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윤석 (법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윤석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진명여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52년 제3회 고등고시에 합격하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를 거쳐 1954년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 제1부 판사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법원서기 박경순이 1960년 황윤석 밑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61년 사망 후 여성 단체에서 사법고시 준비생을 위한 윤석 장학회를 설립했으며, 진명여자고등학교에도 윤석장학금이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여자 법조인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여자 법조인 - 강금실
    강금실은 1981년 사법시험 합격 후 판사, 인권 변호사, 대한민국 최초 여성 법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후보, 법무법인 대표변호사, 사단법인 이사장, 경기도 기후대사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 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정영애
    정영애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학 박사 출신 여성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국여성학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여성 현안을 다루었다.
  • 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나혜석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유로운 삶을 주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예술적 업적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 장수 황씨 - 황인철 (1940년)
    황인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호사, 사회운동가로서, 판사 출신으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민청학련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대표 등 사회운동에도 참여했다.
  • 장수 황씨 - 황운하
    황운하는 경찰 공무원으로 시작하여 울산, 대전지방경찰청장을 역임하고,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청와대 선거 개입 의혹 등으로 형사 처벌을 받은 인물이다.
황윤석 (법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출생일1926년
사망일1961년 4월 21일 (향년 32세)
국적대한민국
직업
직업검사, 서울지방검찰청
임기 시작1953년
임기 종료1954년
직업2판사, 서울지방법원
임기 시작21954년
임기 종료21961년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황윤석
한자黃允石
로마자 표기Hwang Yunseok
매큔-라이샤워 표기Hwang Yunsŏk
개인 정보
이름황윤석
출생일1929년 3월 25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성부
사망일1961년 4월 21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자택
본관장수(長水)
부모황의돈(부)
배우자손정현(孫正鉉)
종교개신교
정당무소속
경력
경력대한민국 서울지방법원 판사
경력2법무부 여성문제연구위원회 실행연구위원 (1961년 3월 ~ 4월)
수상서울 숙명여자고등학교 선구여성 표창장
형제황석연(첫째오빠), 황석기(둘째오빠), 황석관(남동생)
친인척황기주(친조부), 황현(삼종조부)
학력
학력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2. 학력

3. 경력

황윤석은 진명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진학하여, 1952년 제3회 고등고시에 합격했다.[4][5] 1953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로 임명되었으며,[4] 이듬해인 1954년 9월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 제1부 판사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6][7]

3. 1.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법원서기와의 인연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로 재직하던 황윤석은 1960년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법원서기인 박경순(朴京順)과 함께 일하게 되었다.[8]

4. 사망과 그 이후

황윤석은 1961년 4월 21일 아침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7] 시부모나 남편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추측이 있다.[1]

여성 단체들은 고인의 뜻을 추모하여 사법고시 준비생을 위한 '윤석 장학회'를 설립하였다. 고인의 유족이 마련한 기금은 감리회 태화복지재단을 통해 운영 중이다. 기금은 총 1억 규모이며, 태화복지재단은 이 기금으로 캄보디아라오스 등 아시아 국가의 여성 교육과 복지를 지원할 예정이다.[11]

황윤석의 모교인 진명여자고등학교에는 1962년 4월, 사망 1주기를 맞아 그녀를 기리는 윤석장학금이 설립되었으며, 당시 기금액은 150만이었다.[9]

참조

[1] 서적 East Asia's Renewed Respect for the Rule of Law in the 21st Century: The Future of Legal and Judicial Landscapes in East Asia Hotei Publishing 2015-03-13
[2] 간행물 Opening of the Judiciary in Korea: Hwang Yun-suk and the Pioneer Women Judges from 1952-1990 http://citation.alla[...] 2007-07-25
[3] 서적 https://books.google[...] 디오네 2013-10-08
[4] 뉴스 最初의女檢事첫視務 https://newslibrary.[...] 2018-08-09
[5] 뉴스 三回高等考試司法科合格者 https://newslibrary.[...] 2018-08-09
[6] 뉴스 最初의女判事 https://newslibrary.[...] 2018-08-09
[7] 뉴스 黃允石女判事絕命 https://newslibrary.[...] 2018-08-09
[8] 뉴스 法廷에첫女書記登場 https://newslibrary.[...] 2018-08-09
[9] 뉴스 「允石奬學會」를창설 https://newslibrary.[...] 2018-08-09
[10] 뉴스인용 [부산일보 그때 그 늬우스] 여판사(女判事) 황윤석(黃允石)씨 자살(自殺) http://news20.busan.[...] 2018-10-08
[11] 뉴스인용 태화복지재단, 한국 첫 여성 판사 故 황윤석 기금 전달식 개최 http://news.donga.co[...] 2018-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