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생애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53년 7월 16일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탈디코르간주 우슈토베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안전 기술자이자 카자흐스탄 고려극단의 구내 관리인이었던 니콜라이 김(한국명 김균빈)이며, 게르만 킴은 세 아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자신의 고향인 우슈토베를 구 소련의 "한국 수도"라고 농담 삼아 부르기도 했다. 1971년 카자흐 국립 대학교(현재 알파라비 대학교)에 입학하여 세계사와 독일어를 전공했다. 1977년 대학을 졸업한 후 독일어 교사로 일했으며, 1980년대 중반까지 이 직업을 유지했다.
2. 2. 고려인 역사 연구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이 시작되면서, 소련 내에서 금기시되었던 고려인 강제 이주와 같은 역사적 비극과 고려인이 겪었던 고통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처음으로 가능해졌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게르만 킴은 자신의 뿌리인 고려인의 역사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그는 1987년 카자흐 국립 대학교 박사 과정에 복학하여 "1946~1966년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사회 문화적 발전"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논문을 발표했다. 이후 그는 고려인 및 한민족 디아스포라 연구 분야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자리매김했다.
2. 3. 학술 활동 및 사회 활동
게르만 킴은 국제적으로 다수의 책과 논문을 저술하고 편집했으며, 특히 한국 디아스포라 역사에 관한 3권의 《한국 이민사》는 중요한 학술적 기여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서 중 한국어로 출판된 2권은 2006년과 2014년에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의 책과 논문 70여 편은 academia.edu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등지에서 150회 이상 국제 학술대회, 세미나 및 워크숍에 참여하여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한국사 자료 국제위원회, 유럽·아시아·미국의 한국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세계 여러 대학에서 50회 이상 공개 강연을 진행했다. 1996년부터는 《중앙아시아 한국학 뉴스레터》의 편집장을 맡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여러 국제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아크타 코레아나》 (로스앤젤레스)
- 《코리아 포럼》 (뉴욕)
- 《국제 지역 연구》 (서울)
- 《해외 한인 문화 연구》 (공주대학교 해외한인문화연구원)
- 《현대 한국학 저널》 (국립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
- 《해외 한인 연구 학회 저널》 (서울)
킴은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다수의 국제 기관으로부터 연구 지원금을 받았다.
또한 여러 대학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기간 | 기관 |
---|
2004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
2006 | 미시간 대학교 앤아버 인문학 연구소 |
2008–09 | 홋카이도 대학교 슬라브 연구 센터 (삿포로) |
2015–16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2015–2020 | 건국대학교 사학과 |
2019 | 교토 대학교 CSES |
학술 활동 외에도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카자흐스탄 한인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NUAK)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카자흐스탄 인민회의 과학 전문가 위원회 위원, 카자흐스탄 대통령 직속 국가 과학 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해외 한인 정책 자문 위원 등을 역임하며 카자흐스탄과 한국 양국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는 다큐멘터리 영화 《고려인: 믿을 수 없는 사람들》의 역사 고문을 맡기도 했다.
이러한 학문적, 교육적, 사회적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상훈을 받았다.
연도 | 상훈 |
---|
2007 | 카자흐스탄 공화국 공로자 |
2009 | 카자흐스탄 공화국 과학 발전에 대한 뛰어난 공로 훈장 |
2013 | 빌릭(단결) 금메달 (카자흐스탄 민족 간 우호 기여) |
2014 | 제18회 KBS 해외동포상 (인문사회 분야) |
2015 | 카자흐스탄 인민회의 20주년 기념 훈장 |
2015 | 대한민국 훈장 국민포장 |
2016 | 카자흐 국립 알-파라비 대학교의 뛰어난 교수 메달 |
2. 4.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 | 상훈명 | 비고 |
---|
2007 | 카자흐스탄 공화국 공로자 | |
2009 | 카자흐스탄 공화국 과학 발전에 대한 뛰어난 공로 훈장 | |
2013 | 빌릭(단결) 금메달 | 카자흐스탄 민족 간의 우호에 대한 뛰어난 공헌 |
2014 | KBS 해외동포상 | 인문사회 분야 |
2015 | 카자흐스탄 인민회의 20주년 기념 훈장 | |
2015 | 대한민국 훈장 국민포장 | |
2016 | 카자흐 국립 알-파라비 대학교의 뛰어난 교수 메달 | |
3. 주요 연구 및 저술
게르만 킴은 고려인 이민사 연구의 권위자로, 특히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및 구 소련 지역 고려인의 사회, 문화, 역사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그의 연구는 방대한 아카이브 자료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제국 시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고려인의 이주, 정착, 강제 이주, 정체성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고려인 연구를 넘어 한국학 및 전 세계 한국 디아스포라 연구로 지평을 넓혔으며, 카자흐스탄과 한국 간의 관계 발전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연구 성과는 러시아어, 한국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로 출판된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통해 발표되었으며, 이는 고려인 및 한국학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총 2권으로 구성된 『고려인 이민의 역사』 시리즈가 있으며, 이 외에도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역사와 문화, 한국의 종교, 디아스포라 이론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상세한 저술 목록은 아래 저서 및 논문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저서
- Ким Г.Н. Корея и корейцыrus. 알마티, 중앙위원회 콤소몰(ЦК ЛКСМ), 1988. (한국과 한국인)
- Ким Г.Н. Социально-культурное развитие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rus. 알마티: 나우카(Наука), 1989.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사회 문화적 발전)
- Ким Г.Н. Корейцы Казахстана и Средней Азии в зарубежных исследованияхrus. 알마티: 나우카(Наука), 1990. (외국 연구에서의 카자흐스탄 및 중앙아시아 고려인)
- Kim G.N. and Ross King. History, Culture and Literature of Kore Saram. (Historiography and Bibliography)eng. 알마티, 1993. (김 게르만 및 로스 킹 공저, 고려 사람의 역사, 문화 및 문학: 역사 기록 및 참고 문헌)
- Ким Г.Н. Корейцы зарубежья: прошлое, настоящее и будущееrus. 알마티: 기름(Гылым), 1995. (해외 고려인: 과거, 현재 및 미래)
- Ким Г.Н. и Мен Д.В.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rus. 알마티: 기름(Гылым), 1995. (김 게르만 및 멘 D.V. 공저,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역사와 문화)
- Ким Г.Н., Кан Г.В., Мен Д.В., Ан В. И. Корейцы Казахстана: иллюстрированная историяrus. 서울: STC, 1997. (김 게르만, 칸 G.V., 멘 D.V., 안 V. I. 공저, 카자흐스탄 고려인: 그림으로 보는 역사. 러시아어, 한국어, 영어 병기)
- Ким Г.Н. История иммиграции корейцев. Книга первая.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IX в. –1945 г.rus 알마티: 다이크-프레스(Дайк-пресс), 1999. (고려인 이민의 역사 제1권: 19세기 후반–1945)
- Ким Герман и Шим Ёнг Соб (сост.). История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 Сборник архивных материалов. Т. 2rus. 알마티-서울, 1999. (김 게르만, 심 영섭 편집,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역사. 아카이브 자료집 제2권)
- Ким Г.Н. Коре сарам: историография и библиография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Казак университетi), 2000. (고려 사람: 역사 기록 및 참고 문헌)
- Ким Герман и Шим Ёнг Соб (сост.). История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 Сборник архивных материалов. Т. 3rus. 알마티-서울, 2000. (김 게르만, 심 영섭 편집,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역사. 아카이브 자료집 제3권)
- Ким Г.Н., Сим Енг Соб. История просвещения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и Казахстана.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IX в. – 2000 г.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Казак университетi), 2000. (김 게르만, 심 영섭 공저,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교육 역사: 19세기 후반–2000)
- Ким Г.Н. История религий Кореи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Казак университетi), 2001. (한국 종교의 역사)
- Ким Г.Н. Рассказы о родном языке. Популярное корееведение. (Серия АКК)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Казак университетi), 2003. (모국어에 관한 이야기. 대중 고려학)
- 《한인 이민 역사》. 서울: 박영사, 2005. (1999년 러시아어판 제1권의 한국어 번역본)
- Ким Г.Н. История иммиграции корейцев. Книга вторая. 1945-2000. Часть 1rus. 알마티: 다이크-프레스(Дайк-пресс), 2006. (고려인 이민의 역사 제2권 제1부: 1945-2000)
- Ким Г.Н. История иммиграции корейцев. Книга вторая. 1945-2000. Часть 2rus. 알마티: 다이크-프레스(Дайк-пресс), 2006. (고려인 이민의 역사 제2권 제2부: 1945-2000)
- Республика Корея. Серия: Страны мираrus. 알마티: 다이크-프레스(Daik-Press), 2010. (대한민국. 세계의 국가 시리즈)
- 《한인 이민 역사. 1945-2000》. 서울: 한국학술정보, 2010. (2006년 러시아어판 제2권의 한국어 번역본)
- Казахстан — Республика Корея: по пути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партнерства: Монография. — В двух томах. Том 1. Этапы партнерства и сотрудничестваrus. 알마티: 카자흐스탄 공화국 대통령 산하 카자흐스탄 전략 연구소, 2012. (카자흐스탄-대한민국: 전략적 파트너십의 길 제1권)
- Казахстан — Республика Корея: по пути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партнерства: Монография. — В двух томах. Том 2. Сборник документовrus. 알마티: 카자흐스탄 공화국 대통령 산하 카자흐스탄 전략 연구소, 2012. (카자흐스탄-대한민국: 전략적 파트너십의 길 제2권)
- Связанные одной судьбой. К 90-летию газеты «Коре ильбо»rus. 알마티, 2013. (같은 운명으로 묶여. 고려일보 창간 90주년 기념)
- Избранные труды по корееведению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Kazak University), 2013. (한국학 선집)
- 《나는 고려 사람이다》. 서울: 국학자료원, 2013. (한국어 저서)
- Православие и корейцы. Автор-составительrus. 모스크바: ООК 출판 그룹, 2014. (정교회와 한국인. 저자-편찬자)
- Коре сарам. К 150-летию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юrus. 모스크바: 미디어 랜드, 2014. (고려 사람. 러시아로 고려인 이주 150주년 기념)
- 《한국의 통일은 불가피하다》. 서울: 웃고문화사(UKGO), 2014. (한국어 저서)
- Введение в диаспорологию. Учебное пособие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Казак университетi), 2016. (디아스포라학 입문. 교재)
- 《CIS 고려인 문학사와 론 CIS 고려인 문화의 어제와 오늘》. 서울: 한국문화사, 2016. (정덕준, 김영미, 김정훈, 이상갑, 최인나, 김남석과 공동 저술)
- Корейцы независимого Казахстанаrus.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공화국 대통령 산하 정부 아카데미, 2016. (독립 카자흐스탄의 한국인. 러시아어 및 카자흐어)
- 《한국의 통일은 불가피하다. 제2권》. 서울: 웃고문화사(UKGO), 2017. (한국어 저서)
- Корейцы и Православие. Сборник статейrus. 블라디보스토크: 발렌틴 출판사, 2017. (박 B.D., 첸 V.S.와 공동 저술, 한국인과 정교회. 논문집)
- Энциклопедия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rus. 알마티: Kahak, 2017. (카자흐스탄 고려인 백과사전. 공동 편집자, 수석 컨설턴트)
- Диаспоры Казахстана: Единство в многообразииrus. 알마티: 카자크 대학교(Казак университетi), 2018. (카자흐스탄의 디아스포라: 다양성 속의 통일성. 편집자 및 공동 저자)
- Диаспоры Казахстана в международных отношенияхrus. 알마티: 카자흐 대학교(Kazakh Universiteti), 2019. (카자흐스탄 디아스포라의 국제적 경험. 편집)
3. 2. 논문
- '소련 문학 속 고려 사람의 역사, 문화 및 언어'. ''퍼스펙티브''(Перспектива|페르스펙티바ru), 제12호, 1992, 63-72쪽. (한국어)
- '고려 사람의 역사, 문화 및 언어'. ''서울 저널 오브 코리안 스터디'', 1993, 125-153쪽.
- '알마티시, 카자흐스탄 한국인의 양국 결혼' Binationale Ehen der koreanischen Bevoelkerung in der Stadt Almaty, Kasachstande. ''Korea Forum'' (오스나브뤼크), 제1호, 1999, 39-41쪽.
- '알마티시 한국인 사이의 민족 간 결혼에 대하여' On Inter-Ethnic Marriages among the Korean Population in the City of Almaty영어. ''International Journal of Central Asian Studies'' (아시아 문화 개발원, 서울), 제5호, 2000, 14-27쪽.
- 한 V.S. 공저, '중앙아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현안과 전망'. ''International Journal of Central Asian Studies'' (아시아 문화 개발원, 서울), 제5호, 2000, 45-61쪽.
- '1937년 강제 이주의 러시아 극동 지역 차르 시대 및 소련 국적 정책의 논리적 연속성'. ''Korean and Korean American Studies Bulletin'', Vol. 2&3, 2001, 19-45쪽. (김 게르만 및 로스 킹 편집, The Koryo Saram: Koreans in the Former USSR영어).
- 한 발레리 공저, '10년 후: 고려인 운동의 생각과 지나온 길'. ''Korean and Korean American Studies Bulletin'', Vol. 2&3, 2001, 114-141쪽. (김 게르만 및 로스 킹 편집).
- 임영상, 김현택 공저, '독립국가연합 지역 한국학 진흥 방안 연구'. ''슬라브학보'', 제16권 2호, 2001년 12월, 325-362쪽.
- '포스트소비에트 고려인의 "모국어"의 강제적-자발적 망각의 역사에 대하여 (카자흐스탄 사례)'. ''디아스포라'' (Диаспора|디아스포라ru, 모스크바), 제1호, 2003, 110-146쪽.
- '중앙아시아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과정 표준화에 대하여'. ''카즈누(КазНУ) 소식지. 동양학 시리즈'', 제3호 (24), 2003, 51-57쪽.
- '오늘의 카자흐스탄 인구와 사람들' Population and People of Kazakhstan today영어. ''International Journal of Central Asian Studies'' (서울), 8권, 2003, 230-240쪽.
- '카자흐스탄의 한국 디아스포라: 탈소비에트 공간의 소수 민족을 위한 현안의 문제'. ''일본 지역 연구소 소식지'' (오사카), 제89호, 2003, 63-74쪽.
- '과거와 현재의 구소련 한국인'. ''아메라시아 저널'', 29권, 제03호, 2003-2004, 14-19쪽.
- '노동 군대의 소비에트 한국인. 우가이 체르식의 발표에 대한 논평'. ''국제 세미나: 전쟁과 해외 한국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 문화 연구소, 서울, 2004년 5월 13일, 5-23쪽.
- '구소련 동포들의 남북한 통일에 대한 태도' Attitude of Post-Soviet Korean Diaspora to North and South and to the Unification of Korea영어. ''2004 재외동포 통일문제 세미나: 북한의 변화와 재외동포사회의 역할'', 제주도, 2004, 151-161쪽.
-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에서의 고려인의 이주'. ''한국 고려인 140년사: 성찰과 새로운 접근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 컨퍼런스 논문집, 서울, 2004년 8월 27-28일, 127-139쪽.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러시아의 고려 사람'. ''세계 디아스포라 백과사전. 세계 이민자 및 난민 문화. 제2권. 커뮤니티'' (멜빈 엠버, 캐롤 R. 엠버 및 이안 스코가드 편집), 클루버 아카데믹/플레넘 출판사, 뉴욕-보스턴-도르드레히트-런던-모스크바, 2004, 985-993쪽.
- '중앙아시아의 한국학: 금기에서 붐으로'. ''제7회 국제 태평양 한국학 협회(PACKS) 회의록'', 중화 문화 대학교, 타이페이, 2004년 10월 18-21일, 30-51쪽.
- '현대 대한민국에서의 조선족 또는 중국 한국인'. ''카즈누(КазНУ) 소식지. 동양학 시리즈'', 제4호(29), 2004, 94-102쪽.
- '(통일시계) 중앙아시아 고려인과 조국'. ''월간한민족'' (서울), 제5호 (2004년 2월), 18-28쪽.
- '러시아 극동지방 한인 강제이주'. ''韓民族共同體'' (서울), 제 12호 (2004), 125-166쪽.
-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고려인의 이주 현황'. 재외동포재단; 재외한인학회 (서울), 2004, 127-149쪽.
- '러시아 지역의 한인 이주와 민족운동'. ''한인의 러시아 극동지역 이주와 정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서울), 42호 (2005년 3월), 137-161쪽.
- '고려 사람으로서의 삶'. ''교토 저널'' (일본), 제67호, 2007, 69-70쪽.
- '카자흐스탄의 한국인의 사회 인구 통계적 매개 변수'. ''러시아의 한국인, 급격한 변화와 추가 개발의 길'', 모스크바, 2007, 8-42쪽.
- '카자흐스탄의 한국 도서관'. ''중앙 아시아 한국학 뉴스'' (알마티), 제15호, 2008, 116-144쪽.
- '우리 이름은 무엇인가?'. ''인문학과 논총'' (건국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제12호, 2008, 153-175쪽.
- '소련 카자흐스탄의 한국인 정착 구조의 역사에서'. ''오탄 타리히(Otan Tarihy)'', 제4호, 2008, 102-123쪽.
- '소련 및 포스트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한국인의 민족적 기업가 정신'. ''IDE VRS 모노그래프 시리즈'', 제446호, 개발 경제 연구소, 2008, 99쪽.
- '교육과 디아스포라 언어: 카자흐스탄의 한국인 사례' Education and Diaspora Language: The Case of Koreans in Kazakhstan영어. ''아크타 슬라보니카'' (홋카이도 대학 슬라브 유라시아 연구센터), 37권, 2009, 103–125쪽.
- '현대 한국 소설은 역사 지리학적 원천으로'. ''카즈누(КазНУ) 소식지. 동양학 시리즈'', 제2호(47), 2009, 105-111쪽.
- '카자흐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의 한국 디아스포라'. ''중앙 아시아 한국학 뉴스'' (알마티), 제9호(17), 2010, 30-42쪽.
- '고려 사람의 민족적, 민족적 자의식의 진화'. ''국제 연구. 사회. 정치. 경제'' (아스타나: 사회 정치 연구소), 제2호, 2010, 22-30쪽.
- 로스 킹 공저, '러시아 자료에 묘사된 한국의 북부 지역, 1860년대–1913년' Korea's Northern Region in Russian Sources, 1860s–1913영어. ''북부 지역, 한국의 정체성과 문화'' (김선주 편집), 워싱턴 대학교 한국학 연구 센터 출판, 시애틀 & 런던, 2010, 254-295쪽.
- '카자흐스탄의 한국 책' Korean Books in Kazakhstan영어. ''한국어 디아스포라'' (클레어 유 및 하영하 편집),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한국학 연구 센터, 2010, 98-136쪽.
- '중앙아시아 한국인의 민족성, 자의식 및 종교성'. ''분석'', 제5호, 2010, 29-35쪽.
- '한국의 정치 현대화 모델'. ''분석'', 제2호, 2011, 121-133쪽.
- '현대 국제 관계의 전략적 파트너십'. ''분석'', 제4호, 2011, 40-53쪽.
- '카자흐스탄의 한국 서적'. ''이민 초기 교육의 발자취'' (강영원 및 클레어 유 편집),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서울: 세닌, 2011, 221-264쪽.
- '한국 문학'. ''최신 외국 문학. 공동 단행본'', 알마티: 지벡 질리, 2011, 172-202쪽.
- 조은정 공저, '대한민국과 카자흐스탄 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 분석 및 전망'. ''아스타 로시아나'' (고려대학교, 한국), 제4호, 2012, 97-123쪽.
- '민족, 종족, 디아스포라의 자아의식' Национальное, этническое и диаспорное самосознаниеru. ''Journal of Siberian Studies'' (배재대학교, 한국), 16권-1, 2012, 81-105쪽.
- '굴라그의 한국 전쟁 포로: 진실 또는 허구?' Korean POWs in GULAG: truth or Myth?영어. ''분석'', 제4호, 2012, 94–108쪽.
- '카자흐스탄과 한국 간의 양자 문화 관계 증진에 대한 한국계 민족의 기여'. ''중앙 아시아의 문제'', 제3호, 2012, 41-46쪽.
- '문화, 교육 및 과학 분야에서의 카자흐스탄과 한국의 협력'. ''중앙 아시아 한국학 뉴스'' (알마티), 제19호, 2012, 150-211쪽.
- '디아스포라 자의식과 디아스포라 언어' Diasporal self-consciousness and diasporal language영어. ''카자흐스탄 국립 국제 관계 및 세계 언어 대학교(카즈구모 및 미야) 아블라이 칸의 뉴스레터. “동양학” 시리즈'', 제1-2호, 2013, 92-103쪽.
- '카자흐스탄과 한국 간의 양자 문화 관계 증진에 대한 한국계 민족의 기여'. ''중앙 아시아의 문제'', 3/ 2012, 16–30쪽.
-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극장: 탄생, 발전 및 전망'. ''카자흐스탄 국립 극장. 문학 예술 연구소 단행본'', MO, 2014.
- '러시아 제국에서 중앙아시아까지의 한국인'. ''POGROM 저널'', 2014.
- '소련 붕괴 및 CIS 고려인 사이의 분산 과정'. ''중앙 아시아 한국학 뉴스 저널'', 제21호, 2014, 11-32쪽.
- '분쟁 지역의 징병주의와 국경 분쟁 및 전쟁에 미치는 영향' Conscriptionism in Conflict Zones and its Impact on Border Disputes and Wars영어. ''JTMS'', 3권, 제1호, 2016년 겨울/봄, 87-103쪽.
- '한국 디아스포라의 젊은 세대의 민족, 정체성 및 종교성의 상관 관계 (포스트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한국 소수 민족 학생 설문 조사 예비 결과)'. ''국제 글로벌 디아스포라 연구 저널''.
- 정덕준, 김영미, 김정훈, 이상갑, 최인나, 김남석 공저, 'CIS 고려인 문학사 발전'. ''CIS 고려인 문화의 어제와 오늘'', 서울: 한국문화사, 2016.
- 첸 V.S. 공저, '카자흐스탄 한국 디아스포라의 수치적 및 영토적 이동성'. ''중앙 아시아 한국학 뉴스'', 2016.
- '카자흐스탄 작가 연합의 한국 섹션'. ''중앙 아시아 한국학 뉴스'', 제23-24호, 2016, 278-297쪽.
- 김영진 공저, '구본지는 소련 제2 경제 고려인 사이의 민족적 기업가 정신의 현상으로'. ''Korea Journal'', 56권, 제4호 (2016년 겨울), 92-119쪽.
- '과거와 현재의 한국으로의 이주 대 귀환'.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4권, 제1호 (2017년 3월), 35-62쪽.
- '신한촌 – 러시아의 “고려 타운”의 프로토타입'. ''슬라브학보'', 33권 4호, 2017년 12월, 65-10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