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주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주가는 주식의 시장 가격을 의미하며, 기업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내부 요인으로는 증자, 주식 분할, 자사주 매입 등이 있으며, 외부 요인으로는 주가 지수, 금리 변동, 국제 정세 등이 있다. 주가 변동은 무작위 행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기술적 분석과 행동 재무학 등 다양한 이론으로 설명된다. 주가 차트는 주가 변동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주가 지수는 특정 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지표 -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역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 경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경제 지표 - 경제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는 헤리티지 재단이 법치, 정부 규모, 규제 효율성, 시장 개방성 기준으로 177개국의 경제적 자유 수준을 평가하여 0~100점 점수로 '자유'에서 '억압'까지 5단계로 분류하는 지표이며, 경제 성장과 번영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각국 정부의 경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주식시장 - 서킷브레이커 (주식 시장)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수 하락 시 거래를 일시 중단하거나 종료하는 조치를 통해 투자자에게 냉정을 되찾을 시간을 주지만, 매도세 가속화나 가격 발견 지연의 비판도 존재하며, 한국은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하락폭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거래를 중단 또는 종료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선물 시장에는 사이드카 제도를 병행하고 있다.
  • 주식시장 - 내부자 거래
    내부자 거래는 상장 회사 관계자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유가 증권을 거래하는 불법 행위로, 여러 국가에서 규제되고 있으며, 정보 비대칭성, 규제의 실효성 등 쟁점을 야기한다.
주가
일반 정보
용어주가, 주식 가격, 주가 지수
정의주식 1주에 대한 가격
영향기업 가치 반영
투자 심리 반영
경제 상황 반영
결정 요인
기업 요인실적
성장 가능성
재무 상태
산업 요인산업 동향
경쟁 환경
경제 요인금리
환율
경제 성장률
시장 요인투자 심리
수급
시장 상황
주가 관련 정보
관련 지표PER (Price-to-Earning Ratio)
PBR (Price-to-Book value Ratio)
PSR (Price-to-Sales Ratio)
배당수익률
참고 용어액면분할
주식 병합
자사주
기타기업 가치 평가
기술적 분석
참고
주의 사항주가는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함.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함.

2. 주가 결정 요인

복식부기가 발명된 14세기 이후, 기업 가치는 주당 순이익, 주당 순자산, 주당 현금 흐름 등 재무 비율을 기반으로 평가되기 시작했다. 이후 주가/배당률, 할인 현금 흐름을 이용한 내재 가치 추정 등 주식 가격을 평가하는 방식이 발전해왔다.[5]

주가를 움직이는 요인, 즉 '재료'는 매우 다양하며 크게 주식 수급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내부 요인과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부 요인에는 증자, 주식 분할,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이 있으며, 외부 요인에는 기업 실적, 신제품 출시, 인수 합병, 금리나 환율 같은 거시 경제 지표 변동, 국내외 정치 상황, 자연 재해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가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메커니즘은 매우 복잡하다. 특히 주가는 현재 상황뿐만 아니라 미래의 기업 실적이나 시장 변화에 대한 기대를 미리 반영하여 움직이는 선견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금융 시장의 글로벌화IT화로 인해 국내외 주식 시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연동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2. 1. 기업 내부 요인

주가 변동의 내부 요인은 주식 수의 증가나 감소 등을 통해 주식의 수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증자, 주식 분할, 자사주 소각, 주식 상호 보유 해소 등이 있다.

  • 주식 분할: 이론적으로는 발행 주식 수가 늘어나는 만큼 1주당 가치는 분할 비율에 따라 하락한다. 하지만 개인 투자자가 주식을 더 쉽게 살 수 있게 되므로, 2000년대 초반에는 주식 분할 발표 후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가 있었다.
  • 자사주 매입자사주 소각: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들어 1주당 이익은 상승한다. 그러나 회사의 잉여금으로 매입 비용을 충당하기 때문에 이론상 주가에는 중립적이라고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의 수요와 공급 관계 측면에서는 주가 상승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을 실행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 다만, 2000년대 세계 금융 위기 이후에는 사업 자금을 충분히 확보하려는 기업이 늘면서 자사주 매입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2. 2. 기업 외부 요인

주가 변동의 외부 요인은 주가 형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크게 회사 내부에서 비롯되는 요인회사 외부에서 비롯되는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 회사 내부에서 비롯되는 요인: 기업 실적의 상태, 신제품의 개발·발표·출시, 기업의 합병이나 인수, 구조조정, 기업의 불상사 등이 있다.
  • 회사 외부에서 비롯되는 요인: 주가 지수, 금리나 환율·물가 등의 변동, 국외에서의 전쟁·정변, 자연 재해의 발생 등이 있다.


주가 형성은 다양한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어렵다. 주가 결정의 가장 큰 요인은 기업 실적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실적이 좋은 기업의 주가는 오르고 부진한 기업의 주가는 떨어진다. 하지만 실제 시세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예를 들어, 좋은 실적이 발표되더라도 투자자들이 더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호재 소진), 오히려 매도가 우세해져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 반대로 실적 악화가 발표되더라도 투자자들이 이것이 최악의 상황이며 앞으로 나아질 것이라고 판단하면(악재 소진), 매수가 우세해져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처럼 미래의 기업 실적 등을 미리 반영하여 주가가 움직이는 것을 주가의 선견성이라고 부른다.

또한, 금융 시장의 글로벌화IT화로 인해 전 세계 주식 시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연쇄적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3. 주가 변동의 특징

주가는 기업의 가치, 경제 상황,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끊임없이 변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경제학이나 금융 이론에서는 주가 움직임을 예측 불가능한 무작위 행보로 설명하기도 하지만[1], 실제 시장에서는 특정 시기에 패턴을 보이거나(1월 효과 등) 단기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등[1], 이론과는 다른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러한 주가 변동의 원인과 예측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 관점이 존재한다. 과거 주가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2],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을 중시하는 행동 재무학,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에 주목하는 기본적 분석 등이 대표적이다.

장기적으로 주가는 해당 기업의 미래 수익이나 배당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지만[3], 단기적으로는 정보의 비대칭성, 시장 심리 변화 등으로 인해 기업 가치와 주가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성장 초기 기업이나 소규모 기업의 경우 이러한 불일치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주가는 주식 시장이 열려 있는 동안 계속해서 변동하며, 그 움직임은 복잡한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된다.

3. 1. 무작위 행보(Random Walk)

경제학 및 금융 이론에서는 자산가격, 특히 상장 기업의 주가 움직임을 모델링하기 위해 무작위 행보 기법을 사용한다. 이는 투자자가 합리적인 투자자처럼 편견 없이 행동하며, 모든 순간에 미래의 기대를 바탕으로 자산의 가치를 추정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는 모든 기존 정보가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정보가 나올 때만 가격이 변동한다. 정의에 따르면, 새로운 정보는 무작위로 나타나고 자산 가격에 무작위로 영향을 미친다.

실증 연구에 따르면 가격은 무작위 행보를 완전히 따르지 않는다.[1] 단기적으로는 낮은 자기 상관 (약 0.05)이 존재하며, 장기적으로는 약간 더 강한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 그 부호와 강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자들은 무작위 행보에서 가장 큰 가격 편차 중 일부가 계절적 및 시간적 패턴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1월의 수익률은 다른 달보다 상당히 높고(1월 효과), 월요일에는 주가가 다른 요일보다 더 많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관찰자들은 이러한 효과를 반세기 이상 여러 시장에서 관찰했지만, 그 지속성에 대한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기술적 분석은 대부분의 이상 현상을 사용하여 과거 데이터에서 미래 가격 변동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기술적 분석은 또한 시장 심리를 고려한다.[2] 그러나 유진 파마와 같은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패턴의 대부분이 투자자의 비합리적이거나 비효율적인 행동의 결과가 아니라, 분석을 위해 연구자에게 제공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 속에서 우연히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학파인 행동 재무학은 이러한 비무작위성을 투자자의 인지적 및 감정적 편향에 기인한다고 본다. 이는 기본적 분석과 대조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살펴보면, 주가는 기업의 미래 수익 및 배당금에 대한 기대와 관련이 있다.[3] 하지만 단기적으로, 특히 젊거나 작은 기업의 경우, 주가와 배당금 간의 관계는 매우 불일치할 수 있다.

주가 움직임과 관련된 다른 이론적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무작위 행보: 이전에는 학자들 사이에서 주가가 단기·중기·장기에 관계없이 항상 예측 불가능한 무작위적 움직임을 보인다고 설명되기도 했다.
  • 프랙탈: 주가 변동 패턴이 큰 시간 단위에서나 작은 시간 단위에서나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 카오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관측 오차의 영향이 증폭되어 미래 예측이 불가능해진다.

3. 2. 변동성(Volatility)

주가는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이 열려 있는 동안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장기적으로, 단기적으로, 그리고 하루 안에서도 변동한다. 이론적으로 매매가 성립된 모든 가격의 수치가 주가이며, 현대에는 시장의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형태로 존재한다. 계속 변동하는 주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일반적으로 복잡하게 파동치는 그래프 형태로 표현된다.

어느 하루의 주가에 초점을 맞춘 경우, 해당일에 시장이 열리고 나서 최초로 거래된 주가는 시초가[7], 마지막으로 거래된 주가는 종가[8], 거래 시간 중 가장 높은 주가는 고가[9], 가장 낮은 주가는 저가[10]라고 부른다. 이 4가지 값을 4본가라고 부른다.

또한, 증권 거래소 내에서 매매 거래를 할 때의 주가를 호가라고도 표현한다. 주가는 호가 단위를 최소 단위로 변동한다.

원래 주가는 상방으로도 하방으로도 자유롭게 변동할 수 있었지만, 주식 시장 운영자에 따라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고 시장 참가자의 패닉을 막기 위해 하루에 변동할 수 있는 주가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시장도 있다. 이 경우의 제한이 가격 제한폭이며, 주가가 가격 제한폭의 한계까지 폭등하거나 폭락하는 것을 각각 상한가 또는 하한가라고 한다. 단, 주식이 상장된 첫날에 시초가가 결정되기 전까지는 가격 제한폭이 적용되지 않는다.

일본의 주식 시장에서의 주가 결정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경매 방식"으로, 매매 당사자가 희망하는 가격과 수량을 증권 거래소에 알려 거래소 측에서 약정을 체결하는 방식이며,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마켓 메이킹 방식"으로, 마켓 메이커가 된 증권 회사가 확실히 성립하는 호가를 제시하여 매도자와 매수자를 모집하는 방식이며, 일본에서는 극히 일부의 종목에서 채용된다.

3. 3. 계절성 및 특정 요일 효과

경제학 및 금융 이론에서는 주가 움직임을 무작위 행보 모델로 설명하기도 한다. 이는 투자자들이 항상 합리적인 투자자처럼 행동하며 모든 관련 정보가 즉시 주가에 반영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이 이론대로라면 주가는 예측 불가능하게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주가 데이터를 분석한 실증 연구에 따르면, 주가는 완벽한 무작위 행보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 단기적으로는 낮은 수준의 자기 상관 (약 0.05)이 존재하며, 장기적으로는 그보다 약간 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상관관계의 방향과 강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자들은 주가가 무작위 행보에서 벗어나는 가장 두드러진 현상 중 일부가 계절적 요인이나 특정 요일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1월의 주식 수익률이 다른 달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경향을 보이는 1월 효과(January effect)와, 월요일에 주가가 다른 요일에 비해 더 많이 하락하는 경향(월요일 효과)이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여러 금융 시장에서 반세기 이상 관찰되었지만, 그 원인은 아직 명확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은 이러한 주가의 규칙성을 포함한 다양한 이상 현상(anomaly)을 활용하여 과거 데이터로부터 미래 가격 변동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고 시도한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시장 심리 또한 중요하게 고려한다.[2] 그러나 효율적 시장 가설을 지지하는 유진 파마와 같은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패턴의 대부분이 투자자의 비합리적이거나 비효율적인 행동의 결과라기보다는, 분석에 사용되는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우연히 나타나는 통계적 착시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학파인 행동 재무학에서는 이러한 비무작위적인 주가 움직임이 투자자들의 인지적 편향이나 감정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기업의 내재 가치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기본적 분석과는 대조적인 관점이다.

3. 4. 이상 현상(Anomaly)

경제학과 금융 이론에서는 주가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무작위 행보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모든 투자자가 항상 합리적인 투자자처럼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자산의 가치를 정확히 평가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주가는 오직 예측 불가능한 새로운 정보가 나타날 때만 변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는 무작위로 발생하므로, 주가 변동 역시 무작위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주식 시장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주가가 완벽하게 무작위적인 움직임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1] 짧은 기간 동안에는 주가 변동 사이에 약한 상관관계(약 0.05 정도)가 나타나며, 더 긴 기간을 보면 조금 더 뚜렷한 상관관계가 관찰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관관계의 방향이나 강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자들은 주가가 무작위적인 예측에서 벗어나는 현상 중 일부가 특정 시기나 계절과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1월의 주식 수익률이 다른 달보다 눈에 띄게 높은 현상(1월 효과)과 월요일에 주가가 다른 요일에 비해 더 많이 하락하는 경향(월요일 효과)이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십 년 동안 여러 국가의 시장에서 꾸준히 관찰되었지만, 왜 이런 패턴이 지속되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만족스러운 설명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기술적 분석은 이러한 시장의 규칙적이지 않은 움직임, 즉 이상 현상을 활용하여 과거 주가 데이터로부터 미래 가격 변동에 대한 단서를 찾으려는 시도이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또한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2] 그러나 유진 파마와 같은 일부 주류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패턴 대부분이 투자자들의 비합리적인 행동이나 시장의 비효율성 때문이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통계적 착시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반면, 행동 재무학이라는 분야에서는 이러한 비무작위적인 주가 움직임을 투자자들의 인지적 또는 감정적 편향, 즉 심리적인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나 성장 가능성 등 내재 가치 분석에 집중하는 기본적 분석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주가는 결국 해당 기업의 미래 수익배당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3]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특히 성장 초기 단계에 있거나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주가와 실제 기업 가치(수익이나 배당) 사이의 관계가 크게 어긋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4. 주가 차트

주가 변동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그림을 주가 차트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주가 차트로는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던 바 차트와 일본에서 유래하여 널리 퍼진 캔들 차트가 있다. 일본에서는 4가지 가격 정보(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나타내는 캔들 차트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투자자들은 주가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 기법들을 개발했으며, 일목균형표 등이 그 예시다.

4. 1. 캔들 차트 (Candlestick Chart)

주가 변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을 주가 차트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본래 세로 막대에 작은 가로선이 있는 형태의 바 차트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일본에서 유래한 캔들 차트의 편리성이 알려지면서 널리 퍼졌다. 일본에서는 4가지 가격 정보(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나타내는 캔들 차트가 가장 흔하게 쓰인다. 캔들 차트는 특정 기간 동안 주가가 시작 가격(시가)보다 올랐는지 내렸는지(종가)를 색깔로 구분하여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바 차트는 일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투자자들은 주가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4가지 가격 정보 외에도 이전 가격의 흐름까지 고려한 다양한 차트와 기술적 분석 기법들을 개발해왔는데, 예를 들어 일목균형표 같은 것이 있다.[1]

4. 2. 바 차트 (Bar Chart)

주가 변동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그림을 주가 차트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본래 주로 바 차트(세로 막대에 작은 가로선이 있는 형태)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에서 유래한 캔들 차트의 편리성이 알려지면서 미국에서도 캔들 차트 사용이 확산되었다.

일본에서는 4가지 가격 정보(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활용하는 캔들 차트가 가장 널리 쓰이며, 바 차트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캔들 차트는 특정 기간 동안 시가 대비 종가의 상승 또는 하락 여부를 색상으로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장점이 있다.

투자자들은 주가를 더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특정 기간의 4가지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전후 가격 변동의 영향까지 고려하는 다양한 차트와 기술적 분석 기법을 개발해왔다. '''일목균형표''' 등이 그 예시다.

4. 3.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

주가 변동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그림을 주가 차트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원래 주로 바 차트 (세로 막대에 작은 가로선이 있는 형태)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후에 일본의 캔들 차트의 존재와 그 편리성이 미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지면서 미국에서도 캔들 차트가 널리 퍼졌다. 일본에서는 4가지 가격 정보(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보여주는 캔들 차트 (특정 기간 동안 시가 대비 종가가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를 색상으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형태)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바 차트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각국의 투자자들은 주가를 잘 예측하기 위해, 특정 기간의 4가지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전후 가격의 영향도 포함한 다양한 차트와 기술적 분석 기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일목균형표 등이 있다.

5. 주가 지수

특정 시장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시장에서 매매되는 여러 종목의 주가를 바탕으로 산출한 값을 주가 지수라고 한다.

5. 1. 세계의 주요 주가 지수

NASDAQ100 지수 차트


특정 시장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시장에서 매매되는 여러 종목의 주가를 바탕으로 산출한 값이 주가 지수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주가 지수로는 미국의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 영국의 FTSE 100 지수, 독일의 DAX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토픽스(TOPIX)와 닛케이 평균 주가(닛케이 225) 등이 대표적이다.

6. 주가 관련 이론 및 모델

경제학 및 금융 이론에서는 자산가격, 특히 상장 기업 주가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무작위 행보 (Random Walk) 이론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관점은 투자자들이 항상 합리적인 투자자처럼 편견 없이 행동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즉, 시장에 알려진 모든 정보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으며, 오직 예측 불가능한 새로운 정보가 나타날 때만 주가가 변동한다는 것이다. 정의상 새로운 정보는 무작위로 발생하므로 주가 역시 무작위로 움직인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 주가 움직임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주가가 완전히 무작위 행보를 따르는 것은 아니다.[1] 단기적으로는 이전 가격과의 약한 자기 상관 관계(약 0.05)가 나타나며, 장기적으로는 이보다 조금 더 강한 상관관계가 관찰된다. 이러한 상관관계의 방향과 강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자들은 주가가 무작위 행보에서 벗어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계절적, 시간적 패턴을 지적한다. 대표적으로 1월의 주식 수익률이 다른 달보다 눈에 띄게 높은 1월 효과나, 월요일에 주가가 다른 요일보다 더 많이 하락하는 현상 등이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여러 시장에서 오랫동안 관찰되었지만, 왜 지속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아직 부족하다.

기술적 분석은 이러한 시장의 비효율성이나 패턴을 활용하여 과거 주가 데이터에서 미래 가격 변동에 대한 단서를 찾으려는 시도이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또한 중요한 변수로 고려한다.[2] 하지만 효율적 시장 가설을 지지하는 유진 파마와 같은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패턴 대부분이 투자자들의 비합리성 때문이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통계적 착시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행동 재무학은 주가의 비무작위적인 움직임을 투자자들의 인지적 편향이나 감정적 요인에서 찾는다. 인간의 심리적 특성이 시장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며, 이는 기업의 내재 가치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기본적 분석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주가는 해당 기업의 미래 수익 및 배당금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3]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특히 역사가 짧거나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주가와 실제 기업 가치(수익, 배당 등) 사이의 관계가 크게 어긋나는 경우도 많다.

주가 움직임을 설명하려는 다른 이론들은 다음과 같다.


  • 무작위 행보: 주가는 과거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예측 불가능하게 움직인다는 이론.
  • 프랙탈: 주가 그래프가 전체적인 모습과 부분적인 모습에서 유사한 패턴을 반복한다는 관점.
  • 카오스: 작은 변화가 예측 불가능한 큰 결과를 낳을 수 있어 장기적인 주가 예측이 어렵다는 이론.

7. 미국의 주가

미국에 본사를 둔 많은 기업들은 주가를 비교적 낮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100주 단위로 거래하는 "round lot|라운드 로트eng" 방식의 영향도 있다. 기업은 주식 분할을 통해 주가를 조정할 수 있다. 주식 분할은 기존 주식을 더 많은 수의 주식으로 나누어 주당 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주식 수와 주당 가격의 곱인 총가치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주당 32USD짜리 주식 500주는 주당 16USD짜리 주식 1000주로 바뀔 수 있다. 많은 주요 기업들은 주가를 25USD에서 75USD 사이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미국 주식이 나스닥(NASDAQ) 시장에 상장되기 위해서는 주가가 최소 1USD 이상이어야 한다. 만약 주가가 이 기준 아래로 떨어지면, 해당 주식은 상장 폐지될 수 있으며 장외 시장(OTC market)에서 거래될 수 있다. 상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달 연속 10거래일 동안 주가가 1USD 이상을 기록해야 한다.

8. 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식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 중 가장 가격이 높은 것은 버크셔 해서웨이 A주로, 2024년 2월 기준으로 주당 62.5만달러 이상에 거래되고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소액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주식 분할을 거부해 왔는데, 이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주주들을 유치하려는 회사의 전략이다. 1996년에는 버크셔 해서웨이 A주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뮤추얼 펀드의 설립을 막기 위해, A주 가치의 1/1000, 의결권의 1/1500을 가지는 B주를 발행하기도 했다.

린트 & 슈프륄리 주식은 2021년 12월 기준으로 약 14만달러에 달하는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스위스의 이 초콜릿 제조업체 역시 버크셔 해서웨이와 유사하게, 기존 주식 가치의 1/100에 해당하며 의결권이 없는 이른바 '참가 증서(Partizipationsschein)' 형태의 주식을 발행했다.

아래는 세계에서 주당 가격이 높은 주식들의 목록이다.

회사가격 (미국 달러)날짜산업
비고
국가
버크셔 해서웨이62.89만달러[4]2024년 2월지주 회사
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식.
미국
린트 & 슈프륄리14만달러[4]2021년 12월초콜릿 제조
유럽에서 가장 비싼 주식.
스위스
바스파서콘토어(Bastfaserkontor)11435USD2022년 3월소규모 부동산 회사
회사 이름: "바스트 섬유 콘토어" 참조. 10,000주 유통.
독일
베를린 동물원9365USD2021년 6월동물원
4000주 유통.
독일
파이낸시에르 몽세(Financière Moncey)8711USD2021년 9월지주 회사; 도시 대중 교통 전문
볼로레 기업과 강력한 연관.
프랑스
NVR, Inc.7617USD[4]2024년 2월주택 건설, 주택 담보 대출 은행미국
주거 칸토날방크(Zuger Kantonalbank)7200USD2022년 5월추크주의 주립 은행스위스
스위스 국립 은행6371USD2022년 2월중앙은행스위스
라이데라이 헤르베르트 에케가(Reederei Herbert Ekkenga)5400USD2022년 2월츠비세나흐너 메어 관광선독일
시보드 코퍼레이션4650USD[4]2019년 4월농업, 해운, 전력미국
버클리 그룹 홀딩스4484USD2022년 4월주택 건설, 부동산영국
파이낸시에르 데 쉬크르(Financière des Sucres)4355USD2022년 4월설탕 정제, 설탕 거래벨기에
울트라 일렉트로닉스4330USD2022년 4월방위 및 보안 장비영국
지보단4017USD2022년 4월향료 및 향수스위스
부킹 홀딩스3840USD[4]2024년 2월여행미국
위즈 에어3776USD2022년 4월저가 항공사저지 (영국)
아마존3515USD[4]2021년 11월온라인 상거래미국
알파벳 Inc.2960USD[4]2021년 10월정보 기술미국
오토존2842USD[4]2024년 2월자동차 부품미국
텍사스 퍼시픽 랜드 코퍼레이션2715USD[4]2022년 11월토지 관리, 물 서비스미국
소시에테 제네랄 드 쉬베이앙스2696USD2022년 4월검사, 인증, 테스트스위스
치폴레 멕시칸 그릴2666USD[4]2024년 2월레스토랑 체인미국
배리 칼레보2513USD2021년 8월코코아 콩스위스


참조

[1] 논문 Stock Market Prices Do Not Follow Random Walks: Evidence from a Simple Specification Test 1988-01-01
[2] 논문 Equity Analysis of Selected Indian Automobile Companies 2023-10-01
[3] 서적 Corporate Financ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01-01
[4] 웹사이트 10 of the Highest Stock Prices in History https://www.investop[...] 2024-03-15
[5] 웹사이트 Evolution of Stock Pricing http://www.numeraire[...] 2006-01-01
[6] 문서 大辞泉「株価」
[7] 문서 opening price
[8] 문서 closing price
[9] 문서 high price
[10] 문서 low price
[11] 서적 図解 30分で「株価のしくみ」がすっきりわかる本
[12] 서적 図解 30分で「株価のしくみ」がすっきりわかる本
[13] 서적 図解 30分で「株価のしくみ」がすっきりわかる本
[14] 서적 図解 30分で「株価のしくみ」がすっきりわかる本
[15] 서적 図解 30分で「株価のしくみ」がすっきりわかる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