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희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희왕조》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중국 드라마로, 2002년 제20회 금응상 우수 드라마 상을 수상했다. 순치제의 갑작스러운 출가와 강희제의 즉위를 시작으로 오배와의 권력 투쟁, 삼번의 난, 정씨대만 정벌, 러시아 및 준가르부와의 갈등, 몽골 평정 등 강희제 재위 기간의 주요 사건을 다룬다. 진도명이 강희제 역을, 사친가오와가 효장문황후 역을 맡았으며, 옹정제를 다룬 드라마에 비해 시청률은 낮았지만 중국 내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80일간의 세계 일주
    쥘 베른의 소설 《80일간의 세계 일주》는 필리어스 포그가 80일 안에 세계 일주를 할 수 있다는 내기를 걸고 하인 파스파르투와 함께 여행하며 픽스 형사의 방해와 아우다 구출 등의 역경을 헤쳐나가는 이야기로, 19세기 말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연재 당시 큰 인기를 얻고 실제 세계 일주 도전을 자극하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요리왕 비룡
    《요리왕 비룡》은 오가와 에츠시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요리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청나라 말 천재 요리사 류마오싱(마오)이 최고의 요리사를 목표하며 암흑 요리계와의 싸움, 전설의 조리 기구 탐색 등 다양한 모험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왕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어린 왕자
    어린 왕자는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가 사하라 사막에 불시착한 조종사와 어린 왕자의 만남을 통해 삶의 본질과 인간관계의 소중함을 이야기하는 소설이다.
  • 왕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왕자와 거지
    마크 트웨인이 1881년에 발표한 소설 왕자와 거지는 16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외모가 똑 닮은 왕자 에드워드 6세와 거지 톰 캔티가 옷을 바꿔 입으며 신분이 뒤바뀌는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봉신연의 (2019년 드라마)
    폭군 상 주왕의 폭정으로부터 백성을 구원하려는 강자아와 양전, 그리고 복수를 위해 주왕의 후궁이 된 달기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봉신연의는 중국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를 원작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금수연화려모험
    1930년대 상하이를 배경으로 가족의 복수를 위해 상하이로 간 룽진슈와 암흑가 보스 쭤전의 사랑과 복수를 그린 중국 드라마 금수연화려모험은 격변하는 시대 속 인물들의 운명과 갈등,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을 다루며 후난 TV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강희왕조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원어 정보
중국어 간체康熙王朝 / 康熙帝国
중국어 정체康熙王朝 / 康熙帝國
병음Kāngxī Wángcháo / Kāngxī Dìguó
방송 정보
장르역사 드라마
원작이월하의 "강희대제"
각본주소진, 후젠신
감독천자린, 류다인, 천웨이궈, 류젠쿠이, 리밍
진행차이융루이, 류다인
출연진도명, 사금고왜, 쉐중루이, 가오란춘, 루핑, 리젠췬
주제곡 작곡가푸커
오프닝 테마"샹톈짜이제우바이녠(向天再借五百年)" (가수: 한레이)
엔딩 테마"다난런(大男人)" (가수: 텡거얼)
작곡가천쇼우첸
국가중국
언어중국어 (표준중국어)
에피소드 수50
총괄 프로듀서예즈캉, 천하이, 자오쉐메이, 리진쥔
프로듀서류다인, 류인강, 잉리쥐안
편집자자오춘링
촬영 감독쑤리
제작사중국국제전시공사
상하이치우스오 영화 & TV 제작
상하이황허 영화 & TV
채널CCTV
러닝타임회당 45분
관련 작품
관련 작품 목록"옹정왕조" (1997)
"건륭왕조" (2002)

2. 제작진


  • 감독: 천자린, 류다인[1]
  • 원작: 얼웨허
  • 각본: 주쑤진, 후젠신
  • 촬영: 쑤리


이 드라마는 산시(山西)성 시골에 있는 황청상서(黃城相府)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다. 황청상서는 강희제의 신하이자 강희자전의 총 편찬관이었던 진정경(陳廷敬)의 집이다.[1]

2. 1. 감독

감독은 천자린(陳家林)과 류다인(劉大印)이다.[1] 각본은 주쑤진이 썼다.[1] 이 드라마는 산시(山西)성 시골에 있는 황청상서(黃城相府)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는데, 이곳은 강희제(康熙帝)의 신하이자 『강희자전(康熙字典)』의 총 편찬관이었던 진정경(陳廷敬)의 집이다.[1]

2. 2. 각본

각본은 주쑤진이 집필하였다.[1] 이 드라마는 산시(山西)성 시골에 있는 황청상서(黃城相府)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다. 황청상서는 강희제의 신하이자 강희자전의 총 편찬관이었던 진정경(陳廷敬)의 집이다.[1]

3. 출연진


  • 진도명(Chen Daoming) - 강희제
  • 리난(Li Nan) - 젊은 시절 강희제
  • 천웨이전(Chen Weizhen) - 어린 시절 강희제
  • 사친가오와(Siqin Gaowa) - 효장문황태후 역
  • 고란촌(Gao Lancun) - 명주 역
  • 쉬에중루이(Xue Zhongrui) - 송고토 역
  • 리젠쿤(Li Jianqun) - 융비 역
  • 루핑(Ru Ping) - 수말라구 역
  • 후산산(Hu Shanshan) - 젊은 시절 수말라구 역
  • 후톈거(Hu Tiange) - 란치얼 역
  • Liao Jingsheng - 이광제 역
  • 안야핑(An Yaping) - 위둥팅 역
  • 리우팅(Liu Ting) - 젊은 시절 위둥팅 역
  • 리홍타오(Li Hongtao) - 갈단 보슈그투 칸 역
  • 리우다이인(Liu Dayin) - 정경
  • 루용(Lu Yong) - 양칠룡 역
  • 차오용샹(Cao Yongxiang) - 오삼계
  • 수팅시(Su Tingshi) - 요기생 역
  • 후용성(Hou Yongsheng) - 시랑
  • 리우준(Liu Jun) - 순치제
  • 야오창안(Yao Chang'an) - 오배이 역
  • 주이단(Zhu Yidan) - 소닌 역
  • 가오톈하오(Gao Tianhao) - 인지 역
  • 완중량(Wan Zhongliang) - 인릉
  • 송라이윈(Song Laiyun) - 에빌룬 역
  • 리우위빈(Liu Yubin) - 주궈즈 역
  • 마샤오마오(Ma Xiaomao) - 오영웅 역
  • 보홍(Bo Hong) - 동고황귀비 역
  • 주옌(Zhu Yan) - 동기야황귀비
  • 공쉐화(Gong Xuehua) - 휘비 역
  • 탕루리(Tang Ruli) - 자윈 역
  • 장징징(Zhang Jingjing) - 홍위 역
  • 리천타오(Li Chentao) - 허셰리황후
  • 왕예톈(Wang Yetian) - 바오리 롱메이 역
  • 장광정(Zhang Guangzheng) - 석사하 역
  • 리루핑(Li Ruping) - 반부얼산 역
  • 리밍(Li Ming) - 주배공 역
  • 고량(Gao Liang) - 오츠유 역
  • 하오티에난(Hao Tienan) - 투하이 역
  • 최다이(Cui Dai) - 왕복천 역
  • 조카이(Zhao Kai) - 왕기진 역
  • 백양(Bai Yang) - 장팅유 역
  • 천빈(Chen Bin) - 천팅징 역
  • 쉬에옌(Xue Yan) - 시아오마오즈 역
  • 마제(Ma Jie) - 황징 역
  • 리우쿠이(Liu Kui) - 우량푸 역
  • 천다중(Chen Dazhong) - 위청모 역
  • 통샤오후(Tong Xiaohu) - 리더촨 역
  • 리샤오레이(Li Xiaolei) - 싱센 역
  • 저우치(Zhou Qi) - 지시 역
  • 조징원(Zhao Jingwen) - 거리 역
  • 관더쥔(Guan Dejun) - 정태 역
  • 런차오(Ren Chao) - 봉희판 역
  • 장수궈(Zhang Suguo) - 류궈촨 역
  • 리우창성(Liu Changsheng) - 유린슈 역
  • 하오티에난(Hao Tienan) - 오리우이 역

3. 1. 주연

진도명이 강희제 역을 맡았고, 사금고왜가 효장태황태후 역을 연기했다. 이남은 청년 강희제를 연기했다. 소년 강희제 역은 진위신이 맡았다.

등장인물배우
강희제진도명
강희제(소년)이남
강희제(유년)진위진
효장태황태후사금고아
순치제유균
박홍
통비주염
행삼이소뢰
옥수림유장생
위승모진대중
위동정안압평
위동정(소년)유정
여평
호산산
소니주운단
삭액도
혁사리이진도
오배요장안
숙사하장광정
압필륭송래운
이여평
호철남
진빈
오차우고홍량
오삼계조영상
유육빈
주배공이명

(주삼황자를 자칭함)
노용
자운탕가려
소정석
연평왕·정경유대인
정태관덕준
시랑후영생
조경문
황태자·윤등만중량
황장자·윤제고천호
혜비
용비
란기
보일룡매왕예천
료경생
갈단이홍도
홍옥(주단단)장정정
장정옥백양
위자옥
홍력


3. 2. 조연

진도명이 강희제 역을 맡았고, 사친가오와가 효장문황후 역을 연기했다. 이 외에도, 납란명주 역에 고란촌, 색액도 역에 설중예, 순치제 역에 유균, 위동정 역에 안아평이 출연했다. 소마랄고 역에는 여평, 용비 역에는 이건군, 란제아 역에는 천합, 효성인황후 혁사리 씨 역에는 이신도가 출연했다. 황태자 윤잉 역은 만중량이, 윤시 역은 고천민이 연기했으며, 효강장황후 동가 씨 역은 주안이 맡았다.

색니 역은 주예란이, 오배 역은 요장안이, 소극살합 역은 장광정이 연기했다. 오삼계 역에는 조영상, 요계성 역에는 소정석, 시랑 역에는 후영생이 출연했다. 진정경 역은 진빈이, 주배공 역은 이명이, 이광지 역은 요경성이, 주국치 역은 유여빈이 맡았다. 정경 역에는 류대인, 가르단 역에는 이홍도, 양기륭 역에는 노용이 출연했다. 오차우 역은 고량이, 보일룡매 역은 왕야천이, 동악비 역은 박홍이, 혜비 역은 궁설화가 연기했다.

등장인물배우
강희제진도명
강희제(소년)이남
강희제(유년)진위진
효장태황태후사금고아
순치제유균
label=악비/효헌단경황후중국어박홍
통비주염
행삼이소뢰
옥수림유장생
위승모진대중
위동정안압평
위동정(소년)유정
label=소마라구/소마라구중국어여평
label=소마라구(소녀)/소마라구중국어호산산
소니주운단
삭액도label=설중예/설중예중국어
혁사리이진도
오배요장안
숙사하장광정
압필륭송래운
label=반무르선/반무르선중국어이여평
오육일중국어호철남
label=진정경/진정경중국어진빈
오차우고홍량
label=명주/나란명주중국어label=고란촌/고란촌중국어
오삼계조영상
label=주국치/주국치중국어유육빈
주배공이명
양기륭중국어
(주삼황자를 자칭함)
노용
자운탕가려
label=요개성/요개성중국어소정석
연평왕·정경유대인
정태관덕준
시랑후영생
갈례중국어조경문
황태자·윤등만중량
황장자·윤제고천호
혜비궁설화중국어
용비이건군 (배우)중국어
란기호천구중국어
보일룡매왕예천
label=이광지/이광지중국어료경생
갈단이홍도
홍옥(주단단)장정정
장정옥백양
위자옥
홍력


4. 줄거리

이 드라마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한다. 여기에는 오배와의 권력 투쟁, 삼번의 난, 그리고 동녕왕국에 대한 원정이 포함된다.

이야기는 순치제(애신각라 복림)가 사랑하는 첩의 죽음에 충격을 받고, 갑자기 출가하여 오대산에 은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젊은 황제의 갑작스러운 출가 은거에 놀라움과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청나라 정부의 요인들이었지만, 황태후를 중심으로 결속하여, 새 황제로 8세의 순치제의 황자를 맞이한다. 이 소년이 바로 강희제이다.

강희제는, 중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권신 오배의 제거를 시작으로, 삼번의 난, 정씨대만, 러시아 제국, 준가르부 등의 내우외환을 제거하는 한편, 감세와 문화 사업 등으로 국내를 안정시키고, 청나라의 기반을 다지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황태자 자리를 둘러싼 아들들의 추한 다툼에 마음 아파하며, 결국 자신의 후계자를 정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한다.

회차제목주요 내용
1화현엽 틴시(玄燁廷試)
2화악비 병몰(鄂妃病没)
3화모자 대립(母子対立)
4화순치제 출가(順治帝出家)순치제의 출가
5화강희제 즉위(康煕帝即位)강희제의 즉위
6화오배의 횡포(鰲拝の横暴)오보이의 횡포
7화권력 투쟁(権力闘争)
8화과거 합격(科挙合格)
9화강희제 실수(康熙帝しくじる)
10화강희제 친정(康煕帝親政)강희제의 친정
11화오배의 모반(鰲拝の謀反)오보이의 모반
12화북경의 위기(北京の危機)
13화질서 회복(秩序回復)
14화삼번 할거(三藩割拠)삼번의 난
15화조모와의 논쟁(祖母との論争)
16화강희제 순행(康煕帝巡幸)
17화강희제의 폐번(康煕帝の廃藩)
18화오삼계의 책략(呉三桂の策略)
19화강희제의 연애(康煕帝の恋)
20화주국치의 죽음(朱国治の死)
21화오삼계의 난(呉三桂の乱)
22화위기에 흔들리지 않고(危機に乱れず)
23화강희제의 반격(康熙帝の反撃)
24화오삼계의 죽음(呉三桂の死)
25화남우북환(南憂北患)
26화대만 문제(台湾問題)정씨대만 문제
27화사랑을 맞이하다(施琅を迎える)
28화용비 귀가(容妃里帰り)
29화협상 결렬(交渉決裂)
30화고아 사건(孤児事件)
31화강희제와 학문(康熙帝と学問)
32화대만 공격(台湾攻めへ)
33화패퇴(敗退)
34화내부 분열(内部分裂)
35화황녀 강하(皇女降嫁)
36화윤제의 배웅(胤禔の見送り)
37화대만 탈환(台湾奪還)
38화장성을 쌓지 않고(長城を築かず)
39화당쟁 재연(党争再燃)
40화강희제 친정(康煕帝親征)
41화강희제 회복(康煕帝快復)
42화친정 좌절(親征挫折)
43화신인 발탁(新人抜擢)
44화명주 실각(明珠失脚)
45화위기 사복(危機四伏)
46화태황태후 병몰(太皇太后病没)
47화몽고 평정(蒙古平定)
48화황태자 폐위(皇太子廃位)
49화용비 노예로(容妃奴隷に)
50화강희제 붕어(康熙帝崩御)강희제의 죽음


4. 1. 주요 사건

드라마 《강희왕조》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오배이와의 권력 투쟁, 삼번의 난, 동녕왕국에 대한 원정 등이 주요 사건으로 다루어진다.

이야기는 순치제가 사랑하는 첩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출가하여 오대산에 은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황태후를 중심으로 8세의 순치제의 아들이 강희제로 즉위한다.

강희제는 중신들의 보좌를 받으며 권신 오배를 제거하고, 삼번의 난, 정씨대만, 러시아 제국, 준가르부 등의 내우외환을 극복한다. 또한 감세와 문화 사업 등으로 국내를 안정시켜 청나라의 기반을 다진다. 그러나 황태자 자리를 둘러싼 아들들의 다툼에 고뇌하다가 후계자를 정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한다.

드라마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을 다룬다:

  • 오배와의 권력 투쟁: 강희제 즉위 초반, 권신 오배의 횡포와 그에 맞선 강희제의 권력 투쟁이 주요 갈등으로 나타난다. (6화, 7화, 11화)
  • 삼번의 난: 오삼계를 비롯한 삼번의 난은 강희제 통치 기간 중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였다. (14화, 17화~24화)
  • 동녕 정벌: 강희제는 대만을 점령하고 있던 정씨 세력을 진압하여 청나라의 영토를 확장한다. (26화, 32화, 33화, 37화)
  • 몽골 평정: 강희제는 몽골 지역의 안정을 도모한다. (47화)

4. 2. 기타

순치제는 사랑하는 첩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출가하여 오대산에 은거한다. 청나라 조정은 황태후를 중심으로 8세의 황자, 강희제를 새 황제로 맞이한다.

강희제는 오배 제거, 삼번의 난, 정씨대만, 러시아 제국, 준가르부 등의 내우외환을 극복하고, 감세와 문화 사업으로 국내를 안정시켜 청나라의 기반을 다졌다. 그러나 황태자 자리를 둘러싼 아들들의 다툼에 고심하다 후계자를 정하지 못하고 사망한다.

드라마는 총 50화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회차제목주요 내용
1화현엽 틴시(玄燁廷試)
2화악비 병몰(鄂妃病没)
3화모자 대립(母子対立)
4화순치제 출가(順治帝出家)순치제의 출가
5화강희제 즉위(康煕帝即位)강희제의 즉위
6화오배의 횡포(鰲拝の横暴)오보이의 횡포
7화권력 투쟁(権力闘争)
8화과거 합격(科挙合格)
9화강희제 실수(康熙帝しくじる)
10화강희제 친정(康煕帝親政)강희제의 친정
11화오배의 모반(鰲拝の謀反)오보이의 모반
12화북경의 위기(北京の危機)
13화질서 회복(秩序回復)
14화삼번 할거(三藩割拠)삼번의 난
15화조모와의 논쟁(祖母との論争)
16화강희제 순행(康煕帝巡幸)
17화강희제의 폐번(康煕帝の廃藩)
18화오삼계의 책략(呉三桂の策略)
19화강희제의 연애(康煕帝の恋)
20화주국치의 죽음(朱国治の死)
21화오삼계의 난(呉三桂の乱)
22화위기에 흔들리지 않고(危機に乱れず)
23화강희제의 반격(康熙帝の反撃)
24화오삼계의 죽음(呉三桂の死)
25화남우북환(南憂北患)
26화대만 문제(台湾問題)정씨대만 문제
27화사랑을 맞이하다(施琅を迎える)
28화용비 귀가(容妃里帰り)
29화협상 결렬(交渉決裂)
30화고아 사건(孤児事件)
31화강희제와 학문(康熙帝と学問)
32화대만 공격(台湾攻めへ)
33화패퇴(敗退)
34화내부 분열(内部分裂)
35화황녀 강하(皇女降嫁)
36화윤제의 배웅(胤禔の見送り)
37화대만 탈환(台湾奪還)
38화장성을 쌓지 않고(長城を築かず)
39화당쟁 재연(党争再燃)
40화강희제 친정(康煕帝親征)
41화강희제 회복(康煕帝快復)
42화친정 좌절(親征挫折)
43화신인 발탁(新人抜擢)
44화명주 실각(明珠失脚)
45화위기 사복(危機四伏)
46화태황태후 병몰(太皇太后病没)
47화몽고 평정(蒙古平定)
48화황태자 폐위(皇太子廃位)
49화용비 노예로(容妃奴隷に)
50화강희제 붕어(康熙帝崩御)강희제의 죽음


5. 주제가

오프닝 곡은 한뢰(韩磊)가 부른 하늘에 다시 500년을 빌리다/向天再借五百年중국어이다. 엔딩 곡은 등격이/腾格尔중국어가 부른 대남자/大男人 (歌曲)중국어이다.

6. 평가 및 반응

이 드라마는 전반적으로 인기가 있었지만, 강희제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옹정제에 대한 비슷한 드라마인 ''옹정황제''보다는 시청률이 낮았다.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비평가들은 시대적 문제인 타이완을 불필요하게 강조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강희자전을 통한 중국어 발전에 대한 공헌이나 강희제의 아들들 사이의 후계 다툼 등 강희제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들은 생략되었다.

이 드라마는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매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같은 시기에 방영된 손문의 일생을 소재로 한 드라마의 시청률은 「강희왕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

강희제의 학우이자 후에 중신이 된 위동정(魏東亭)은 강희제의 유모의 아들인 조인(曹寅)을 모델로 한 허구의 인물이다.[2]

7. 촬영지

이 드라마는 산시(山西)성 시골에 있는 황청상서(黃城相府)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다. 황청상서는 강희제의 신하이자 강희자전의 총 편찬관이었던 진정경(陳廷敬)의 집이다.[1]

8. 수상

《강희왕조》는 2002년 제20회 금응상에서 우수 드라마 상을 수상했다.

9.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Welcome to Shanxi, China http://shanxi.chinad[...] China Daily Information Co. 2017-11-23
[2] 웹사이트 魏東亭 百度百科 http://baike.baidu.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