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캐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캐논은 일년 전쟁 중 지구 연방군이 개발한 중거리 지원용 모빌 슈트이다. 건탱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족 보행형으로 개발되었으며, RX-77-1을 시작으로 총 6기가 제작되었다. 건담, 건탱크와 함께 V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양 어깨의 240mm 저반동 캐논과 빔 라이플을 주 무장으로 사용했다. 건캐논은 이후 중거리 지원형 모빌 슈트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파생형과 관련 기체가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 작업용 자쿠 II
    작업용 자쿠 II는 지온 공국군의 주력 모빌 슈트인 자쿠 II를 기반으로 지상전 능력을 강화한 다양한 파생형 모델들을 통칭하며, 특히 자쿠 탱크는 120mm 저격포 등의 무기를 장비하고 험한 지형에서 뛰어난 기동성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1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 야크트 도가
    야크트 도가는 우주세기 0090년대 네오 지온에서 개발된 뉴타입 전용 시작형 모빌 슈트로, 기라 도가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이코 프레임, 고출력 제네레이터, 건다리움 합금 장갑 등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규네이 거스, 퀘스 파라야 등이 탑승했고 빔 어설트 라이플, 메가 개틀링 건, 판넬 등 다양한 무장을 사용하며 여러 파생 기체가 존재한다.
건캐논

2. 개발 배경



건캐논은 일 년 전쟁 당시 지구연방군의 V작전에 의해 개발된 RX 시리즈 모빌 슈트 중 하나로, 백병전용인 건담, 원거리 지원용인 건탱크와 함께 운용될 중거리 지원용으로 개발되었다.

건탱크는 원래 차세대 주력 전차(MBT)로 개발되던 RTX-44를 급히 변경한 기체였기 때문에, 완전한 인간형이 아니었고 기동성도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캐논 개발에는 2족 보행 유닛 도입이 적극 추진되었다. 지구 연방군은 2족 보행형 시작 로봇 RXM-1을 개발하여 실험 중이었고, 노획한 자쿠의 데이터도 활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안정적인 2족 보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건캐논은 양 어깨에 240mm 저반동 캐넌을 장착하고, 빔 라이플을 휴대하여 중거리 화력 지원을 담당했다. 실드를 장비하지 않는 대신 장갑을 두껍게 하여 방어력을 높였다. 근접 전투용 장비는 머리 부분의 60mm 벌컨포 2문뿐이었지만, 파일럿의 조종 기술에 따라 주먹과 발을 이용한 근접전도 가능했다.

건캐논은 연방군 최초로 HM-680405-A+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2족 보행 시스템과 코어 블록 시스템을 채용하였으며, 개발 비용은 자쿠의 4배에 달했다. 건캐논의 중거리 지원 화기 장착 아이디어는 이후 건캐넌 디텍터, G캐넌 등 유사 개념의 기체들에 계승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정이 변경되기도 했는데, 초기에는 건캐논의 형식 번호가 RX-77-1로 표기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RX-77-2가 공식 설정이다.

건캐논 개발 배경 요약
구분내용
개발 목적중거리 지원용 모빌 슈트
개발 배경V작전의 일환, 건탱크의 기동성 문제 해결
기술적 특징2족 보행, 두꺼운 장갑, 240mm 저반동 캐넌, 빔 라이플
기타RXM-1 실험 데이터, 노획한 자쿠 데이터 활용


2. 1. V작전

일 년 전쟁 시 V작전의 발동과 함께 개발된 연방제 모빌 슈트 계획 중 중거리지원형 기체로 개발되었다. 건탱크는 본래 차기 주력 전차 계획의 파생형으로 모빌 슈트라기보다는 전차에 가까운 기체였고, 이후 기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군 독자로 개발한 RXM-1과 노획한 지온 공국군의 자쿠의 실전 데이터를 반영하여 본격적인 2족 보행형 모빌 슈트 개발을 시작하였다. 기체 전체에 두꺼운 장갑을 입혀 기동성이 떨어졌으며, 강제 냉각 자켓을 채용한 240mm 포를 탑재하고 접근전을 대비하여 60mm 발칸을 머리 부분에 장비하였다. 건담에 탑재된 것보다도 강력한 빔 라이플과 대구경 포를 이용하여 중거리 지원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이 아이디어는 많은 바리에이션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연방의 신 모빌 슈트 개념인 포뮬러 계획에도 이 개념이 적용된다.)[13][15] 최초 제작된 기체 중 3기가 사이드 7에서 테스트 중 지온 공국군의 습격을 받아 2기가 파괴되고 남은 1기가 화이트 베이스 대에서 운용되었다.

RX 시리즈의 운용 구상에서는 백병전용인 건담, 장거리 지원용인 건탱크와 제휴해서 중거리 원호 포격이나 저격을 실시하는 지원용 기체였기 때문에 양 어깨에는 240mm 저반동 캐넌을 장비하고, 빔 라이플을 휴대하게 되었다. 또, 운용 구상을 통해 일부러 실드를 장비시키지 않고, 대신에 장갑을 두껍게 하여 방어력을 향상시켰다.

2. 2. RXM-1

RXM-1은 지구 연방군이 모빌 슈트 개발 초기 단계에 진행한 실험용 로봇이다. 연방군은 건탱크의 기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자적인 2족 보행 기술을 연구했고, RXM-1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RXM-1의 실험 데이터는 건캐논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연방군은 RXM-1을 통해 얻은 2족 보행 기술과 노획한 지온 공국군의 자쿠의 실전 데이터를 결합하여 안정적인 2족 보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는 건캐논이 중거리 지원형 모빌 슈트로서 활약하는 데 핵심적인 기반이 되었다.[24]

2. 3. 자쿠 노획

지구 연방군은 노획한 지온공국군의 자쿠의 실전 데이터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2족 보행형 모빌 슈트 개발을 시작했다.[1] 초기 시작형인 RX-77-1을 시작으로, 자브로에서 총 6기가 제작되었으며, 그중 3기는 사이드 7에서 테스트를 하던 중에 지온 공국군의 습격을 받아 2기가 파괴되고, 남은 1기는 화이트 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1]

3.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메카닉 디자인을 담당했다. 《기동전사 건담》의 기획안인 《프리덤 파이터》는 스폰서의 요청으로 로봇을 등장시키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는데,[1] 1978년 9월에 오오카와라가 용도별로 디자인한 3기의 로봇 중 "중포병형 기동 보병"이 건캐논의 원안이 되었다. 이 시점에서 휴대 무장인 빔 라이플을 포함해 이미 디자인이 거의 완성된 상태였다. 기획 단계에서는 건캐논이 주역기가 될 예정이었다는 자료도 있다.[2]

이후 건담 시리즈에도 건캐논처럼 어깨(주로 오른쪽 어깨)에 캐논포를 장착한 모빌슈트(MS)가 다수 등장하고 있다.

건캐논은 본래 소설 《스타십 트루퍼스》에 등장하는 강화복인 '파워드 슈트'의 디자인을 적극 반영하여 건담 시리즈 최초이자 주역기로 디자인된 모빌슈트였다. 시간이 지나 설정을 추가하면서 형식 번호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부 자료에서는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하는 건캐논 RX-77-2가 RX-77-1로 표기되기도 했다. 현재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한 화이트 베이스 소속 건캐논의 형식 번호는 RX-77-2이다.

극장판에서는 핸드 그레네이드를 사용하는 장면이 추가되었지만, 수납 장소는 설정되지 않았다가 플라모델 MG 1/100 건캐넌 키트가 제작되면서 다리 허벅지 부분에 수납되는 것으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4. 기체 특징

1년 전쟁 당시 V작전과 함께 개발된 연방제 모빌 슈트 계획 중 중거리 지원형 기체로 개발되었다. 건탱크는 본래 차기 주력 전차 계획의 파생형으로 모빌 슈트라기보다는 전차에 가까웠고, 이후 기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군 독자 개발 RXM-1과 노획한 지온 공국군의 자쿠의 실전 데이터를 반영하여 본격적인 2족 보행형 모빌 슈트 개발을 시작하였다.

건캐논은 기체 전체에 두꺼운 루나 티타늄 합금 장갑을 적용하여 방어력을 높였다. 머리 부분은 고글형 센서를 채택하여 파일럿의 조작과 화기 관제를 돕고, 후에 의 센서로 채용될 정도로 가격 대비 성능과 효율성이 높게 평가되었다.[13][14]

주행성과 기동성은 중력 하에서의 운용에 충분한 수준이었다.[15][16] 건담에 비해 중량이 증가했지만, 등 뒤 랜드셀에 장착된 스러스터 덕분에 점프나 짧은 시간 동안의 비행이 가능했다.[17]

건캐논은 중거리에서의 원호 포격이나 저격을 상정하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백병전용 건담, 장거리 지원용 건탱크와의 연계를 통해 중거리에서 원호 포격을 하는 운용을 전제로 했다.[19] 코어 블록 시스템 채용과 맞물려, 자쿠의 4배에 달하는 비용이 소모되었다고 한다.[18]

이후 어깨에 고정 무장 중거리 지원 화기를 장착하는 아이디어는 직계 바리에이션 기체 외에도 건캐논 디텍터, G캐논 등 유사 콘셉트의 기체에 계승되었다.

4. 1. 무장

건캐넌의 주무장은 양 어깨에 장착된 240mm 저반동 캐넌포이다. 이 포는 건탱크의 저반동 캐넌보다 포신이 짧지만 구경이 2배 더 크다.[19] 유효 사거리는 짧아졌지만, 기동력으로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포신에는 수냉식 강제 냉각 자켓이 탑재되어 연사가 가능하며, 실탄을 사용해 신뢰성이 높고 강력한 위력을 발휘했다.[19] 중력이 있는 지상에서는 엎드린 자세로 사격 반동을 줄이는 전술이 사용되었다. 240mm 저반동 캐넌이 장착된 어깨의 하드 포인트는 공통 규격화되어 전황에 따라 다양한 옵션 무장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인 스프레이 미사일 런처는 근접 전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미노프스키 입자 살포 환경에서는 명중 정밀도가 낮아 실전에서 거의 사용되지 못했다.[19]

휴대 화기로는 XBR-M79-a 빔 라이플을 장비한다. 이 빔 라이플은 원래 보와(BOWA)사에서 개발 중이던 양산형이었으나, 전력 효율이 낮아 고출력 제너레이터를 탑재한 기체만 사용할 수 있었다. 사실상 건담과 건캐넌 외에는 장비할 기체가 없어 건캐넌 전용으로 사양이 변경되었다.[19] 건담이 장비하는 XBR-M 타입과는 다른 XBR-L 타입 디바이스를 내장했으며, 총신이 길어 다루기 어렵지만 명중 정밀도와 사거리가 길어 중장거리 저격용으로 사용되었다.[19]

근접 전투용 장비는 머리 부분의 60mm 벌컨포 2문뿐이며, 빔 사벨과 같은 근접 격투용 장비는 없다.[19] 하지만 파일럿의 조종 기술에 따라 주먹과 발을 사용하는 근접전에서도 적기를 격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아무로 레이는 건캐넌으로 격투전을 펼쳐 자쿠II를 격파한 적이 있다.[19] 애니메이션에서는 격투전용 장비가 없는 것으로 설정되었지만, 완구용 디자인이나 일부 서적에서는 왼발에 나이프 형태의 무기인 [히트 잭]을 장비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다.[19]

다리 부분에는 핸드 그레네이드를 장비할 수 있는 전용 락이 설치되어 있다.[19] 극장판에서는 핸드 그레네이드를 사용하는 장면이 추가되었지만, 수납 장소는 설정되지 않았다가 플라모델 MG 1/100 건캐넌 키트에서 다리 허벅지 부분에 수납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4. 2. 장갑

건캐논은 장갑재로 루나 티타늄 합금을 사용했다. 이는 후에 건담에도 채용되었다. 건담과 비교하면 운동성보다는 장갑의 두께를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9], 그 때문에 쉴드는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10] 동체 부분은 240mm 저반동 캐논포의 근접 사격에 의한 폭풍과 자이언트 바주카의 직격에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장갑이 두꺼웠다. 그러나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자쿠II가 발사한 280mm 바주카탄의 직격에 의해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 아래를 잃은 예도 있다.[11] 기체 강도는 지온 공국군 MS의 5~6배로 여겨진다.[12]

4. 3. 코어 블록 시스템

1년 전쟁 당시 연방군의 V작전에 의해 개발된 RX 시리즈 중 하나로, 건담 및 건탱크와 공통 규격의 코어 블록 시스템을 채택했다.[19]

지구연방군 최초의 모빌슈트(MS)인 건탱크는 차세대 주력 전차(MBT)로 개발 중이던 RTX-44를 급히 변경한 것이었기 때문에, 기동성이 낮아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후속 기체에서는 건탱크에서 발생한 기동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2족 보행형으로 개발을 시작했다.[8] 당시 지구연방군은 2족 보행형 시제 로봇 RXM-1을 개발하고 있었기에,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8]

건캐논은 루나 티타늄 합금을 장갑재로 채택했으며, 이는 후에 건담에도 적용되었다. 건담과 비교했을 때 운동성보다는 장갑 두께를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9] 그 결과 실드가 필요 없을 정도였다.[10] 동체 부분은 240mm 저반동 캐넌포의 근접 사격에 의한 폭풍과 자이언트 바주카의 직격에도 견딜 수 있을 만큼 장갑이 두꺼웠다. 하지만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자쿠II가 발사한 280mm 바주카탄의 직격으로 오른쪽 다리 무릎 관절 아래를 잃은 사례도 있다.[11] 기체 강도는 지온 공국군 모빌슈트의 5~6배로 알려져 있다.[12] RX-78(건담)에 비해 단순해 보이는 머리 부분에는 포격전을 위한 복잡한 센서가 도입되었으며,[13] 이 고글형 트윈 아이 구조는 후에 RGM-79 에 계승되었다.[14]

주행성과 기동성은 중력 하에서의 운용에 충분한 수준이었다.[15][16] 건담에 비해 중량이 증가했지만, 등 뒤 랜드셀에 장착된 스러스터 덕분에 점프나 짧은 시간 동안의 비행이 가능했다.[17] 또한, 백병전용 건담, 장거리 지원용 건탱크와의 연계를 통해 중거리에서 원호 포격을 하는 운용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운동성 저하로 인해 근접 전투용 빔 사벨은 장비하지 않았다.[19] 코어 블록 시스템 채용과 맞물려, 자쿠의 4배에 달하는 비용이 소모되었다고 한다.[18]

이렇게 완성된 건캐논은 지온 공국군의 모빌슈트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였으며, 초기 시제형인 RX-77-1에 이어 RX-77-2로서 6기가 제작되었다. 이 중 3기가 테스트를 위해 사이드 7로 보내졌으나, 테스트 중 지온 공국군의 기습을 받아 2기가 파괴되었고, 남은 1기가 화이트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19]

5. 운용

일 년 전쟁 당시 V작전의 일환으로 개발된 연방제 모빌 슈트 계획 중 중거리 지원형 기체이다. 건탱크는 전차에 가까운 기체였으나, 연방군은 RXM-1과 노획한 자쿠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족 보행형 모빌 슈트 개발을 시작했다. 건캐넌은 두꺼운 장갑으로 기동성은 떨어졌지만, 240mm 포와 60mm 발칸, 빔 라이플을 장착하여 중거리 지원에 특화되었다.

최초 제작된 3기 중 2기가 파괴되고, 남은 1기가 화이트 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 건캐넌은 건담, 건탱크와 함께 운용되며 중거리 지원 및 저격을 담당했다. 실드를 장비하지 않는 대신 장갑을 강화했으며, 머리 부분에는 60mm 발칸포 2문을 장착했다. 다리에는 수류탄을 장비할 수 있었다.

건캐넌의 고글형 센서는 시야각이 넓어 짐의 센서로 채용되었다. 240mm 저반동 캐넌은 포신이 짧지만 기동력으로 보완 가능했고, 수냉식 냉각 재킷으로 연사가 가능했다. 어깨의 하드 포인트는 규격화되어 여러 옵션 무장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 XBR-M79-a 빔 라이플은 건캐넌 전용으로 변경되었으며, 명중 정밀도가 높고 사거리가 길었다.

건캐넌은 근접전 무장이 부족했지만, 파일럿의 역량에 따라 근접전도 가능했다. 아무로 레이는 건캐넌으로 자쿠 II를 격파하기도 했다. 장갑은 루나 티타늄 합금으로, 돔의 자이언트 바주카에도 견딜 만큼 견고했다.

건캐넌은 최초로 HM-680405-A+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2족 보행 시스템과 코어 블록 시스템을 채용하여 개발 비용이 많이 들었다. 건캐넌의 중거리 지원 화기 장착 아이디어는 이후 여러 기체에 계승되었다.

설정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경되었는데, 초기에는 RX-77-2가 RX-77-1로 표기되기도 했다. 극장판에서는 수류탄 사용 장면이 추가되었고, 다리 부분에 수납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에서는 카이 시덴이 탑승하여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되었다. 극장판에서는 카이 시덴의 C-108호기와 하야토 고바야시의 C-109호기가 등장하여 활약했지만, 역시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되었다.

기동전사 Z건담에서는 C-108호기가 전쟁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었다. 게임이나 만화 등에서도 다양한 부대에서 운용된 건캐넌이 등장한다.

소설판에서는 카이 시덴의 C-108호기와 하야토 고바야시의 C-109호기가 등장하며, 하야토의 기체는 파괴되지만 카이의 기체는 살아남아 지온 공화국에 접수된다.

5. 1. 화이트베이스 부대

일 년 전쟁 때 연방군의 V작전에 의해 개발된 건담, 건탱크와 같은 RX 시리즈 기체로, 백병전용 모빌 슈트 건담, 원거리 지원용 모빌 슈트 건탱크와의 공동 운용을 전제로 개발된 중거리 지원용 모빌 슈트다. 초기 시작형인 RX-77-1을 시작으로, 자브로에서 총 6기가 제작되었으며, 그중 3기는 사이드 7에서 테스트를 하던 중에 지온 공국군의 습격을 받아 2기가 파괴되고, 남은 1기는 화이트 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1]

RX 시리즈의 운용 구상에서는 백병전용인 건담, 장거리 지원용인 건탱크와 제휴해서 중거리 원호 포격이나 저격을 실시하는 지원용 기체였기 때문에 양어깨에는 240mm 저반동 캐넌을 장비하고, 빔 라이플을 휴대하게 되었다.[1] 또, 운용 구상을 통해 일부러 실드를 장비시키지 않고, 대신에 장갑을 두껍게 하여 방어력을 향상시켰다.[1]

건캐넌의 가장 특징적인 무장이라 할 수 있는 양어깨의 240mm 저반동 캐넌은 건탱크의 저반동 캐넌에 비해 포신이 짧고 구경이 2배로 커졌다.[1] 그 때문에 유효 사정 거리가 짧아지긴 했지만, 이러한 단점은 기동력으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1] 포신에는 수냉식 강제 냉각 재킷을 탑재했기 때문에 연사가 가능하고, 장약을 사용하는 실탄 발사는 신뢰성이 높아서 실전에서도 매우 강력한 위력을 발휘했다.[1]

휴대 화기로 장비하는 XBR-M79-a 빔 라이플은 본래 보와社에서 개발 중이던 양산형 빔 라이플이었지만, 전력의 효율성이 나빠서 고출력 제너레이터를 탑재한 기체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었고, 사실 건담과 건캐넌 외에는 장비할 기체도 없었기 때문에 급거 건캐넌 전용으로 사양이 변경되었다.[1] 건담이 장비하는 XBR-M 타입과는 다른 설계를 가진 XBR-L 타입의 디바이스를 내장했으며, 길어진 총신으로 인해 일반 M 타입보다 취급하기가 어려웠지만, 명중 정밀도가 높고, 사정 거리가 길어서 중장거리 저격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1]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에서는 파일럿으로 카이 시덴이 탑승하여 화이트 베이스에 유일하게 남겨진 건캐넌 1기를 이용해 수많은 전장에서 활약했지만, 최종 결전인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되고 말았다.[1]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III-해후의 우주편에서는 화이트 베이스대로 1기가 보충 배속되어 각각 카이 시덴의 C-108호기, 하야토 고바야시의 C-109호기가 등장한다.[1] 기체의 왼쪽 흉부와 왼발의 정강이 부분에 넘버링이 마킹되어 있다.[1] 2기 모두 화이트 베이스의 주전력으로 활약했지만,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되고 만다.[1] 현재까지 선라이즈 공식 설정에서는 1기가 활약한 TV판보다는 2기가 활약한 극장판 건캐넌의 설정을 좀 더 중시한다.[1]

5. 2. 기타 부대

건캐넌일본어은 다양한 파생 기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아이디어는 많은 기체에 계승되었다.

  • '''RX-77-1 건캐넌 초기 시작형(선행 시작형)'''
  • : 형식 번호와 함께 선행형, 혹은 초기형이라는 명칭만 존재할 뿐, 아직까지도 정확한 기체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은 기체다. 성능은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하는 카이 시덴의 RX-77-2 건캐넌과 다르지 않고, 외관도 동일하다.

  • '''RX-77-1A 건캐넌 A형'''
  • : 오카와라 구니오 컬렉션(M-MSV)에 등장하는 지구 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시작형 모빌 슈트다. 처음 표기된 정식 명칭은 건캐넌 1A형이었지만, EB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에서 건캐넌 A형으로 표기한 이후, 일반적으로 건캐넌 A형으로 불린다. 근접전용 무장을 장비하지 않는 대신에 두꺼운 장갑을 채용한 건캐넌을 바탕으로, 기동력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의 방어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갑 패턴 연구용으로 개발된 기체다.

  • '''RX-77-3 건캐넌 중장형'''
  • : 반다이의 플라모델 기획 [모빌 슈트 베리에이션(MSV)]에서 설정되어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Z건담]에 등장하는 지구 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시작형 모빌 슈트다. 짐 캐넌의 개발 과정에서 태어난 기체로, 기본 구조는 건캐넌과 동일하다. 코어 블록을 폐지하고, 장갑을 강화했으며, 스탠딩 사격 시의 반동을 줄이는 등, 세세한 부분이 수정되었다.

  • '''RX-77-4 건캐넌II'''
  • : 반다이의 플라모델 기획 [모빌 슈트 베리에이션(MSV)]에서 설정된 지구 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시작형 모빌 슈트다. 건캐넌의 시험 제작기로는 최종 생산형에 해당한다. 240mm 캐넌은 1기가 줄었지만, 실탄식에서 빔 캐넌으로 변경되었으며, 왼쪽 어깨에는 다목적 정밀 조준기가 장비되어 있다.

  • '''RX-77D 양산형 건캐넌'''
  • : OVA [기동전사 건담-0080 포켓 속의 전쟁]에 등장하는 지구 연방군의 포격전용 양산형 모빌 슈트다. 자료에 따라 [건캐넌 양산형], [건캐넌 양산 검토기]로 표기된다. 복잡하고 높은 생산비의 원인이었던 코어 블록 시스템을 폐지했으며, 장갑 재질은 티탄 합금 세라믹 복합재로 변경하는 등, 생산성을 고려하여 성능이 일부 조정되었다.

  • '''RX-77-1 건캐넌(Ver. The Origin)'''
  • :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만화 [기동전사 건담-THE ORIGIN]에 등장한 기체로, 지온군의 자쿠I에 맞서 개발된 지구 연방군의 첫 모빌 슈트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빔 라이플이나 머리 부분의 형상에서 애니메이션판의 건캐넌과 차이를 보인다.

  • '''RX-77-01'''
  • :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만화 [기동전사 건담-THE ORIGIN]에 등장한 기체로, 템 레이의 지휘 아래 개발된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社 최초의 양산형 2족 보행 기동 병기다. 후에 개발되는 RX-77-1 건캐넌과 달리, 캐넌은 왼쪽 어깨에만 장비되어 있고, 오른쪽 어깨에는 소형 개틀링포가 있다.

  • '''소설판 건캐넌'''
  • : 도미노 요시유키의 소설 [기동전사 건담]에 등장하는 건캐넌은 작품의 위치나 등장 장면 등은 TV판 및 극장판과 동일하지만, 모빌 슈트에 대한 기본 설정 자체가 다르다. 전고는 약 16m이며, 왼손에는 건담과 같이 실드를 휴대했다.

6. 극중에서의 활약

건캐논은 일 년 전쟁 당시 V작전의 일환으로 개발된 지구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모빌슈트다. 건탱크가 차기 주력 전차 계획의 파생형으로 모빌슈트보다는 전차에 가까웠던 반면, 건캐논은 연방군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RXM-1과 노획한 지온공국군의 자쿠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된 본격적인 2족 보행형 모빌슈트였다.

두꺼운 장갑을 채택하여 기동성은 떨어졌지만, 강제냉각자켓을 채용한 240mm포와 머리 부분의 60mm 발칸포, 그리고 건담보다 강력한 빔 라이플을 장착하여 중거리 지원 능력을 극대화했다. 이러한 중거리 지원 컨셉은 이후 연방군의 포뮬러 계획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최초 제작된 3기 중 2기는 사이드 7에서 테스트 중 지온공국군의 습격으로 파괴되었고, 남은 1기는 화이트 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

건캐논은 백병전용인 건담, 장거리 지원용인 건탱크와 함께 운용되며 중거리 포격 및 저격 임무를 수행했다. 양 어깨의 240mm 저반동 캐넌은 건탱크의 것보다 포신이 짧고 구경이 커서 유효 사거리는 짧았지만, 기동력으로 이를 보완했다. 포신에는 수냉식 강제 냉각 자켓이 있어 연사가 가능했고, 실탄을 사용해 신뢰성이 높았다. 지상에서는 엎드린 자세로 피탄율을 낮추고 사격 반동을 줄이는 전술을 사용하기도 했다.

어깨의 하드 포인트는 공통 규격화되어 있어, 전황에 따라 스프레이 미사일 런처 등의 다양한 옵션 무장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 근접전용으로 개발된 스프레이 미사일 런처는 미노프스키 입자 살포 환경에서는 명중률이 낮아 실전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휴대 화기인 XBR-M79-a 빔 라이플은 원래 양산형으로 개발 중이었으나, 고출력 제너레이터를 탑재한 기체만 사용할 수 있어 건캐넌 전용으로 사양이 변경되었다. 건담의 빔 라이플보다 총신이 길어 다루기 어려웠지만, 명중률과 사거리가 뛰어나 중장거리 저격용으로 활용되었다.

건캐논은 근접 무장으로 머리 부분의 60mm 발칸포만을 장비했고, 빔 사벨과 같은 근접 격투용 장비는 없었다. 하지만, 파일럿의 조종 기술에 따라 주먹과 발을 이용한 근접전도 가능했다. 아무로 레이는 건캐논으로 자쿠II를 격파하기도 했다.

장갑재는 건담, 건탱크와 동일한 루나 티타늄 합금을 사용했으며, 설계 단계부터 실드를 고려하지 않아 매우 견고했다. 돔의 자이언트 바주카 직격에도 견딜 정도였으며, 자쿠II에 비해 5~6배나 강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건담에 비해 운동성과 기동성은 떨어졌다.

건캐논은 연방군 최초로 HM-680405-A+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2족 보행 시스템과 코어 블록 시스템을 채용하여 개발 비용이 자쿠의 4배에 달했다. 이후에도 건캐넌의 중거리 지원 화기 장착 컨셉은 건캐넌 디텍터, G캐넌 등 유사 기체들에 계승되었다.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에서는 카이 시덴이 탑승하여 화이트 베이스에 유일하게 남은 건캐넌 1기로 활약했으나,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되었다.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III 해후의 우주》에서는 화이트 베이스에 1기가 추가 배치되어 카이 시덴의 C-108호기와 하야토 고바야시의 C-109호기가 등장하며, 두 기체 모두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된다. 선라이즈 공식 설정에서는 2기가 활약한 극장판 설정을 더 중시한다.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Z건담》 13화에서는 C-108호기(레플리카로 추정)가 하야토 고바야시 관장이 근무하는 전쟁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었다.

소설 《기동전사 건담》에서는 카이 시덴이 C-108호기, 하야토 고바야시가 C-109호기에 탑승하며, 하야토의 기체는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격파되지만, 카이는 살아남아 키실리아 자비에게 협력하고, 샤아 아즈나블의 뉴타입 부대와 함께 사이드 3의 지온 본국을 강습한다.

6. 1. 기동전사 건담

극장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쿠쿠루스 도안의 섬》에 등장한다. 이 작품은 《THE ORIGIN》의 설정을 따르지만, 시계열적으로 벨파스트로 향하기 직전의 이야기로, 기존 《THE ORIGIN》 설정과는 차이가 있다. 형식 번호도 기존 설정과 다르게 갱신되었다.[1]

극중에서는 알레그란사 섬의 잔류 첩자 소탕 임무를 맡은 카이 시덴이 탑승하여 건담과 함께 건페리에 실려 섬에 상륙한다. 건담이 소식 불통이 되자, 낙뢰로 인한 기기 고장을 우려해 철수한다. 4일 후, 하야토 코바야시가 탑승한 기체(SML 장비)도 건페리에 탑재되어 건담 수색에 나선다. 섬에서 공국군 사잔크로스대의 고기동형 자쿠(지상용)와 교전하게 되고, 하야토 기는 포격(소설판에 따르면 다난 라시카 기)을 받아 격파되지만, 하야토는 탈출 직전 기체에서 내린다. 카이의 기체도 에그바 아토라 기에 의해 양쪽 다리가 절단되어 위기에 몰리지만, 도안 전용 자쿠가 나타나면서 구출된다. 기체 번호는 카이 기가 《THE ORIGIN》을 따라 "104", 하야토 기는 원작 극장판을 따라 "109"가 되었다.[1]

6. 2. 기동전사 Z건담

PC 게임 《기동전사 건담 리턴 오브 지온》에 등장한다(형식 번호: '''RX-77D-2''').

양산형 건캐논의 후기 버전을 기반으로 한 육전용 MS로, 소수가 양산되었다. 기동성을 제외한 성능이 짐 캐논 II를 크게 능가하기 때문에 우주세기 0089년에도 아프리카 등지에서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6. 3. 기타 작품

만화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 등장한다(형식 번호: '''RX-77-4BG'''[25]). 디자인 협력은 사쿠라 미즈키이다.

1년 전쟁 후에 아나하임 일렉트로닉스 사가 개발한 시제 MS이다. 고출력·중무장으로 인한 풀 아머 타입이며, 차기 주력 MS의 유력 후보 중 하나였다. 원래는 건캐논 II의 시제 발전기로, 초기의 머리는 짐 캐논 II와 동일하지만, 후에 트윈 아이와 V자형 안테나를 가진 건담 타입으로 변경된다. 양 어깨에 6연장 미사일 런처를 내장, 부위는 불명이지만 빔 사벨도 장비한다. 도색은 라이트 그레이와 옅은 보라색을 기조로 일부가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평가 시험을 위해 1기가 샘 셰퍼드 중위를 테스트 파일럿으로 루나 투에 배치되지만, 남양 동맹의 퍼펙트 건담이 침입했기 때문에, 오른손에 하이퍼 바주카, 왼손에 2연 캐논포, 백팩의 서브 암에 쉴드 2기와 빔 라이플을 장비하고 짐 캐논 II 2기와 함께 출격한다. 미사일 런처에서 특수 폴리머를 발사하여 기동력을 저하시켜 궁지에 몰아넣지만, 루나 투에 은닉되어 있던 MA 브라우 브로와 합체한 적 기체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놓치게 된다.

스마트폰 게임 어플리케이션 《기동전사 건담 U.C. ENGAGE》에 등장하는 게임 오리지널 MS이다(형식번호: '''RX-77D-4''').

짐 캐논 II의 대항마로서 준비되었으며, 기본 성능 향상을 위해 고성능 짐 스나이퍼 II를 베이스로 한다. 백팩 좌측에는 건캐논 II와 동일한 빔 캐논, 우측에는 대형 레돔, 양쪽 전완부 갑에 E 팩 방식의 쉴드 일체형 2연장 빔 캐논을 장비한다. 그러나 경쟁 결과, 차세대 중거리 지원기의 자리는 짐 캐논 II에게 양보하고, 양산 검토기에 그쳤다. 컬러링은 짐을 답습한 흰색과 빨간색을 기조로 한다.

7. 설정의 변천

건캐넌은 원래 소설 《스타십 트루퍼스》에 등장하는 강화복인 '파워드 슈트'의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건담 시리즈 최초이자 주역기로 디자인된 모빌 슈트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설정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형식 번호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반다이가 발행한 EB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에서는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하는 건캐넌 RX-77-2가 RX-77-1로 표기되기도 했다. 현재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한 화이트 베이스 소속 건캐넌의 형식 번호는 RX-77-2이다.[33]

극장판에서는 핸드 그레네이드를 사용하는 장면이 추가되었지만, 무장 수납 장소는 오랫동안 설정되지 않았다. 그러다 플라모델 MG 1/100 건캐넌 키트가 만들어지면서 다리 허벅지 부분에 수납되는 것으로 설정이 새롭게 만들어졌다.


  • RX-77-1 건캐넌 초기 시작형(선행 시작형)
  • 형식 번호와 사양 명칭만 존재할 뿐, 정확한 기체 설명은 아직 없다. 성능은 애니메이션 본편의 카이 시덴의 RX-77-2 건캐넌과 다르지 않고, 외관도 동일하다.
  • 1980년대 초 MSV에서는 RX-77은 초기 시작형 1기 외에 선행형 사양으로 6기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이후 반다이 잡지 《SD 클럽》에서 RX-77-1이라는 형식 번호를 처음 선보이며, RX-77-1 건캐넌은 프로토타입 3기가 제작되어 최종 테스트 후 화이트 베이스에 배치,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양산화가 진행될 예정이었다고 기술했다. 이 설정대로라면 사이드 7에 배치된 3기의 건캐넌은 모두 RX-77-1이 된다.
  • 반다이 EB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에서도 카이 시덴 탑승 기체를 RX-77-1로 기술하여, 1980년대 말~1990년대 중반에는 RX-77-1 건캐넌=애니메이션 등장 기체라는 인식이 강했다. 당시 인기 설정집 《기동전사 건담 MS 대전집》에서도 RX-77-1 형식이 사용되었다.
  • 1998년 하비 저팬 서적 《GUNDAM MECHANICS 1》에서 건캐넌 형식 번호를 RX-77-2로 기록하며, 개발 초기에는 빔 라이플 장비 예정이 없었으나 에너지 캡 기술 적용 빔 라이플 개발로 빔 라이플 장비 가능 개량이 이루어졌다는 설명이 나왔다. 이로 인해 RX-77-1 초기 시작형이 빔 라이플 구동 불가 기체로 해석되기도 했다.
  • 이후 건담 외전 설정을 과거 MSV에 맞추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반다이도 1999년 HGUC 1/144 건캐넌 형식 번호를 RX-77-2로 표기했다. 2001년 MG 1/100 RX-77-2 건캐넌 메뉴얼에서는 1980년대 초 MSV 설정을 그대로 받아들여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 "RX-77은 초기 시작형 외에 선행형 사양 6기가 생산되었다. 형식 번호는 초기 시작형이 RX-77-1, 선행형 사양기가 RX-77-2이다. 6기의 선행 사양형 가운데 3기가 사이드 7에서 트라이얼을 실시했지만, U.C. 0079년 9월 18일 지온 공국군 특무 부대의 공격으로 1기만 남기고 모두 파괴되었다."
  • 애니메이션 등장 건캐넌 형식 번호 관련 혼란으로 인해, RX-77-1 건캐넌 초기 시작형의 메카닉 설정이나 활약상은 현재까지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 RX-77-1A 건캐넌 A형: 《오카와라 쿠니오 컬렉션(M-MSV)》에 등장하는 지구 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시작형 모빌 슈트. 처음에는 건캐넌 1A형으로 표기되었으나, EB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에서 건캐넌 A형으로 표기한 이후 일반적으로 건캐넌 A형으로 불린다. 근접전용 무장을 장비하지 않는 대신 두터운 장갑을 채용한 건캐넌을 기반으로, 기동성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 방어 효과를 낼 수 있는 장갑 패턴 연구용으로 개발되었다. 기체 곳곳에 옵션 래치가 증설되어 팔에는 간이형 소형 실드, 허리에는 3연장 미사일 포드를 장착할 수 있다. 사이드 7에 배치된 건캐넌 3기 중 1기가 이 사양이었으며, 지온 공국군의 습격을 받아 파괴되었지만, 장갑 패턴 데이터는 건캐넌 중장형 개발에 참고가 되었다.

  • RX-77-3 건캐넌 중장형: 반다이 플라모델 기획 모빌 슈트 베리에이션(MSV)에서 설정되어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Z건담》에 등장하는 지구 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시작형 모빌 슈트다. 짐 캐넌 개발 과정에서 탄생한 기체로, 기본 구조는 건캐넌과 동일하다. 코어 블록을 폐지하고 장갑을 강화했으며, 스탠딩 사격 시 반동을 줄이는 등 세세한 개수가 이루어졌다. 백 팩 제네레이터 강화로 추진력도 향상되었다. 장비된 240mm 캐넌은 실체탄을 사용하지만, 건캐넌II의 빔 캐넌을 장비한 사양도 존재했다. 일 년 전쟁 후반 모빌 슈트 개발에 박차를 가하던 연방군은 포격 담당 모빌 슈트 부대와 일반 장비 모빌 슈트 부대의 유기적 제휴 운용을 계획했고, 건캐넌 중장형은 중장갑화에 따른 약간의 기동성 저하가 우려되었지만, 차후 전개될 대 요새 공략전 등에서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생산비 상승과 이른 전쟁 종결로 몇 기만 생산되었다. 전후에도 자브로에서 후계기 개발을 위한 기체 테스트가 계속되었고, 그 성과는 짐 캐넌II 개발로 이어졌다.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Ζ건담》에서는 자브로 방위 부대에 배치된 구식기로 등장하지만, 극장판에서는 등장 장면이 삭제되었다. 본래 실탄식 240mm 캐넌을 장비한 것으로 설정되었지만, EB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에서 빔 캐넌을 장비했다고 잘못 기술하여 현재까지 이 설정이 널리 퍼져 있다. 자료에 따라 육전형에 가까운 기체로 묘사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RX-77-4 건캐넌II: 반다이 플라모델 기획 모빌 슈트 베리에이션(MSV)에서 설정된 지구 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시작형 모빌 슈트. 건캐넌 시험 제작기로는 최종 생산형이다. 240mm 캐넌은 1기가 줄었지만 실탄식에서 빔 캐넌으로 교체되었고, 왼쪽 어깨에는 다목적 정밀 조준기가 장비되었다. 내부 공간 여유를 활용해 등 뒤 스러스터를 대형화했고, 건담처럼 중력 하 단거리 점프 비행이 가능해졌다. 일 년 전쟁 때는 자브로 공방전에서 1기가 등장했지만, 열핵 반응로 출력 저하로 교전 전 후퇴했다(《기동전사 건담 전략 전술 대도감-일 년 전쟁편》 서술). 이후 캘리포니아 베이스에서 결점 보완 기체 몇 기가 북미 전선에 투입되었다고 한다(《모빌 슈트 베리에이션》 서술).

  • RX-77D 양산형 건캐넌: OVA 《기동전사 건담-0080 포켓 속의 전쟁》에 등장하는 지구 연방군의 포격전용 양산형 모빌 슈트. 자료에 따라 '건캐넌 양산형', '건캐넌 양산 검토기'로 표기된다. 복잡하고 생산비 높은 코어 블록 시스템을 폐지하고, 장갑 재질을 티탄 합금 세라믹 복합재로 변경하는 등 생산성을 중시한 다운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장갑 자체는 매우 두껍고, 제네레이터 출력이나 스러스터 추진력 등 카탈로그 스펙에서는 RX-77 건캐넌을 능가했다. 이는 건캐넌 실전 운용 데이터 확보, 자세 제어 스러스터 증설, 부품 및 유닛 고품질화로 기체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양어깨 240mm 캐넌은 근접전에서 걸리적거리지 않게 신축, 백 팩에 수납 가능하다. 형식 번호가 RX 넘버이므로 양산형이 아닌 '양산 선행 시험 제작기'로 해석하는 자료도 있다. 극중에서는 콜로니 내 출현 MS-18E 캠퍼 저지를 위해 그레이 팬텀 소속 스칼렛대 기체 2기가 출격했지만 격파당했고, 이 망신스러운 출격 예로 양산 보류를 설명하는 자료도 있다. DC용 게임 《기동전사 건담 외전-콜로니가 떨어진 땅에서...》에서는 중반 이후 플레이어 탑승기로 등장한다.

  • RX-77-1 건캐넌(Ver. The Origin): 야스히코 요시카즈 만화 《기동전사 건담-THE ORIGIN》 등장 기체. 자쿠 I에 대항해 개발된 지구 연방군 첫 모빌 슈트 설정이다. 빔 라이플, 머리 형상 등에서 애니메이션판 건캐넌과 차이를 보인다. 본래 3개 손가락 머니퓰레이터를 팔에 장비했지만, 화이트 베이스가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기지에 기항 후 다섯 손가락 정밀 머니퓰레이터로 교체되었다. 우주 활동도 가능하지만, 릭 돔 등 우주전용 모빌 슈트와는 성능 차가 커 함 외부에 와이어 고정 후 대공 방위용 포좌로 이용되었다.

  • RX-77-01: 야스히코 요시카즈 만화 《기동전사 건담-THE ORIGIN》 등장 기체. 템 레이 지휘 아래 개발된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최초 양산형 2족 보행 기동 병기다. 후 개발 RX-77-1 건캐넌과 달리 캐넌은 왼쪽 어깨에만, 오른쪽 어깨에는 소형 개틀링포가 있다. 당시 애너하임, 연방군은 모빌 슈트에 대한 인식이 협소해 대인 및 대전차용으로 설계, 대모빌 슈트전은 고려되지 않았다. 일 년 전쟁 발발 이전 미노프스키 박사 망명 사건 때 월면에서 12기 기체가 총 5기 MS-04와 MS-05 구성 지온 공국군 부대와 교전했지만 전멸했다. 이 사건으로 애너하임은 지오닉에 비해 뒤쳐진 모빌 슈트 기술, 설계 사상을 깨닫고 대모빌 슈트전 목적 RX-78 개발에 전력투구했다.

  • 소설판 건캐넌: 도미노 요시유키 소설 《기동전사 건담》 등장 건캐넌은 작품 위치, 등장 장면 등이 TV판 및 극장판과 동일하지만, 모빌 슈트 기본 설정 자체가 달라 전고 약 16m, 왼손에는 건담처럼 실드를 휴대했다. 장갑이 두꺼워 파일럿 생존률이 높아 처음에는 아무로 레이도 건담이 아닌 건캐넌 탑승을 희망했다. 극중 카이 시덴, 하야토 고바야시 탑승, 왼쪽 흉부와 목 부분에 [108], [109] 기체 넘버링 마킹. 하야토 고바야시의 109호기는 아 바오아 쿠 전투에서 파괴, 카이 시덴의 108호기는 끝까지 생존해 종전 후 지온 공화국에 접수된다.

8. 파생형

건캐넌은 일 년 전쟁 당시 연방군의 V작전에 의해 개발된 RX 시리즈 기체로, 중거리 지원용 모빌 슈트이다. 건담, 건탱크와의 공동 운용을 전제로 개발되었으며, 양 어깨에 240mm 저반동 캐넌과 빔 라이플을 장비하여 중거리 화력 지원에 특화되었다.

두꺼운 장갑을 채택하여 방어력이 뛰어났지만, 기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근접전용 무장은 머리 부분의 60mm 벌컨포 2문뿐이었으나, 파일럿의 역량에 따라 근접전에서도 활약할 수 있었다.

RX-77-2 건캐넌은 총 6기가 제작되었으며, 이 중 3기는 사이드 7에서 테스트 중 지온 공국군의 습격을 받아 2기가 파괴되고, 남은 1기는 화이트 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34] 이 기체는 이후 다양한 파생형으로 이어졌다.

소설판 건캐넌은 전고가 약 16m이며 왼손에 건담과 같은 실드를 휴대한다.[34]

만화 및 OVA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 등장하는 건캐논은 백팩에 캐논포를 장비하고 있으며, 코어 파이터는 짐과 동일한 형이다.[37] 수중형은 RX-77AQ 형식 번호를 가지며, 파일럿은 비앙카 카일이다. 수중전에 맞게 니들 건이나 어뢰를 탑재하는 등 무장에 차이를 보인다.[37]

8. 1. 시제기

일 년 전쟁시 V작전과 함께 개발된 연방제 모빌 슈트 계획 중 중거리지원형으로 개발되었다.

건탱크는 본래 차기주력전차계획의 파생형으로 모빌 슈트라기보다는 전차에 가까운 기체였고, 이후 기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군 독자로 개발한 RXM-1과 노획한 지온공국군의 자쿠의 실전데이터를 반영하여 본격적인 2족보행형 모빌 슈트 개발을 시작하였다.

초기 시작형인 RX-77-1을 시작으로, 자부로에서 총 6기가 제작되었으며, 그중 3기는 사이드 7에서 테스트를 하던 중에 지온 공국군의 습격을 받아 2기가 파괴되고, 남은 1기는 화이트 베이스에서 운용되었다.

형식 번호설명
RX-77-1건캐논 초기 시작형(선행 시작형).[34]
RX-77-1A건캐넌 A형. 장갑 강화형으로 사이드 7에서 파괴됨.[34]
RX-77-2건캐넌[34]
RX-77-3건캐넌 중장형. 장갑 강화 및 일부 기체에 빔 캐논 도입.[34]
RX-77-4건캐넌 II. 빔캐논 탑재. 양산 직전의 최종생산형.[34]
RX-77-01만화판 건캐논 초기형[35]
RCX-76애니메이션판 건캐논 1호기[35]
RCX-76-02애니메이션판 건캐논[35]
RCX-76-01A건캐논 기동시험형[36]
RCX-76-01B건캐논 화력 시험형[36]



만화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의 전반부에 등장하는 건캐논은, 원작판과는 설정이나 외관의 일부에 차이가 보인다(형식 번호: '''RX-77''' / '''RX-77-01'''). 명칭의 "전기형"은 편의상 붙여진 것이다.

공국군의 MS-04라는 무장을 휴대하는 인형 병기 정보를 입수한 연방군이, 그 대항 병기로 개발을 시작한다. 그러나, 공국군의 MS가 주력 병기로 위치 지어지고 있는 데 반해, 연방군에서는 어디까지나 주력 병기는 함정이며, 본기는 건탱크의 인형 병기화로밖에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대 MS전은 중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자쿠 (I)와 동시기의 완성임에도 불구하고 운용 사상적, 전력적으로 떨어진다. 그래서, 중거리 화력 지원기로서의 기능에 특화해, 모함의 방어 및 나중에 개발될 주력 병기인 MS를 지원하는 기체가 됨으로써, 연방군 최초의 제식 채용 MS가 된다. 개전 이전에 상당수가 생산되지만, 자쿠 II 앞에서는 거의 속수무책이다.

원작판과의 주요한 차이점은, 매니퓰레이터가 3개의 손가락으로 되어 있으며, 빔 라이플의 형태도 다르다. 두정부에는 건담과 마찬가지로 카메라가 추가되었고, 후두부의 2개의 안테나도 측두부로 이동되었다. 저반동 캐논포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에 바나나형 탄창을 연결한다.

; 작중에서의 활약

: 화이트 베이스(WB)에는 3기가 탑재되어 있으며, 건탱크 1기와 함께 샤아의 무사이에 보급 중인 파푸아를 급습하여 격침에 성공한다. 코드 넘버 02에는 조브 존, 03에는 카이가 탑승, 두 사람은 지구 강하 후에도 메인 파일럿을 맡는다. 아무로 부재 시의 람바 랄 부대와의 전투에서, 다니엘 셰른베르그가 탑승하는 기체가 격파된다(다니는 탈출). 카이와 조브의 기체도 대파되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을 짜집기해서 1기로 재생되어, 랄 부대 잔당과의 전투에서 조브가 탑승한다.

: 만화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MSD 쿠쿠루스 도안의 섬』에서는 복수(최소 4기)가 등장하여, 짐 가드 커스텀과 함께 자브로에 침입해 온 자쿠 II의 부대를 격퇴한다.

; 캐논 자쿠

: 노획한 코즌 그라함의 자쿠 II의 동체에, 대파된 카이의 건캐논의 머리를 억지로 장착한 기체. 명칭은 작중의 카이의 대사에서 유래하지만, 공식 가이드북에서는 "자쿠 캐논"으로 하고 있다. 이름과 달리 캐논포는 장비되어 있지 않고, 빔 라이플을 휴대한다. 실드와 흉부에 연방군의 마크를 달고 있다. 랄 부대 잔당과의 전투에서 카이가 탑승하여 마젤라 어택 1량을 격파하지만, 타치의 자쿠 I에게 히트 호크로 머리를 파괴당한다. 그대로, 폭약을 가득 채워 WB에 특공하려는 갤롭을 건담 등과 함께 밀어낸다. 그 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아나하임 일렉트로닉스사에서 템 레이의 지휘 하에 개발된 연방군 최초의 양산형 두 다리 보행 기동병기. 명칭은 애니메이션판에 의한 것이지만, 만화판에서 1호기는 "기동병기 RX77형 양산 1호기"로 불린다.

롤아웃한 1호기는 흰색을 기조로 도색되어 있다. 이후의 건캐논과 달리, 캐논은 왼쪽 어깨에 1기 장비되어 있으며, 오른쪽 어깨에는 소형 개틀링포가 장비되어 있다. 손에는 라이플 (짐改의 90mm 불펍 머신건과 동일한 형상)을 휴대한다. 아나하임이나 연방군의 MS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주로 보병이나 군용 차량 소탕을 상정한 설계였으며, 대 MS전은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템은 이 기체에 전혀 만족하지 못하고, "이것은 MS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까지 단언한다.

1년 전쟁 개전 이전의 미노프스키 박사 망명 사건에서는, "철기병 중대"에 12기가 배치되어 있다. 도색은 블루 그레이를 기조로 하며, 대장인 엘두슈 중위기는 기체 번호 마킹이 흰색에서 흰색 테두리의 빨강으로 변경되었다. 달 표면에서 부구 1기와 자쿠I 4기의 부대와 교전하지만, 한 발도 제대로 쏘지 못하고 전멸했으며, 미노프스키 박사도 공격의 영향으로 쓰러진 본 기체에 깔려 사망한다. 이 "스미스해의 학살" 사건으로, 아나하임사는 지오닉사에 대한 MS 기술 및 설계 사상의 뒤처짐을 인식하게 되었고, 템은 대 MS전에 주안점을 둔 신형 MS "건담"의 개발에 착수한다.

Mobile Suit Discovery(MSD)에서 설정되었다.

롤아웃된 최초기형을 이어받는 형태로, 평가 시험용으로 제작된 시제기 중 하나. 기동 성능이나 추가 장비 채용의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양 어깨에 개틀링포가 장비되었으며, 머리에는 건담과 유사한, 고정밀 탐색이 가능한 V자형 안테나를 가지고 있다. 손에는 지온 공국군의 시제 MS와 같은 야시마 중공업제 머신건(육전형 건담의 100mm 머신건과 동일한 형상)을 휴대한다. 도장은 오렌지, 옐로우를 기조로 한다.

『MSD』에서 설정되었다.

기동 시험형에 이어 제작된 기체로, 장거리 지원 및 대지·대공 전투용 장비의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양 어깨의 대구경포와 오른쪽 전완부의 4연장 기관포는 건탱크 초기형과 동일한 장비이다. 콕피트도 건탱크와 마찬가지로, 복부 외에 포수용이 머리에 증설되어 있다. 그러나 본 기체에서는 대구경포 발사 시의 반동을 억제하지 못해 명중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판명된다. 도장은 기동 시험형과 동일한 오렌지·옐로우이다.

8. 2. 양산기

RX-77D 양산형 건캐논은 OVA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에 등장하는 지구연방군의 포격전용 양산형 모빌 슈트다. 자료에 따라 "건캐논 양산형"[26][27], "건캐논 양산 검토기"[28], "양산 선행 시험 제작기", "양산 검토 모델기"[27] 등으로 불린다.

이 기체는 코어 블록 시스템을 없애고, 짐의 부품을 많이 사용하여[29] 생산성을 높였다. 장갑 재질은 티타늄 합금 세라믹 복합재로 변경되었지만, 장갑 자체는 매우 두껍고 성능도 건캐논을 능가한다. 건캐논의 실전 운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세 제어 스러스터를 늘려 우주 공간에서의 기동성도 향상되었다.

양 어깨의 240mm 캐논포는 근접 전투 시에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신축하여 백팩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둔부에는 짐 캐논 II와 거의 동일한 아웃트리거 잭이 있어[30], 캐논포 발사 시에 접지시켜 사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27]
극중에서의 활약《0080》 4화에서는 캠퍼의 진격을 막기 위해 페가수스급 강습 양륙함 "그레이 팬텀"에서 스칼렛대 소속 2기가 출격했다.발진 장면에서 붉은 기체가 2기 확인된다. 1기라는 자료[31] 강하 중 1기가 격파되어 시가지에 추락, 큰 피해를 입혔다. 이 교전 결과로 인해 본 기체의 양산 계획이 폐기되었다는 문헌도 있다.[28]

OVA 《기동전사 SD건담 Mk-IV》의 "꿈의 마론사 '우주의 여행'"에서는 자브로 공략전 당시 왼발에 "108"이 마킹된 기체가 등장하여 양 어깨의 캐논포를 쏘는 모습이 나온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0079》에서는 위장한 기체가 자브로 방어전에 다수 등장하여 짐, 양산형 건탱크와 함께 요격에 나선다.

만화 《GUNDAM LEGACY》에서는 아프리카 전선에서 "춤추는 검은 사신" 리드・울프 소령이 자신의 퍼스널 컬러인 검은색으로 도색된 본 기체에 탑승한다. 게임 《기동전사 건담 외전 콜로니 떨어진 땅에서…》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반격 작전에서 화이트 딩고대 기체(회색 도색)가, 만화 《기동전사 건담 우리들 연방 불량대》에서는 북미 전선에서 교도단 네메시스 기체(다크 블루 도색)가 등장한다.

9. 기타 관련 기체


  • '''RGC-80 짐 캐논'''

: 의 바리에이션이 아니라, 건캐넌의 양산형으로 개발된 모빌 슈트(MS)이다.

  • '''MSA-005K 건캐논 디텍터'''

: 건캐넌의 이름을 가진 메타스 계열 MS이다.

  • '''RIX-003 캐논건'''

: 제간을 베이스로 하지만, 건캐넌을 의식한 커스터마이즈가 많이 이루어졌다.

  • '''판처건캐논'''

: PC 게임 『SD 건담 워즈』에 등장하는 어스 사이드 군 소속의 게임 오리지널 MS이다. 빔 라이플과 발칸 외에, 400mm 무반동포 2문을 어깨에 장비한 기체로, 제간 계열과 가까운 기체 형상을 하고 있다.

  • '''스피릿 건캐논'''

: PC 게임 『SD 건담 워즈』에 등장한 어스 사이드 군 소속의 게임 오리지널 MS이다. 건캐넌 계열 MS의 최종 발전형 중 하나로, 무장은 400mm 바주카와 빔 캐넌이다.

  • '''더미 메카'''

: 프라모델 "SD 건담 BB전사"의 "No.25 건캐논" 및 "SD 건담 G 제네레이션"의 "No.16 RX-77 건캐넌 (풀 장비형)"에 부속된 오리지널 MS이다. 건캐논을 간략화한 듯한 형상의 기체로, 머리 부분에는 대형 모노 아이를 가지고 있다. 무장은 건캐넌과 동일하지만, 건캐넌 II와 동일 사양의 '''더미 메카 헤비 웨폰 타입'''으로 장비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평가 및 영향



건캐넌은 일 년 전쟁 당시 V작전으로 개발된 건담, 건탱크와 같은 RX 시리즈 기체 중 하나이다. 중거리 지원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두꺼운 장갑과 강력한 화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술적 역할을 수행했다. 건캐넌의 개발 아이디어와 중거리 지원 화기 장착 방식은 이후 건캐넌 디텍터, G캐넌 등 유사한 개념의 기체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건캐넌은 본래 소설 스타십 트루퍼스에 등장하는 강화복인 '파워드 슈트'의 디자인을 반영하여 건담 시리즈 최초이자 주역기로 디자인되었다. 그러나 설정이 추가되는 과정에서 형식 번호가 혼선을 빚기도 했다. 예를 들어, 반다이에서 발행한 EB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에서는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하는 건캐넌 RX-77-2를 RX-77-1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현재는 애니메이션 본편에 등장한 화이트 베이스 소속 건캐넌의 형식 번호는 RX-77-2로 정리되었다.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III-해후의 우주편'에서는 화이트 베이스에 건캐넌이 2기 보충되어, 카이 시덴의 C-108호기와 하야토 고바야시의 C-109호기가 등장한다.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Z건담' 13화에서는 C-108호기(레플리카로 추정)가 하야토 고바야시 관장이 근무하는 전쟁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기도 하다.

이처럼 건캐넌은 애니메이션, 극장판,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하며, 설정이 조금씩 변경되거나 추가되면서 건담 세계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모빌 슈트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중거리 지원형 모빌 슈트라는 독특한 콘셉트는 이후 개발되는 다양한 모빌 슈트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조

[1] 문서 機動戦士ガンダム#企画の経緯
[2] 서적 大人のガンダム HISTORY & BUSINESS 日経BP社 2004-10-01
[3] 간행물 アニメック ラポート 1979-08
[4]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記録全集1 日本サンライズ 1979-12
[5] 서적 B-CLUB VISUAL COMIC 機動戦士0080 ポケットの中の戦争 VOL 2 バンダイ 1989-10
[6] 서적 ロマンアルバム・エクストラ35 機動戦士ガンダム 徳間書店 1980-07
[7]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記録全集1 日本サンライズ 1979-12
[8] 서적 マスターアーカイブ モビルスーツ RX-78 ガンダム ソフトバンク クリエイティブ 2011-12
[9] 문서 ハイグレードユニバーサルセンチュリー 1/144 RX-77-2 ガンキャノン - REVIVE バンダイ 2015-06
[10] 서적 ENTERTAINMENT BIBLE .1 機動戦士ガンダム MS大図鑑 PART.1 一年戦争編 バンダイ 1989-02
[11] 문서 機動戦士ガンダムIII 〜めぐりあい宇宙編〜
[12]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モビルスーツバリエーション3 連邦軍編 講談社 1984-07
[13] 문서 1/144 フルカラーモデル ガンキャノン バンダイ 1988-09
[14] 문서 1/144 フルカラーモデル ジム バンダイ 1988-10
[15] 문서 ハイグレードユニバーサルセンチュリー 1/144 RX-77-2 ガンキャノン バンダイ 1999-05
[16] 문서 マチルダ補給隊の出迎え護衛
[17] 서적 講談社ポケット百科シリーズ15 ロボット大全集1 機動戦士ガンダム 講談社 1981
[18]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モビルスーツバリエーション3 連邦軍編 講談社 1984-07
[19] 문서 MG 1/100 RX-77-2 ガンキャノン バンダイ 2001-12
[20] 서적 ガンダムセンチュリー みのり書房 1981-09
[21] 서적 コミックボンボン特別増刊 機動戦士Ζガンダムを10倍楽しむ本 講談社 1985
[22]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モビルスーツバリエーション3 連邦軍編 講談社 1984-07
[23]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 公式百科事典 GUNDAM OFFICIALS 講談社
[24] 웹사이트 機動戦士ガンダム戦記 アバンタイトル プロデューサーインタビュー Vol.2 http://ps3-gundam.ne[...] 2013-09-25
[25] 서적 MSデザインワークス[設定集vol.2] 小学館 2020-10-05
[26]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 公式百科事典 GUNDAM OFFICIALS 講談社
[27] 문서 HGUC No.44 ガンキャノン量産型 バンダイ 2004-02
[28]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 MSV コレクションファイル[宇宙編] 講談社 1999-11
[29]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 公式百科事典 GUNDAM OFFICIALS 講談社
[30] 문서 移動式クレーン
[31]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 エピソードガイド vol.2 一年戦争編(後) 角川書店 1999-09
[32] 서적 GUNDAM WEAPONS マスターグレードモデル“第08MS小隊”&“0080ポケットの中の戦争”編 ホビージャパン 2001-04
[33] 간행물 ガンダムエース 角川書店 2017-08
[34] 문서 HG ガンキャノン最初期型(鉄騎兵中隊機) バンダイ 2016-11
[35] 웹사이트 機動戦士ガンダム THE ORIGIN』公式サイト - Mobile Suit Discovery(MSD) http://www.gundam-th[...]
[36] 서적 HG ガンキャノン機動試験型/火力試験型』説明書 バンダイ 2017-01
[37] 웹사이트 ガンキャノン・アクア http://www.gundam-tb[...] 創通・サンライズ 2022-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