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등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등멸구는 아시아 지역에서 벼에 큰 피해를 주는 이동성 해충이다. 벼를 직접 갉아먹거나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생태적,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 흰등멸구는 봄과 여름에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북부 또는 북동부 아시아로 이동하고, 가을에 남쪽의 월동 지역으로 이동하는 패턴을 보인다. 동아시아 흰등멸구 개체군은 베트남과 하이난 성에서 월동하며, 봄에는 중국, 일본, 대한민국으로 이동한다. 대한민국은 흰등멸구의 주요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벼 재배에 영향을 받으며, 정부와 농민들은 예찰 및 방제에 힘쓰고 있다. 흰등멸구의 이동 경로와 발생 시기를 예측하고, 효과적인 방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멸구과 - 애멸구
    애멸구는 벼에 기생하여 즙을 빨아먹고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을 옮기는 해충으로, 벼 생육에 큰 피해를 주며,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 멸구과 - 멸구족
    멸구족은 매미목 풀무치과 곤충으로, 벼, 사탕수수 등 작물의 즙을 빨아먹고 벼 줄무늬 잎마름병 같은 질병을 옮겨 작물에 피해를 주는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등을 포함하는 해충이다.
흰등멸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Sogatella furcifera
명명자(Horváth, 1899)
이전 학명Delphax furcifera
분류
진핵생물
절지동물
곤충
노린재목
멸구과
흰등멸구속
흰등멸구
이미지
흰등멸구
흰등멸구

2. 생태적 영향

흰등멸구는 중국과 인접 국가에 큰 생태적, 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해충이다.[3]

2. 1. 주요 피해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소가텔라 푸르키페라lat)는 중국과 인접 국가에 큰 생태적,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이 해충은 를 직접 갉아먹어 피해를 주거나, 남부 벼 검은 줄무늬 왜소 바이러스(SRBSDV)와 같은 식물 바이러스를 옮겨 간접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3]

또한, 매년 장거리를 이동하는 능력 때문에 지역 작물에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다.[3]

3. 이동 패턴

흰등멸구는 아시아에서 에 피해를 주는 주요 이동성 해충으로,[2] 장거리 이동 능력을 이용해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옮긴다. 봄과 여름에는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북쪽 또는 북동쪽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며, 가을철 생육기가 끝나면 다음 세대가 다시 남쪽의 월동 지역으로 이동하는 패턴을 보인다.[4] 이러한 이동은 특정 기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자세한 경로는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4][3]

3. 1. 동아시아 지역 이동 경로

흰등멸구는 아시아에서 에 피해를 주는 주요 이동성 해충이다.[2]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특징이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북부 또는 북동부 아시아로 이동한다. 가을철 번식 후에는 후손들이 남쪽의 월동 지역으로 다시 이동한다.[4]

1970년대와 1980년대 연구에 따르면, 봄철 이주 개체들은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남부 중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남부로 이동한 후에는 우세풍을 타고 중국 북부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

이후 진행된 궤적 분석 및 이동 시뮬레이션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흰등멸구 개체군의 이동 경로를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 개체군은 베트남과 남부 하이난 성에서 월동하며, 봄에는 동부 중국, 일본, 대한민국으로 이동한다. 가을에는 다시 남쪽 월동 지역으로 돌아간다.[3]

3. 2.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

대한민국은 흰등멸구의 주요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여 매년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흰등멸구는 아시아 지역의 주요 해충으로,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특성을 보인다.[2] 봄과 여름에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며, 가을에는 다시 남쪽의 월동 지역으로 이동한다.[4]

연구에 따르면, 동아시아의 흰등멸구 개체군은 주로 베트남이나 중국 남부의 하이난 성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이후 봄이 되면 우세한 바람을 타고 동부 중국, 일본, 그리고 대한민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4] 특히 여름철 남서풍을 타고 중국 등지로부터 날아오는 흰등멸구는 국내 재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흰등멸구로 인한 피해는 국가 식량 안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이므로, 정부와 농민들은 흰등멸구의 이동 시기와 경로를 미리 파악하는 예찰 활동과 효과적인 방제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4. 연구 동향

흰등멸구는 아시아에서 에 피해를 주는 주요 이동성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2] 이들은 주로 봄과 여름에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출발하여 북부 또는 북동부 아시아로 이동하며, 가을이 되어 생육기가 끝나면 번식한 후손들이 다시 남쪽의 월동 지역으로 이동하는 생활사를 가진다.[4]

흰등멸구의 이동 경로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부터 수행되었다. 당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봄철에 이동하는 개체들은 주로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기원하여 남부 중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남부에 도착한 흰등멸구는 이후 우세한 바람의 영향을 받아 중국 북부 지역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4]

최근에는 궤적 분석 및 이동 시뮬레이션과 같은 발전된 연구 방법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 흰등멸구의 이동 경로가 더욱 상세하게 밝혀지고 있다. 이 연구들에 따르면, 동아시아의 흰등멸구 개체군은 주로 베트남과 중국 남부의 하이난 성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이 되면 동부 중국, 일본, 그리고 대한민국 등지로 이동한다. 이후 가을에는 다시 남쪽으로 이동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

참조

[1] 서적 Insect pests of millets: systematics, bionomics, and management Elsevier
[2] 웹사이트 White-backed planthopper Archives https://irac-online.[...] 2024-07-10
[3] 논문 Possible Source Populations of the White-backed Planthopper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Revealed by Mitochondrial DNA Analysis 2016-12-19
[4] 논문 Migration of Sogatella furcifera betwee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and northern China revealed by mtDNA and SNP 2020-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