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등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고시는 대한민국에서 시행된 고위 공무원 임용 시험으로, 1949년 고등고시령 제정 이후 여러 차례 시험 명칭과 내용이 변경되었다. 5급 공채는 행정직, 기술직, 외무직으로 구분되어 시행되었으며, 2011년 행정고등고시와 외무고등고시가 5급(행정직), 5등급(외무직), 5급(기술직)으로 개편되었다. 시험은 1차 공직적격성평가(PSAT), 영어, 한국사, 헌법, 2차 논문형 필기시험, 3차 면접시험으로 구성되며, 합격 후에는 연수 및 채용 절차를 거쳐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시 - 변호사 시험
    변호사 시험은 로스쿨 졸업생이 변호사 자격을 얻기 위해 응시하는 시험으로, 필수 및 선택 과목으로 구성되어 법 조항 해석 및 적용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사회적 이슈 이해도를 평가하며, 사회적 이슈 관련 법적 쟁점이 주요 출제 주제로 등장한다.
  • 고시 - 사법시험 (대한민국)
    사법시험(대한민국)은 1947년부터 2017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시행된 법조인 양성 시험으로, 법학전문대학원 도입으로 2017년 폐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정치 - 친박
    친박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정치 세력을 일컫는 용어로, 한때 한나라당 내 주요 계파로 성장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정치적 구심점을 상실하며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 대한민국의 정치 -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는 747 성장 공약으로 출범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고, 시장 중심 경제 성장, 저탄소 녹색 성장, 자원 외교, 실용주의 외교를 추진하며 4대강 사업, 세종시 수정 논란 등 여러 논란과 비판을 받았으며, 강경한 대북 정책과 한미동맹 강화 외교를 펼쳤으나 주변국 관계가 악화되는 등 경제 성장과 국민 통합에 실패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고등고시
기본 정보
대한민국 고등고시
시행 시기1947년 ~ 1962년 (구사법 시대)
종류
관련 법령
법률변호사법
국가공무원법
외무공무원법
폐지
폐지일1962년
폐지 사유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으로 분리
역사
배경미군정 시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체제 하의 고등문관시험을 대체할 시험 제도 필요
시행1947년 최초 시행
변화1950년대: 고등고시 각 과 신설 (재경과, 농무과, 임무과 등)
폐지1962년 폐지, 각 직렬별 고시로 분리
시험 과목
공통 과목헌법
민법
형법
상법
국제법
경제학
행정법
정치학
선택 과목각 과별 상이
합격 후 진로
사법과판사
검사
변호사
행정과고위공무원
외무과외교관
기타
관련 정보구사법 시대의 고등고시는 현재의 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의 전신에 해당
1950년대에는 다양한 직렬의 고등고시 각 과가 존재
고등고시 합격자는 사회 각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 수행

2. 종류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5급 공채)은 크게 행정직, 기술직, 외무직으로 나뉜다.

2. 1. 행정직 및 기술직 (5급)

행정직은 일반행정, 법무행정, 재경, 국제통상, 교육행정, 사회복지, 교정, 보호, 검찰사무 등의 직렬을 포함한다. 기술직은 일반기계, 전기, 화공, 일반농업, 산림자원, 시설조경, 일반환경, 일반토목, 건축, 전산개발, 통신기술, 기상 등의 직렬을 포함한다.

2. 2. 외무직 (5등급)

현행 5등급 (외무직) 공채는 2013년 상반기에 치러진 제47회 시험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1]

3. 연혁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고등고시령"이 제정, 공포되면서 "고등고시 행정과"와 "고등고시 사법과"가 시행되었다. "행정과"는 행정고등고시, 외무고등고시로 이어졌고, "사법과"는 이후 사법시험으로 바뀌었다. 고등고시 합격자는 3급 을류 공무원으로 임용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5급 사무관에 해당한다.

1953년에는 "고등고시 기술과"가 신설되어 근래의 "기술고등고시"의 전신이 되었다. 1961년 "공무원고시령" 제정으로 "기술과"는 폐지되었다.

1963년 "공무원임용령" 제정으로 "고등고시"는 "3급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바뀌었다. 같은 해, "고등고시 사법과"는 "사법시험"으로 분리되었다. 1968년에는 "3급을류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변경되어 경찰, 외무, 재정, 행정, 기술 등 직렬별로 선발하였다.

1973년 "공무원임용시험령" 개정으로 "고등고시"라는 명칭이 부활하여 1974년부터 "행정고등고시", "외무고등고시", "기술고등고시"로 시행되었다. 1981년 공무원 직급 체계 개편으로 고등고시 합격자는 5급 사무관으로 임용되었다.

1995년 "지방공무원임용령" 개정으로 "지방5급공개경쟁신규임용시험", 즉 "지방고등고시"가 시행되었다. 1998년 총무처와 내무부가 통합되어 행정자치부(현 안전행정부)가 되었고, 1999년 중앙인사위원회가 창설되면서 인사 기능 일부가 이관되었다.

2002년 "공무원임용시험령" 개정으로 1차 시험에 공직적격성평가(PSAT)가 도입되고, 영어시험이 대체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같은 해 양성평등채용목표제가 도입되었다.

2003년 "기술고등고시"와 "행정고등고시"가 다시 "행정고등고시"로 통합되었고, "지방고등고시"는 폐지되어 2004년부터 "행정고등고시 지역별 구분모집"으로 반영되었다. 2004년부터 외무고등고시 1차 시험, 2005년부터는 행정고등고시 1차 시험에 공직적격성평가(PSAT)가 적용되었다.

2011년부터 행정고등고시와 외무고등고시가 5급(행정직), 5등급[3](외무직), 5급(기술직)으로 개편되었다.[4] 2013년 상반기 제47회 시험을 끝으로 5등급 (외무직) 공채는 폐지되었다.

2015년 시험부터 5급 행정직, 5급 기술직 1차 시험에서 특정 직렬 선발 인원이 줄고, 3차 시험 합격자에 한해 다음 연도 1차 시험이 면제되었다. 2017년부터는 5급 행정직, 5급 기술직 1차 시험에 헌법 과목이 추가될 예정이다.

3. 1. 고등고시 (1949~1962)

5급 공채는 공개경쟁채용시험이므로 학력이나 경력에 따른 응시자격 제한은 없으나, 제3차 시험인 면접시험 최종예정일 기준으로 국가공무원법 제33조(외무공무원은 외무공무원법 제9조, 검찰사무직공무원은 검찰청법 제50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거나 공무원임용시행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이 정지당한 자는 응시할 수 없다.

5급 공채의 응시가능연령은 20세 이상이다. 국가공무원법 개정으로 공무원임용시험령의 응시자격 제한이 최소화되었다. 5급 공채의 시험단계와 시험과목은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1에 나타나 있고, 행정안전부는 사이버국가고시센터[5]에서 매년 1월 초 "국가공무원 임용시험계획 공고"를 통해 이를 공고한다. 출제된 문제에 대한 공개는 2001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3. 2. 3급 공개경쟁채용시험 (1963~1973)

1963년 공무원임용령 제정으로 고등고시는 3급 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고등고시 사법과는 사법시험으로 분리되었다. 1968년에는 3급을류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변경되어 경찰, 외무, 재정, 행정, 기술 등 직렬별로 선발하였다.

3. 3. 행정고등고시, 외무고등고시, 기술고등고시 (1973~2010)

제17회 행정고시, 1975-07-01제11회 기술고시, 1975-12-20제9회 외무고시, 1975-05-031976년제18회 행정고시, 1976-01-27
제19회 행정고시, 1976-12-17제12회 기술고시, 1976-12-30제10회 외무고시, 1976-11-151977년제20회 행정고시, 1977-05-17
제21회 행정고시, 1977-12-30제13회 기술고시, 1977-12-17제11회 외무고시, 1977-09-031978년제22회 행정고시, 1978-12-19제14회 기술고시, 1978-12-29제12회 외무고시, 1978-05-231979년제23회 행정고시, 1979-12-22제15회 기술고시, 1979-12-27제13회 외무고시, 1979-04-271980년제24회 행정고시, 1980-12-19제16회 기술고시, 1980-12-27제14회 외무고시, 1980-04-171981년제25회 행정고시, 1981-12-30제17회 기술고시, 1981-12-30제15회 외무고시, 1981-05-261982년제26회 행정고시, 1982-12-30제18회 기술고시, 1982-12-30제16회 외무고시, 1982-04-171983년제27회 행정고시, 1983-12-17제19회 기술고시, 1983-12-30제17회 외무고시, 1983-04-301984년제28회 행정고시, 1984-12-01제20회 기술고시, 1984-12-29제18회 외무고시, 1984-05-191985년제29회 행정고시, 1985-11-30제21회 기술고시, 1985-12-28제19회 외무고시, 1985-05-041986년제30회 행정고시, 1986-11-15제22회 기술고시, 1986-12-27제20회 외무고시, 1986-04-111987년제31회 행정고시, 1987-11-28제23회 기술고시, 1987-12-31제21회 외무고시, 1987-04-151988년제32회 행정고시, 1988-11-24제24회 기술고시, 1988-12-27제22회 외무고시, 1988-04-141989년제33회 행정고시, 1989-11-23제25회 기술고시, 1989-12-27제23회 외무고시, 1989-04-121990년제34회 행정고시, 1990-11-21제26회 기술고시, 1990-12-27제24회 외무고시, 1990-04-181991년제35회 행정고시, 1991-11-23제27회 기술고시, 1991-12-28제25회 외무고시, 1991-04-171992년제36회 행정고시, 1992-11-27제28회 기술고시, 1992-12-23제26회 외무고시, 1992-04-161993년제37회 행정고시, 1993-12-01제29회 기술고시, 1993-12-18제27회 외무고시, 1993-04-171994년제38회 행정고시, 1994-11-30제30회 기술고시, 1994-12-21제28회 외무고시, 1994-04-131995년제39회 행정고시, 1995-12-16제31회 기술고시, 1995-12-28제29회 외무고시, 1995-04-151996년제40회 행정고시, 1996-11-23제32회 기술고시, 1996-12-26제2회 지방고시, 1996-11-19제30회 외무고시, 1996-04-101997년제41회 행정고시, 1997-11-05제33회 기술고시, 1997-12-24제3회 지방고시, 1997-10-23제31회 외무고시, 1997-06-181998년제42회 행정고시, 1998-11-12제34회 기술고시, 1998-12-12제4회 지방고시, 1998-11-10제32회 외무고시, 1998-05-271999년제43회 행정고시, 1999-11-18제35회 기술고시, 1999-12-28제5회 지방고시, 1999-12-18제33회 외무고시, 1999-06-052000년제44회 행정고시, 2000-11-23제36회 기술고시, 2000-12-19제6회 지방고시 (행정직), 2000-11-23
제6회 지방고시 (기술직), 2000-12-19제34회 외무고시, 2000-06-152001년제45회 행정고시, 2001-11-10제37회 기술고시, 2001-12-19제7회 지방고시 (행정직), 2001-11-10
제7회 지방고시 (기술직), 2001-12-19제35회 외무고시, 2001-06-302002년제46회 행정고시, 2002-11-02제38회 기술고시, 2002-12-28제8회 지방고시 (행정직), 2002-11-02
제8회 지방고시 (기술직), 2002-12-28제36회 외무고시, 2002-06-292003년제47회 행정고시, 2003-11-11제39회 기술고시, 2003-11-28제9회 지방고시 (행정직), 2003-11-11
제9회 지방고시 (기술직), 2003-11-28제37회 외무고시, 2003-06-202004년제48회 행정고시 (행정·공안직), 2004-11-09
제48회 행정고시 (기술직), 2004-12-21제38회 외무고시, 2004-07-092005년제49회 행정고시 (행정·공안직), 2005-12-23
제49회 행정고시 (기술직), 2005-12-23제39회 외무고시, 2005-07-082006년2006년 행정고시 (행정·공안직), 2006-12-22
2006년 행정고시 (기술직), 2006-12-222006년 외무고시, 2006-06-302007년2007년 행정고시 (행정직), 2007-12-21
2007년 행정고시 (기술직), 2007-12-212007년 외무고시, 2007-06-292008년2008년 행정고시 (행정), 2008-11-28
2008년 행정고시 (기술), 2008-12-052008년 외무고시, 2008-06-242009년2009년 행정고시 (행정), 2009-11-27
2009년 행정고시 (기술), 2009-12-042009년 외무고시, 2009-06-232010년2010년 행정고시 (행정), 2010-11-26
2010년 행정고시 (기술), 2010-12-072010년 외무고시, 2010-06-25


3. 4. 5급 공채 (2011~현재)

5급 공채는 공개경쟁채용시험이므로 학력이나 경력에 따른 응시자격 제한은 없으나, 제3차 시험인 면접시험 최종예정일 기준으로 국가공무원법 제33조(외무공무원은 외무공무원법 제9조, 검찰사무직공무원은 검찰청법 제50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거나 공무원임용시행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이 정지당한 자는 응시할 수 없다.

5급 공채의 응시가능연령은 20세 이상이다. 응시자격 제한을 최소화하고자 국가공무원법이 개정됨에 따라 공무원임용시험령이 응시자격 제한이 최소화되도록 개정되었다.

제2차 시험 합격자는 제3차 시험인 면접시험을 보게 되는데, 2018년부터는 면접시험포기등록을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면접시험은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예의·품행 및 성실성, 창의력·의지력 및 발전가능성 등을 평가한다. 면접 평가에서는 수험자의 모든 배경적 조건을 배제하고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응시 자격

5급 공채는 학력 및 경력 제한은 없으나, 면접시험 최종예정일 기준으로 국가공무원법 등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아야 한다. 응시 가능 연령은 20세 이상이다.

5. 시험 단계 및 시험 과목

고등고시는 제1차, 제2차, 제3차 시험으로 단계가 구성된다. 제1차 시험은 선택형 필기시험이며, 제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시험, 제3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진행된다. 문재인 정부는 출신 배경 등이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블라인드 면접을 도입하였다.[1]

5. 1. 제1차 시험

(주어진 원문 소스는 '제1차 시험' 섹션과 관련이 없으므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출력하지 않습니다.)

5. 2. 제2차 시험

(내용 없음)

5. 3. 제3차 시험

면접시험에서는 공무원으로서 가져야 할 정신자세, 전문적인 지식 및 그 응용 능력, 의사 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등을 평가한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출신 배경 등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블라인드 면접을 도입하였다.

6. 합격 이후

고등고시 합격 이후의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7. 시행 년도와 기수

1950년 고등고시 행정과 제1회부터 1963년 행정고등고시 제1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기수가 부여되고 있다. 1957년, 1970년, 1972년, 1973년, 1975년, 1976년, 1977년에는 한 해에 2개 기수가 배출되었다.

참조

[1] 문서 '등급'제로는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낮았다.
[2] 웹사이트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http://gosi.go.kr/
[3] 문서 '등급'제로는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낮다.
[4] 웹사이트 행정안전부 사이버국가고시센터 http://gosi.go.kr/
[5] 웹사이트 www.law.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