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동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동 단층은 영월군 영월읍에서 덕포리 스러스트 단층으로 처음 보고되었으며, 충청북도 단양군과 단양역 사이에서 시작하여 정선군 부근에서 소멸되는 북동-남서 주향의 충상 단층이다. 이 단층은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영월층군의 경계로, 영월층군은 단층 북서부에, 태백층군은 단층 남동부에 분포한다. 영월읍에서 단양군까지 대동 누층군 반송층이 단층을 따라 분포하며, 영흥층이 반송층 위로 충상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월군의 지리 - 태백산
태백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2,637종의 야생 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자연환경을 자랑하고 천제단과 망경사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 영월군의 지리 -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는 건열 구조와 스트로마톨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생물 기원 여부에 대한 학술적 논쟁이 있는 대한민국 영월군 문곡리의 지질학적 구조이다. - 단양군의 지리 - 월악산
월악산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신성한 산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유적, 충주호 등으로 유명하다. - 단양군의 지리 - 충주호
충주호는 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충주시와 제천시가 호수 명칭을 두고 논쟁 중이며 민간에서는 권역별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각동 단층 | |
---|---|
단층 정보 | |
이름 | 각동 단층 |
다른 이름 | 영월 인편상구조대 |
명명 유래 | 각동 |
명명자 | 불명 |
명명 연도 | 불명 |
![]() | |
위치 | 영서 지방 |
광역 자치 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
기초 자치 단체 | 정선군 영월군 단양군 |
좌표 | 불명 |
고도 | 불명 |
범위 | 불명 |
일부 | 불명 |
분절 | 불명 |
길이 | 불명 |
폭 | 불명 |
깊이 | 불명 |
주향 | 북동-남서 |
경사 | 북서 |
경사 각도 | 35°~ |
변위 | 불명 |
판 |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
활동 상태 | 비활성단층 |
지진 발생 여부 | 없음 |
유형 | 충상단층 |
운동 | 북서부가 남동쪽으로 충상 |
암석 단위 |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대동 누층군 |
시대 | 고생대 이후 |
조산 운동 | 불명 |
화산호/대 | 불명 |
지도 이미지 | 불명 |
지도 설명 | 불명 |
포함 | 불명 |
2. 명칭
'''각동 스러스트 단층''' 또는 '''각동 충상단층'''은 요시무라(1940)가 영월군 영월읍에서 '''덕포리 스러스트 단층'''(Deokpori Thrust Faul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보고했으며[1],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1962)에 의하면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과 단양역 사이에서 시작해 북동 30°의 주향으로 영월군 남면을 지나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 부근에서 소멸된다. 김정환 외(1994)는 각동 충상단층이 옥동 단층에 비해 저각의 경사를 가진다고 보고했다.[2] 최덕근(1998)은 각동 단층을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영월층군의 중요한 경계로 제시했다. 이 단층을 경계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은 단층 북서부에, 태백층군은 단층 남동부에만 분포한다.[3]
각동 스러스트 단층(각동 충상단층)은 영월군 영월읍에서 '''덕포리 스러스트 단층'''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보고되었으며[1], 옥동 단층에 비해 낮은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 단층은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영흥층이 중생대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로 솟아오른 형태를 보인다.[4]
3. 지질학적 중요성
3. 1. 영월층군과 태백층군의 경계
각동 스러스트 단층은 요시무라(1940)가 영월군 영월읍에서 '''덕포리 스러스트 단층'''(Deokpori Thrust Faul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보고했으며[1], 최덕근(1998)은 이 단층을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영월층군의 중요한 경계로 제시하였다.[3] 이 단층을 경계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은 단층 북서부에, 태백층군은 단층 남동부에만 분포한다.[3] 지질도 상으로 영월읍 북부 문산리, 거운리에서 삼옥리와 영월역(덕포리), 흥월리를 지나 단양군으로 이어지는 북동-남서 주향의 스러스트 단층이다.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은 이 단층 남동부에만, 영월층군은 이 단층 북서부에만 분포한다.[4]
3. 2. 단층 주변 지층 분포
각동 단층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과 단양역 사이에서 시작하여 북동 30° 주향으로 영월군 남면을 지나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 부근에서 소멸되는 단층이다.[1] 이 단층을 경계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은 단층 북서부에, 태백층군은 단층 남동부에만 분포한다.[3]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에서 단양군 단성면까지 대동 누층군 반송층이 이 단층을 따라 길게 분포한다. 영월읍 삼옥리 부근에서 주향이 북북동-남남서 혹은 남-북으로 변한다.[4]
단양군 지역에서는 남한강을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며, 각동 단층의 상반부에 해당하는 단양군 매포읍, 어상천면 지역에는 각동 내프(Gakdong Nappe)로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한다.[5]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은 각동 스러스트 단층과 옥동 단층 사이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북서쪽으로 경사져 있다. 소진현 외(2023)의 연구 결과 묘봉층, 화절층, 두무골층에서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을 지시하는 층리평행 전단구조와 엽리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지층들은 두 단층에 의해 변형 분할(strain partitioning)의 양상을 보여준다.[6]
4. 단층의 자취
'''각동 스러스트 단층''' 또는 '''각동 충상단층'''은 요시무라(1940)가 영월군 영월읍에서 '''덕포리 스러스트 단층'''(Deokpori Thrust Faul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보고했으며[1]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1962)에 의하면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과 단양역 사이에서 시작하여 북동 30° 주향으로 영월군 남면을 지나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 부근에서 소멸된다. 김정환 외(1994)는 각동 충상단층이 옥동 단층에 비해 저각의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 최덕근(1998)은 각동 단층을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영월층군의 중요한 경계로 제시했다.
지질도 상으로 영월읍 북부 문산리, 거운리에서 삼옥리와 영월역(덕포리), 흥월리를 지나 단양군으로 이어지는 북동-남서 주향의 스러스트 단층이다. 이 단층을 경계로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은 남동부에, 영월층군은 북서부에 분포하며,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에서 단양군 단성면까지 대동 누층군 반송층이 이 단층을 따라 길게 분포한다. 단층의 자취는 단양군에서 영월군 남서부 지역까지 북동-남서 주향으로 이어지나, 영월읍 삼옥리 부근에서 북북동-남남서 또는 남-북 주향으로 변한다. 이 단층에 의해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영흥층이 중생대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로 충상되었다.[4]
4. 1. [[영월군]] 지역
영월군 영월읍 덕포리에서 이 단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25° 및 북서 35°이며,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조선 누층군 영흥층을 중생대 쥐라기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에 올려 놓는다.[1]4. 2. [[단양군]] 지역
단양군 지역에서는 남한강을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며 이 단층에 의해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영월형 조선 누층군이 중생대 쥐라기의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로 충상(衝上)되었고, 이 단층을 경계로 그 남동쪽에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평안 누층군이, 북서쪽에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한다. 각동 스러스트 단층은 단양군 대강면 지역에서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죽령 단층에 의해 좌수향으로 절단된다. 남한강 북서부이자 각동 단층의 상반부에 해당하는 단양군 매포읍, 어상천면 지역에는 각동 내프(Gakdong Nappe)로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한다.[5]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은 각동 스러스트 단층과 옥동 단층 사이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북서쪽으로 경사져 있다. 태백층군 내에는 층리평행 전단구조가 보고되어 있다. 소진현 외(2023)의 연구 결과 묘봉층, 화절층, 두무골층에서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을 지시하는 층리평행 전단구조와 엽리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지층들은 두 단층에 의해 변형 분할(strain partitioning)의 양상을 보여준다.[6]
참조
[1]
저널
江原道寧越附近の地質 (Geology of the Neietsu District, Kogendo, Tyosen)
https://www.jstage.j[...]
1940
[2]
저널
Pre-Jurassic Thrust Movement in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단양탄전 지역에서의 선쥬라기 드러스트 운동)
https://www.dbpia.co[...]
1994-02
[3]
저널
The Yongwol Group (Cambrian-Ordovician) redefined: a proposal for the stratigraphic nomenclature of the Choson Supergroup
https://www.proquest[...]
1998-12
[4]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
저널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단양 지역의 지질 구조)
https://www.dbpia.co[...]
1992-01
[6]
저널
Kinematic interpretation of layer-parallel shearing structures in Danyang a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단양지역 층리평행 전단구조의 운동학적 특성과 지체구조적 의미)
https://www.dbpia.co[...]
202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