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어깨다이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어깨다이커는 소과에 속하는 다이커의 일종이다. 서아프리카 지역에 분포하며, 몸길이 135cm, 어깨 높이 75~85cm, 몸무게 70kg 정도이다. 머리에서 어깨까지 흑갈색 털과 흰 띠 무늬를 가지며, 뿔 길이는 15~17cm이다. 열대 우림, 습지, 사바나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식물, 곤충, 동물의 사체 등을 먹는다. 임신 기간은 7-8개월이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에라리온의 포유류 - 봉고 (동물)
    봉고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숲에 사는 가장 큰 영양으로, 짙은 밤색 털과 흰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시에라리온의 포유류 - 아프리카물소
    아프리카물소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소과의 동물로, "검은 사신"이라 불릴 만큼 성질이 거칠고 서식지 파괴와 질병으로 인해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
  • 1892년 기재된 포유류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1892년 기재된 포유류 - 영양다람쥐속
    영양다람쥐속은 미국 남서부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옆구리에 흰색 줄무늬가 있는 주행성 다람쥐 속으로, 먹이 저장 습성과 다양한 생존 전략을 가진 5종으로 구성된다.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흰어깨다이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젠팅크다이커
젠팅크다이커
학명Cephalophus jentinki
명명자토마스, 1892년
영명Jentink's duiker
젠팅크다이커 분포
젠팅크다이커의 분포
몸길이약 80cm
몸무게약 70kg
뿔 길이14cm ~ 21cm
보존 상태
IUCN멸종 위기 (EN) https://www.iucnredlist.org/
CITES부속서 I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
아목소아목
소과
아과다이커영양아과
다이커영양족
케팔로푸스속
흰어깨다이커

2. 분류

젠팅다이커는 다이커 영양의 일종으로, Cephalophus 속과 소과에 속한다. 이 종은 1892년 영국의 동물학자 올드필드 토마스가 ''런던 동물학회 회보''에 처음 기술했다.[4] 속명 ''Cephalophus''는 머리를 의미하는 신 라틴어 단어 'cephal'과 볏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lophos'의 조합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5] '다이커(duiker)'라는 이름은 '잠수하다' 또는 '뛰어들다'를 의미하는 아프리칸스어 'duik' 또는 네덜란드어 'dūken'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이커 영양들이 위협을 느꼈을 때 덤불 속으로 뛰어드는 습성에서 유래했다.[6]

2001년의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Cephalophus'' 속을 거대 다이커, 동아프리카 붉은 다이커, 서아프리카 붉은 다이커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 젠팅다이커는 노란배다이커(''C. silvicultor''), 애보트다이커(''C. spadix''), 만다이커(''C. dorsalis'')와 함께 거대 다이커 그룹으로 분류되었다.[7]

하지만 2012년 오를레앙 대학교의 앤 R. 존스턴과 동료들이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바탕으로 발표한 다이커 아과(Cephalophinae)의 분지 계통도 연구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젠팅다이커는 '거대 다이커' 그룹 내에서 만다이커와 가장 가까운 유전적 관계를 형성하며 하나의 분기군(clade)을 이룬다. 그리고 이 젠팅다이커-만다이커 분기군은 얼룩다이커(''C. zebra'')와 자매 관계에 있다. 반면, 이전 연구에서 같은 거대 다이커 그룹으로 묶였던 애보트다이커와 노란배다이커는 또 다른 분기군을 형성하며, 이는 숲다이커속(''Sylvicapra'')과 자매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젠팅다이커와 만다이커가 약 250만 년 전 미만, 즉 플라이스토세 시기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했을 것으로 추정한다.[8]

3. 형태

몸길이는 135cm[11][12][13], 꼬리 길이는 15cm[11][12][13], 어깨 높이는 75cm~85cm[12][13], 몸무게는 70kg[11][12][11]이다. 정수리의 털(모관)과 어깨의 털은 짧다[12][13]. 머리에서 목, 어깨, 가슴에 걸쳐 털은 흑갈색이며, 어깨에는 흰 띠 무늬가 있다[11][12][13]. 몸통의 털은 회흑색이고, 회색 피부가 서리 내린 것처럼 보인다[12]. 사지의 털은 붉은색이나 갈색을 띤 흰색이다[12][13].

수컷과 암컷 모두 끝이 약간 뒤쪽과 아래쪽을 향하는 뿔을 가지고 있으며, 뿔의 단면은 원형이다[12][13]. 뿔의 길이는 15cm~17cm[12]이다.

4. 분포

서아프리카 지역인 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에 분포한다.[11][12][13][10]

5. 생태

열대 우림, 숲 속의 습지, 사바나 등에 서식한다.[13] 덤불이나 나무 뿌리 부근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배설을 한다.[13]

잡식성이며, 식물의 잎, 새싹, 줄기, 나무껍질, 과일, 곤충, 조류의 알, 동물의 사체 등을 먹는다.[13]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임신 기간은 7-8개월이다.[13] 한 번에 1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1년에 2번 번식하기도 한다.[13] 생후 9-12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수명은 10-12년이다.[13]

6. 인간과의 관계

최소한 1980년대 초까지는 식용으로 고기가 판매되었다.[13] 또한, 코코아나 야자 농작물을 갉아먹는 해수(害獸)로 여겨지기도 한다.[13] 본래 개체 수가 많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해수 구제 활동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13]

참조

[1] 간행물 "''Cephalophus jentinki''" 2016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2004
[4] 간행물
[5] 사전 Cephalophus 2016-03-03
[6] 사전 Duiker 2016-02-17
[7] 학술지 Retrieval of four adaptive lineages in duiker antelope: evidence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2001
[8] 학술지 A multi-locus species phylogeny of African forest duikers in the subfamily Cephalophinae: evidence for a recent radiation in the Pleistocene 2012
[9] 웹사이트 CITES homepage http://www.cites.org[...]
[10]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11]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986年
[12]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7 (偶蹄目III) 東京動物園協会 1988年
[13]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6 アフリカ 講談社 2000年
[14] 간행물 Cephalophus jentin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