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훈야노 아사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야노 아사야스는 헤이안 시대 전기의 일본 가인이다. 그는 스루가 국의 국사, 대선 소진 등의 관직을 역임했으며, '고금와카집' 성립 직전의 가단에서 활동했다. 훈야노 아사야스의 와카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오구라 백인일수에 수록된 '빛나는 이슬 바람 불어오네 가을 들판에 꿰어놓지 않은 듯 구슬 흐드러지네'라는 와카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야씨 - 훈야노 야스히데
    훈야노 야스히데는 요제이 천황 시대의 관인이자 와카 작가로, 오노노 고마치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훈야씨 - 훈야노 미야타마로
    훈야노 미야타마로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관료로, 지쿠젠노카미를 역임했으나 신라와의 무역 관련 모반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위령되었다.
  • 10세기 사망 - 최치원
    최치원은 857년에 태어나 당나라 유학 후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라 개혁 실패 후 해인사에서 은거하다가 고려 시대에 문창후로 추증된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10세기 사망 -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은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의 사절단 서기관으로서 볼가 불가르로 파견되어 이슬람 율법을 전파하고 다양한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바이킹 장례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한 그의 기록은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 10세기 시인 - 세이 쇼나곤
    세이 쇼나곤은 헤이안 시대 궁중 여성으로 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학식으로 이름을 알렸고, 궁정 생활을 배경으로 한 수필 『마쿠라노소시』를 남겨 일본 고전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 10세기 시인 - 피르다우시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활동한 이란의 대표적인 시인 피르다우시는 페르시아 서사시 《샤흐나메》의 저자로, 이 작품은 페르시아 제국의 역사와 전설을 담아 페르시아 문학의 백미로 평가받으며 페르시아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훈야노 아사야스
기본 정보
씨명문실씨
부모아버지: 문옥강수
인물 정보
시대헤이안 시대 전기
생몰년도불명
관위종6위하・대선소진
주군우다 천황→다이고 천황
가족 관계
아버지문옥강수
형제정보 없음
배우자정보 없음
자녀정보 없음
기타 정보
특기 사항정보 없음

2. 생애

간페이 4년(892년) 스루가 국사를 역임하고, 엔기 2년(902년)에는 대사인의 직책과 함께 대선 소진을 겸임했다. 「간페이 어시 후궁 가합」,「시정 친왕가 가합」 등에 작품을 출품하며 고금와카집 성립 직전의 가단에서 활약했으나, 칙찬와카집에는 『고금와카집』에 1수, 『후선와카집』에 2수가 수록되는 데 그쳤다.[3]

2. 1. 관직


  • 간페이 4년(892년) 정월 23일: 스루가국 죠[3]
  • 엔기 2년(902년) 2월 23일: 오오토네리다이조[3]
  • 시기 불명: 다이젠 쇼신[3]

2. 2. 와카 활동

白露に風の吹きしく秋の野はつらぬきとめぬ玉ぞ散りける|시라쓰유니 가제노 후키시쿠 아키노와 쓰라누키토메누 다마조 지리케루일본어

빛나는 이슬 바람 불어오네 가을 들판에 꿰어놓지 않은 듯 구슬 흐드러지네

간페이 4년(892년) 스루가 국사, 엔기 2년(902년) 대사인의 외에 대선 소진을 역임했다.

「간페이 어시 후궁 가합」,「시정 친왕가 가합」의 작가로서 출영하는 등, 『고금와카집』성립 직전의 가단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칙찬와카집에는 『고금와카집』에 1수와 『후선와카집』에 2수가 수록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 오구라 백인일수

  • * 37번: 백로에 바람이 세차게 부는 가을 들판은 꿰어 놓지 않은 구슬이 흩날리는구나 (『후선와카집』 가을 308)

3. 평가

훈야노 아사야스는 헤이안 시대 전기의 가인으로, 그의 와카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높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오구라 백인일수에 수록된 아래 와카는 가을 들판의 풍경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 오구라 백인일수 37번: 백로에 바람이 세차게 부는 가을 들판은 꿰어 놓지 않은 구슬이 흩날리는구나 (『후선와카집』 가을 308)

참조

[1] 웹사이트 A Hundred Verses from Old Japan (The Hyakunin-isshu): 37. Asayasu Bunya: Bunya no Asayasu https://sacred-texts[...] 2024-02-23
[2] 학위논문 Teika e l'eccellenza poetica: uno sguardo al Kokinshū attraverso lo Ogura Hyakunin isshu http://dspace.unive.[...] Università Ca'Foscari Venezia 2018
[3] 문서 『勅撰作者部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