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눈썹긴팔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눈썹긴팔원숭이는 인도 북동부, 방글라데시 동부, 중국 서남부, 미얀마 등지에 분포하는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다. 주행성이며 수목 생활을 하며, 과일, 곤충, 잎 등을 먹고 산다. 일부일처제로 생활하며, 수컷은 검은색 털에 흰색 눈썹을, 암컷은 갈색 털을 가진다. 분류학적으로는 속(Hoolock)에 속하며,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 스카이워커흰눈썹긴팔원숭이의 3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긴팔원숭이 - 남부흰뺨긴팔원숭이
    남부흰뺨긴팔원숭이는 중앙 베트남과 라오스에 분포하며 수컷은 검은색 털과 흰색 털, 암컷은 갈색 털을 가지는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며, 저지대 활엽수림에 서식하며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긴팔원숭이 - 북부흰뺨긴팔원숭이
    북부흰뺨긴팔원숭이는 긴팔원숭이과에 속하며 성적 이형성을 띠고, 베트남과 라오스 북부의 아열대림에 서식하며, 과일, 잎, 곤충 등을 먹고 복잡한 울음소리로 의사소통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흰눈썹긴팔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아목직비원아목
하목원숭이하목
상과사람상과
긴팔원숭이과
후울록속 (Hoolock)
속 명명자알란 무트닉 & 콜린 그로브스, 2005
니시후울록긴팔원숭이 (H. hoolock)
히가시후울록긴팔원숭이 (H. leuconedys)
Hoolock tianxing
종 명명자(H. hoolock): 리처드 할란, 1834
(H. leuconedys): 그로브스, 1967
(H. tianxing): P-F 팬 등, 2017
이미지
서부후울록긴팔원숭이

2. 분포

흰눈썹긴팔원숭이는 인도 북동부 브라마푸트라강 남쪽, 북부 강변 지역, 디방강 동쪽에서 발견된다.[4] 분포 지역은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아삼 주, 마니푸르 주, 메갈라야 주, 미조람 주, 나가랜드 주, 트리푸라 주 등 인도 북동부 7개 주에 걸쳐 있다.[5][6] 2023년 기준으로 홀롱가파르 긴팔원숭이 보호구역에서 125마리가 보호받고 있다.[7]

방글라데시에서 서부 흰눈썹긴팔원숭이는 35개의 숲 조각에 걸쳐 분포하는데, 가장 큰 곳은 Lawachara와 Kaptai로 각각 42마리와 84마리가 서식한다. 하지만 17개 조각에는 10마리 미만이 서식하고 있다. 숲 조각은 13개 지역으로 묶여 있으며, 모두 치타공 및 실렛 지역 내, 대부분 국경 동쪽에 위치한다.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하늘을 걷는 긴팔원숭이가 윈난성 최서단 살윈강 서쪽 강변 9개 현에서 기록되었다. 그러나 2008년 10월~11월 인터뷰 조사와 2009년 3월, 4월, 8월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중국 내 개체군은 바오산, 텅충, 잉장 3개 현으로 제한되며, 2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된다.

미얀마에서는 3종의 흰눈썹긴팔원숭이 모두 탄르윈강 서쪽 삼림 지역에서 발견된다. 미얀마는 4개 분포 국가 중 3종 모두의 핵심 개체군을 보유하고 있다.[8]

흰눈썹긴팔원숭이는 긴팔원숭이 중 가장 북서쪽에 분포하며, 인도 북부에서 미얀마에 걸쳐 서식한다. 방글라데시 동부와 중국 서남부에도 각각 수백 마리로 구성된 소규모 집단이 확인되었다.

3. 생태

다른 긴팔원숭이들처럼, 흰눈썹긴팔원숭이는 주행성이고 수목성 동물이며, 긴 팔을 사용하여 나무 사이를 팔다리 왕복 운동으로 이동한다. 이들은 일부일처제 부부로 함께 살며, 자신들의 영역을 확보한다. 그들의 울음소리는 가족 구성원의 위치를 확인하고 다른 긴팔원숭이들을 영역에서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 식단은 주로 과일, 곤충, 잎으로 구성된다.[1]

긴팔원숭이 중에서는 흰뺨긴팔원숭이 다음으로 크며, 몸길이 60cm~90cm, 체중 9kg까지 나간다. 수컷과 암컷의 몸 크기는 거의 같지만, 털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 수컷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이마에 특징적인 흰색 털을 가지고 있다. 반면 암컷의 털은 갈색이고, 가슴과 목 부분이 어둡다. 눈과 입 주변의 털은 둥글게 흰색이며, 복면을 쓴 것처럼 보인다.[2]

긴팔원숭이는 인도 북부에서 미얀마에 걸쳐 서식하며, 가장 북서쪽에 분포한다. 또한, 방글라데시 동부와 중국 서남부에도 각각 수백 마리로 구성된 소규모 집단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다른 긴팔원숭이와 마찬가지로, 주행성이며 수상성으로, 긴 팔을 사용하여 나무를 나무타기하며 이동한다. 일부일처의 짝을 이루어 영역을 방어하며 생활한다. 울부짖는 소리를 통해 가족 구성원끼리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다른 긴팔원숭이가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주요 영양원은 과일, 곤충, 잎이다.[3]

임신 기간은 7개월이며, 갓 태어난 새끼의 털은 흰색이지만, 약 6개월 후 검은색으로 변한다. 8~9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털 색깔도 완전히 성체의 색깔이 된다.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약 25세이다.[4]

4. 분류

흰눈썹긴팔원숭이의 분류는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번 변경되었다. 전통적으로 모든 긴팔원숭이는 시아망을 제외하고 ''Hylobates'' 속에 분류되었다. 몇몇 연구 이후, 이 속은 세 개의 아속(시아망 ''Symphalangus'' 포함)으로 나뉘었고, 그 다음에는 네 개로 나뉘었다(''Bunopithecus''를 다른 긴팔원숭이 아속과 구별되는 흰눈썹긴팔원숭이 아속으로 인식). 이 네 개의 아속은 완전한 속 지위로 격상되었다. 그러나 ''Bunopithecus''의 기준 종은 중국 쓰촨성에서 멸종된 긴팔원숭이 또는 긴팔원숭이와 유사한 유인원인 ''Bunopithecus sericus''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흰눈썹긴팔원숭이는 ''B. sericus''와 밀접한 관련이 없으므로 자체 속인 ''Hoolock''에 배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흰눈썹긴팔원숭이의 두 아종은 종 수준으로 격상되었다.[1][2] 2017년에는 중국 남서부에서 약 200마리 개체군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새로운 종인 ''H. tianxing''이 발견되었다.[10] 또한, 최근 인도 북동부에서 서부 흰눈썹긴팔원숭이의 새로운 아종이 발견되었으며, 미시미 언덕 흰눈썹긴팔원숭이, ''H. hoolock mishmiensis''로 명명되었다.[9]

4. 1. 하위 종

흰눈썹긴팔원숭이의 하위 종은 다음과 같다.[2][10]

이름학명분포 지역IUCN 등급개체수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Hoolock hoolock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EN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Hoolock leuconedys중국(윈난 성)과 인도VU
스카이워커흰눈썹긴팔원숭이Hoolock tianxing[3]미얀마와 중국 남서부EN150



최근 연구에 따르면 흰눈썹긴팔원숭이는 ''B. sericus''와 밀접한 관련이 없으므로 자체 속인 ''Hoolock''에 배치되었다. 이 과정에서 흰눈썹긴팔원숭이의 두 아종은 종 수준으로 격상되었다.[1][2] 2017년에는 중국 남서부에서 약 200마리 개체군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새로운 종인 ''H. tianxing''이 발견되었다.[10]

참조

[1] MSW3 Primates
[2] 학술지 A new generic name for the hoolock gibbon (Hylobatidae)
[3] 학술지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Hoolock gibbon (Primates: Hylobatidae) based on integrative taxonomy http://discovery.ucl[...] 2019-02-01
[4] 간행물 "Notes on the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Phayre's leaf monkey and Hoolock gibbon in India." Tigerpaper 1987
[5] 학술지 Ecology of the hoolock gibbon (''Hylobates hoolock''), a lesser ape in the tropical forests of north-eastern India 1991
[6] 학술지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in Manipur, Meghalaya, Mizoram, and Nagaland in Northeast India 2006
[7] 웹사이트 In Assam, railway line expansion and electrification threaten the hoolock gibbon, India's only ape https://scroll.in/ar[...] 2023-11-26
[8] 서적 The Conservation Status of Hoolock Gibbons in Myanmar Gibbon Conservation Alliance
[9] 학술지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of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from North East India
[10] 뉴스 New species of gibbon discovered in China https://www.theguard[...] 2017-01-11
[11]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 학술지 A new generic name for the hoolock gibbon (Hylobatidae)
[13] 문서 訳注:日本語版Wikipediaの項目・テナガザルは、テナガザル科の全ての種をHylobates1属とする分類法に従っており、この方法では、フーロックテナガザルは1つの種(Hylobates hoolock )である。英語版Wikipediaの対応する項目・[[:en:Gibbon|Gibbon]]やテナガザル科各種の記事は、2000年に提案された1科4属の分類法を元に書かれている。また、本項目で扱っているフーロックテナガザルの、属名を変更し亜種を種に格上げする提案がなされたのはさらに最近のことである(参考文献の2.)。評価は定まっておらず、例えば[http://gibbons.de/main/system/intro.html Gibbon Systema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のウェブサイトでは属名変更は受け容れているものの、亜種の種への格上げは採用せず、1種Hoolock hoolockの下に従来通り2亜種を置いている。
[14] 웹사이트 Bunopithecus hoolock http://www.iucnredli[...] IUCN 2006-11-27
[15] 저널 인용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Hoolock gibbon (Primates: Hylobatidae) based on integrative taxonomy. http://onlinelibrary[...] Wiley Periodicals, Inc.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