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저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저 1세는 1040년경에 태어나 1077년에 사망한 헝가리의 국왕이다. 벨러 1세의 장남으로, 초기에는 아버지와 함께 헝가리로 돌아와 공작으로 활동했다. 솔로몬 국왕과의 갈등 속에서 폴란드로 망명하기도 했으며, 1064년 죄르 조약을 통해 솔로몬의 통치를 인정받고 공작령을 부여받았다. 1074년 머저로드 전투에서 승리하여 국왕이 되었으며, 교황과의 갈등 속에서 비잔티움 제국과 협력하여 성 이슈트반 왕관을 하사받았다. 그의 치세 동안 헝가리는 기독교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으며, 1077년 사망 후 동생 라슬로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7년 사망 - 장재
    장재는 기(氣)를 우주의 근본 물질로 여기는 기일원론을 주장하고 성리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북송 시대의 유학자이다.
  • 1077년 사망 - 소옹
    북송 시대 유학자이자 시인인 소옹은 역학에 밝아 하도낙서와 선천상수의 학문을 연구했으며, 상수학적 접근으로 만물의 생성 과정과 우주 변천 주기를 설명하려 했다.
  • 1040년 출생 - 알폰소 6세
    알폰소 6세는 11세기 카스티야와 레온 왕국의 왕으로, 왕위 다툼과 무슬림과의 전투를 거쳐 카스티야-레온 왕국을 재통합하고 기독교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톨레도 점령 후 '히스파니아의 황제' 칭호를 사용했다.
  • 1040년 출생 - 라슬로 1세
    라슬로 1세는 1077년부터 1095년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국왕으로, 국내 통합과 안보 강화에 힘쓰고 크로아티아를 정복하여 헝가리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1192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1세기 헝가리 사람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1세기 헝가리 사람 - 언드라시 1세
    언드라시 1세는 1046년부터 1060년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국왕으로, 이교도 반란을 통해 왕위에 오른 후 기독교 질서를 회복하려 노력했으나, 헝가리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동생과의 다툼 끝에 사망했다.
게저 1세
기본 정보
게저, 코로나 그레카 하단부 묘사, 그리스어 비문(
게저, 코로나 그레카(Corona Graeca) 하단부에 묘사됨, 그리스어 비문(그리스어: ΓΕΩΒΙΤΖΑϹ ΠΙΣΤΟϹ ΚΡΑΛΗϹ ΤΟΥΡΚΙΑϹ, "게저, 투르키아 땅의 충실한 왕")
이름게저 1세
로마자 표기I. Géza
IPA/ˈɡeːzɒ/
출생, 폴란드
사망1077년 4월 25일
매장지바츠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
통치 정보
작위헝가리 왕
재위 기간1074년 3월 14일 ~ 1077년 4월 25일
대관식1075년, 세케슈페헤르바르
선임자살라몬
후임자러요시 1세
배우자소피아
시나데네
자녀칼만
알모시
가문 정보
왕조아르파드 왕조
아버지벨러 1세
어머니리헤사 또는 폴란드의 아델라이데

2. 생애

게저 1세는 벨러 1세와 폴란드의 미에슈코 2세의 딸인 리헤자의 아들로, 폴란드 망명 중에 태어났다. 1048년 헝가리로 귀국했으며, 1060년 아버지 벨러 1세가 헝가리 왕위에 오르면서 헝가리로 다시 돌아왔다. 1064년 죄르에서 체결된 조약에 따라 헝가리의 공작 직위를 회복했다.[1]

1064년부터 1071년까지 헝가리 공작으로서 셜러몬 국왕과 협력하여 페체네그인,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투에 참전했다. 1074년 3월 14일 모조로드 전투에서 동생 라슬로 1세와 함께 셜러몬을 물리치고 헝가리의 국왕에 즉위했다.[4][5]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자신을 헝가리의 군주로 승인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교황은 셜러몬을 지지하며 헝가리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했기 때문에 이를 거절했다. 1075년 대관식에서 비잔티움 제국의 미하일 7세 두카스 황제로부터 성 이슈트반 왕관을 하사받았으며,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의 조카 시나데네와 결혼했다.[4]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거럼센트베네데크(현재의 슬로바키아 흐론스키베냐디크)에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건립했다.[4] 1076년에는 셜러몬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받았으며, 1077년에 사망하여 바치 성당에 안치되었다.[4]

2. 1. 초기 생애 (1064년 이전)

게저 1세는 폴란드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벨러 1세와 폴란드의 미에슈코 2세의 딸인 리헤자(Richeza)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1] 1048년 벨러 1세가 언드라시 1세로부터 헝가리 왕국의 1/3에 해당하는 공작령을 받으면서 가족과 함께 헝가리로 귀국했다. 게자는 마그누스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아버지 벨러 1세와 숙부 언드라시 1세의 관계는 셜러몬이 태어난 후 악화되었다. 언드라시 1세는 셜러몬을 후계자로 지명했는데, 이는 헝가리의 남계 연장자 상속제와 반대되는 것이었다. 1059년, 게자는 아버지, 동생들과 함께 폴란드로 망명했다.

1060년, 폴란드 군의 지원을 받은 벨러 1세와 게자는 헝가리로 돌아와 언드라시 1세를 패사시키고 벨러 1세가 즉위했다. 게자는 셜러몬을 지지하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군을 격퇴했다. 벨러 1세가 재위 3년 만에 사망하자, 게자는 황제의 지원을 받는 셜러몬의 즉위를 받아들이고 아버지의 공작령을 계승했다. 그러나 셜러몬은 게자를 냉대했고, 게자는 다시 폴란드로 망명했다.

1064년, 게자는 사촌 볼레스와프 2세의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돌아왔다. 주교들의 중재로 내전을 피하고, 게자는 죄르에서 셜러몬 왕과 화해했다.[1]

2. 2. 헝가리 공작 시절 (1064년 ~ 1074년)

I. Gézahu1064년부터 1071년까지 헝가리의 공작으로서 솔로몬 국왕과 긴밀히 협력했다.[1] 이들은 함께 페체네그인과 비잔티움 제국에 맞서 싸웠다. 얀 슈타인후벨을 비롯한 슬로바키아 역사가들에 따르면, 게자는 니트라 지역을 다스렸고, 아버지 벨러 1세의 공작령 동쪽, 즉 비하르 지역은 동생 라슬로에게 넘겨주었다. 헝가리 역사학자 귈라 크리스토는 벨러 공작령의 이러한 분할이 "그럴듯하다"고 평가한다. 게자는 자신의 공작령에서 주화를 주조할 권한을 가졌으며, 그의 은화에는 "DUX MAGNUS"("공작 마그누스")와 "PANONAI"("헝가리 왕국")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게자 공작의 반 데나리


1068년 케를레쉬 전투에서 게자와 솔로몬은 헝가리 동부를 약탈한 침략군을 함께 격퇴했다. 침략군의 정체는 불확실하나,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들이 페체네그족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1071년 베오그라드 포위전에서 게자와 솔로몬의 관계는 악화되기 시작했다. 비잔티움 지휘관은 솔로몬보다 게자에게 항복하길 원했고, 비잔티움 사절은 게자와만 협상했다. 전리품 분배 또한 갈등을 야기했다. 1072년 게자는 솔로몬의 비잔티움 제국 원정에 동행했지만, 라슬로는 공작령 병력의 절반과 함께 남았다.

솔로몬의 고문 비드 백작은 공작들의 영지를 탐내 갈등을 심화시켰다. 그러나 솔로몬과 게자는 1073년 11월 11일부터 1075년 4월 24일까지 휴전했다. 게자는 동생들을 폴란드키예프 루스에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세크사르드 수도원에서 비드 백작은 솔로몬에게 게자를 공격하도록 설득했다. 1074년 2월 26일 케메이 전투에서 왕실군은 게자의 군대를 격파했다.

라슬로의 환상: 내려오는 천사가 게자 왕자의 머리에 왕관을 씌운다. (그림 연대기, 1358)


''그림 연대기''에 따르면, 전투 전 라슬로는 천사가 게자의 머리에 왕관을 씌우는 환상을 보았다.[4]

1074년 머저로드 전투, 흰 말을 탄 라슬로 왕자가 이끄는 게자 왕자의 전사들 (그림 연대기, 1358)


게자는 바츠로 가서 동생 라슬로, 매제 올로모우츠의 오토 1세와 합류했다. 체코 지원군을 이끌고 온 오토 1세의 도움으로, 1074년 3월 14일 머저로드 전투에서 게자는 솔로몬을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조명 연대기''에 따르면, 게자는 "니트리아에서 온 군대와 함께 중앙에 배치되었다." 게자와 라슬로는 솔로몬을 혼란시키기 위해 깃발을 바꾸었다. 게자는 "카푸바르", "바보트", "세케슈페헤르바르" 등을 "만들어" 거의 헝가리 전체를 점령했다.

2. 3. 헝가리 국왕 재위 (1074년 ~ 1077년)

게저 1세는 1074년 모조로드 전투에서 동생 라슬로와 함께 셜로몬을 물리치고 헝가리의 국왕에 즉위했다.[4][5] 신성 로마 제국과 대립하던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자신을 헝가리의 군주로 승인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교황은 셜로몬을 지지하며 헝가리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했다. 이에 게저 1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미하일 7세 두카스 황제로부터 "성 이슈트반 왕관"을 하사받고,[4]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의 조카 시나데네와 결혼하여 자신의 두 번째 아내로 삼았다.

게저 1세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거럼센트베네데크(현재의 슬로바키아 흐론스키베냐디크)에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건립했다.[4] 1076년에는 셜로몬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받았으며,[4] 1077년에 사망하여 그의 시신은 바치 성당에 안치되었다.

2. 4. 사망과 유산

I. Gézahu는 1077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바치(Vác) 성당에 안치되었다.[4] 그의 동생인 라슬로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015년 바치 대성당에서 발견된 무덤이 게저 1세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벨러 1세
어머니리헤자[10] (폴란드의 미에슈코 2세의 딸)
첫 번째 부인소피아[10]1060년대 후반 결혼, 출신 불분명
두 번째 부인시나데네1075년 대관식 후 결혼,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의 조카
자녀콜로만, 알모시최소 6명 이상의 자녀가 있었으나, 콜로만과 알모시를 제외한 나머지 자녀들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12]


4. 평가

게저 1세는 짧은 통치 기간에도 불구하고 헝가리를 안정시키고 국제적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서유럽과 동로마 제국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치며 헝가리의 독립성을 유지하려 했다. 그의 통치 시기 헝가리는 기독교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다.[4][5]


  • 외교적 업적:
  • 교황 그레고리오 7세와 동로마 제국의 미하일 7세 두카스 황제에게 사절을 보내 헝가리의 군주로 인정받으려 노력했다. 특히 미하일 7세로부터 "성실한 튀르크인(헝가리인)의 영지의 군주이신 게저"라는 문구가 새겨진 성 이슈트반 왕관을 선물받아 대관식에 사용했다. 이는 헝가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의 조카 시나데네(Synadene)와 결혼하여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 내치적 업적:
  • 거럼센트베네데크(Garamszentbenedek, 현재의 슬로바키아 흐론스키베냐디크(Hronský Beňadik))에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건립하여 헝가리 내 기독교 신앙을 강화했다.
  • 바치(Vác) 성당 건설을 완료했다.


게저 1세는 1076년 셜러몬이 이끄는 군대의 침공을 받았으나, 동생 라슬로 1세에게 명령하여 이를 격퇴하게 했다.

참조

[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5]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8]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9]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0] 웹사이트 Megtalálták I. Géza király sírhelyét http://mult-kor.hu/m[...] Múlt-Kor 2005-08-19
[1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