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데푸카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데푸카 판은 북태평양과 북아메리카 지역의 판 운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거의 사라진 패럴론판의 잔해이다. 약 5천만 년 전 파라론 판에서 분리된 밴쿠버 판이 북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기 시작하여, 약 3천만 년 전 태평양 판이 북아메리카 판에 도달하면서 후안 데 푸카 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후안 데 푸카 판은 동쪽으로는 캐스케이드 섭입대에서 북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고, 북쪽과 남쪽으로는 각각 태평양 판, 익스플로러 판, 고르다 판과 경계를 이룬다. 후안 데 푸카 판의 섭입은 캐스케이드 산맥의 화산 활동을 유발하며, 약 500년 간격으로 거대 지진이 발생하는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의 일부이다. 1700년에는 모멘트 규모 8.7에서 9.2로 추정되는 거대 지진이 발생하여 일본에 쓰나미 피해를 유발했으며, 대한민국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의 지질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 태평양의 지질 - 유라시아판
유라시아판은 유라시아 대륙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한 판으로, 주변의 여러 판들과 다양한 경계를 이루며 특히 인도판과의 충돌로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되었다. - 판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 판 - 판 (지각)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되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 14~15개의 주요 판과 40여 개의 소규모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 지질학에 관한 - 석탄
석탄은 식물이 지하에서 석탄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고체 연료로, 산업 혁명 이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으며, 탄소 함량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화력 발전, 제철 등에 사용되지만, 연소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 지질학에 관한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후안데푸카판 | |
---|---|
개요 | |
![]() | |
넓이 | 250,000 km2 |
이동 방향 | 북동쪽 |
이동 속도 | 26 mm/year |
위치 | 태평양 |
2. 연구의 역사
1961년 미국 서부 해안의 해저 조사에서 해저 암석에 남겨진 고지자기 기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방향이 바뀌는 줄무늬 형태를 띠고 있음이 발견되었다.[1] 이 줄무늬는 곳곳에서 어긋나 있었으며, 당시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았다.[1]
1961년 미국 서부 해안의 해저 조사에서 해저 암석에 남겨진 고지자기 기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반대로 되어 있고, 곳곳에서 어긋나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판 구조론 이론으로 설명되며, 패럴론판의 잔해인 후안데푸카판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1]
판 구조론의 발전에 따라, 고지자기 줄무늬와 어긋남은 해양판이 확장하고 이동하면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고, 오래된 지각은 섭입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설명되었다.[1] 거의 사라진 패럴론판의 잔해인 후안 데 푸카 판은 북태평양과 북아메리카 지역의 판 운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1]
3. 판의 지리와 역사
후안데푸카 판은 여러 판에 둘러싸여 있다. 동쪽으로는 캐스케이드 섭입대에서 북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고, 북쪽과 남쪽으로는 각각 태평양 판, Explorer Plate|익스플로러 판영어, Gorda Plate|고르다 판영어과 경계를 이룬다. 밴쿠버의 Nootka Island|누트카 섬영어 근처와 Gorda Plate|고르다 판영어 위치에 단층이 존재한다. 후안데푸카 판의 면적은 약 250000km2이다.[3]
4. 지진 및 화산 활동
후안 데 푸카 판의 섭입으로 캐스케이드 산맥에서 화산 활동이 일어나며, 이는 환태평양 화산대의 일부이다. 1900년대에 라센 산과 세인트헬렌스 산이 분화하였다.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에서는 약 500년 간격으로 거대 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700년 1월 26일 모멘트 규모 8.7에서 9.2로 추정되는 거대 지진이 발생하여 1100km에 걸쳐 단층 파괴가 발생하고 평균 20m의 미끄럼량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쓰나미는 태평양 건너 일본에도 기록되었다(元禄|겐로쿠일본어 12년).[4]
4. 1.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 (추가)
대한민국은 후안 데 푸카 판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지 않다. 그러나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해 있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있다. 1700년 캐스케이디아 지진과 같은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면, 일본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쓰나미 피해를 줄 수 있다.[4]
참조
[1]
뉴스
マントル最深部にプレートの痕跡 地球の進化、解明に道
https://www.nikkei.c[...]
2014-02-05
[2]
뉴스
マントル最深部にプレートの痕跡 地球の進化、解明に道
https://www.nikkei.c[...]
2014-02-05
[3]
웹사이트
http://geology.about[...]
[4]
뉴스
北米西海岸で西暦1700年に発生した巨大地震の規模を日本の古文書から推定
https://www.aist.go.[...]
2003-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