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동형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동형 지진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지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복합지진, 쌍둥이지진과 유사한 현상으로, 해구형 지진, 활단층형 지진, 쌍둥이 지진의 형태로 나타난다. 일본, 한국, 미국 등지에서 연동형 지진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특히 일본 해구에서 발생한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여러 세그먼트가 연동하여 발생한 초거대지진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동형 지진 -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일본 난카이 해곡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해구형 지진으로, 서일본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재해이며,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지진의 연동, 장주기 지진동 및 쓰나미 동반, 휴가나다 지진 및 류큐 해구와의 연동 가능성 등이 예측되고 있다.
  • 연동형 지진 - 호에이 지진
    1707년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호에이 지진은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이 연동된 대규모 지진으로 에도 시대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후지산 호에이 대분화를 촉발했다.
  • 지진의 종류 - 해구형 지진
    해구형 지진은 섭입대에서 판 경계면의 충상단층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지진으로,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하고 긴 시간 동안 강한 진동을 일으키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섭입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 지진의 종류 - 심발지진
    심발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200km를 초과하는 지진으로, 표면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실체파는 크게 느껴지며, 섭입하는 해양판의 움직임 등 여러 원인으로 판의 경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넓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지진이다.
연동형 지진
개요
정의여러 단층의 파괴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지진.
특징단일 단층에서 발생하는 지진보다 더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침.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 증가.
예측 및 대비의 어려움.
연동형 지진의 유형
시간차에 따른 분류거의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호에이 지진).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하는 경우 (안세이 도카이 지진과 안세이 난카이 지진, 쇼와 도난카이 지진과 쇼와 난카이 지진).
공간적 범위에 따른 분류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연동형 지진: 난카이 해구를 따라 발생하는 거대 지진.
연동형 지진의 메커니즘
설명단층 내 응력 변화가 다른 단층에 영향을 미쳐 발생.
지진파나 정적 응력 변화를 통해 연쇄적인 파괴가 발생 가능.
침강 등의 지각 변동과 연관될 가능성 존재.
추가 설명[http://www.histeq.jp/kaishi_21/P253.pdf 巨大地震の連動性と発生間隔の変化のメカニズム] 참고.
연동형 지진 예측 및 대비
예측의 어려움단층 간 상호작용의 복잡성으로 인해 정확한 예측이 어려움.
과거 발생 이력 및 지질학적 조사 등을 통해 발생 가능성을 평가.
대비의 중요성지진해일 대비 시설 확충 및 주민 대피 훈련 강화.
건축물 내진 설계 강화.
재해 발생 시 신속한 정보 전달 체계 구축.
참고 자료
참고 웹사이트GSJ 지질 뉴스 Vol.9 No.2
PDFlink: 해안의 지형·지질 조사에서 연동형 거대 지진을 예측한다
참고 논문10.5918/jamstecr.13.17
관련 용어
일본어ja
영어en

2. 복합지진

하나의 지진이 여러 개의 하위 단층 파괴 사건으로 구성되는 현상을 복합지진이라고 한다.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1923년 간토 대지진,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등 규모 M7 이상의 지진은 거의 대부분 복합지진의 형태를 띈다.[121]

2. 1. 복합지진의 특징

지진 현상을 분석하여 하나의 지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두 개 이상의 하위 단층 파괴 사건으로 나눌 수 있는 지진을 복합지진이라고 부른다. 이는 전진이나 여진 현상과는 다르지만 본진에 매우 가까운 전진이나 여진과는 구별하기 어렵다.[120]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1923년 간토 대지진,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등 규모 M7 이상의 지진은 거의 대부분 복합지진의 형태를 띈다.[121]

2012년 4월 수마트라 지진에서는 우수향 단층→좌수향 단층→좌수향 단층→우수향 단층→우수향 단층으로 여러 개의 공액단층이 활동해 총 Mw|8.6영어 규모로 커졌다.[122] 또한 본진 발생 2시간 후에는 Mw|8.2영어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2년 12월 산리쿠 해역 지진에서는 Mw|7.2영어의 역단층형 지진이 일어난 지 약 8초 후 Mw|7.4영어의 정단층형 지진이 일어났다.[123]

2016년 4월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구마모토현 지방을 중심으로 일어난 Mj의 본진이 일어난 지 약 32초 후에 오이타현 중부를 진원으로 하는 Mj의 지진이 일어났다.

2. 2. 복합지진의 예시

하나의 지진이 시공간적으로 두 개 이상의 하위 단층파괴 사건으로 나눌 수 있는 지진 현상을 복합지진이라고 부른다. 이는 전진이나 여진 현상과는 다르지만, 본진에 매우 가까운 전진이나 여진과는 구별하기 어렵다.[120] 규모 M7 이상의 지진은 거의 대부분 복합지진의 형태를 띈다.[121]

  • 2012년 수마트라 지진에서는 우수향 단층→좌수향 단층→좌수향 단층→우수향 단층→우수향 단층으로 여러 개의 공액단층이 활동해 총 Mw영어8.6 규모로 커졌다.[122] 본진 발생 2시간 후에는 Mw영어8.2의 지진이 발생했다.

3. 연동형 지진

연동형 지진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지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3] 복수의 지진이 거의 동시에 연속해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독 지진에 비해 진원역이 넓기 때문에 거대 지진이 되는 경우가 많다.[10] 연동 관계에 있는 지진에 시간차가 있더라도, 그 지진의 진원역은 인접하거나 중복되는 경향이 있다.[3]

연동형 지진은 복수의 해역이 동시에 움직이거나, 동일하거나 인접하는 단층에서 어긋남의 범위가 확대되어 발생한다. 이는 본진의 진원역(여진역)에서 떨어진 곳에서 지진이 유발되는 유발 지진(지진의 유발성)과는 구별된다.[12]

규모(Mw) 9 이상을 기록한 2004년 수마트라 섬 지진이나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복수 진원 영역에서의 연동형 지진이라는 견해가 있다.[3] 난카이 해곡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은 과거 기록이나 지질 조사를 통해 연동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 지시마 해구, 류큐 해구 등에서도 지질 조사나 쓰나미 시뮬레이션을 통해 과거 연동하여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3. 1. 연동형 지진의 메커니즘

경계형 지진에서는 특히 장대한 진원역을 갖는 초거대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 해구 연안의 개별 세그먼트에서 일어나는 고유 지진이 때로는 복수의 세그먼트에 걸쳐 연동함으로써 단층 파괴가 진행되는 연동형 지진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5] 또한, 해구형 지진·활단층형 지진에 관계없이 지진 발생에는 단층의 어긋남(파괴)이 크게 관여한다는 가설에서는, 연동형 지진은 이 파괴가 고유 진원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복수의 진원 영역(광범위)에 미치는 경우이다.[6][7] T. 레이 및 가네모리 히로오 (1982)는, 세계의 섭입대를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그 애스페리티의 공간 분포 차이로부터 연동형의 거대 지진이 일어나기 쉬운 장소와 일어나기 어려운 장소가 있다고 하는, 애스페리티 모델을 제창했다.[8] 단, 연동형 지진에서는 섭입이 일정한 속도로 진행됨으로써 고착 영역에서 파괴가 발생한다고 여겨지는 애스페리티 모델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예를 들어 후술할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서는 본진 또는 전진 전에 단층의 섭입이 일어나지 않았고, 본진 발생 후에는 다시 섭입이 재개되는 등 단속성이 확인되고 있다.[9]

3. 2. 해구형 연동형 지진

해구에서 발생하는 연동형 지진은 여러 개의 지진 진원지가 연쇄적으로 움직여 발생하는 지진을 말한다. 이러한 연동형 지진은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연동형 지진의 진원역

3. 2. 1. 일본

쿠릴 해구에서는 쓰나미 퇴적물 분석을 통해 과거에 도카치 해역 지진네무로반도 해역 지진이 연동해서 규모 M9급의 지진이 일어났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24]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판 구조론에 기반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동형으로 보이는 거대해일 흔적이 2,500년 동안 약 500년 간격으로 총 5번 남았으며 가장 최근에 남은 흔적은 17세기라고 발표했다.[125] 홋카이도 대학 등의 조사에서 홋카이도 남부 모리정에서 동시기로 추정되는 쓰나미 퇴적물(쓰나미 추정 높이 5m 이상)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도카치 해역과 네무로반도 해역의 연동형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진원역이 산리쿠 해역 북부 아오모리현 해역까지 이어지는 거대 연동형 지진이 일어났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도 있다.[126]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모멘트 규모 Mw8.1) 직후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Mw8.2, 실제로는 산리쿠 해역 북부 지진)의 단층 파괴 남단부와 산리쿠 해역의 지진(여진)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후 발생한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은 본진 지진역과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의 여진역 사이를 메우는 형태로 발생했다. 이 때문에 두 지진(도카치 해역 지진과 산리쿠 해역 북부 지진)의 진원이 연동해서 단층이 움직일 수 있는 경우도 제안되었으며, 이 경우 최대 규모는 M9급에 달한다는 연구도 있다.[127]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일본 해구의 산리쿠 해역에서부터 이바라키현 해역까지 남북 500km, 동서 200km의 진원역에서 최대 미끄러짐양이 약 20m 정도의 규모로 총 3개 단층이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연동해서 단층이 파괴된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인 Mw9.1의 지진이다.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가 상정한 고유지진의 지역인 산리쿠 해역 중부, 미야기현 해역, 산리쿠 해역 남부 해구 부근, 후쿠시마현 해역, 이바라키현 해역, 산리쿠 해역 북부에서 보소 해역까지의 해구 부근[128] 등 총 6개 진원역을 포괄하는 초거대지진이 되었다.[129]

T. 래이(1982년) 등의 애스패리티 모델에서는 일본 해구는 제3형 애스패리티인데, 제3형은 섭입대의 각 세그먼트에 여러 개의 작은 애스패리티가 존재하고 이들이 있을 땐 개별적으로 미끄러지고 가끔 여러 개의 애스패리티가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는 있지만 여러 세그먼트가 연동해서 초거대지진이 일어나는 일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116] 하지만 일본 해구에서 발생한 2011년 초거대지진은 여러 세그먼트에서 연동해서 일어난 지진으로 기존의 애스패리티 모델과는 완전히 벗어난 형태의 지진이다.[131] 2011년 지진에서 가장 크게 미끄러짐이 발생한 영역이 3곳으로 확인되지만 단층 미끄러짐 분포에서는 기존에 예상되었던 미야기현 해역과 후쿠시마현 해역의 개별적인 애스패리티가 발견되지 않았다.[129] 2011년 지진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지진이 일어나는 유발지진 현상도 관측되었다.

일본 해구 지역은 과거에도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869년 조간 지진은 이와테현 해역에서 후쿠시마현 해역 혹은 이바라키현 해역까지를 진원역으로 하는 연동형 초거대지진으로 추정된다.[132] 이는 기존에 후쿠시마현과 미야기현 연안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이 이와테현 연안에서도 발견된 것 등을 근거로 한다.

1793년 간세이 지진은 추정 진도 분포에서 미야기현 해역 지진 종류로 추정되지만 산리쿠 연안에 1978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을 능가하는 2m-5m의 쓰나미가 닥쳤던 것으로 추정되며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가 상정한 '미야기현 해역' 이외에 "산리쿠 남부 해구 부근"도 연동된 지진으로 추정된다.[133] 간세이 지진의 진원역은 여러 가지 설이 있으며 1897년 지진과 유사하다는 설,[134] 진원역의 확대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과 유사해 규모 M8.5-8.6 정도라는 설이 있다.[135]

사가미 해곡에서 발생하는 규모 M8급 해구형 거대지진은 가나가와현 전역에서 보소반도 서부를 진원지로 하는 1923년 다이쇼 간토 대지진형과 진원지가 이보다도 더 동쪽으로 확대된 1703년 겐로쿠 지진형 두가지 유형이 반복해서 일어나는데 지진학자 시시쿠라 마사노부는 '겐로쿠형'은 '다이쇼형'에 더해 보소반도 동남쪽 해역 '외방형' 진원이 합쳐진 연동형지진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36]

난카이 해곡에서는 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과 같은 거대지진이 100-150년을 주기로 발생한다. 과거의 경험으로 볼 때 이 세 지진은 서로 연동되는 관계에 있으며, 난카이 해곡의 연동형 지진으로 여러 차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137][138] 과거 3연동형 지진에서 스루가 해곡 지역(도카이 지진의 추정 진원역)까지 단층파괴가 일어났냐에 대해서는 호에이 지진을 포함해 확실하게 일어났다는 증거가 발견되진 않았다.[139] 여러 세그먼트의 단층파괴가 거의 동시에 일어난 것으로 알려진 호에이 지진이나 약 32시간 차이를 두고 일어난 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 약 2년의 차이를 두고 일어난 쇼와 도난카이 지진쇼와 난카이 지진과 같이 연동 관계를 둔 지진도 서로 그 연동 발생 간격은 매우 다양하다.[137]

쇼와 시대 도난카이 지진에서는 도카이 지진의 진원지로 추정되는 스루가 해곡 내에서 단층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도난카이 지진만 단독으로 발생(2년 후 난카이 지진도 발생)했지만, 역사적으로 도카이 지진으로 여겨지는 기록은 현재의 도카이 지진과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을 포함한 지진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스루가 해곡 내 도카이 지진의 진원역에서만 거대지진이 단독으로 발생했다는 기록은 지난 1,500년간의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는다.[140] 최근까지 역사 문헌의 분석을 통해 난카이 지진이나 도카이-도난카이 지진 단독으로 여겨졌던 일부 지진도 지질조사를 통해 사실 연동형 지진이었을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다.[141][142]

난카이 해곡 서쪽 끝단의 휴가나다 부근을 진원으로 하는 휴가나다 지진도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3연동지진 또는 난카이 단독 지진과 연동해서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143] 호에이 지진은 진원역이 휴가나다까지 뻗어나갔을 가능성이 있으며,[143]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은 난카이 지진의 일부거나 난카이와 연동되어 일어난 지진으로 추정된다는 연구도 있다.[144]

1707년 호에이 지진은 진도분포나 쓰나미 발생 영역을 통해 1854년 발생한 안세이 도카이 지진과 안세이 난카이 지진 영역을 합친 것과 거의 비슷하며 도카이 해역과 난카이 해역에서 거의 2개의 지진이 동시에 발생했다고 추정되었다.[145][146] 호에이 지진은 도카이 지진(이후로는 전부 도카이 지진+도난카이 지진을 의미한다)과 난카이 지진이 시간차를 두고 일어났는지 혹은 동시에 일어났는지는 문헌 기록만으로는 알기 어렵지만 시간적으로는 두 지진을 분리할 수 없다 보고 난카이 해곡 거의 전역의 단층파괴가 일어난 연동형지진으로 파악된다.[146] 도카이 지진의 진원역 약 300km, 난카이 지진은 약 400km로 호에이 지진의 진원역은 거의 700km로 진원역이 더 길어졌을 뿐 아니라 단층이 미끄러진 폭도 더 커져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이 합쳐져야지만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비교할 수 있는 초거대지진이 될 수 있다고 추정했다.[147] 호에이 지진은 안세이 도카이 지진과는 달리 호에이 지진의 진원 동쪽 끝은 스루가만 안쪽(스루가 해곡)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으며[148] 서쪽 끝의 경우 휴가나다 해역까지 확대하지 않으면 규슈 동쪽과 제주도에 덮친 쓰나미를 설명할 수 없다는 연구도 있다.[149] 스루가만 인근의 지각변동과 진도 분포를 통해 호에이 지진은 단순히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의 연동으로만 볼 수 없다는 연구가 있다.[150]

위의 지진 외에도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3연동지진에 더해 해일지진으로 추정되는 1605년 게이초 지진의 진원역으로 추정되는 난카이 해곡 부근의 영역(판 경계 중 극히 얕은 부분)과 연동될 경우 최대 M9급의 초거대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연구도 있다. 이 경우 쓰나미 높이도 단순 3연동지진과 비교해 최대 1.5배에서 2배 높아질 수 있다.[151]

3. 2. 2. 일본 외 지역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자바 해구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Mw 9.1-9.3의 초거대지진으로, 수마트라섬 서북부 니아스섬에서 인도안다만 니코바르 제도까지 길이 1,000-1,600 km에 이르는 단층이 연속적으로 파괴되며 일어났다.[158] 1861년, 1881년, 1941년 수마트라섬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M8급 지진의 진원역을 모두 포함하며, 2004년 지진의 에너지는 이 세 지진을 합친 것보다 훨씬 컸다.[159]

2004년 지진은 수마트라, 니코바르, 안다만 해역 세그먼트가 남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움직인 연동형 지진으로 추정된다.[111] 일반적인 지진은 단층 길이, 폭, 미끄러짐양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나는 법칙이 있지만, 이 지진처럼 단층 길이가 1,000 km가 넘는 경우에는 단순 적용이 어렵다. 수마트라, 니코바르, 안다만 해역을 개별 세그먼트로 분석하면 종횡비(단층 길이 L/폭 W)는 대표값인 2.0에 가깝다.[111]

미국 알래스카주 알류샨 해구에서도 연동형 지진이 발생한다.

  • 1957년 앤드리애노프 제도 지진 (1957년 3월 9일, Mw 8.6)
  • 1965년 래트 제도 지진 (1965년 2월 3일, Mw 8.7)

3. 3. 활단층형 연동형 지진

활단층에서 발생하는 연동형 지진은 여러 단층이 연쇄적으로 움직여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 일본 ====

  • 1891년 노비 지진네오다니 단층 등 5개 단층이 한꺼번에 움직여 발생한 M8.0의 지진으로, 일본 역사상 가장 큰 대륙판 내부 지진으로 추정된다.[164] 사망자 7,273명, 전소 가옥 142,177채를 기록하는 등 큰 피해를 남겼다.[165]

  • 2024년 1월 1일 발생한 노토반도 지진(M 7.6)은 13초 간격으로 두 단층(모두 M 7.3 상당)이 연동[58]하여 총 150km에 걸쳐 암반이 파괴되었다.[59] 이 지진은 연동형 지진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60]


==== 일본 외 지역 ====

  • 1811년 12월 16일부터 1812년 2월 7일까지 미국 뉴매드리드 지진대에서 발생한 4차례의 지진(뉴매드리드 지진)은 약 3000000km2의 넓은 지역에 영향을 주었다.[168]
  • 1992년 1992년 랜더스 지진(Mw7.3)은 육상 활단층에서 발생한 3연동형 지진으로 알려져 있다.[169]

3. 3. 1. 일본

1596년 9월 1일 주오 구조선을 따라 게이초 이요 지진이 발생했고, 3일 후인 9월 4일에는 호요 해협 반대편에서 게이초 분고 지진이 일어났다. 다음 날인 9월 5일에는 롯코-아와지섬 단층대와 아리마-다카스키 단층대에서 이 지진들의 유발지진으로 추정되는 게이초 후시미 지진이 발생했다. 세토 내해 연안의 주오 구조선을 따라 일어난 세 지진은 옛 문헌에 날짜가 뒤섞여 기록된 경우도 있지만, 게이초 분고 지진과 후시미 지진과 가까운 7일 이내에 시코쿠의 주오 구조선을 따라 이 세 지진과 연동되는, 기록에 없는 대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160]

쓰지 요시노부는 이 지진들이 주오 구조선에서 일어난 일련의 지진 활동이라고 분석했고,[161] 2006년 오카다 아쓰마사도 9월 1일부터 5일까지 주오 구조선 단층대가 연동하여 연속적으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62]

1586년 1월 18일 발생한 덴쇼 지진긴키 지방에서 도카이 지방, 호쿠리쿠 지방까지, 1891년 노비 지진을 넘는 넓은 범위에서 막대한 피해를 일으켰다. 히다국의 시라카와 단층, 이세만 혹은 현대 기후현의 아테라 단층, 1998년 조사에서 지진 활동이 밝혀진 요로 단층 등 여러 가설이 있지만, 대부분은 여러 단층이 연동하여 거의 동시에 움직였다고 분석한다.[163]

1891년 발생한 노비 지진은 노비 단층대 중 네오다니 단층, 우메하라 단층, 누쿠미 단층 서북부가 움직였으며, 단층 이동 범위는 후쿠이현 경계(후쿠이현 노지리정)에서 기후현을 거쳐 아이치현 경계까지 달했다. 분기하는 기후-이치노미야 단층 등 총 5개 단층이 한꺼번에 움직였다는 단층 모델도 있다. 지진 규모는 대륙판 내부 지진(활단층형 지진)으로는 일본 역사상 가장 큰 M8.0으로 추정되며,[164] 사망자 7,273명, 부상자 17,175명, 전소 가옥 142,177채를 기록하며 일본 내에서는 "신묘진재"라고도 불린다.[165]

2016년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히나구 단층대와 후타가와 단층대라는 2개 단층대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4월 14일 M6.5의 전진이 발생했고, 4월 16일에는 후타가와 단층대에서 본진인 M7.3의 지진이 일어나 두 단층대가 서로 연동하여 지진이 발생했다는 주장도 있다.[166][167]

2024년 1월 1일 발생한 노토반도 지진(M 7.6)은 진원지인 이시카와현 스즈시 부근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은 단층(1차)과 북동 방향으로 뻗은 단층(2차)이 13초 차이로 연동(모두 M 7.3 상당)[58]하여 총 150km에 걸쳐 암반이 파괴되었다.[59] 이 지진은 연동형 지진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60] 또한, 이 지진으로 노토반도 북쪽에서 대규모 융기가 발생하여 와지마시 시카이소 어항 주변에서는 4m나 되는 융기와 현지의 수천 년분 지각 변동이 확인되었다.[61] 이 단층(해저 활단층 F42와 F43)에 의한 지진은 2014년 시점에서 이미 국토교통성 보고서에 정리되어 있었지만, 해저 단층에 의한 지진의 영향은 적다는 인식이 현이나 정부 등에 있어 방재 대책으로 이어지지 못했다.[62]

3. 3. 2. 일본 외 지역

1811년 12월 16일부터 이듬해인 1812년 2월 7일까지 미국 중서부의 뉴매드리드 지진대에서 4차례의 지진(뉴매드리드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아칸소주 동북부와 미주리주 부츠힐 지역 등 뉴매드리드를 중심으로 약 3000000km2의 넓은 지역에 규모 M7-8 사이에 이르는 지진을 연달아 일으켜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 동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168]

199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1992년 랜더스 지진(Mw7.3)은 육상 활단층에서 발생한 3연동형 지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진 발생 후 수 시간만에 약 40km 떨어진 곳에서도 큰 지진이 발생했다.[169]

4. 쌍둥이지진

'''쌍둥이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두 지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68][70] 쌍발 지진이라고도 부른다. 첫 번째 지진으로 주변 지각변형이 생겨 두 번째 지진이 유발된다. 본진 때 큰 흔들림(단층의 파괴)이 연이어 일어나는 경우(관동 대지진 등)와, '''연동형 지진'''에서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연이어 일어나는 경우(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 2004년과 2005년의 수마트라 지진 등)가 있다. 두 지진의 규모는 거의 비슷할 때가 많아 전진, 본진, 여진과 구별하기 어렵다.

4. 1. 쌍둥이지진의 특징

쌍둥이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두 지진이 거의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지역이나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68][70] 쌍발 지진이라고도 부른다. 첫 번째 지진으로 인해 주변 지각변형이 생겨 두 번째 지진이 일어난다. 본진 때 큰 흔들림(단층 파괴)이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예: 관동 대지진)와, '''연동형 지진'''에서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예: 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 2004년과 2005년의 수마트라 지진)가 이에 해당한다. 두 지진의 규모는 거의 비슷할 때가 많아서 전진, 본진, 여진과 구별하기 어렵다.

4. 2. 과거의 주요 쌍둥이지진

'''쌍둥이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두 지진이 매우 짧은 시간 간격(동시에 일어나거나 약간의 시간 간격)으로 같은 지역이나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68][70] 쌍발 지진이라고도 부른다. 첫 번째 지진으로 주변 지각변형이 일어나 두 번째 지진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진 때 큰 흔들림(단층 파괴)이 연달아 일어나는 경우(예: 관동 대지진)와, '''연동형 지진'''에서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연달아 발생하는 경우(예: 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 2004년과 2005년의 수마트라 지진)가 이에 해당한다. 두 지진의 규모는 거의 비슷할 때가 많아 전진, 본진, 여진과 구별하기 어렵다.

4. 3. 쌍둥이지진의 비교 예시

쌍둥이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두 지진이 거의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지역이나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68][70] 쌍발 지진이라고도 한다. 첫 번째 지진으로 주변 지각변형이 생겨 두 번째 지진이 발생한다. 본진 때 큰 흔들림(단층의 파괴)이 연이어 일어나거나, (관동 대지진처럼) '''연동형 지진'''에서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연이어 일어나는 경우 (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 2004년과 2005년의 수마트라 지진처럼)를 가리킨다. 두 지진의 규모는 거의 비슷할 때가 많아 전진, 본진, 여진과 구별하기 어렵다.

2021년과 2022년의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 비교
style="width:6em" |2021년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2022년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비고
발생 시각2021년 2월 13일
23시 7분 50.5초
2022년 3월 16일
23시 36분 32.6초
두 지진 모두 심야 23시 대에 발생했다.
진앙두 지진의 진원진앙은 매우 가깝다[94]
진원 깊이55km57km
지진 규모M7.3 (Mw7.1)[95]M7.4 (Mw7.3)[96]2022년 지진 쪽이 규모・진원역 모두 약간 더 크다[97]지각 변동도 2022년 지진 쪽이 더 컸다[98]。또한, 여진 횟수도 2021년 지진 쪽이 적었다[85]
최대 진도진도 6강두 지진 모두 미야기현후쿠시마현에서 최대 진도 6강을 기록했고, 흔들림의 확산도 유사했다[99]。후쿠시마현 소마시와 구니미마치, 미야기현 자오정은 2년 연속 진도 6강의 강진에 휩쓸렸다[100][101][102]
지진 종류
(발진 기구)
태평양 플레이트의 역단층형 슬래브 내 지진[94]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압력축을 갖는 역단층형)[103][104]
지진의 종류와 메커니즘은 모두 동일했다. 흔들림의 특징도 같아서, 모두 "단주기 탁월형"이었다[105]。하지만, 두 지진의 진원 단층은 다른 것이며, 2022년 지진은 2021년 지진의 진원 단층 북쪽 연장부가 움직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97]
쓰나미최대 22cm (이시노마키항)[106]최대 31cm (이시노마키항)[107]쓰나미 주의보는 2021년 지진에서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2022년 지진에서는 발표되었다. 2021년 지진의 쓰나미 규모는 2022년 지진에 비해 작았다. 두 지진 모두 이시노마키항에서 최대 쓰나미 높이를 관측했다.
인적 피해사망자 3명・부상자 184명사망자 4명・부상자 248명피해는 전체적으로 2022년 지진 쪽이 더 컸다. 희생자 수 및 주택의 전파・반파・일부 파손 동수는 모두 2022년 지진이 2021년 지진을 넘어섰다[108]
주택 피해전파 144동・반파 3,070동[108]전파 224동・반파 4,630동[109]


참조

[1] 웹사이트 GSJ 地質ニュース Vol.9 No.2 https://www.gsj.jp/p[...] 2023-06-30
[2] PDFlink 巨大地震の連動性と発生間隔の変化のメカニズム http://www.histeq.jp[...] 2006
[3] 논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スマトラ島沖地震における連動型地震の考察 https://doi.org/10.5[...] 2011
[4] PDF 沿岸の地形・地質調査から連動型巨大地震を予測する https://www.gsj.jp/d[...]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2009-11
[5] PDFlink 1960年チリ地震震源域でくり返し生じた過去の巨大地震 http://www.histeq.jp[...] 2006
[6] 뉴스 東日本巨大地震 エネルギー 阪神の700倍 複数の震源が連動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1-03-12
[7] 뉴스 4領域で、3地震が連動発生=M9、阪神・淡路の360倍-東日本大震災 時事通信 2011-03-13
[8] 논문 The Asperity Model and the Nature of Large Subduction Zone Earthquakes https://www.research[...] 1982
[9] 웹사이트 「アスペリティモデル」から「断続沈み込みモデル」へ http://www.niitsuma-[...] 新妻地質学研究所/静岡大学理学地球科学教室名誉教授 新妻信明
[10] 문서
[11] PDF 宮城県沖地震における重点的な調査観測:プロジェクトの概要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12] PDF 巨大地震の連動性と誘発性 http://www.city.hida[...] 2011-07-16
[13] 웹사이트 産総研:プレスリリース 17世紀に北海道で発生した巨大地震後の地殻変動 https://www.aist.go.[...] 産総研
[14] 간행물 千島海溝プレート間地震の連動が巨大な津波をもたらした https://www.aist.go.[...] 産総研 2003-08-07
[15] 뉴스 「500年間隔地震」 巨大津波 道南も http://mytown.asahi.[...] 朝日新聞 2011-07-21
[16] PDFlink 宮岡一樹、吉田明夫:日本周辺の巨大地震に伴った大きな余震 http://www.onken.oda[...] 2013
[17] PDFlink 三陸沖から房総沖にかけて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 https://www.jishin.g[...] 2009
[18] 서적 超巨大地震に迫る- 日本列島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NHK出版新書 2011
[19] PDFlink 東日本大震災特集 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Mw9.0:概要 http://www.jsnds.org[...] 2012
[20] PDF 石巻平野における津波堆積物の分布と年代 http://unit.aist.go.[...]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断層・地震研究センター 2007-09-28
[21] PDFlink 宮城県沖地震の長期評価 https://www.jishin.g[...] 2000
[22] 논문 三陸沖歴史津波の規模と推定波源域 https://hdl.handle.n[...] 1975
[23] PDFlink [講演要旨]歴史地震について(遺言にかえて) http://www.histeq.jp[...] 2012
[24] 뉴스 首都直下地震:想定外の震源域 房総南東沖にM8級痕跡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1-09-09
[25] 뉴스 「南海トラフ」新予測、東海地震説を否定 連動視野に全域警戒を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3-06-17
[26] 웹사이트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の連動性評価研究プロジェクト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事務局/文部科学省研究開発局・海洋研究開発機構
[27] PDF 南海トラフ三連動型地震・M9はあり得るか? http://www.eri.u-tok[...]
[28] 웹사이트 地震活動を予測する─地震予知研究最前線─ 第6回/東海地震とは http://jishin-info.j[...] 大地震に備える/東海大学海洋研究所地震予知研究センター教授 [[長尾年恭]]
[29]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1997
[30] PDF 遺跡が語る巨大地震の過去と未来 http://www.aist.go.j[...] 産業技術総合研究所
[31] 뉴스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で震源域は日向灘に延びる恐れ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1-04-21
[32] 서적 地震の事典 朝倉書店 1987
[33] 논문 歴史地震の研究(5) : 宝永4年10月4日(1707年10月28日)の地震及び津波災害について https://cir.nii.ac.j[...] 1982
[34] PDFlink 宝永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984
[35] 논문 連動型巨大地震としての宝永地震(1707) 2007-10-26
[36] 논문 1707年宝永地震震源域の東端位置 https://hdl.handle.n[...] 2005
[37] 논문 A revised tsunami source model for the 1707 Hoei earthquake and simulation of tsunami inundation of Ryujin Lake, Kyushu, Japan https://doi.org/10.1[...] 2011
[38] 간행물 [講演要旨]1707年宝永地震の新地震像(速報) http://www.histeq.jp[...] 2011
[39] 뉴스 東日本大震災6カ月 巨大地震の謎は解明できたの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MSN産経ニュース 2011-09-11
[40] 뉴스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巨大地震・津波発生メカニズムの解明 http://www.kyoto-u.a[...] 京都大学 2013-12-06
[41] 웹사이트 第173回地震予知連絡会(2007年5月14日) 議事概要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2011-04-01
[42] 웹사이트 東海から琉球にかけての超巨大地震の可能性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2011-04-01
[43] 학술지 東海から琉球にかけての超巨大地震の可能性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2011-03-19
[44] 서적 日本をゆるがす超巨大地震 https://web.archive.[...] ニュートンプレス 2007-12
[45] 학술지 M9─超巨大地震:日本の西半分が震源域に!? http://www.newtonpre[...] ニュートンプレス 2011-04-02
[46] 뉴스 津波死者1万1100人 沖縄県の地震被害想定 https://www.okinawat[...] 沖縄タイムス+ 2014-05-31
[47] 간행물 Ultra-long period seismic moment of the great December 26, 2004 Sumatra earthquake and implications for the slip process http://www.earth.nor[...] Northwestern University
[48] 간행물 スマトラ沖地震津波災害 http://www.dpri.kyot[...] 2005
[49] 서적 地震のすべてがわかる本 発生のメカニズムから最先端の予測まで 成美堂出版 2005
[50] 간행물 歴史上の内陸被害地震の事例研究 https://www.eri.u-to[...]
[51] 간행물 活断層で発生する大地震の連動・連鎖 -中央構造線・濃尾断層系・山陰地域の活断層を事例として- 2006
[52] 서적 地震と火山の国 岩波書店 1987
[53] 논문 濃尾地震のマグニチュード https://doi.org/10.4[...] 1962
[54] 서적 新編日本被害地震総覧 東京大学出版会 1987
[55] 뉴스 熊本地 「M7.3」14日の地震が誘発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4-16
[56] 뉴스 活断層、横ずれ50キロ…大分にも震源域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6-04-16
[57] 문서
[58] 웹사이트 能登半島地震の揺れ 少なくとも2回の大きな断層破壊が起きたか https://www3.nhk.or.[...] 2024-02-09
[59] 웹사이트 能登半島地震 およそ150キロの活断層がずれ動いて起きた可能性 https://www3.nhk.or.[...] 2024-02-11
[60] 뉴스 能登半島地震、13秒差でM7・3相当が連続発生か…揺れ収まる前に2度目で被害拡大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4-11-30
[61] 웹사이트 「数千年に1回の現象」防潮堤や海沿い岩礁約4m隆起 石川 輪島 https://www3.nhk.or.[...] 2024-02-11
[62] 웹사이트 見過ごされた海底活断層「F43」のリスク 同種地震の予測にも課題 https://www.sankei.c[...] 2024-02-11
[63] 간행물 古地震学からみた陸上活断層による連動型地震 http://cais.gsi.go.j[...] 産業技術総合研究所
[64] 뉴스 熊本地震「連鎖」に3つの可能性 前震で地下の力変化 2断層帯、実は一体 ひずみ蓄積し余震誘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5-02
[65] 서적 地震学 第3版 http://www.kyoritsu-[...] 共立出版 2001
[66] 웹사이트 5.3.2 複雑な断層破壊 http://www.kyoshin.b[...]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7-11-22
[67] 학술지 The discovery of a conjugate system of faults in the Wharton Basin intraplate deformation zone http://advances.sci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7-11-21
[68] 코토뱅크 쌍둥이 지진
[69] 웹사이트 天正地震(1586年) https://typhoon.yaho[...] 2023-06-26
[70] 웹사이트 1662 寛文近江・若狭地震 https://www.bousai.g[...] 2023-06-25
[71] 코토뱅크 安政東海地震
[72] 웹사이트 安政東海地震・安政南海地震(安政元年11月5日) https://typhoon.yaho[...] 災害カレンダー 2023-03-24
[73] 코토뱅크 安政南海地震
[74] NHK재해아카이브 1854年 安政南海地震 (稲むらの火) D0026010050_00000
[75] 코토뱅크 大町地震
[76] 웹사이트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https://www.zisin.jp[...]
[77] 웹사이트 関東大震災(大正関東地震) https://www.sei-inc.[...] 2023-05-17
[78] 웹사이트 3度揺れた首都・東京 https://www.kajima.c[...] 特集 関東大震災を知る 2023-06-25
[79] 코토뱅크 東南海地震
[80] 코토뱅크 南海地震
[81] 웹사이트 「半割れ」南海トラフ巨大地震 もう1つの最悪想定 https://www3.nhk.or.[...] NHK 2023-04-30
[82] 코토뱅크 宝永地震
[83] 코토뱅크 今市地震
[84] 웹사이트 熊本地震 2つの断層が連動 揺れの回数は過去最多 https://web.archive.[...] 東京新聞 2023-05-17
[85] 웹사이트 余震回数、震源重なる「双子地震」の昨年2月上回る 震度6強1カ月 https://kahoku.news/[...] 河北新報オンライン 2023-05-17
[86] Youtube 双子地震 去年2月と同じ場所・震源の深さ規模も似ている《3月16日・福島県沖地震》発生のメカニズム (22/03/17 17:23) https://www.youtube.[...]
[87] 코토뱅크 スマトラ沖地震
[88] 웹사이트 2005年3月28日マグニチュード8.7のニアス地震の特徴と地震に伴う津波および構造物の被害 http://www2.scc.u-to[...] 東海大学 2023-06-25
[89] PDF 活断層間の相互作用と地震の誘発 https://www.aist.go.[...]
[90] 웹사이트 トルコ大地震 専門家「極めてまれな“双子地震”」 https://web.archive.[...] 2023-06-25
[91] 웹사이트 【解説】「今回は最大級」トルコ大地震 隣国シリアも被害 死者は約4400人 https://newsdig.tbs.[...] 2023-06-25
[92] 웹사이트 2021年福島県沖地震のデータ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2-13
[93] 웹사이트 2022年福島県沖地震のデータ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2-13
[94] 서적 理科年表 2023
[95] 웹사이트 CMT解 (2021年02月13日23時07分 福島県沖 M7.3)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2-14
[96] 웹사이트 CMT解 (詳細) 2022年03月16日23時36分 福島県沖 M 7.4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2-03-18
[97] 웹사이트 2022年3月16日の福島県沖の地震について https://irides.tohok[...] 東北大学災害科学国際研究所(遠田晋次) 2023-02-20
[98] 웹사이트 令和3年2月13日23時7分の福島県沖の地震に伴う地殻変動(第2報)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23-02-21
[99] 문서 第15回「新幹線脱線対策協議会」の結果概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鉄道局技術企画課
[100] 웹사이트 「毎年のように大災害」「もう疲れてしまった」2年連続の震度6強でボロボロに…福島県相馬市の“過酷すぎる実態”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3-02-14
[101] 간행물 新版図の事情 : "縮む社会"の現場を歩く(第146回)相次ぐ災害に心と資金が折れる : 福島県相馬市、2年連続で震度6強の地震 原発事故、続く模索(27) https://cir.nii.ac.j[...] 2022-06
[102] 웹사이트 福島 震度6強地震から2年 たび重なる被災で修復追いつかず https://web.archive.[...] NHKニュース 2023-02-13
[103] 문서 2021年2月13日福島県沖の地震の評価 https://www.static.j[...] 地震調査委員会
[104] 문서 2022年3月16日福島県沖の地震の評価 https://www.static.j[...] 地震調査委員会
[105] 웹사이트 2021年2月の福島県沖地震と揺れ方が共通 宮城県沖には地震の空白域も https://www.khb-tv.c[...] khb東日本放送 2023-02-14
[106] 간행물 2021年の東北地方の主な地震活動 https://www.jma-net.[...] 仙台管区気象台
[107] 간행물 2022年3月16日 福島県沖の地震 https://www.jma.go.j[...] 気象庁
[108] PDF 2021年福島県沖地震による被害状況 https://www.fdma.go.[...] 総務省消防庁
[109] PDF 2022年福島県沖地震による被害状況 https://www.fdma.go.[...] 総務省消防庁
[110] 논문 巨大地震の連動性と発生間隔の変化のメカニズム http://www.histeq.jp[...] 2006
[111] 논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スマトラ島沖地震における連動型地震の考察 https://doi.org/10.5[...] 2011
[112] 간행물 沿岸の地形・地質調査から連動型巨大地震を予測する https://www.gsj.jp/d[...]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2009-11
[113] 논문 1960年チリ地震震源域でくり返し生じた過去の巨大地震 http://www.histeq.jp[...] 2006
[114] 뉴스 東日本巨大地震 エネルギー 阪神の700倍 複数の震源が連動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1-03-12
[115] 뉴스 4領域で、3地震が連動発生=M9、阪神・淡路の360倍-東日本大震災 時事通信 2011-03-13
[116] 논문 The Asperity Model and the Nature of Large Subduction Zone Earthquakes https://www.research[...] 1982
[117] 웹사이트 「アスペリティモデル」から「断続沈み込みモデル」へ http://www.niitsuma-[...] 新妻地質学研究所/静岡大学理学地球科学教室名誉教授 新妻信明
[118] 간행물 宮城県沖地震における重点的な調査観測:プロジェクトの概要 http://www.jishin.go[...]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平成17-21年度
[119] 웹사이트 巨大地震の連動性と誘発性 http://www.city.hida[...] 2011-07-16
[120] 서적 地震学 第3版 http://www.kyoritsu-[...] 共立出版
[121] 웹인용 5.3.2 複雑な断層破壊 http://www.kyoshin.b[...]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7-11-22
[122] 저널 The discovery of a conjugate system of faults in the Wharton Basin intraplate deformation zone http://advances.sci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7
[123] 웹인용 2012年12月7日三陸沖の地震-遠地実体波による震源過程解析(暫定)-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1-10
[124] 웹사이트 産総研:プレスリリース 17世紀に北海道で発生した巨大地震後の地殻変動 https://www.aist.go.[...] 産総研
[125] 보도자료 千島海溝プレート間地震の連動が巨大な津波をもたらした https://www.aist.go.[...] 産総研 2013-12-14
[126] 뉴스 「500年間隔地震」 巨大津波 道南も http://mytown.asahi.[...] 朝日新聞 2011-07-21
[127] PDF 宮岡一樹、吉田明夫:日本周辺の巨大地震に伴った大きな余震 http://www.onken.oda[...] 2013
[128] PDF 三陸沖から房総沖にかけて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09
[129] 서적 超巨大地震に迫る- 日本列島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NHK出版新書
[130] 웹사이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巨大地震・津波発生メカニズムの解明 http://www.kyoto-u.a[...] 京都大学 2013-12-06
[131] PDF 東日本大震災特集 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Mw9.0:概要 http://www.jsnds.org[...] 2012
[132] PDF 石巻平野における津波堆積物の分布と年代 http://unit.aist.go.[...]
[133] PDF 宮城県沖地震の長期評価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00
[134] 논문 三陸沖歴史津波の規模と推定波源域 https://hdl.handle.n[...] 1975
[135] PDF [講演要旨]歴史地震について(遺言にかえて) http://www.histeq.jp[...] 2012
[136] 뉴스 首都直下地震:想定外の震源域 房総南東沖にM8級痕跡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1-09-09
[137] 뉴스 「南海トラフ」新予測、東海地震説を否定 連動視野に全域警戒を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3-06-17
[138] 웹사이트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の連動性評価研究プロジェクト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事務局/文部科学省研究開発局・海洋研究開発機構
[139] PDF 南海トラフ三連動型地震・M9はあり得るか?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40] 웹사이트 地震活動を予測する─地震予知研究最前線─ 第6回/東海地震とは http://jishin-info.j[...] 東海大学海洋研究所地震予知研究センター
[141]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142] PDF 遺跡が語る巨大地震の過去と未来 http://www.aist.go.j[...] 産業技術総合研究所
[143] 뉴스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で震源域は日向灘に延びる恐れ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4-21
[144] 서적 地震の事典 朝倉書店
[145] 논문 歴史地震の研究(5) : 宝永4年10月4日(1707年10月28日)の地震及び津波災害について https://ci.nii.ac.jp[...]
[146] PDF 宝永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47] 간행물 連動型巨大地震としての宝永地震(1707) 2007-11-10
[148] 논문 1707年宝永地震震源域の東端位置 https://hdl.handle.n[...]
[149] 논문 A revised tsunami source model for the 1707 Hoei earthquake and simulation of tsunami inundation of Ryujin Lake, Kyushu, Japan https://doi.org/10.1[...]
[150] PDF 1707年宝永地震の新地震像(速報) http://www.histeq.jp[...]
[151] 뉴스 東日本大震災6カ月 巨大地震の謎は解明できたのか http://sankei.jp.msn[...] 産経新聞/MSN産経ニュース 2011-09-11
[152] 웹인용 第173回地震予知連絡会(2007年5月14日) 議事概要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2007-05-14
[153] 웹인용 東海から琉球にかけての超巨大地震の可能性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2007-05-14
[154] 저널 東海から琉球にかけての超巨大地震の可能性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155] 서적 日本をゆるがす超巨大地震 http://www.newtonsan[...] ニュートンプレス 2023-04-17
[156] 저널 M9─超巨大地震:日本の西半分が震源域に!? http://www.newtonpre[...] ニュートンプレス 2011-04-02
[157] 뉴스 津波死者1万1100人 沖縄県の地震被害想定 https://www.okinawat[...] 沖縄タイムス+ 2014-05-31
[158] PDF Ultra-long period seismic moment of the great December 26, 2004 Sumatra earthquake and implications for the slip process http://www.earth.nor[...] Northwestern University
[159] PDF スマトラ沖地震津波災害 http://www.dpri.kyot[...]
[160] 서적 地震のすべてがわかる本 発生のメカニズムから最先端の予測まで 成美堂出版
[161] 웹사이트 歴史上の内陸被害地震の事例研究 http://www.eri.u-tok[...]
[162] 간행물 活断層で発生する大地震の連動・連鎖 -中央構造線・濃尾断層系・山陰地域の活断層を事例として-
[163] 서적 地震と火山の国 岩波書店
[164] 논문 濃尾地震のマグニチュード https://doi.org/10.4[...]
[165] 서적 新編日本被害地震総覧 東京大学出版会
[166] 뉴스 熊本地 「M7.3」14日の地震が誘発か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6-04-16
[167] 뉴스 活断層、横ずれ50キロ…大分にも震源域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6-04-16
[168] PDF 古地震学からみた陸上活断層による連動型地震 http://cais.gsi.go.j[...] 産業技術総合研究所
[169] 뉴스 熊本地震「連鎖」に3つの可能性 前震で地下の力変化 2断層帯、実は一体 ひずみ蓄積し余震誘発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6-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