 정도 시간 동안 눈치채지 못할 수 있지만, 황반 손상은 중심 시야 상실을 초래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즉시 명확하게 나타난다.

황반의 진행성 파괴는 황반변성으로 알려진 질병이며, 때때로 황반공의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반공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심한 타격을 받으면 황반으로 가는 혈관이 파열되어 황반이 파괴될 수 있다.[14]

황반으로부터의 시각 입력은 뇌의 시각 능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그 결과, 황반을 포함하지 않는 시야 결손의 일부 형태는 '''황반 보존'''으로 불린다. (예를 들어, 시야 검사는 ''동측성 반맹과 황반 보존''을 보여줄 수 있다.)

후대뇌 동맥의 요소 폐쇄로 인한 후두두정부 허혈의 경우, 환자는 피질 실명(드물게 환자가 실명을 부인하는 실명을 포함할 수 있음, 안톤 증후군에서 볼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지만, 황반은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보존은 중대뇌 동맥이 황반로에 제공하는 측부 순환 때문이다.[15] 황반 보존을 확인하는 신경학적 검사는 뇌경색에 의해 매개되는 손상의 유형을 나타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이 경우 미추 시각 피질(시신경의 황반 투영의 주요 수용체임)이 보존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외측 슬상핵을 포함하여 그보다 구심성인 피질 손상은 뇌경색의 결과일 가능성이 적다. 외측 슬상핵의 상당 부분이 황반 스트림 처리에 비례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이다.[16]

4. 2. 황반공

황반변성은 황반의 진행성 파괴를 일으키는 질병이며, 때때로 황반공의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반공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심한 타격을 받으면 황반으로 가는 혈관이 파열되어 황반이 파괴될 수 있다.[14]

4. 3. 황반 보존

말초 시야 상실은 어느 정도 시간 동안 눈치채지 못할 수 있지만, 황반 손상은 중심 시야 상실을 초래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즉시 명확하게 나타난다.

황반의 진행성 파괴는 황반변성으로 알려진 질병이며, 때때로 황반공의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반공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심한 타격을 받으면 황반으로 가는 혈관이 파열되어 황반이 파괴될 수 있다.[14]

황반으로부터의 시각 입력은 뇌의 시각 능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그 결과, 황반을 포함하지 않는 시야 결손의 일부 형태는 '''황반 보존'''으로 불린다. (예를 들어, 시야 검사는 ''동측성 반맹과 황반 보존''을 보여줄 수 있다.)

후대뇌 동맥의 요소 폐쇄로 인한 후두두정부 허혈의 경우, 환자는 피질 실명(드물게 환자가 실명을 부인하는 실명을 포함할 수 있음, 안톤 증후군에서 볼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지만, 황반은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보존은 중대뇌 동맥이 황반로에 제공하는 측부 순환 때문이다.[15] 황반 보존을 확인하는 신경학적 검사는 뇌경색에 의해 매개되는 손상의 유형을 나타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이 경우 미추 시각 피질(시신경의 황반 투영의 주요 수용체임)이 보존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외측 슬상핵을 포함하여 그보다 구심성인 피질 손상은 뇌경색의 결과일 가능성이 적다. 외측 슬상핵의 상당 부분이 황반 스트림 처리에 비례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이다.[16]

5. 추가 이미지

왼쪽에 반점으로 나타나는 황반을 보여주는 안저 사진. 오른쪽의 혈관이 모이는 부분이 시신경유두이다. 중앙의 회색으로 흐릿한 부분은 그림자 인공물이다.


800nm에서 망막 황반 영역의 시상영역 광간섭단층촬영(OCT), 축 방향 해상도 3μm

참조

[1] 웹사이트 MACULA | Meaning & Definition for UK English https://www.lexico.c[...] Lexico.com 2022-08-24
[2] 웹사이트 Interpretation of Stereo Ocular Angiography : Retinal and Choroidal Anatomy http://www.cybersigh[...] Project Orbis International 2014-10-11
[3] 서적 Ocular Path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11-07
[4] 서적 The Clinical Handbook of Ophthalm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4-11-07
[5] 서적 Vitreoretinal Surgical Techniqu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4-11-07
[6] 서적 Light, colour and vision Chapman & Hall 1957
[7] 학술지 Topography of the layer of rods and cones in the human retina
[8] 서적 The Retin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1
[9] 학술지 Analysis of visual modulation sensitivity. IV. Validity of the Ferry-Porter law.
[10] 학술지 Seven myths on crowding and peripheral vision https://doi.org/10.1[...]
[11] 서적 Clinical Anatomy of the Visual System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11-07
[12] 학술지 Nutrient Supplementation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Cataract, and Dry Eye
[13] 서적 Carotenoids Volume 5: Nutrition and Healt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12-29
[14] 웹사이트 Macular Degeneration https://www.lecturio[...] 2020-10-06
[15] 웹사이트 Posterior Cerebral Artery Stroke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1-10-23
[16] 서적 Essential Neuroscience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7] 웹사이트 網膜・硝子体の病気:加齢黄斑変性 http://www.nichigan.[...] 日本眼科学会 2010-03-31
[18] 웹인용 Interpretation of Stereo Ocular Angiography : Retinal and Choroidal Anatomy http://www.cybersigh[...] Project Orbis International 2014-10-11
[19] 서적 Carotenoids Volume 5: Nutrition and Healt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