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질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병은 병리학적, 생리학적 관점에서 신체 구조 및 기능의 의학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질환, 병, 병행동 등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질병은 감염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으로 분류되며, 원인에 따라 후천성, 선천성, 유전성 등으로 나뉜다. 질병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에서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예방, 치료, 사회적 지원 등의 측면에서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과 사회 - 의사-환자 관계
    의사-환자 관계는 의사와 환자 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하며, 관계의 질은 진단과 치료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 의학과 사회 - 진단서
    진단서는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가 환자나 환축의 질병, 부상, 장애 상태를 증명하는 법적 규제가 엄격한 문서로, 보험금 청구, 질병 휴가, 법적 절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허위 작성 시 처벌받을 수 있다.
  • 질병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질병 - 신경증
    신경증은 윌리엄 컬렌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정신분석학자들에 의해 심리적 외상 및 무의식적 갈등과 관련된 정신적, 신체적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발전했으나,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구체적인 진단명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 인구학 - 죽음
    죽음은 생명 활동의 영구적 종식으로 의학, 법, 사회, 종교, 심리, 생물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전통적인 심폐사 외에 뇌사도 죽음으로 인정되고, 개발도상국은 전염병, 선진국은 노화 관련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이해와 관습이 존재하고, 수명 연장, 냉동 보존술, 존엄사, 안락사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인구학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질병
정의
설명생물체의 정상적인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건
영향생물체의 기능 (생물)
비정상적인 기능
불쾌한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
특징
유발 요인외부 요인 (예: 병원균, 부상)
내부 요인 (예: 유전적 결함)
병인감염성 질환
유전 질환
비감염성 질환
분류병리학
역학
원인
일반적인 원인유전적 요인
병원균
환경적 요인
생활 방식
감염병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비감염병생활습관병
환경 질환
자가면역 질환
만성 질환
유전 질환
정신 질환
분류
감염성 여부전염병
비전염성 질환
발생 속도급성 질환
만성 질환
심각도경증 질환
중증 질환
치명적인 질환
영향 범위국소 질환
전신 질환
관련 분야질병 분류
증상 및 징후
주관적 증상환자가 느끼는 불편함 또는 변화
객관적 징후의료 전문가가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변화
예시통증
발열
피로
발진
기침
구토
설사
진단
과정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실험실 검사
생검
목적질병의 정확한 원인과 유형을 파악
치료
방법약물 치료
수술
방사선 치료
물리 치료
심리 치료
목적질병 완화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건강 회복
예방
방법예방 접종
위생 관리
건강한 생활 방식
환경 오염 방지
정기적인 건강 검진
역학
연구질병의 발생
질병의 분포
질병의 위험 요인
주요 질병심혈관 질환

당뇨병
정신 질환
하부 호흡기 감염
치매
사회적 영향
영향개인 및 가족의 고통
의료 비용 증가
생산성 감소
사회 경제적 불평등 심화
기타
관련 용어상병, 질환
동의어병, 병환, 질환, 병적 상태, 고장, 기능 장애
참고
관련 항목의학
병리학
역학
인간의 병
동물의 질병
식물의 질병
질병 분류
외부 링크

2. 용어

질병, 질환, 병 등의 용어는 대부분의 경우 구별 없이 혼용되지만, 상황에 따라 특정 단어가 선호되기도 한다.[57]


  • 질병(disease): 생물학적 차원의 개념으로, 병리학이나 생리학 관점에서 생체 내 구조적, 기능적 변화가 의학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127]
  • 질환(illness): 개인적, 사회심리적 차원의 개념으로, 환자의 개인적인 질병 경험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질병들이 동일한 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고, 하나의 질병이 여러 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다.[128]
  • 병행동(illness behavior): "어떤 통증, 불쾌, 혹은 그 외의 기능부전 증상을 인지하는 사람에게서 증상이 지각되고, 평가되고, 작동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129]
  • 병(sickness): 질병을 가진 개인이 나타내는 사회적 기능 이상으로 정의된다.[130]


영어 단어 "illness"는 일반적으로 질병(disease)의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환자의 질병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64][65][66][67]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illness가 아니더라도 diseas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복 감염처럼 객관적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무증상인 건강 상태이거나, 임상적으로 명확한 신체적 장애가 있지만, 그것으로 인해 불편함이나 심리적 고통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그렇다. 또한, disease가 아니지만 illness일 수도 있는데, 정상적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병적인 상태로 인식하는 경우가 해당한다. 더 구체적으로, 부끄러움 때문에 몸이 불편해지고, 그 감정을 정상적인 감정이 아닌 질병이라고 해석하는 경우 등이다. 질병의 증상은 감염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니라, 감염을 제거하고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진화한 반응(신체의 병적 행동)의 집합체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상에는 무기력증, 우울증, 식욕 부진, 졸음, 통각 과민,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68][69][70]

2. 1. 질병 (Disease)

대부분의 경우 질병(disease), 질환(illness)과 병(sickness)은 구별없이 혼용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특정 단어가 선호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질병'''(disease)은 생물학적 차원의 개념으로 병리학 혹은 생리학의 관점에서 생체내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가 의학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127]. 심신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일차적 또는 계속적으로 장애를 일으켜서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질병"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신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손상시키는 모든 상태를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이러한 이유로 질병은 신체의 정상적인 항상성 유지 과정의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다.[5]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류, 원생동물, 다세포 유기체 및 프리온으로 알려진 비정상 단백질을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임상적으로 명백한 질병인 감염성 질환을 특히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감염 또는 집락 형성이 임상적으로 명백한 정상 기능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유발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장내 정상적인 박테리아 및 효모의 존재 또는 잠복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질병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반대로, 잠복기 동안 무증상이지만 나중에 증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감염은 일반적으로 질병으로 간주된다. 비감염성 질병은 , 심장병, 유전 질환의 대부분의 형태를 포함한 다른 모든 질병이다.

2. 2. 질환 (Illness)

질환(illness)은 환자 개인의 질병 경험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적, 사회심리적 차원의 개념이다.[128] 몇 개의 서로 다른 질병들이 동일한 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고, 하나의 질병이 여러 개의 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다.[128]

"질환"과 "병"이라는 용어는 모두 일반적으로 "질병"의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질환"이라는 용어는 환자의 질병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특히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6][7][8][9]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질병에 걸리지 않고도 아플 수 있으며(객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무증상인 의학적 상태, 예: 잠복 감염) "질병"에 걸리지 않고도 "아플" 수 있다 (예: 사람이 정상적인 경험을 의학적 상태로 인식하거나 삶에서 비질병 상황을 의료화하는 경우).[6][7][8][9] 예를 들어, 당황한 결과로 몸이 불편하고 그러한 감정을 정상적인 감정이 아닌 질병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질병의 증상은 종종 감염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니라, 감염을 제거하고 회복을 촉진하는 신체의 진화된 반응인 질병 행동의 집합이다. 질병의 그러한 측면에는 무기력, 우울증, 식욕 감퇴, 졸음, 고통과민, 집중력 저하 등이 포함될 수 있다.[10][11][12]

2. 3. 병 (Sickness)

병(Sickness영어)은 질병을 가진 개인이 나타내는 사회적 기능 이상으로 정의된다.[130] 질병, 장애, 이환율, 병, 질환과 같은 용어는 대부분의 경우 서로 바꿔 사용되지만, 특정 용어가 더 선호되는 상황도 있다.[4]

2. 4. 기타 용어

장애, 이환율, 병리, 증후군 등 다양한 용어들이 질병과 관련된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57]

용어설명
장애 (Disorder)기능적인 이상이나 장애. 특정한 징후나 증상을 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의학적 장애는 정신 장애, 신체 장애, 유전적 장애, 정서·행동 장애, 기능 장애로 분류된다.[71] 질병이나 질환이라는 용어보다 가치중립적이며, 사회적 낙인을 찍는 일이 적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아 선호된다.[72]
이환율 (Morbidity)어떤 원인에 의한 병적인 상태 또는 질병 발생률.[76] 모든 형태의 질병의 존재 또는 건강 상태가 환자에게 미치는 정도를 가리킨다. 역학 및 보험 수리학에서는 발병률, 유병률, 또는 일정 기간 내에 특정 상태를 경험하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77]
병리 (Pathology)질병의 원인을 탐구하고, 질병에 걸린 환자의 신체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어떠한 것인지를 연구하는 학문.[78]
증후군 (Syndrome)원인이 밝혀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여러 징후나 증상의 연관성, 또는 자주 함께 나타나는 질병의 특징적 연관성.[79]


3. 질병의 분류

질병은 원인, 병인(질병의 원인이 되는 기전), 증상, 또는 영향을 받는 장기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질병은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분류가 복잡할 수 있다.[92] 질병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 진단 용어는 종종 증상이나 증후군을 반영한다.[92]

고전적인 인간 질병 분류는 병리학적 분석과 임상 증상 사이의 관찰된 상관관계에서 파생되었다. 현대에는 원인이 알려진 경우 그 원인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2] 질병 분류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2024년 현재 최신판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제11판(ICD-11)이다.[92]

질병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후천성 질환과 선천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93]


  • 후천성 질환: 출생 후 어떤 시점에 발병하는 질환이다. 단순히 출생 후에 발병했다는 의미이며, 원발성 질환일 수도 있고, 속발성 질환일 수도 있다.
  • 선천성 질환: 출생 시 존재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유전 질환 또는 장애이며, 유전될 수도 있다. 매독이나 HIV/AIDS처럼 어머니로부터 수직 감염되어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93]
  • 유전 질환: 하나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유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무작위로 새롭게 발생하는 돌연변이도 있다.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즉 유전되는 질환은 유전성 질환(hereditary disease)이라고 한다.
  • 원인 불명 질환: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이다. 의학 발전에 따라 원인이 밝혀지면서 특발성 질환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질병은 다음과 같이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다.

  • 공기 매개 질환: 병원체가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이다.[30]
  • 식중독: 병원성 박테리아, 독소, 바이러스, 프리온 또는 기생충으로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질병이다.[31]
  • 전염병: 전염병 또는 감염병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병원성 생물학적 작용제의 감염, 존재 및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상적으로 명백한 질병이다.[32] 여기에는 인플루엔자 또는 감기와 같이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흔히 퍼지는 감염병,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퍼질 수 있지만 일상적인 접촉을 통해 반드시 퍼지는 것은 아닌 전염병이 포함된다.
  • 생활 습관병: 국가가 산업화되고 사람들이 더 오래 살면서 빈도가 증가하는 질병으로, 비활동적인 생활 방식이나 정제된 탄수화물, 트랜스 지방 또는 알코올 음료와 같은 건강에 해로운 음식이 많은 식단과 같은 행동 선택이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33]
    자전거를 타거나 걷는 것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생활 습관병의 위험을 줄인다.
  • 비전염성 질환: 전염되지 않는 의학적 상태 또는 질병이다. 심장병이 대표적인 예시이다.[34][35]


인플루엔자와 같이 일부 질병만이 전염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감염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은 병원체로 알려져 있으며, 세균, 바이러스, 원충, 진균 등의 종류가 있다.[94]

  • 원발성 질환(원질환):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에 기인하는 질환이며, 원발성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속발증(sequela)이나 합병증인 이차 질환과 대비되는 개념이다.[61]
  • 이차 질환: 선행하는 원발 질환의 후유증 또는 합병증인 질환을 말한다.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란 사람들의 건강을 결정하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적 조건을 말한다. 질병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95]

4. 질병의 원인

질병은 수많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후천적이거나 선천적일 수 있다. 미생물, 유전, 환경 또는 이러한 요인들의 결합이 질병 상태에 기여할 수 있다.[25]

인플루엔자와 같은 일부 질병은 전염성이 있지만, , 심장병과 같은 질병은 대개 감염되어 발병한다고 보기 어렵다. 질병은 크게 감염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생활 습관병, 유전 질환, 선천성 질환 등도 질병의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감염성 질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공기 매개 질환, 식중독, 전염병 등이 있다.
  • 공기 매개 질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고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모든 질병[30]
  • 식중독: 병원성 박테리아, 독소, 바이러스, 프리온 또는 기생충으로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모든 질병[31]
  • 전염병: 전염병 또는 감염병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개체 숙주 유기체 내에서 병원성 생물학적 작용제의 감염, 존재 및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상적으로 명백한 질병(즉, 질병의 특징적인 의학적 징후 또는 증상)을 포함[32]
  • 비감염성 질환: 전염되지 않는 의학적 상태 또는 질병[34]
  • 생활 습관병: 국가가 산업화되고 사람들이 더 오래 살면서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모든 질병이며, 특히 위험 요소에 비활동적인 생활 방식이나 정제된 탄수화물, 트랜스 지방 또는 알코올 음료와 같은 건강에 해로운 음식이 많은 식단과 같은 행동 선택이 포함되는 경우[33]
  • 유전 질환: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유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무작위로 새롭게 발생하는 돌연변이도 존재
  • 선천성 질환: 출생 시 존재하는 질환. 대부분은 유전 질환이며, 매독이나 HIV/AIDS처럼 어머니로부터 수직 감염되어 발병하는 경우도 존재


질병이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병원체(질병의 원인)를 질병 자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97] 예를 들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웨스트나일 열뿐만 아니라 웨스트나일 뇌염, 웨스트나일 수막염도 일으킨다.

4. 1. 감염성 질환

인플루엔자와 같이 일부 질병은 전염성이 있어서 전염병으로 따로 분류한다. 이러한 질병은 호흡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곤충이 물거나 다른 질병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기도 한다. 이나 음식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발달과 보건 위생 관념 증진으로 많은 경우 예방이 가능하다. 전염병은 표면의 전염성 물질과 손-입 접촉, 질병 곤충이나 다른 매개체에 물림, 오염된 물이나 음식(주로 대변 오염)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26][94] 성병도 감염성 질환의 일종이다.

감염성 질환은 병원성 생물학적 작용제의 감염, 존재,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상적으로 명백한 질병(특징적인 의학적 징후 또는 증상)을 포함한다.[32][100] 이 범주에는 전염병(일반적으로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흔히 퍼지는 감염)과 감염증(사람 간에 전파될 수 있지만 일상적인 접촉으로 반드시 퍼지는 것은 아닌 질환)이 포함된다.

병원체는 세균, 바이러스, 원충, 진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94] 질병이 병원체 유기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예: 말라리아가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병원체(질병의 원인)를 질병 자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29][97] 예를 들어, 서나일 바이러스(병원체)는 서나일열(질병)을 유발한다.[97]

다음은 감염성 질환의 종류이다.

종류설명
공기 매개 질환병원체에 의해 발생하고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모든 질병[30][98]
식중독병원성 박테리아, 독소, 바이러스, 프리온 또는 기생충으로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모든 질병[31][99]


4. 2. 비감염성 질환

비감염성 질환은 감염에 의하지 않고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환경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여기에는 만성 질환, 정신 질환, 희귀난치성질환 등이 포함된다.

  • '''만성 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 '''정신 질환:''' 우울증, 조현병 등은 잘 알려진 질환이다.
  • '''희귀난치성질환:''' 고셔병, 조로증 등은 대표적인 질환이다.


대부분의 , 심장병은 비전염성 질환이다. 많은 비전염성 질환은 부분적 또는 완전한 유전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유전 질환 참조), 따라서 세대를 거쳐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란 사람들의 건강을 결정하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적 조건을 말한다. 질병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95] 세계보건기구 등 몇몇 보건 기관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 집단적, 개인적 행복(웰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질병의 원인이 잘 이해되지 않는 경우, 사회는 그 질병을 신화화하거나, 그 문화가 악으로 간주하는 것의 은유나 상징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1882년 결핵의 원인이 세균임이 발견될 때까지, 전문가들은 이 질병을 유전, 앉아있는 생활 방식, 우울증 등 당시의 사회악과 다양하게 연결시켰다.[96]

4. 2. 1. 만성 질환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은 장기간 지속되는 질환으로, 한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이다.[101] 만성 질환은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일생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질병을 포함한다. 만성 질환은 안정적인 경우도, 진행성 질환인 경우도 있으며, 완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완치되지 않더라도 유익한 치료가 가능하다.

4. 2. 2. 정신 질환

정신질환은 감정이나 정서의 불안정, 행동 조절 장애, 인지 기능 장애 등을 포함하는 질병 범주에 대해 흔히 사용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정신질환으로 알려진 구체적인 질병에는 우울증, 범불안장애, 조현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이 있다.[41] 정신질환은 생물학적 원인(해부학적, 화학적, 유전적 등) 또는 심리학적 원인(정신적 외상이나 갈등 등)에 기인할 수 있으며, 환자는 직장이나 학업에 지장을 받고 대인 관계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심신상실(insanity)이라는 용어는 전문적으로는 법률 용어로 사용된다.

2004년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질병으로 인한 장애 조정 생존 연수(DALY) 손실의 13%가 정신 신경 질환으로 인한 것이었다.[41] 특히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은 선진국에서 질병으로 인해 가장 많은 연수가 손실되는 원인 중 하나이다.[41]

4. 2. 3. 희귀난치성질환

치료가 어려운 질병들을 통틀어 '난치병'(희귀난치성질환)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질병은 대부분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확실한 치료법이 없어 완치가 어렵다. 대한민국에서는 발병률이 높은 100여 가지의 난치질환에 대해 국민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얼마나 많은 질병이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132]

대표적인 희귀난치성질환으로는 고셔병, 조로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루게릭병), 알츠하이머병 등이 있다. 넓은 의미로는 평생 식이요법, 운동요법이나 약물 등으로 현상 유지가 필요한 고혈압, 당뇨병,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과 같은 만성질환도 포함된다.

en:refractory disease) 난치성 질환은 치료에 저항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특히 특정 질환에 대해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치료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5. 질병 감염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성 질환은 병원체가 체내에 침입하여 증식하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질병은 호흡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곤충에 물리거나 , 음식 등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32] 현대 사회에서는 보건 위생 관념 증진과 예방 접종 등을 통해 많은 경우 예방이 가능해졌다.[30][31]

감염병은 전파 경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설명예시
공기 매개[30]병원체가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공기 매개 질환
식품 매개[31]병원성 세균, 독소, 바이러스, 프리온, 기생충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질병식중독
전염성[32]전염병 또는 감염병으로, 개체 숙주 유기체 내에서 병원성 생물학적 작용제의 감염, 존재 및 증식으로 인해 발생인플루엔자, 감기


6. 질병의 사회적 정의

질병은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질병의 정의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미숙 배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교육 수준 및 소득 수준과 같은 사회적 불평등 요인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면 교육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 기능적 건강 수준, 의료적 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비판했다.[131] 이처럼 소득 불평등, 교육 수준 격차 등은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노화나 비만 등은 질병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질병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만은 과거 르네상스 시대에는 부와 풍요를 상징하는 지위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 문제로 인식된다. 반면, 간질은 몽족 사이에서는 영적인 은총의 징조로 여겨지기도 한다.[113]

질병에 걸리면 상병수당, 휴업 등의 사회적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돌봄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 이는 환자역할이라는 사회적 역할로 설명될 수 있다. 암을 극복한 암생존자는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위치에 오를 수 있다.[114] 그러나 환자는 치료를 받고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의무 또한 지니게 된다.

대부분의 종교에서는 아픈 사람에게 종교적 의무를 면제해 준다. 예를 들어, 욤 키푸르라마단 기간에 단식으로 인해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는 사람은 단식 의무가 면제되거나 참여가 금지된다.[115][116] 또한, 아픈 사람은 사회적 의무로부터도 면제될 수 있다.

한센병 환자처럼, 특정 질병은 사회적 낙인을 유발하기도 한다.[118] 코로나19 초기에는 감염자와 그 가족, 의료 종사자들이 차별과 괴롭힘을 당하는 사회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19]

사회적, 경제적 지위는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빈곤병은 빈곤이나 낮은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질병을, 풍요병은 높은 사회적, 경제적 지위와 관련된 질병을 의미한다. 당뇨병과 같이 빈곤과 풍요 모두와 관련된 질병도 존재한다. 생활습관병은 장수와 관련되어 고령자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을 의미하며, 암이 대표적인 예이다.

7. 질병 예방

예방 의료는 부상, 질병 또는 질환을 아예 예방하는 방법이다. 질병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고, 예방 접종을 맞으며, 조기 검진을 받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다.[101]


  • 건강한 생활 습관:
  • 규칙적인 신체 활동: 자전거를 타거나 걷는 것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생활 습관병의 위험을 줄인다.
  • 균형 잡힌 식단: 정제된 탄수화물, 트랜스 지방,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건강에 좋은 음식을 섭취한다.
  • 위생 관리: 공기 매개 질환이나 식중독과 같은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한다.
  • 예방 접종: 전염병 예방을 위해 필요한 예방 접종을 받는다.
  • 조기 검진: 과 같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받는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들의 질병 예방을 돕기 위해 국가 예방 접종 사업과 건강 검진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은 어린이와 노인 등 예방 접종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예방 접종을 제공하는 사업이며, 건강 검진 사업은 국민들이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아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예방 중심의 건강 정책을 강화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힘쓰고 있다.

8. 질병 치료

치료는 질병이나 기타 건강 문제를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다. 심리학에서는 이 용어가 특히 심리 치료를 가리키기도 한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 수술, 의료 기기, 자가 치료 등이 있다. 치료는 조직적인 의료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고, 환자나 가족에 의해 독자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104]

예방 의학은 부상이나 질병, 질환을 미리 예방하는 방법이다. 치료는 의학적 문제가 이미 시작된 후에 적용되는 것이다. 치료는 문제를 개선하거나 제거하려는 것이지만, 특히 만성 질환의 경우 치료가 영구적인 치유를 가져온다는 보장은 없다. 치유(cure)는 일반적으로 건강의 완전한 회복을 의미하며, 치료(treatment)는 건강 개선이나 부상으로부터의 회복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나 처치를 가리킨다.[104] 완전히 치유할 수 없는 질병의 대부분은 여전히 치료가 가능하다. 통증 관리(통증 의학이라고도 불림)는 통증을 완화하고 통증과 함께 사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제 간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105]

응급 질환의 치료는 많은 경우 응급실이나 구급대를 통해 신속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9. 질병과 사회

질병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사회적 낙인, 차별 등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감염병 유행은 사회 시스템 마비, 경제 위기 등을 초래할 수 있다.[119]

의료사회학은 사회가 질병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어떤 상태는 특정 문화나 시대에서는 질병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다른 문화나 시대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만은 부와 풍요를 나타낼 수 있으며, 기근이 빈번한 지역이나 HIV/AIDS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일부 지역에서는 지위상징이 될 수 있다.[112] 간질은 몽족 사이에서는 영적인 은총의 징조로 여겨진다.[113]

질병으로 인해 상병수당, 휴업, 타인으로부터의 돌봄 등 특정 이익의 사회적 정당성이 부여된다. 즉, 아픈 사람은 환자 역할(sick role)이라고 불리는 사회적 역할을 맡는다. 암생존자와 같이, 암과 같은 두려운 질병에 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사람은 공적 및 사적으로 더 높은 사회적 지위로 존경받을 수 있다.[114]

대부분의 종교에서는 아픈 사람에게 종교적 의무의 예외를 인정한다. 예를 들어, 욤 키푸르라마단단식으로 생명이 위험해지는 사람은 그 의무가 면제되거나 참여 자체가 금지될 수 있다.[115][116] 아픈 사람은 사회적 의무가 면제된다. 예를 들어, 몸이 좋지 않다는 것은 미국인이 백악관 초청을 거절하는 유일하게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유이다.[117]

한센병 환자는 역사적으로 전염병을 앓았다는 이유로 멀리했던 사람들이며, “나병 환자 (leper)”라는 말은 오늘날에도 사회적 낙인을 연상시킨다.[118] 모든 질병이 극단적인 사회적 낙인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질병에 대한 공포는 오늘날에도 널리 사회 현상으로 나타난다. 코로나19 초기에는 감염자나 그 가족, 의료 종사자 등에 대한 차별과 괴롭힘이 사회 문제화되었다.[119]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는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빈곤병은 빈곤이나 낮은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질병이며, 풍요병(diseases of affluence)은 높은 사회적·경제적 지위와 관련된 질병이다.

질병을 소재로 한 서적, 즉 투병기는 환자나 그 가족의 질병과의 싸움을 주제로 한다.[120] 가장 많이 출판되는 투병기는 암 투병기이다.[121]

사람들은 질병에 대한 경험을 의미화하기 위해 은유를 사용한다. 은유는 질병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에서 감정적인 경험으로 전환시킨다. 가장 흔한 은유는 “투쟁”에 기반한 것이다. 질병은 적이며, 두려워하고, 싸워야 하며, 맞서 싸워야 한다. 환자와 의료 종사자는 수동적인 피해자나 방관자가 아니라 전사이다. 전염병의 병원체는 침략자이며, 비전염병은 반란이나 내전이다. 암과의 싸움(War on Cancer)은 이러한 은유적 표현의 한 예이다.[122]

10. 한국의 질병 현황과 과제

한국은 고령화 사회 진입, 서구화된 식습관,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인해 만성질환, 정신질환, 희귀난치성질환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우울증과 같은 정신 신경 질환은 장애 조정 생존 연수(DALY) 손실 비율이 높아 사회적 부담이 크다. 심장병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은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발생률도 고령화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새로운 감염병의 출현은 공중보건 시스템에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으며,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질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보편적 의료 보장 강화: 모든 국민이 의료비 걱정 없이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한다.
  • 예방 중심 건강 정책 추진: 건강검진 확대, 만성질환 예방 교육 강화 등을 통해 질병 발생을 사전에 예방한다.
  • 취약 계층 건강 지원 확대: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등 건강 취약 계층에 대한 의료 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모든 국민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조

[1] 의학용어 Disease
[2]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n "Injury" and "Disease" for Comcare Commonwealth Compensation Claims? https://tgb.com.au/i[...] Tindall Gask Bentley 2017-11-06
[3] 웹사이트 What is the deadliest disease in the world? https://www.who.int/[...] WHO 2012-05-16
[4] 웹사이트 Mental Illness – Glossary http://science.educa[...] U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5] 웹사이트 Regents Prep: Living Environment: Homeostasis http://regentsprep.o[...] Oswego City School District Regents Exam Prep Center
[6] 웹사이트 illness https://medical-dict[...] Elsevier
[7] 의학용어 sickness
[8] 논문 Health, disease and illness: matters for definition 1987-04-01
[9] 논문 Health and disease: problems of definition 1987-04-01
[10] 논문 Biological basis of the behavior of sick animals
[11] 논문 The concept of sickness behavior: a brief chronological account of four key discoveries
[12] 논문 Cytokine-induced sickness behavior
[13] 웹사이트 Disord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14] 웹사이트 Condition, Disease, Disorder https://amastyleinsi[...]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1-11-21
[1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6] 웹사이트 Expat Insurance Glossary by The Insurance Page http://www.theinsura[...]
[17] 웹사이트 morbidity https://medical-dict[...] Elsevier
[18] 서적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Volume 1: A – H Volume 2: I – Z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6-13
[19] 뉴스 Blood pressure drugs for mild hypertension: Not proven to prevent heart attacks, strokes, or early death http://www.slate.com[...] 2012-08-14
[20] 논문 Predisease: when does it make sense?
[21] 웹사이트 clinical disease http://medical-dicti[...] Elsevier
[22] 웹사이트 Definition of Flare https://www.medicine[...] 2019-06-20
[23] 웹사이트 definition of subclinical http://medical-dicti[...]
[24] 논문 Human disease classification in the postgenomic era: A complex systems approach to human pathobiology 2007-01-01
[25] 웹사이트 Human disease – Pathogenesis, Etiology, Resistance, and Immunit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6] 논문 Impact of population and latrines on fecal contamination of ponds in rural Bangladesh 2011-08-01
[27] 웹사이트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https://www.who.int/[...]
[28] 서적 Bathsheba's breast: women, cancer & history https://archive.org/[...]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9] 논문 Sometimes Scientists Get the Flu. Wrong…! http://www.cell.com/[...] 2017-01-01
[30] 웹사이트 Disease information https://www.who.int/[...]
[31] 논문 Food-Related Illness and Death in the United States CDC 1999-10-01
[32] 논문 Principles of Infectious Diseases: Transmission, Diagnosis, Prevention, and Control Elsevier 2017-01-01
[33] 웹사이트 Lifestyle Diseases: An Economic Burden on the Health Service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34] 웹사이트 Non-communicable diseases https://www.ifrc.org[...]
[35] 웹사이트 Non communicable diseases https://www.who.int/[...] 2023-09-16
[36] 서적 Chronic Pain Management: The Essenti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뉴스 Defining an illness is fodder for debate https://www.nytimes.[...] 2011-03-04
[38] 웹사이트 National Hospital Morbidity Database http://www.aihw.gov.[...]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13-07-11
[39] 웹사이트 Hospital Morbidity Database (HMDB) http://www23.statcan[...] Statistics Canada 2015-09-21
[40] 웹사이트 European Hospital Morbidity Database http://data.eu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41] 웹사이트 Disease and injury regional estimates for 2004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42] 웹사이트 The Tuscan General Alessandro del Borro http://www.cab.u-sze[...]
[43] 학술지 Obesity
[44] 서적 The spirit catches you and you fall down: a Hmong child, her American doctors, and the collision of two cultures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45] 서적 Pink Ribbon Blues: How Breast Cancer Culture Undermines Women's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46] 학술지 Guidance for Physicians on the Yom Kippur Fast https://gmr.scholast[...] 2023-07-13
[47] 학술지 The fast of Ramadan. 1992-02-29
[48] 서적 Miss Manners' Guide to Excruciatingly Correct Behavior W.W. Norton & Co
[49] 서적 Researching and applying metaph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뉴스 Fighting Words Are Rarer Among British Doctors http://newoldage.blo[...] 2014-04-22
[51] 서적 Treatments: language, politics, and the culture of illnes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2] 학술지 Metaphors for illness in contemporary media 2007-12
[53] 사전 Disease
[54]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n "Injury" and "Disease" for Comcare Commonwealth Compensation Claims? https://tgb.com.au/i[...] Tindall Gask Bentley 2014-12-19
[55] 웹사이트 What is the deadliest disease in the world? https://www.who.int/[...] WHO 2012-05-16
[56] 웹사이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12 mental disorders in 204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9: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https://www.healthda[...]
[57] 웹사이트 Mental Illness – Glossary http://science.educa[...] U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58] 웹사이트 Regents Prep: Living Environment: Homeostasis http://regentsprep.o[...] Oswego City School District Regents Exam Prep Center
[59] 웹사이트 難病情報センター – Japan Intractabl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https://www.nanbyou.[...]
[60] 웹사이트 事業場における治療と職業生活の両立支援のためのガイドライン 参考資料 難病に関する留意事項 https://www.mhlw.go.[...]
[61] 웹사이트 primary disease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62] 웹사이트 secondary disease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63] 웹사이트 terminal disease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64] 웹사이트 illness https://medical-dict[...] Elsevier
[65] 사전 sickness
[66] 학술지 Health, disease and illness: matters for definition 1987-04
[67] 학술지 Health and disease: problems of definition 1987-04
[68] 학술지 Biological basis of the behavior of sick animals
[69] 학술지 The concept of sickness behavior: a brief chronological account of four key discoveries
[70] 학술지 Cytokine-induced sickness behavior
[71] 웹사이트 Disord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24-04-23
[72] 웹사이트 Condition, Disease, Disorder https://amastyleinsi[...]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1-11-21
[73] 웹사이트 Autism, PDD-NOS & Asperger's fact sheets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s://www.autism-h[...] 2024-09-29
[74]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75] 웹사이트 Expat Insurance Glossary by The Insurance Page https://web.archive.[...] 2008-11-20
[76] 웹사이트 morbidity https://medical-dict[...] Elsevier 2017-11-06
[77] 서적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Volume 1: A – H Volume 2: I – Z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3-01-03
[78] 웹사이트 病理学とは〈高知大学医学部 病理学講座〉 http://www.kochi-u.a[...] 2024-10-04
[79] 웹사이트 日本病理学会 市民の皆さまへ https://pathology.or[...] 2024-10-04
[80] 웹사이트 未病改善医学 NDLサーチ 国立国会図書館 https://ndlsearch.nd[...] 2024-10-04
[81] 뉴스 Blood pressure drugs for mild hypertension: Not proven to prevent heart attacks, strokes, or early death http://www.slate.com[...] 2012-08-16
[82] 논문 Predisease: when does it make sense?
[83] 웹사이트 organic disease https://www.collinsd[...] Collins 2024-10-04
[84] 웹사이트 functional disease https://www.collinsd[...] collins 2024-10-04
[85] 웹사이트 急性期 看護師の用語辞典 看護roo! https://www.kango-ro[...] 2024-10-04
[86] 웹사이트 clinical disease https://www.collinsd[...] Collins 2024-10-04
[87] 웹사이트 clinical disease http://medical-dicti[...] Elsevier 2017-11-06
[88] 웹사이트 Definition of Flare https://www.medicine[...] 2019-06-20
[89]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2000
[90] 웹사이트 definition of subclinical http://medical-dicti[...] 2017-11-06
[91] 웹사이트 終末期医療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4-10-04
[92] 논문 Human disease classification in the postgenomic era: A complex systems approach to human pathobiology 2007
[93] 웹사이트 Human disease – Pathogenesis, Etiology, Resistance, and Immunit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25
[94] 논문 Impact of population and latrines on fecal contamination of ponds in rural Bangladesh 2011-08-01
[95] 웹사이트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https://www.who.int/[...] 2023-05-25
[96] 서적 Bathsheba's breast: women, cancer & history https://archive.org/[...]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7] 논문 Sometimes Scientists Get the Flu. Wrong…! http://www.cell.com/[...] 2017-01
[98] 웹사이트 Disease information https://www.who.int/[...] 2024-02-14
[99] 논문 Food-Related Illness and Death in the United States CDC 1999-10
[100] 논문 Principles of Infectious Diseases: Transmission, Diagnosis, Prevention, and Control Elsevier 2017
[101] 웹사이트 Lifestyle Diseases: An Economic Burden on the Health Service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4-02-14
[102] 웹사이트 Non-communicable diseases https://www.ifrc.org[...] 2024-09-28
[103] 웹사이트 Non communicable diseases https://www.who.int/[...] 2023-09-16
[104] 웹사이트 'Treatment' vs. 'Cure' https://www.merriam-[...] 2024-10-04
[105] 서적 Chronic Pain Management: The Essenti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뉴스 Defining an illness is fodder for debate https://www.nytimes.[...] 2011-03-04
[107] 웹사이트 National Hospital Morbidity Database http://www.aihw.gov.[...]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13-07-11
[108] 웹사이트 Hospital Morbidity Database (HMDB) http://www23.statcan[...] Statistics Canada 2015-09-21
[109] 웹사이트 European Hospital Morbidity Database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9-02
[110] 웹사이트 Disease and injury regional estimates for 2004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12-24
[111] 웹사이트 The Tuscan General Alessandro del Borro https://web.archive.[...] 2009-05-02
[112] 저널 Obesity
[113] 서적 The spirit catches you and you fall down: a Hmong child, her American doctors, and the collision of two cultures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114] 서적 Pink Ribbon Blues: How Breast Cancer Culture Undermines Women's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115] 저널 Guidance for Physicians on the Yom Kippur Fast https://gmr.scholast[...] 2023-07-13
[116] 저널 The fast of Ramadan. 1992-02-29
[117] 서적 Miss Manners' Guide to Excruciatingly Correct Behavior W.W. Norton & Co
[118] 웹사이트 28号 大使メッセージ:差別用語を根絶しよう|公益財団法人笹川保健財団Webサイト https://www.shf.or.j[...] 2024-10-05
[119] 웹사이트 恐れるべきはウイルスで人ではない {{!}} コロナ差別をなくすためには https://www.nippon-f[...] 2024-10-05
[120] 웹사이트 闘病記のことを知ろう|闘病記出版講座 https://www.gentosha[...] 幻冬舎 2024-10-05
[121] 저널 闘病記を書くことの意味 https://www.jstage.j[...] 2019
[122] 서적 Researching and applying metaph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 뉴스 Fighting Words Are Rarer Among British Doctors http://newoldage.blo[...] 2014-04-22
[124] 서적 Treatments: language, politics, and the culture of illnes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25] 저널 Metaphors for illness in contemporary media 2007-12
[126] 웹사이트 WordNet Search - 3.0 http://wordnet.princ[...]
[127] 서적 https://archive.org/[...]
[128] 서적 https://archive.org/[...]
[129] 저널
[130] 서적 https://archive.org/[...]
[131] 뉴스 http://www.docdocdoc[...] 2017-12-21
[132] 뉴스 10월부터 희귀난치질환 인정 범위 확대 http://www.yakup.com[...] 약업신문 2013-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