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격은 재화나 용역의 가치를 화폐로 나타낸 것으로, 결정 방식, 심리, 경제 이론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가격은 절대 가격과 상대 가격으로 구분되며, 시장 가격, 생산 가격, 경쟁 가격, 독점 가격, 관리 가격, 통제 가격, 잠재 가격 등 결정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심리적 가격, 관습 가격, 끝수 가격, 명성 가격 등 구매 심리에 따른 가격도 존재한다.
가격은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가치와 구별되며, 정상 가격, 가격의 기능, 가격과 가치의 관계 등 다양한 경제적 개념과 연결된다. 가격은 생산 비용과 혼동될 수 있지만, 가격점, 시장 가격, 가격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며, 한국 사회에서도 가격 관련 정책, 소비자 물가 지수, 소비자 인식, 최저임금, 부동산 가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 - 수확 체감
수확 체감은 생산 요소 투입 증가에 따라 한계 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농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단기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경제학 - 경제성장
경제성장은 한 국가 또는 특정 지역에서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로 측정되며, 노동, 자본, 기술 발전, 특히 총요소생산성 향상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환경 문제, 자원 고갈, 소득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어 포용적 성장, 녹색 GDP 등의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 가격 결정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가격 결정 - 클릭당 지불
클릭당 지불 광고는 광고주가 광고 클릭당 비용을 지불하는 온라인 광고 방식으로, 정액제와 입찰 기반 모델이 있으며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 등에 게재되고 키워드 매칭, 광고 품질, 실시간 입찰 등이 노출 순위에 영향을 미치며 클릭 사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지만 인공지능 기반 타겟팅 기술과 함께 진화하고 있다.
가격 | |
---|---|
가격 | |
정의 | 재화나 서비스에 대해 지불되는 금액 |
경제학적 의미 | 경제 활동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며,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 |
가격 결정 요인 | |
수요와 공급 |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됨 |
생산 비용 |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가격에 반영됨 |
경쟁 환경 | 시장 내 경쟁 정도에 따라 가격 변동 가능 |
시장 구조 | 시장의 형태에 따라 가격 형성 메커니즘이 달라짐 |
정부 정책 | 정부의 가격 규제나 세금 정책 등이 가격에 영향을 미침 |
가격의 역할 | |
자원 배분 | 시장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역할 |
신호 전달 | 시장 참여자들에게 경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 |
소득 분배 | 가격 메커니즘을 통해 소득이 분배됨 |
가격 관련 개념 | |
가격 탄력성 |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나 공급량의 민감도 |
가격 차별 |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다른 소비자에게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는 행위 |
가격 설정 |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 |
가격 통제 | 정부가 특정 가격 수준을 제한하는 정책 |
가격의 종류 | |
소비자 가격 |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 |
생산자 가격 | 생산자가 제품을 판매할 때 받는 가격 |
도매 가격 | 대량으로 제품을 거래할 때 적용되는 가격 |
소매 가격 | 소매점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 |
가격 관련 용어 | |
고정 가격 | 시장 상황 변화에 관계없이 고정된 가격 |
변동 가격 |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하는 가격 |
할인 가격 | 정상 가격에서 일정 비율을 감액한 가격 |
정가 | 상품이나 서비스에 명시된 공식 가격 |
경제학에서의 가격 | |
가격 이론 | 가격 형성 원리와 그 영향을 분석하는 경제학 분야 |
가격 메커니즘 | 시장에서 가격을 통해 자원이 배분되는 과정 |
가격 수준 | 특정 시점이나 기간 동안 재화나 서비스의 평균 가격 |
상대 가격 | 다른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 비율 |
2. 가격의 종류
밀턴 프리드먼에 따르면, 생산 수단의 사유 재산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기업 교환 경제에서 가격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능을 한다.[3]
- 서로 다른 최종 생산품과 생산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 변화에 대한 정보 전달
- 기업이 시장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는 상품을 생산하고, 상대적으로 부족한 생산 요소를 절약하는 생산 방법을 사용하도록 유인 제공
- 자원 소유자가 자원을 가장 높은 보수를 받는 용도로 배분하도록 유인 제공
- 자원 소유자 간에 생산물 분배
- 소비자 간에 고정된 상품 공급량 배분
가격은 결정 방식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화폐 또는 현물에 따른 종류 | 결정 방법에 따른 종류 | 구매 심리에 따른 종류 |
---|---|---|
2. 1. 화폐 또는 현물에 따른 종류
가격은 화폐 단위로 표시되는 절대 가격과 다른 재화나 서비스와의 교환 비율로 나타내는 상대 가격으로 구분된다.2. 1. 1. 절대 가격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격으로, 화폐 단위로 표시된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를 의미한다. 화폐로 환산한 가치를 나타내며, 보통 가격이라 하면 이 절대가격을 뜻한다.[16]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은 명목 가격(일반 물가)의 변동이 상대 가격의 변동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현상임을 발견했다.[16]미시경제학에서의 P(가격)과 거시경제학에서의 P(물가)는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이다. 전자는 재화의 상대 가격(개별 가격)을 나타내는 반면, 후자는 단순히 물가 수준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햄버거 가격이 내렸다"는 경우, 소고기덮밥 등 다른 물건의 가격은 거의 변하지 않고 물가 수준이 변하지 않았다면, 이는 미시경제학적인 상대 가격(소고기덮밥 등과의)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지, 거시경제학적인 일반 물가(종합 물가)의 변화인 디플레이션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물가 상승과 하락은 순수하게 화폐적인 문제이므로, 미시경제학에서의 재화 시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가격과 물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가격: 구매되는 개별 재화·서비스 등 1단위에 지불되는 화폐의 양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는 임금, 이자, 환율, 지대도 포함된다.
- 물가: 일정한 범위(공업 제품, 소비재, 소매 상품 등)에 속하는 수많은 상품의 가격 상태를 다른 시점의 가격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가 지수'''로 표시되며, 개념적으로는 화폐의 가치가 변화함으로써만 변동한다.
2. 1. 2. 상대 가격
물건과 물건의 교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파전 1판이 막걸리 5병의 가격과 같다면, 파전의 상대 가격은 막걸리 5병이라 할 수 있다.[16]경제학자 크누트 빅셀은 명목 가격(일반 물가)의 변동이 '''상대 가격'''의 변동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현상임을 발견했다.[16]
미시경제학에서의 P(가격)과 거시경제학에서의 P(물가)는, 전자는 재화의 상대 가격(개별 가격)을 나타내는 것인 반면, 후자는 단순히 물가 수준을 나타내며,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이다.
즉, "햄버거 가격이 내렸다"는 경우에도, 소고기덮밥 등 다른 물건의 가격은 거의 변하지 않고 물가 수준이 변하지 않았다면, 미시경제학적인 (예를 들어 소고기덮밥 등과의) 상대 가격의 변화를 나타내지만, 거시경제학적인 일반 물가(종합 물가)의 변화인 "디플레이션"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2. 2. 결정 방법에 따른 종류
가격은 결정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시장 가격: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가격이다.
- 생산 가격: 생산에 들어간 평균 비용에 평균 이윤을 더해 결정되는 가격이다.
- 경쟁 가격: 완전경쟁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으로, 기술 발전과 생산 향상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독점 가격과 대비된다.
- 독점 가격: 좁은 의미로는 1개 회사 독점 시장에서의 가격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과점가격이나 관리가격도 포함한다.
- 관리가격: 시장 지배력을 가진 유력한 기업이 가격 주도 기업으로서 일정한 이윤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격을 설정하고, 다른 기업들이 그에 따르는 가격이다.
- 통제 가격: 정부(국가)가 정책상의 필요에 따라 통제하는 가격이다. 공공요금이나 대중교통의 요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잠재 가격: 기회비용을 반영한 가격으로, 자유경쟁시장에서의 가격과 비교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2. 2. 1. 시장 가격
시장에서 성립되는 가격으로,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라 오르고 내린다. 장기적으로는 생산가격에 일치되는 경향이 있다. 주식시장에서의 주가 등이 그 예시이다.[15]경제학에서 '''시장 가격'''은 재화 또는 용역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제적 가격이다. 주로 미시경제학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시장 가치와 시장 가격은 시장 효율성, 균형, 그리고 합리적 기대의 조건 하에서만 같다. 시장 가격은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되며 재화 또는 용역의 수요와 공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개방적인 경쟁이 있는 시장에서 해당 재화의 가격은 상승할 것이다.[8]
영국의 1979년 상품 판매법에 따르면, 계약된 상품의 미이행에 대한 손해배상은 시장이 존재할 경우 상품의 시장 가격을 고려한다.[9]
식당의 메뉴에서 시장 가격(종종 ''m.p.'' 또는 ''mp''로 약칭)은 특정 가격 대신 사용되며, "요리의 가격은 재료의 시장 가격에 따라 달라지며, 가격은 요청 시 알려드립니다"라는 의미이다. 특히 해산물, 특히 랍스터와 굴에 사용된다.[10]
2. 2. 2. 생산 가격
생산에 소요된 평균 비용에 평균 이윤을 더하여 결정되는 가격이다.2. 2. 3. 경쟁 가격
완전경쟁시장에서 성립하는 가격으로, 기술의 진보와 생산 향상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독점가격과 대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15]2. 2. 4. 독점 가격
좁은 의미로는 1개 회사 독점 시장에서의 가격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과점가격이나 관리가격도 포함한다. 소수의 기업들이 협정 등을 맺고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경우의 가격으로, 생산비가 낮아지더라도 가격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1];과점가격
: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경우의 가격으로, 생산비가 내려가더라도 가격이 유지되기 쉽다.[1]
;관리가격
: 시장 지배력을 가진 가장 유력한 기업이 가격 주도 기업으로서 일정한 이윤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격을 설정하고, 다른 기업들이 그에 따르는 경우의 가격.[1]
2. 2. 5. 관리 가격
시장 지배력을 가진 가장 유력한 기업이 가격 주도 기업으로서 일정한 이윤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격을 설정하고, 다른 기업들이 그에 따르는 경우의 가격이다.[1]2. 2. 6. 통제 가격
정부(국가)가 정책상의 필요에 따라 통제하는 가격이다.[1] 공공요금이나 대중교통의 요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1]2. 2. 7. 잠재 가격
기회비용을 반영한 가격으로, 자유경쟁시장에서의 가격과 비교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2. 3. 구매 심리에 따른 종류
소비자의 구매 심리에 따라 가격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가격 종류 | 설명 |
---|---|
심리 가격 | 소비자가 특정 상품에 대해 일정 가격 범위 내에서 가격 변동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구매하는 가격대이다. |
습관 가격 | 소비자들이 특정 상품에 대해 습관적으로 인정하는 가격이다. 자동판매기 음료 가격 등이 해당한다. |
끝수 가격 | 가격 끝자리를 900원, 9,900원 등으로 설정하여 소비자들이 가격이 저렴하다고 느끼게 하는 가격 전략이다. |
명성 가격 | 주로 사치품(고급품)에 적용되며, 높은 가격이 품질이 좋다고 판단되는 경향을 유발하여 가격이 높게 책정된다.[1] |
묶음 상품 가격 | 여러 개의 상품을 하나로 묶어 상품화하고 여기에 부여한 가격이다. |
2. 3. 1. 심리 가격
소비자는 특정 상품에 대해 일정 가격 범위 내에서는 가격의 상하 변동을 별로 신경 쓰지 않고 구매하는 가격대를 말한다.2. 3. 2. 습관 가격
소비자들이 특정 상품에 대해 습관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가격이다. 자동판매기 음료 가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2. 3. 3. 끝수 가격
끝수 가격은 가격 끝자리를 900원, 9,900원 등으로 설정하여 소비자들이 가격이 저렴하다고 느끼게 하는 가격 전략이다. 일본에서는 "198엔"처럼 끝수를 활용하여 가격을 낮춘 인상을 주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며, "8"이나 "9"라는 끝수가 주로 사용되어 일구팔(198)이라고도 한다.[1]2. 3. 4. 명성 가격
가방이나 시계 등 주로 사치품(고급품)에 적용되는 가격이다. 높은 가격은 품질이 좋다고 판단되는 경향을 유발하므로, 가격이 높게 책정된다.[1]2. 3. 5. 묶음 상품 가격
여러 개의 상품을 하나로 묶어 상품화하고 여기에 부여한 가격이다. 1가지의 상품들을 묶으면 순수묶음상품이라 하고, 2가지 이상의 상품들을 묶으면 혼합묶음상품이라 한다.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3. 마르크스 경제학에서의 가격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가격은 상품 생산에 투입된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을 반영하는 가치의 변형된 형태이며, 생산비(자본비용과 노동비용)에 평균 이윤율을 더한 것이다. 예를 들어 평균 이윤율이 22%라면 가격은 생산비에 22%를 더한 값을 반영한다.
마르크스는 가치의 총량을 실제 가격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변환 문제에 대해, 가격이 가치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다른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의 증명 시도를 비난했다. 마르크스에게 변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왈라스 균형 이론을 마르크스주의에 도입하면서 생겨났는데, 거기에는 균형이 없다. 최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러한 변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
3. 1. 단순 상품 생산에서의 가격
상품의 교환가치가 유통과정 안에서 현상할 때 취하는 전화된 형태이다.마르크스경제학에서는 가치와 가격을 철저히 구분한다. 교환가치는 상품을 생산하는데 든 노력, 즉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시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시장에서 판매되는 재화의 가격은 교환가치와 언제나 같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받아 가격이 가치를 초과하거나 가치 이하로 떨어진다. 재화의 공급이 불충분하면 가격은 가치를 초과하게 되며, 반대로 시장에서 특정 상품의 공급이 과잉일 때 가격은 가치 이하로 떨어진다. 마르크스경제학에서 상품의 가격은 세 가지 요소, 즉 상품 그 자체의 가치, 화폐재료(금)의 가치, 그리고 수요와 공급 사이의 관계에 의존한다.[1]
가격은 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변동한다.[1]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가치는 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투입된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의 양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치는 단순한 방식으로 가격과 관련이 없으며, 가치의 총량을 실제 가격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는 변환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러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 마르크스는 가격이 가치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사실 그는 다른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리카르도와 스미스처럼)이 이 증명을 시도하는 것을 비난했다. 오히려 마르크스에게 있어 가격은 생산비(자본비용과 노동비용)에 평균 이윤율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 이윤율(자본 투자 수익률)이 22%라면 가격은 생산비에 22%를 더한 것을 반영할 것이다. 마르크스에게 변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왈라스 균형 이론을 마르크스주의에 도입하면서 생겨났는데, 거기에는 균형이라는 것이 없다.[1]
3. 2. 자본주의에서의 가격
상품의 교환가치가 유통과정 안에서 현상할 때 취하는 전화된 형태이다. 마르크스경제학에서는 가치(여기서는 교환가치)와 가격을 철저히 구분한다. 교환가치는 상품을 생산하는데 든 노력, 즉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시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시장에서 판매되는 재화의 가격은 교환가치와 언제나 같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받아 가격이 가치를 초과하거나 가치 이하로 떨어진다. 재화의 공급이 불충분하면 가격은 가치를 초과하게 되며, 반대로 시장에서 특정 상품의 공급이 과잉일 때 가격은 가치 이하로 떨어진다.마르크스경제학에서 상품의 가격은 상품 그 자체의 가치, 화폐재료(금)의 가치, 그리고 수요와 공급 사이의 관계, 이 세 가지 요소에 의존한다. 가격은 가치의 전화된 형태로써 기능하는 생산가격을 중심으로 변동한다.[1]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가치는 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투입된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의 양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치는 단순한 방식으로 가격과 관련이 없으며, 가치의 총량을 실제 가격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는 변환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러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 마르크스는 가격이 가치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사실 그는 다른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리카르도와 스미스처럼)이 이 증명을 시도하는 것을 비난했다. 오히려 마르크스에게 있어 가격은 생산비(자본비용과 노동비용)에 평균 이윤율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 이윤율(자본 투자 수익률)이 22%라면 가격은 생산비에 22%를 더한 것을 반영할 것이다. 마르크스에게 변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왈라스 균형 이론을 마르크스주의에 도입하면서 생겨났는데, 거기에는 균형이라는 것이 없다.
3. 3. 제국주의에서의 가격
마르크스경제학에서는 독점의 영향으로 두 종류의 가격이 나타난다.- 비독점 가격: 비독점 혹은 불완전 독점 부문의 상품 판매에서 나타나는 가격이다.
- 독점 가격: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가치로부터의 이탈에 의해 특정 지워지는 가격이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가치가 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투입된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의 양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치는 단순한 방식으로 가격과 관련이 없으며, 가치의 총량을 실제 가격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는 변환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러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 마르크스는 가격이 가치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마르크스에게 있어 가격은 생산비(자본 비용과 노동 비용)에 평균 이윤율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 이윤율(자본 투자 수익률)이 22%라면 가격은 생산비에 22%를 더한 것을 반영할 것이다. 마르크스에게 변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왈라스 균형 이론을 마르크스주의에 도입하면서 생겨났는데, 거기에는 균형이라는 것이 없다.
3. 4. 사회주의에서의 가격
사회주의 하에서 가격의 내용 및 사회·경제적 기능, 가격형성은 원칙적으로 다르다. 가격은 사회주의의 경제법칙, 무엇보다도 먼저 기본경제법칙인 가치법칙과 경제의 계획적·균형적 발전법칙 등을 의식적으로 적용하는 국가에 의해 계획적인 방식으로 결정된다.[1]마르크스주의자들은 가치는 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투입된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의 양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치는 단순한 방식으로 가격과 관련이 없으며, 가치의 총량을 실제 가격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는 변환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러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 마르크스는 가격이 가치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사실 그는 다른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리카르도와 스미스처럼)이 이 증명을 시도하는 것을 비난했다. 오히려 마르크스에게 있어 가격은 생산비(자본비용과 노동비용)에 평균 이윤율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 이윤율(자본 투자 수익률)이 22%라면 가격은 생산비에 22%를 더한 것을 반영할 것이다. 마르크스에게 변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왈라스 균형 이론을 마르크스주의에 도입하면서 생겨났는데, 거기에는 균형이라는 것이 없다.[1]
4. 정상 가격
정상가격(正常價格)은 주로 마셜이 사용한 개념으로, 시장 경쟁의 결과 가격이 안정되는 표준적인 수준을 의미한다. 마셜은 다른 시장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부분균형 분석의 방법으로 이 균형가격을 설명했다.[19]
정상가격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가격에 충분히 적응하여, 재고나 품귀 현상이 없고, 예상치 못한 이익이나 손실도 경쟁에 의해 사라진 상태가 가정된다. 따라서 공급자 측면에서 보면 정상가격은 생산비에 정상 이윤을 더한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19]
마셜은 정상가격에 대한 고찰에서 공급자의 생산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그는 시장가격과 기업의 표준적 생산비를 동시에 또는 관련지어 파악하기 위해 평균적인 대표적 기업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행동을 분석했다. 대표적 기업이란 적당한 연령과 성공을 가지고, 정상적인 능력으로 경영되며, 생산량에 따라 내부경제와 외부경제를 적절히 활용하는 기업이다. 대표적 기업은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이윤을 추구하며, 생산물 가격과 한계비용이 같아질 때까지 생산한다. 따라서 기업은 한계생산비 곡선을 자신의 공급곡선으로 삼는다. 각 기업의 한계생산비 곡선을 종합하여 시장의 정상공급곡선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이 수요곡선과 교차하는 점에서 정상가격이 결정된다.[19]
대표적 기업의 한계생산비 도입에는 생산요소의 대체를 통해 가장 효율적인 요소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정되어 있으며, 이른바 대용(代用)원리가 배경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대용원리가 작용하기 위해서는 대용에 필요한 시간적 경과를 무시할 수 없다. 마셜은 시간적 요소를 공급곡선에 어떻게 포함시킬 것인가 하는 관점에서 장기·단기의 정상공급곡선을 구별했다. 단기공급곡선은 기업의 자본설비 변화를 허용하지 않고, 원료나 노동 등과 같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변화 가능한 요소만을 고려하여 구성된 정상공급함수이다. 반면 장기정상공급곡선은 건설에 장기간이 필요한 자본설비까지 포함하여 모든 생산요소의 대체를 인정한 것이다. 대규모 생산의 이익이 존재하는 산업에서는 단기정상공급곡선에 비해 장기정상공급곡선은 체증(遞增)의 정도가 낮고 때로는 체감적(遞減的)일 수도 있다. 단기정상공급곡선·장기정상공급곡선에 따라 단기정상가격·장기정상가격이 성립된다.[19]
5. 가격의 기능 (밀턴 프리드먼)
밀턴 프리드먼에 따르면, 생산 수단의 사유 재산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기업 교환 경제에서 가격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능을 한다.[3]
- 서로 다른 최종 생산품과 생산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 변화에 대한 정보 전달
- 시장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는 상품을 생산하고, 상대적으로 부족한 생산 요소를 절약하는 생산 방법을 사용하도록 기업에 대한 유인 제공
- 자원 소유자에게 자원을 가장 높은 보수를 받는 용도로 배분하도록 유인 제공
- 자원 소유자 간에 생산물 분배
- 소비자 간에 고정된 상품 공급량 배분
6. 가격과 가치
고전 경제학은 가치의 역설을 관찰하고 논의했다. 애덤 스미스는 '다이아몬드-물 역설'을 설명했는데, 다이아몬드는 물보다 가격이 높지만, 물은 생명에 필수적이고 다이아몬드는 장식일 뿐이라는 내용이다. 사용가치는 유용성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여겨졌으며, 나중에 한계 효용으로 정제되었다. 교환가치는 한 재화가 다른 재화에 대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현재 상대 가격이라고 불린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가치는 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투입된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의 양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치는 단순한 방식으로 가격과 관련이 없으며, 가치의 총량을 실제 가격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는 변환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러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 마르크스는 가격이 가치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그는 다른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리카르도와 애덤 스미스처럼)이 이 증명을 시도하는 것을 비난했다. 마르크스에게 있어 가격은 생산비(자본비용과 노동비용)에 평균 이윤율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 이윤율(자본 투자 수익률)이 22%라면 가격은 생산비에 22%를 더한 것을 반영할 것이다. 마르크스에게 변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왈라스 균형 이론을 마르크스주의에 도입하면서 생겨났는데, 거기에는 균형이라는 것이 없다.
6. 1. 가치의 역설
애덤 스미스는 '다이아몬드-물 역설'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설명했다. 다이아몬드는 물보다 가격이 높지만, 물은 생명에 필수적이고 다이아몬드는 장식일 뿐이다. 사용가치는 유용성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여겨졌으며, 나중에 한계 효용으로 정제되었다. 교환가치는 한 재화가 다른 재화에 대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현재 상대 가격이라고 불리는 것이다.어떤 재화의 가격이 모든 사람에게 그에 상응하는 효용(그 사람에게 있어서의 이익, 또는 주관적인 만족)을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와 물을 비교했을 경우, 전자는 희소하고 가격이 높지만, 효용은 후자 쪽이 더 높은 경우가 있다. 이것을 애덤 스미스에 유래하는 "가치의 역설"이라고 한다.[17]
6. 2. 한계 효용 이론
고전 경제학에서는 가치의 역설을 관찰하고 논의하였다. 애덤 스미스는 '다이아몬드-물 역설'을 설명했는데, 다이아몬드는 물보다 가격이 높지만, 물은 생명에 필수적이고 다이아몬드는 장식일 뿐이라는 것이다. 사용가치는 유용성을 측정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나중에 한계 효용으로 정제되었다. 교환가치는 한 재화가 다른 재화에 대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현재 상대 가격이라고 불린다.오스트리아 학파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칼 멩거(Carl Menger)는 한계효용 이론을 통해 가치의 역설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윌리엄 바버(William Barber)에 따르면, 인간의 의지, 즉 인간 주체는 협상 도구로서 한계효용주의 경제학에 의해 "무대 중앙에 서게 되었다".[5] 신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시장 상황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열려 있는 선택지를 명확히 하려고 시도했고, 따라서 "경제 구조의 분열이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는 두려움을 억누를 수 있었다".[5]
폴란드 경제학자 오스카 랑게(Oskar Lange)는 가격 행동의 특정 맥락 내에서만 '주관적'인 오스트리아 가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고전 정치 경제학의 통찰력과 신고전파 경제학을 진지하게 '통합'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는 가격과 가격에 대한 실제 행동에 대한 훨씬 더 현실적인 이론으로 이어질 것이다. 한계효용 이론에는 실제 시장 기능의 사회적 틀에 대한 이론이 전혀 없었고, 피에로 스라파(Piero Sraffa)가 시작한 자본 논쟁(capital controversy)에 의해 촉발된 비판은 한계효용 가치 이론의 대부분의 기본 원리가 동어반복으로 축소되거나, 반사실적 조건이 적용되는 경우에만 이론이 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6. 3. 가격 이론 논쟁
애덤 스미스가 설명한 '다이아몬드-물 역설'을 통해 고전 경제학자들은 가치의 역설을 관찰하고 논의했다. 다이아몬드는 물보다 가격이 높지만, 물은 생명에 필수적인 반면 다이아몬드는 장식일 뿐이다. 사용가치는 유용성의 기준을, 교환가치는 한 재화가 다른 재화와 교환되는 비율, 즉 상대 가격을 측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칼 멩거(Carl Menger)가 제안한 한계효용 이론은 가치의 역설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을 제시한다. 윌리엄 바버(William Barber)에 따르면, 인간 주체의 의지는 한계효용주의 경제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5] 신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시장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선택지를 명확히 하고, 경제 구조 분열의 우려를 해소하려 했다.[5]
오스카 랑게(Oskar Lange)는 오스트리아 가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고전 정치 경제학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는 가격과 실제 행동에 대한 더 현실적인 이론으로 이어질 것이다. 한계효용 이론은 시장 기능의 사회적 틀에 대한 이론이 부족했고, 피에로 스라파(Piero Sraffa)가 시작한 자본 논쟁(capital controversy)은 한계효용 가치 이론의 기본 원리가 동어반복이거나 반사실적 조건에서만 참임을 보여주었다.
가격 이론 논쟁에서 종종 간과되는 점은, 서로 다른 시장에서 가격이 동일한 원칙에 따라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부터 미하우 칼레츠키(Michał Kalecki)까지 산업재 가격과 농산물 가격이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 아이디어는 다른 상품 및 서비스 범주로 확장될 수 있다.
7. 가격과 생산 비용
가격은 종종 생산비용과 혼동되는데, 예를 들어 "새 플라즈마 TV를 사는 데 많은 비용을 지불했다"와 같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이들은 다른 개념이다. 가격은 구매자가 판매자로부터 제품을 획득하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이다. 생산비용은 판매자가 구매자와 교환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예: 제조 비용)을 말한다. 이윤을 추구하는 마케팅 조직은 거래를 통해 재정적 이익을 얻기 위해 가격이 생산비용을 초과하기를 바란다.[6]
8. 가격점 (Price Point)
특정 상품의 가격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물건의 가격, 특히 제한된 가격대를 설정하는 상점의 경우 "가격대"라고도 부른다.[7] 예를 들어, 달러 제너럴(Dollar General)은 정확히 1USD, 2USD, 3USD, 5USD 또는 10USD(그 외에도 다수) 등 짝수 금액으로만 가격대를 설정하는 잡화점 또는 "5앤다임(five and dime)" 상점이다. 다른 상점들은 가격의 대부분을 99센트 또는 99펜스로 끝나도록 정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상점들(예: 달러샵(dollar store), 파운드샵, 유로(euro)샵, 100엔(yen)샵 등)은 단일 가격대(1USD, 1GBP, 1EUR, 100JPY)만 가지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 가격으로 매우 작은 품목을 여러 개 구입할 수도 있다.
9. 시장 가격
경제학에서 '''시장 가격'''은 재화 또는 용역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제적 가격이다. 주로 미시경제학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시장 가치와 시장 가격은 시장 효율성, 균형, 그리고 합리적 기대의 조건 하에서만 같다.[8] 시장 가격은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되며 재화 또는 용역의 수요와 공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개방적인 경쟁이 있는 시장에서 해당 재화의 가격은 상승할 것이다.[8]
시장 가격은 시장에서 성립되는 가격으로,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라 오르고 내리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가격에 일치되는 경향이 있다. 주식시장에서의 주가 등이 그 예이다.
영국의 1979년 상품 판매법에 따르면, 계약된 상품의 미이행에 대한 손해배상은 시장이 존재할 경우 상품의 시장 가격을 고려한다.[9]
식당의 메뉴에서 시장 가격(종종 ''m.p.'' 또는 ''mp''로 약칭)은 특정 가격 대신 사용되며, "요리의 가격은 재료의 시장 가격에 따라 달라지며, 가격은 요청 시 알려드립니다"라는 의미이다. 특히 해산물, 그중에서도 랍스터와 굴에 자주 사용된다.[10]
시장가격이란 시장에서 실제로 성립하는 가격으로,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라 오르내린다.[15] 예를 들어, 자유로운 "경매"가 이루어지는 채소 시장에서의 채소 가격이 이에 해당한다.
10. 가격 데이터베이스
시장 가격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가격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ICT 부문의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 가격에 대한 pricerating.org 또는 오스트리아의 Preistransparenzdatenbank가 있다.
11. 기타 용어
'''기본 가격'''은 생산자가 생산 또는 판매하여 구매자로부터 받는 재화 또는 서비스 단위 금액에서 모든 세금을 빼고 보조금을 더한 금액이다. 생산자 운송비는 별도로 포함되지 않는다.[11]
'''원하는 만큼 지불'''(PWYD)은 구매자가 자신의 상황과 재화 또는 서비스가 제공하는 이점에 따라 지불할 가격을 선택하는 가격 시스템이다.[12]
'''생산자 물가 지수'''는 국내 생산자 제품 판매 가격의 평균 변화를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하는 지수이다.[13]
'''구매 가격'''은 구매자가 필요한 시간과 장소에서 재화 또는 서비스 단위를 받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으로, 공제 가능한 세금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매 가격에는 구매자가 상품을 특정 위치로 가져오기 위한 운송비도 포함된다.[14]
'''가격 최적화'''는 기업이 고객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가격에 어떻게 반응할지 결정하기 위해 수학적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12. 한국 사회와 가격
한국 사회에서 가격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되고, 영향을 미친다. 시장 경제 체제에서 대부분의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지만, 정부 정책이나 사회적 합의에 따라 가격이 통제되기도 한다.
공공요금이나 대중교통 요금 등이 그 예시에 해당한다.[1]
12. 1. 가격 관련 정책
정책상의 필요에 따라 국가가 통제하는 가격이다. 공공요금이나 대중교통의 요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1]참조
[1]
서적
Pricing Strategies: A Marketing Approach
https://books.google[...]
SAGE
[2]
웹사이트
Theory of Price Definition
https://www.investop[...]
2021-04-25
[3]
서적
Lerner on the Economics of Contro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뉴스
Why oil prices just crashed into negative territory — 4 things investors need to know
https://www.marketwa[...]
2020-05-14
[5]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Thought
Wesleyan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Economic Way of Thinking
Pearson
2014
[7]
웹사이트
What's a price point?
https://www.brainbi.[...]
brainbi
[8]
간행물
Market Price
http://link.springer[...]
Palgrave Macmillan UK
2021-11-20
[9]
법률
Sale of Goods Act 1979, section 51(3)
https://www.legislat[...]
UK Legislation
2023-01-11
[10]
간행물
Pricing Inputs and Outputs: Market Prices Versus Shadow Prices, Market Power, and Welfare Analysi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7-31
[11]
웹사이트
Glossary - Glossary
https://www.abs.gov.[...]
2015-06-25
[12]
웹사이트
Pay What You Decide
https://shakespearen[...]
2024-09-30
[13]
웹사이트
Producer Price Index (PPI)
https://www.bls.gov/[...]
2021-04-25
[14]
웹사이트
Glossary - Glossary
https://www.abs.gov.[...]
2015-06-25
[15]
웹사이트
수요와 공급
[16]
서적
経済学の巨人 危機と闘う-達人が読み解く先人の知恵
日本経済新聞社
[17]
서적
ランチタイムの経済学-日常生活の謎をやさしく解き明かす
日本経済新聞社
[18]
논문
구매행동결정요인으로서의 ` 저가격차별화 ` 에 대한 고찰
[19]
웹사이트
정상가격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닭고기·과일, 전복 등 최대 40% 할인 지원합니다”
[알립니다]어린이 경제박사 되세요... 6월 28일 경제교실 개최
올해도 호텔 망고빙수 가격 고공행진…15만 원 육박
[알립니다]어린이 경제박사 되세요…3월 8일 경제교실 개최
[까다로운 리뷰] Z플립보다 더 큰 외부 화면 폴더블 폰, 모토로라 레이저40 울트라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35만원 짜리가 왜 이래요? 샤오미 포코 X6 프로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30만원대 극가성비 폰 낫싱 CMF 폰 1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물걸레도 빨아주는 진공청소기 샤오미 트루클린 W10 프로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IT] 갤럭시 Z플립 4∙폴드 4 언팩 톺아보기 – 바이라인네트워크
[커머스BN] 와이즐리가 ‘야쿠르트 아줌마’와 D2C 정기배송을 시작한 사연 – 바이라인네트워크
구글 세금 30% 시대…웹툰·웹소설, 가격 오를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돌비 시네마에 먼저 다녀왔다 – 돌비 시네마 실물 느낌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