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슬로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슬로 1세는 1077년부터 1095년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국왕이다. 폴란드에서 태어나 형 게저 1세의 사후 왕위에 올랐으며, 《라슬로 1세 법전》을 편찬하여 법률을 정비하고 사유 재산을 보호하는 등 국내 통합과 안보 강화에 힘썼다. 그는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7세를 지지하고, 크로아티아를 정복하여 헝가리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1083년에는 헝가리 최초의 왕인 성 이슈트반 1세를 시성했으며, 1095년 보헤미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사망했다. 라슬로는 헝가리 기독교 군주국의 통합에 크게 기여했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헝가리의 국력을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했다. 그는 1192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헝가리에서 존경받는 왕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헝가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폴란드의 킨가
    폴란드의 성녀 킨가는 볼레스와프 5세와 결혼 후 순결을 서약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비엘리치카 암염 광산 발견 전설과 관련이 있고, 복녀를 거쳐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된 후 성녀로 시성되었다.
  • 1040년 출생 - 알폰소 6세
    알폰소 6세는 11세기 카스티야와 레온 왕국의 왕으로, 왕위 다툼과 무슬림과의 전투를 거쳐 카스티야-레온 왕국을 재통합하고 기독교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톨레도 점령 후 '히스파니아의 황제' 칭호를 사용했다.
  • 1040년 출생 - 라시 (랍비)
    라시는 프랑스 트루아에서 태어난 중세 시대의 유대교 랍비로, 히브리어 성경과 바빌로니아 탈무드에 대한 주석을 남겼으며, 1070년 예시바를 설립하여 유대교 연구에 기여했고, 15세기에 정통 유대교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 1095년 사망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1095년 사망 - 콘스탄티누스 두카스 (공동 황제)
    콘스탄티누스 두카스는 비잔티움 황제 미카엘 7세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였으며, 로베르토 기스카르의 딸과 약혼했으나 파혼 후 기스카르의 침공을 받았고,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에 의해 부황으로 추대되었으나 요안니스 2세 콤네노스의 출생으로 후계자에서 밀려나 사망했다.
라슬로 1세
기본 정보
죄르 대성당에 소장된 라디슬라우스 1세의 해골이 담긴 헤르마
헤르마, 머리뼈가 들어 있다, 죄르 대성당 소장
칭호헝가리 왕
통치 기간1077년 4월 25일 – 1095년 7월 29일
즉위1077년, 세케슈페헤르바르
선임자게저 1세
후임자콜로만
칭호 1크로아티아 왕
통치 기간 11091년 – 1095년 7월 29일
선임자 1스테판 2세
후임자 1페타르 스나치치
섭정 1공작 알모시
배우자라인펠덴의 아델하이트
자녀헝가리의 이레네
가문아르파드 왕조
아버지벨러 1세
어머니폴란드의 리헤자 또는 폴란드의 아델라이데
출생1040년경, 크라쿠프, 폴란드 왕국
사망1095년 7월 29일, 니트라, 헝가리 왕국 (현재의 니트라, 슬로바키아)
매장지나지바라드 대성당 (오늘날의 오라데아, 루마니아)
종교로마 가톨릭
헝가리어I. László
크로아티아어Ladislav I.
슬로바키아어Ladislav I.
폴란드어Władysław I
가족
자녀이리니 두카이나, 볼히니아 공국의 야로슬라프 스뱌토폴코비치의 아내인 딸

2. 생애

1040년 폴란드에서 벨러 1세와 그의 아내인 리헤자(폴란드의 미에슈코 2세 국왕의 딸)의 아들로 태어났다. 1077년 게저 1세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에는 헝가리에 전해오던 법률을 종합한 《라슬로 1세 법전》을 편찬했다.

1085년에는 헝가리를 침공한 페체네그인, 1091년에는 쿠만인을 연달아 물리쳤으며, 같은 해 크로아티아를 침공했다. 서임권 투쟁에서는 신성 로마 제국하인리히 4세 황제를 지지했다.[14]

1095년 7월 29일 십자군 원정에 나서던 도중에 사망했다. 1192년 6월 27일 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기독교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게저 1세의 죽음을 계기로 1077년에 왕위를 계승한 라슬로 1세는, 초대 국왕 이슈트반 1세성인으로 추대하여 아르파드 왕조의 왕으로서 자신의 정통성을 강화하려 했다.

라슬로 1세 즉위 당시 독일카노사의 굴욕 사건과 함께 서임권 투쟁의 와중에 있었다. 황제의 압박에 시달리던 라슬로는 교황그레고리오 7세를 지지하여 독일의 위협을 완화하려 했다. 서방의 정치적 혼란은 헝가리의 세력 확장을 도왔고, 트란실바니아다뉴브강 하류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1089년 크로아티아 왕가가 단절되자, 라슬로는 크로아티아를 정복하고 아드리아해 연안의 달마티아 도시들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이는 동로마 제국, 로마 교황, 베네치아 등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당시 교황 우르바노 2세가 달마티아 지배를 인정하지 않자, 라슬로 1세는 대립 교황클레멘스 3세를 지지했다.

1095년 사망한 라슬로 1세는 헝가리 민중에게 사랑받는 왕으로, '성왕'으로도 불린다.

자신에게 딸밖에 없었기 때문에 칼만과 아르모시 형제 중 아르모시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으나, 라슬로 1세 사후 칼만이 왕위에 올랐다.

2. 1. 초기 생애 (1040년 이전 ~ 1064년)

라슬로 1세는 1040년경 폴란드에서 벨러 1세와 그의 아내인 폴란드의 미에슈코 2세의 딸 리헤자(또는 아델라이드)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 그는 어린 시절을 폴란드에서 보냈기 때문에 폴란드 문화에 익숙했으며,[1] 슬라브어 이름인 '라슬로'를 받았다. '라슬로'는 '블라디슬라프'에서 유래된 이름이다.[1]

1048년경, 아버지 벨러 1세가 헝가리로 귀국하면서 라슬로도 함께 헝가리로 돌아왔다.[1] 벨러 1세는 형인 헝가리의 언드라시 1세로부터 왕국의 3분의 1을 포함하는 '공작령'을 받았다. 1060년 벨러 1세가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하자, 라슬로는 형 게저 1세와 함께 국정을 보좌했다.

1063년 벨러 1세가 사망하자, 라슬로는 형 게저, 람페르트와 함께 폴란드로 돌아갔다가 신성 로마 제국군이 헝가리를 떠난 후 귀국했다. 1064년, 형제들은 솔로몬과 조약을 맺고 아버지의 공작령을 받았다.

2. 2. 헝가리 공작 시절 (1064년 ~ 1077년)

라슬로는 비하르(현재 루마니아 비하리아) 주변 지역을 다스린 것으로 보인다.[1] 게자와 라슬로는 1064년에서 1071년 사이에 국왕 솔로몬과 협력했다.[2] 이 시기에 라슬로는 기독교 처녀를 납치한 쿠만 전사와 싸웠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전해진다.[3]

1068년 케를레시 전투 이후, 성 라슬로가 소녀를 납치한 쿠만 전사와 결투를 벌이고 있다(그림 연대기, 1358)


1070년대 초, 국왕과 그의 사촌(게자와 라슬로) 사이의 관계는 악화되었다.[4] 1072년 게자가 솔로몬을 따라 비잔틴 제국과의 군사 원정에 참여했을 때, 라슬로는 솔로몬이 게자에게 해를 입힐 경우를 대비하여 공작군 절반과 함께 니르셰그에 남아 "강력한 손으로 형제를 복수하기" 위해 대기했다.[5]

내전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국왕과 공작들은 외국 세력의 지원을 얻기 위해 협상을 시작했다.[6] 라슬로는 키예프 루스를 방문했지만 증원군을 얻지 못하고 돌아왔다.[7] 이후 모라비아로 가서 올로모우츠의 오토 1세 공작을 설득하여 체코 군과 함께 헝가리로 돌아왔다.[8] 1074년 2월 26일, 왕군은 이미 공작령을 침공하여 케메이 전투에서 게자의 군대를 격파했다.[9] 라슬로는 바치에서 도망치는 형 게자를 만났고, 그들은 솔로몬에 맞서 싸움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10] 1074년 3월 14일, 모조로도 전투에서 라슬로는 왼쪽 측면의 "비호르에서 온 군대"를 지휘했다.[11] 이 전투에서 솔로몬은 패배했지만, 왕국의 서쪽 국경으로 도망쳐 매형인 독일의 하인리히 4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2]

게자는 국왕으로 선포되었지만, 솔로몬은 모숀과 프레스부르크 (현재의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에 자리를 잡았다.[13] 라슬로는 형 게자의 통치 기간 동안 아버지의 이전 공작령 전체를 관리했다.[14] 1074년 8월 또는 9월, 라슬로는 니트라 (현재의 니트라, 슬로바키아)에 대한 솔로몬의 공격을 격퇴했지만, 프레스부르크를 점령하지는 못했다.[15] 라슬로는 형의 주요 고문 역할도 수행했다.[16]

2. 3. 헝가리 국왕 즉위와 통치 (1077년 ~ 1095년)

1077년게저 1세가 사망하자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 즉위 후, 《라슬로 1세 법전》을 편찬하여 법률을 정비하고, 사유 재산을 보호하는 등 국내 통합과 안보 강화에 힘썼다.[7] 1085년에는 헝가리를 침공한 페체네그인을 격퇴하고,[16] 1091년에는 쿠만인을 격퇴하여 국경을 안정시켰다.[17]

서임권 투쟁에서 신성 로마 제국하인리히 4세 황제에 대항하는 독일 제후들을 지원했다.[14] 1087년 8월, 하인리히 4세의 통치에 반대하는 독일 제후들이 슈파이어에서 회의를 열었을 때, 라슬로 1세는 사절을 보내 지원을 약속했다.[14]

1091년, 크로아티아 국왕 드미타르 즈보니미르의 아내이자 자신의 여동생인 헬레나의 요청으로 크로아티아를 정복하고, 조카 알모스를 통치자로 임명하여 헝가리의 영향력을 확대했다.[15] 자그레브에 슬라보니아 교구를 설치하였다.

1095년, 보헤미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라슬로 1세는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을 낳았으며, 이 딸은 1090년경 볼히니아 공작 야로슬라프 스뱌토폴코비치와 결혼했다.[21] 1078년 라슬로 1세는 루돌프의 딸인 라인펠덴의 아델라이드와 재혼했다.[21] 그들의 딸 피로스카는 1105년 또는 1106년에 동로마 제국 황제 요한 2세 콤네노스의 황후가 되었다.[21]

하기아 소피아(이스탄불, 터키)에 있는 라슬로 1세의 딸 피로스카의 모자이크 초상화. 그녀는 동로마 제국에서 이레네 황후로 알려졌으며, 동방 정교회에서 성 이레네로 숭배받고 있다.

  • 라슬로 1세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다는 학설에 따름.

4. 유산

라슬로 1세는 헝가리 기독교 군주국 통합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헝가리는 안정과 번영을 누렸으며, 헝가리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라슬로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1085년에는 헝가리를 침공한 페체네그인, 1091년에는 쿠만인을 물리쳤다.[1] 이러한 승리 이후 폰토스 대초원의 유목민들은 1241년 몽골의 침략 전까지 헝가리를 침략하지 않았다. 또한, 라슬로는 크로아티아를 정복하여 헝가리가 중앙 유럽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1]

1192년 6월 27일 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된 라슬로는 헝가리인들에게 '성왕'으로 추앙받으며, 현재까지도 헝가리에서 가장 존경받는 국왕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다.[1] 특히 국경 지역과 군인, 세켈리인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며, 역병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성인으로도 숭배받고 있다.[1] 그의 업적은 후대 왕들에게 모범이 되었으며, 특히 헝가리의 러요시 1세는 라슬로에 대한 특별한 존경심을 보였다.[1] 새로 즉위한 헝가리 왕이 바라드에 있는 라슬로의 성지를 순례하는 것은 관례였다.[1]

성 라슬로 왕을 묘사한 헝가리의 지기스문트 왕의 금화


라슬로의 공식 전설은 그에게 많은 기적을 귀속시킨다. 그중 하나는 라슬로의 통치 기간 동안 왕국 전역에 역병이 퍼졌을 때, 라슬로가 기도하고 하늘로 쏜 화살이 병을 치료하는 약초를 맞혔다는 이야기다. 이 식물은 헝가리에서 "성 라슬로의 약초"로 알려지게 되었다.

죄르 대성당에 보존된 성 라슬로의 헤르마에 있는 두개골 유물은 헝가리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유물 중 하나이다.[28] 2023년 헝가리 연구소는 헤르마에서 발견된 두개골의 유전적 구성을 분석하여 성 라슬로 유물의 진정성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두개골의 Y 염색체는 아르파드 왕조의 독점적인 하플로그룹 R-ARP에 속하며, 친족 관계 분석 결과 두개골은 벨라 3세와 5세대 거리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8][31]

4. 1. 현대적 의의

수세기 동안, 성인전 작가들과 역사가들은 기독교 군주국 통합에 있어 라슬로 1세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해 왔다.[1] 연대기 작가들은 그의 통치 적합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그의 통치 정당성에 대한 의문이 있었기 때문이다. "조명 연대기"는 라슬로가 "그와 [솔로몬] 사이의 법적 권리가 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의 힘에 의한 것"임을 알고 있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1]

라슬로가 페체네그족과 쿠만족을 상대로 승리한 후, 폰토스 대초원의 유목민들은 1241년 몽골의 침략 전까지 헝가리를 침략하지 않았다. 헝가리어 사용 전사 공동체인 세켈리인은 라슬로 치하에서 가장 동쪽의 국경 지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 1918년에 끝난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연관성"은 라슬로가 크로아티아를 정복하면서 시작되었다.[1] 그의 정복은 헝가리가 다음 세기 동안 주요 중앙 유럽 세력으로 발전하는 것을 보장하는 헝가리 팽창의 시작을 알렸다. 새로 즉위한 헝가리 왕이 바라드에 있는 라슬로의 성지를 순례하는 것은 관례적인 의식이 되었다.[1] 발칸 반도에서 영토를 확장하려 했던 헝가리의 러요시 1세는 라슬로에 대한 특별한 존경심을 보였다.[1]

갈루스 아노니무스는 ''폴란드 공작들의 행적''에서 헝가리가 라슬로 1세와 같이 위대한 왕을 가진 적이 없었으며, 그 이후 그 땅은 그만큼 크고 훌륭한 열매를 맺지 못했다고 평가했다.[1]

헝가리에서 전통적으로 "성 라슬로의 허브"()로 알려진 파란색 꽃의 ''용담''(Star Gentian)

참조

[1] 서적 The Deeds of the Princes of the Poles
[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5]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8] 서적 The Deeds of the Princes of the Poles
[9]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0] 서적 Laws of King Ladislas I
[11] 서적 Laws of King Ladislas I
[1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3]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14] 서적 Bernold of St Blasien, Chronicle
[15] 서적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16]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1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8] 서적 Bernold of St Blasien, Chronicle
[19] 서적 The letters of Henry IV: Henry thanks Duke Almus for his support and promises him a reward
[20]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2] 서적 Emblems of Saints: By which They are Distinguished in Works of Art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and Roberts
[23]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2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5] 서적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26] 웹사이트 Egyházmegyénk: Történet – A Szent László herma [Our Diocese: History – St Ladislaus's reliquary] http://gyor.egyhazme[...] gyor.egyhazmegye.hu 2015-02-17
[27] 서적 A Tizennegyedik Század története Pannonica kiadó
[28] 학술지 The archaeogenomic validation of Saint Ladislaus' relic provides insights into the Árpád dynasty's genealogy https://pubmed.ncbi.[...] 2023-01
[29] 웹사이트 Korai magyar múlt az átdolgozott történelem tankönyvekben - interjú Szabados György történésszel, tananyagfejlesztővel http://tortenelemokt[...] 2020-06-26
[30] 학술지 Determination of the phylogenetic origins of the Árpád Dynasty based on Y chromosome sequencing of Béla the Third 2020-07-07
[31] 웹사이트 Saint László is more Asian than most of our kings https://mki.gov.hu/e[...] 2022-08-22
[32] 서적 Irodalomtörténeti Közlemények, 102 (5-6) http://real-j.mtak.h[...] MTA Irodalomtudományi Intézet (Institute for Literary Studies of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33] 학술지 The genetic origin of Huns, Avars, and conquering Hungarians 2022-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