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말라야쥐는 인도와 네팔 등 아시아 남동부에 분포하는 쥐의 일종이다. 1845년 브라이언 호턴 허지슨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시궁쥐속에 속한다. 머리와 몸길이는 160~180mm이며, 부드러운 갈색의 등 쪽 털과 흰색 발을 가지고 있다. 히말라야쥐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5년 기재된 포유류 - 남방털코웜뱃
남방털코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웜뱃으로, 튼튼한 체구와 털로 덮인 코를 가지며, 반건조 및 건조한 초원과 삼림 지대에서 풀과 사초를 먹고 굴을 파서 집단 거주지를 형성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1845년 기재된 포유류 - 조프루아타마린
조프루아타마린은 중앙아메리카와 콜롬비아 열대림에 사는 작은 비단원숭이류로, 검은색과 노란색 털, 붉은 머리털을 가지며, 다양한 식단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위기 근접종으로 보호받는다. - 시궁쥐속 - 가는쥐
- 시궁쥐속 - 팜쥐
팜쥐는 니코바르 제도의 열대 상록수림과 망그로브 숲에 서식하며 야자 잎을 좋아하는, 몸길이 225~230mm의 거친 가시털을 가진 야행성 수상 설치류이다.
| 히말라야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학명 | Rattus nitidus |
| 명명자 | Hodgson, 1845 |
| 속 | 시궁쥐속 |
| 종 | 히말라야쥐 |
| 이명 | Mus nittidus Mus horeites Mus aequicordalis Mus guhai |
| 보존 상태 | |
| IUCN 적색 목록 | LC (관심 필요) |
| IUCN 참고 자료 | Aplin, K.; Lunde, D.; Molur, S. |
| 분포 | |
![]() | |
2. 분류학
히말라야들쥐는 인도와 네팔에서 연구 활동을 한 영국 박물학자 겸 민족학자 브라이언 호턴 허지슨이 1845년에 ''Mus nitidus''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지만, 이후 시궁쥐속(''Rattus'')으로 옮겨졌다.[9]
2. 1. 아종
히말라야들쥐는 1845년 인도와 네팔에서 연구 활동을 한 영국 박물학자이자 민족학자인 브라이언 호턴 허지슨이 ''Mus nitidus''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지만, 이후 쥐속(Rattus)으로 옮겨졌다.[3][4] ''R. n. nitidus''와 ''R. n. obsoletus''의 2개 아종이 알려져 있다.[4] 최근 분자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히말라야들쥐는 갈색쥐(''Rattus norvegicus'')와 가까운 관계이며, 형태학 연구에서도 이 점이 확인된다.[4]2. 2. 근연종
히말라야들쥐는 인도와 네팔에서 연구 활동을 한 영국 박물학자 겸 민족학자 브라이언 호턴 허지슨(Brian Houghton Hodgson)이 1845년에 학명 ''Mus nitidus''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술했지만, 그 후 시궁쥐속(''Rattus'')으로 옮겨졌다.[9] ''R. n. nitidus'', ''R. n. obsoletus'' 2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최근 분자생물학 계통분류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히말라야들쥐의 근연종은 시궁쥐 (''Rattus norvegicus'')이며, 형태학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9]3. 특징
히말라야쥐는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가 160mm~180mm이다. 털은 회색이고 부드러우며, 등 쪽은 갈색, 배 쪽은 희끄무레한 색을 띤다. 발은 희고 뒷발은 시궁쥐보다 좁으며, 나무 등을 오를 때 붙잡기 좋게 발바닥에 굴곡이 있다.[10][11]
3. 1. 털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는 160mm~180mm이다. 털 각각은 회색이고, 부드러운 등 쪽 털은 갈색을 띠며 배 쪽은 희끄무레하다. 발은 희고 뒷발은 시궁쥐보다 좁으며, 나무 등을 오를 때 붙잡기 좋게 발바닥에 굴곡이 있다.[10][11]3. 2. 발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는 160mm~180mm이다. 털 각각은 회색이고, 부드러운 등 쪽 털은 갈색을 띠며 배 쪽은 희끄무레하다. 발은 희고 뒷발은 시궁쥐보다 좁으며, 나무 등을 오를 때 붙잡기 좋게 발바닥에 굴곡이 있다.[10][11]4. 분포 및 서식지
히말라야쥐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1] 분포 지역은 인도 북부, 부탄, 네팔에서 시작하여, 방글라데시(인접 지역이므로 분포 가능성이 있음), 중국 중부, 남부, 동부를 거쳐 남쪽으로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까지 이어진다. 팔라우, 필리핀, 인도네시아에도 도입되었다.[7][1]
4. 1. 분포 지역
히말라야쥐는 아시아 남동부 토착종이다. 분포 지역은 인도 북부, 부탄, 네팔에서 시작하여, 방글라데시(인접 지역이므로 분포 가능성이 있음), 중국 중부, 남부, 동부를 거쳐 남쪽으로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까지 이어진다.[7] 팔라우, 필리핀, 인도네시아에도 도입되어 발견된다.[7][1]일반적으로 일차림과 이차림 모두에서 서식하며, 해발 고도 최대 2750m까지 발견되지만, 적응력이 높은 종으로 플랜테이션과 농경지, 사람이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도 서식한다.[7]
4. 2. 서식 환경
인도 북부와 부탄, 네팔, 그리고 방글라데시와 중국 중부, 남부, 동부 지역을 거쳐 남쪽으로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에 분포한다. 팔라우, 필리핀, 인도네시아에도 도입되어 발견된다.[7] 일반적으로 일차림과 이차림 모두에서 서식하며, 해발 고도 최대 2750m 높이까지 발견되지만 적응력이 높은 종으로 플랜테이션과 농경지, 사람이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도 서식한다.[7][1]5. 보전 상태
히말라야쥐는 개체수가 많고 적응력이 뛰어난 종으로 분포 지역이 아주 넓고 수많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다. 알려진 특별한 멸종 위협 요인이 없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보전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7][1]
참조
[1]
간행물
"''Rattus nitidus''"
[2]
문서
[3]
저널
On the rats, mice, and shrews of the central region of Nepal
https://www.biodiver[...]
[4]
서적
South Asian Mammals: Their Diversity, Distribution, and Statu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웹사이트
Himalayan field ra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11-13
[6]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New Holland Publishers
[7]
저널
"''Rattus nitidus''"
https://dx.doi.org/1[...]
IUCN
2015-11-13
[8]
문서
[9]
서적
South Asian Mammals: Their Diversity, Distribution, and Statu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0]
웹인용
Himalayan field ra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11-13
[11]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