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는 일본 규슈 지역에 위치한 단층대로, 아소산 외륜산 서쪽에서 우토 반도까지 동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후타가와 단층대와, 마시키정에서 야츠시로해 남부까지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히나구 단층대로 구성된다. 이 단층대는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지진으로 인해 단층의 지표 변위가 발생했다. 2016년에는 마시키정 내 지표 단층이 마시키 정 지정 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8년에는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현의 지형 - 아리아케해
아리아케해는 규슈에 위치한 일본 최대 갯벌을 포함하는 폐쇄성 만으로,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여러 하천이 유입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며 김 양식 등 어업이 활발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인한 환경 문제와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구마모토현의 지형 - 미이케 탄광
에도 시대부터 1997년까지 존재했던 미이케 탄광은 미쓰이 재벌이 경영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지만, 강제 노역, 노동 분쟁, 대형 사고를 겪었고, 폐광 후 일부 시설이 문화재 및 사적으로 지정,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으나 강제 노역 문제로 논란이 되었다. - 가고시마현의 지형 - 가고시마만
가고시마만(긴코만)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남북 약 80km의 만으로, 사쿠라지마가 중앙부를 구분짓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지역 경제 및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가고시마현의 지형 - 오스미반도
오스미반도는 가고시마현과 미야자키현에 걸쳐 태평양과 접하고 사타곶을 남쪽 끝으로 하는 반도로, 농업과 축산업이 활발하며 시부시항을 중심으로 해상 교통이 발달했지만 인구 감소가 심각한 지역이다. - 일본의 단층 -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은 일본 알프스 형성에 기여하고 동일본과 서일본의 생태계 경계를 이루는 주요 지질 구조선으로, 활성 단층대로 인해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일부 구간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이토이가와시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 일본의 단층 - 사가미 해곡
사가미 해곡은 사가미만에서 보소반도 남동쪽 해역에 걸쳐 있는 해곡으로, 지각 변동과 판 경계 단층의 관점에서 사가미 섭입대에 해당하며, 사가미 메가스러스트는 간토 대지진과 같은 거대 지진의 원인이 되는 필리핀해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이다.
|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 | |
|---|---|
| 개요 | |
| 이름 |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 (布田川・日奈久断層帯) |
| 로마자 표기 | Futagawa Hinagu Dansōtai |
| 영어 표기 | Futagawa-Hinagu fault zone |
| 지질학적 특징 | |
| 위치 |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 |
| 구성 | 후타가와 단층대 히나구 단층대 |
| 특징 | 내륙 활성 단층대 |
| 지진 활동 | |
| 관련 지진 | 2016년 구마모토 지진 |
| 설명 |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당시 단층대 일부가 움직였을 가능성이 제기됨. |
2. 지리적 분포 및 구조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는 필리핀해판이 섭입하면서 발생한 동서 방향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단층이다. 두 단층 모두 정단층 성분을 가지지만, 우수향 주향이동 성분이 우세한 사교 단층이다. 후타가와 단층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북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히나구 단층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16]
이 단층대는 서남일본을 내대와 외대로 나누는 중앙구조선과 규슈의 중앙구조선이라 불리는 우스키-야츠시로선을 가로지른다.[4]
2. 1. 세부 구간
후타가와 단층대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6]| 단층대 | 구간명 | 위치 | 길이 |
|---|---|---|---|
| 후타가와 단층대 | 후타가와 구간 | 미나미아소촌에서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까지 | 약 19km[7][8] |
| 우토 구간 |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에서 우토시 중심부까지 | 약 20km | |
| 우토 반도 북안 구간 | 우토시 스미요시마치에서 우토 반도 북안을 따라 우토 반도 끝까지 | 약 27km 이상 | |
| 히나구 단층대 | 다카노-시라하타 구간 |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에서 우키시 도요노마치 야마자키 부근까지 | 약 16km |
| 히나구 구간 | 우키시 도요노마치 야마자키에서 아시키타정의 오타치미사키 부근까지 | 약 40km | |
| 야츠시로해 구간 | 오타치미사키 부근에서 야츠시로해 남부까지 | 약 30km |
2. 2. 지질학적 특징
후타가와 단층대는 미나미아소촌의 아소산 외륜산 서측 사면으로부터 마시키정 기야마 촌 인근을 지나 우토반도 끝자락까지 닿으며 대략 동북동에서 서남서 방향으로 그어져 있다. 그 길이는 64 킬로미터 이상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15] 히나구 단층대는 마시키 정 기야마 촌으로부터 아키키타정을 지나 아쓰시로해 남부까지 닿으며 대략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그어져 있다. 그 길이는 81 킬로미터 이상일 가능성이 있다.[15] 두 단층은 마시키 정 기야마 촌에서 서로 연결된다.[15]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는 필리핀해판의 섭입에 의해 발생된 동-서 방향의 최대 주 응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두 단층 모두 정단층 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우수향 주향이동 성분이 우세한 사교 단층이다. 후타가와 단층은 동북동-서남서 주향을 가지며, 북북서 경사 방향을 가지는 단층이다. 히나구 단층은 북북동-남남서 주향을 가지며, 서북서 경사방향을 가지고 있다.[16]
두 단층대는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에서 접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6]
| 단층대 | 구간 | 위치 | 길이 |
|---|---|---|---|
| 후타가와 단층대 | 후타가와 구간 | 미나미아소촌에서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까지 | 약 19km[7][8] |
| 우토 구간 |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에서 우토시 중심부까지 | 약 20km[6] | |
| 우토 반도 북안 구간 | 우토시 스미요시마치에서 우토 반도 북안을 따라 우토 반도 끝까지 | 약 27km 이상[6] | |
| 히나구 단층대 | 다카노-시라하타 구간 | 마시키정 키야마 부근에서 우키시 도요노마치 야마자키 부근까지 | 약 16km[6] |
| 히나구 구간 | 우키시 도요노마치 야마자키에서 아시키타정의 오타치미사키 부근까지 | 약 40km[6] | |
| 야츠시로해 구간 | 오타치미사키 부근에서 야쓰시로해 남부까지 | 약 30km[6] |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은 이 단층대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14] 2016년 4월 14일, 구마모토 지진의 가장 큰 전진(M=6.4)이 히나구 단층대의 북동쪽 연장 끝부분에서 발생하였고, 이틀 뒤인 4월 16일에는 본진(M=7.1)이 후타가와 단층대와 히나구 단층대가 접하는 마시키 지역 인근에서 발생하였다. 전진 이후 발생한 여진 분포는 주로 히나구 단층 북동쪽에 집중되었으며, 본진 이후 여진과 지표파열은 후타가와 단층대를 따라 동북동 또는 북동 방향으로 전파되었다. 후타가와 단층과 히나구 단층 북부 지역에 지표파열이 집중되었으며, 단층은 대부분 우수향 단층이다.[16]
규슈를 포함한 서남일본은 중앙구조선에 의해 내대와 외대로 나뉘는데,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는 외대를 구성하는 띠 모양의 지질 구조를 자르고 있으며, 규슈에서의 중앙구조선이라고도 불리는 우스키-야츠시로선도 자르고 있다.[4]
3. 2016년 구마모토 지진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지진조사위원회는 2016년 4월 17일, "본진은 후타가와 단층대의 후타가와 구간을 포함한 약 27km, 전진은 히나구 단층대의 고노-시라하타 구간의 활동에 의한 것이며, 일련의 지진 활동은 두 단층대가 연동하는 듯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진에서 움직인 단층의 범위는 예상보다 동서로 수 km씩 더 길었고, 동쪽 끝은 아소산 외륜산 (칼데라)까지 도달했다"라는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8][9]
3. 1. 지표 변위
지진으로 인해 도존(Douzon) 지역 등에서 2m 정도의 수평 변위가 발생했다.[16]
4. 천연기념물 지정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발생 당시, 마시키 정 내에서 지표에 나타난 단층에 대해 2016년 6월 17일에 2곳[10], 2017년 6월 7일에 1곳[11]이 마시키 정 지정 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그 후, 이 3곳은 "학술상 가치가 높고, 지진 피해를 미래에 전달하는 재해 유구로서도 귀중하다"는 이유로, 2018년 2월 13일에 국가 천연기념물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로 지정되었다.[12][13]
참조
[1]
PDF
活断層・古地震研究報告 No.11
https://www.gsj.jp/d[...]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unka.go.[...]
2018-12-13
[3]
뉴스
浅い震源、内陸型か 震源地周辺の断層帯、動いた可能性
http://www.asahi.com[...]
2016-04-14
[4]
학술논문
布田川・日奈久断層帯海域部における高分解能マルチチャンネル音波探査
https://www.gsj.jp/d[...]
産業技術総合研究所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2011
[5]
뉴스
熊本地震「連鎖」に3つの可能性 前震で地下の力変化 2断層帯、実は一体 ひずみ蓄積し余震誘発
https://www.nikkei.c[...]
2016-05-02
[6]
웹사이트
布田川断層帯・日奈久断層帯
https://www.jishin.g[...]
[7]
PDF
布田川断層帯・日奈久断層帯の評価(一部改訂)
https://jishin.go.jp[...]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3
[8]
뉴스
M7.3 布田川断層帯動く 地震調査委 従来より長いと推定
https://www.jcp.or.j[...]
2016-04-18
[9]
뉴스
M7.3、活断層が想定超え27キロ動く 東側は阿蘇山に到達していた…地震調査委が発表
https://www.sankei.c[...]
2016-04-17
[10]
뉴스
布田川断層、町文化財に 益城町教委が指定
http://kumanichi.com[...]
2016-06-26
[11]
뉴스
"熊本地震「畑の断層」を震災遺構に 益城町、文化財指定"
https://www.asahi.co[...]
2017-06-15
[12]
웹사이트
史跡等の指定等について
http://www.bunka.go.[...]
문화청
2017-11-17
[13]
간행물
平成30年2月13日文部科学省告示第21号
2018-02-13
[14]
뉴스
浅い震源、内陸型か 震源地周辺の断層帯、動いた可能性
http://www.asahi.com[...]
2016-04-14
[15]
웹사이트
布田川断層帯・日奈久断層帯
http://www.jishin.go[...]
[16]
웹인용
양산-울산 단층계와 후타가와-히나구 단층계의 비교를 통한 지진발생특성 연구
https://www.dbpia.co[...]
한국암석학회
2016-09
[17]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18]
문서
소멸된 판
[19]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