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체네그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체네그인은 중세 시대에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 유목 민족이다. 튀르크어족 언어를 사용했으며, 8개의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9세기 초에 오구즈족에게 밀려 우랄 산맥 남쪽으로 이동했으며, 이후 흑해 북쪽 초원 지대에서 키예프 루스, 비잔틴 제국 등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11세기 말 레부니온 전투에서 비잔틴-쿠만 연합군에게 패배한 후 쇠퇴하여 주변 민족에게 흡수되었으며, 12세기에는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잃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도니아의 민족 - 튀르키예인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튀르키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으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의 인구와 혼혈을 이루며 아나톨리아에 정착,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을 통해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비튀르크계 민족과의 관계는 민족 문제로 남아있다.
  • 마케도니아의 민족 - 가가우즈인
    가가우즈인은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가가우즈어를 사용하며 동방 정교회 신자로, 몰도바, 우크라이나 등에 거주하며,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다양한 민족과의 연관성을 보이고, 몰도바 남부에 자치 지역을 두고 목축과 농업에 종사한다.
  • 목축민 - 카우보이
    카우보이는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소를 몰고 관리하는 목동을 지칭하는 용어로,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개인주의, 그리고 서부 개척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목축민 - 양치기
    양치기는 약 5,000년 전 소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유라시아에 퍼진 직업으로, 양을 돌보고 양털이나 유제품을 얻는 역할을 하며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사회적 고립과 유목 생활,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며 현대에는 축산업 변화와 함께 역할과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 불가리아의 민족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은 동유럽에 거주하며 루마니아어를 사용하고 루마니아의 주된 민족이며, 다키아인과 로마인의 혼혈에서 기원하여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 것이 특징이다.
  • 불가리아의 민족 - 튀르키예인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튀르키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으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의 인구와 혼혈을 이루며 아나톨리아에 정착,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을 통해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비튀르크계 민족과의 관계는 민족 문제로 남아있다.
페체네그인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페체네그인
파치나키타이 (그리스어: Πατζινάκοι, Πετσενέγοι, Πατζινακίται)
베세니외 (헝가리어: Besenyő(k))
페체네지 (루마니아어: Pecenegi)
페체네그(и) (러시아어: Печенег(и))
페체니히(и) (우크라이나어: Печеніг(и))
파차니키 (조지아어: პაჭანიკი)
페체네기 (불가리아어: печенеги)
페체네지 (세르비아어: Pečenezi/Печенези)
파키나케 (라틴어: Pacinacae, Bisseni)
언어페체네그어 (역사적)
종교기독교 (발칸 반도, 아나톨리아), 텡그리 신앙 (역사적), 이슬람 (아나톨리아, 발칸 반도)
관련 민족다른 오구즈 튀르크족 및 쿠만족
역사
존속 기간889년 - 1091년
이전 국가하자르 카간국
이후 국가킵차크족
정치
정치 체제칸국
언어
사용 언어페체네그어
기타
관련 항목페체네그 (기계 기관총)

2. 명칭

막스 바스머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페체네그"라는 민족 명칭이 "사돈, 친척"을 의미하는 고대 튀르크어 단어("baja", "baja-naq" 또는 "bajinaq"; bacanaqaz, 키르기스어: "baja", bajatk 및 bacanaktr)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처음에는 "사돈 관계의 씨족 또는 부족"을 지칭했음을 암시한다.[2] 그러나 피터 벤자민 골든은 이러한 어원설이 확실하다고 보지 않는다.[2]

마흐무드 카슈가리는 11세기 저서 디반 루가트 알-투르크에서 페체네그족을 "의 주변에 거주하는 튀르크 민족"으로 묘사했는데, 여기서 "Rum"은 동로마 제국 또는 아나톨리아를 가리키는 튀르크어 단어였다. 또한, 페체네그족을 오구즈 튀르크족의 한 분파로 보았으며, 오구즈족을 구성하는 22개 분파 중 19번째 분파로 기록했다.[3]

14세기 일 칸국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인 라시드 알딘 하마adani는 저서 자미 알-타와리크에서 페체네그족을 "열정을 보이는 자"라는 의미로 오구즈족의 24개 고대 부족 중 하나로 언급했다. 17세기 히바 칸국의 칸이자 역사가인 아부 알가지 바하두르는 저서 샤자라-이 타라키마에서 페체네그족을 투르크멘족 (또는 오구즈족)의 24개 고대 부족 중 하나로 "bechene"으로 언급하고, 그 의미를 "만드는 자"로 제시했다.

페체네그족의 8개 "주" 또는 씨족 중 3개는 집합적으로 캉가르 연합으로 알려졌다.[4]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에 따르면, 캉가르족은 "그들이 나머지 사람들보다 더 용감하고 고귀하기 때문에" 이 명칭을 받았다고 한다.[4] 그러나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튀르크어 단어가 알려져 있지 않아, 아르민 뱀베리는 이 민족 명칭을 키르기스어 단어와 연결했고, 칼릴 아이머 매카트니는 차카타이어 단어와 연관시켰다.[5]

오멜리안 프르차크는 캉가르라는 이름이 원래 토하라어 단어 "돌"(kank)과 민족 명칭 "As"에서 파생된 합성어("Kängär As")였으며, 그들이 토하라어를 사용했거나, 적어도 토하라어, 동이란어 및 불가르어 튀르크어 요소를 포함하는 연합을 형성했음을 시사한다고 제안했다. 알비루니는 "알-란족과 알-아스족의 후손이며, 그들의 언어는 호라즘어와 바자나크 언어의 혼합이다."라고 언급하여 페체네그족이 동이란어 요소와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

빅토르 스피네이는 캉가르족의 민족 명칭이 (동)이란 요소가 페체네그족의 형성에 기여했음을 시사하지만, 페체네그족이 "의심의 여지 없이, 주로 튀르크족의 특성을 지녔다"고 인정한다.[6] 이는 구 러시아 문학의 요세푸스 번역본에 "야스족은 알려진 바와 같이 페체네그족에서 유래했다."라는 구절이 추가된 것과 일치할 수 있다. 학자들은 페체네그족의 단편적인 언어적 잔재를 바탕으로 그들을 공통 튀르크어 사용자로 간주하며, 킵차크어 또는 오구즈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7][8]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는 페체네그인이 사용하는 언어가 쿠만어와 오우즈어의 변종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페체네그인에 대한 외래의 영향으로 그들의 언어와 다른 튀르크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 사이에 음운론적 차이가 생겼다고 말했다. 안나 콤네네 역시 페체네그인과 쿠만인이 공통 언어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비록 페체네그어는 수세기 전에 사멸했지만, 콘스탄티누스 7세가 기록한 페체네그 "지방"의 이름은 페체네그인이 튀르크어를 사용했음을 증명한다. 페체네그인은 오우즈어의 한 갈래인 튀르크어족에 속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들의 언어는 문서화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더 이상 분류하기가 어렵다.[13]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페체네그"는 "의형제"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역사서에 철륵의 구성 부족으로 기록된 "북욕"은 페체네그의 전사로 여겨진다.

3. 언어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는 11세기의 문인으로 튀르크 방언을 전문으로 했는데, 페체네그인이 사용하는 언어는 쿠만어와 오우즈어의 변종이라고 주장했다.[13] 그는 페체네그인에 대한 외래의 영향으로 그들의 언어와 다른 튀르크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 사이에 음운론적 차이가 생겼다고 말했다. 안나 콤네네 역시 페체네그인과 쿠만인이 공통 언어를 사용했다고 말했다.[13] 비록 페체네그어는 수세기 전에 사멸했지만, 콘스탄티누스 7세가 기록한 페체네그 "지방"의 이름은 페체네그인이 튀르크어족을 사용했음을 증명한다. 페체네그인은 오우즈어의 한 갈래인 튀르크어족에 속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들의 언어는 문서화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더 이상 분류하기가 어렵다.

'페체네그'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의형제"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역사서(『수서』, 『북사』)에 철륵(테르크, 튀르크)의 구성 부족으로 기록된 "북욕"은 페체네그의 전사로 여겨진다.

페체네그인의 언어는 튀르크어족의 오구즈어파로 분류되며, 중국의 역사서에 철륵(테르크, 튀르크)의 일부 부족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에서도 튀르크계 민족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페체네그인의 구성 부족에는 이란계의 사르마티아인과 핀-우고르계의 여러 부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가 튀르크계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또한 초기 페체네그인은 토하라어의 일종을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

4. 구성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는 페체네그 부족 집단을 8개로, 드네프르강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4개씩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투르크 계통의 좌우 이분법적 조직을 반영한다. 이 8개 부족은 다시 40개의 하위 부족, 즉 씨족으로 나뉘었다. 콘스탄티누스 7세는 또한 하자르와 오구즈에게 쫓겨났을 때 페체네그를 이끌었던 8명의 전 부족 지도자들의 이름도 기록했다. 골든은 네메스와 리게티를 따라 각 부족 이름이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하는데, 첫 번째 부분은 말의 털색이고, 다른 부분은 부족 지도자의 칭호이다.[14]

에르딤, 추르, 율라 부족은 캉가르/케게르를 형성했으며, "나머지 사람들보다 더 용감하고 고귀하다"고 여겨졌다.

부족 구성
음차된 부족 이름재구성된 부족 이름의미위치음차된 지도자 이름재구성된 지도자 이름
Ιαβδι-ερτί(μ)*야브디-에르딤빛나고 눈부신 말을 가진 에르뎀의 부족드네프르강 서쪽 기슭Βαϊτζαν*바-차
Κουαρτζι-τζούρ*퀴에르치-추르푸르스름한 말을 가진 추르의 부족드네프르강 동쪽 기슭Κούελ*퀴겔
Χαβουξιν-γυλά*카부크신-율라나무껍질색 말을 가진 율라의 부족드네프르강 서쪽 기슭Κουρκοῡται*코르쿠타이
Συρου-κουλπέη*수루-퀼-베이회색 말을 가진 퀼-베이의 부족드네프르강 동쪽 기슭Ιπαόν*이파 / *이바
Χαρα-βοη*카라-바검은 말을 가진 베이의 부족드네프르강 서쪽 기슭Καϊδούμ*카이둠
Βορο-ταλμάτ*보루-톨마치회색 말을 가진 톨마치의 부족드네프르강 동쪽 기슭Κώσταν*코스타
Γιαζι-χοπὸν*야지-카프(그)안짙은 갈색 말을 가진 카프(그)안의 부족드네프르강 서쪽 기슭Γιαζή*야지
Βουλα-τζοπόν*불라-초판얼룩무늬 말을 가진 초판의 부족드네프르강 동쪽 기슭Βατᾱν*바타 / *보타



페체네그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의형제"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역사서에 철륵의 구성 부족으로 기록된 "북욕"은 페체네그의 전사로 여겨진다.

페체네그인의 언어는 튀르크어족의 오구즈어파로 분류되며, 중국의 역사서에 철륵(튀르크)의 일부 부족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에서도 튀르크계로 추정된다. 그러나 페체네그인의 구성 부족에는 이란계의 사르마티아인과 핀-우고르계의 여러 부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가 튀르크계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또한 초기 페체네그인은 토하라어의 일종을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

5. 역사

페체네그는 9세기아랄해와 시르다리야 중류 지역에서 우랄 산맥 남쪽의 엠바강볼가강 사이로 이동했다. 이는 튀르크계 오구즈에게 패배했기 때문이다. 이후 잠시 교역과 유목 생활을 했지만, 830년하자르와 오구즈의 공격으로 도네츠강과 쿠반강 유역의 마자르를 몰아내고 그곳에 정착했다.[17] 이로써 페체네그는 볼가강 하류에서 도나우강 하구까지 넓은 초원 지대를 차지하며 키예프 루스, 불가리아, 마자르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시메온 1세 (재위: 893년 - 927년)는 동로마 제국 및 마자르와 적대 관계였다. 시메온 1세는 마자르의 동쪽에 있던 페체네그와 동맹을 맺어 마자르를 견제했다. 불가리아의 요청으로 페체네그는 896년 마자르를 공격하여 남루스에서 판노니아 평원까지 몰아냈다.

당시 남루스 초원에서는 하자르 카간국의 권위가 약해져 페체네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동로마 제국은 페체네그와 동맹을 맺고, 불가리아에 대항하기 위해 북쪽의 키예프 루스와도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페체네그와 키예프 루시는 적대 관계였기 때문에 동로마 제국은 양면 외교를 펼쳤다.



9세기부터 페체네그인은 키예프 루스와 전쟁을 시작했다. 2세기 이상 지속된 침략은 때때로 키예프의 이고르가 페체네그인을 상대로 한 920년 전쟁(''원초 연대기''에 기록됨)과 같은 전면전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그러나 943년 이고르가 이끈 비잔틴 원정과 같이 루스와 페체네그 간의 일시적인 군사 동맹도 있었다.[22] 968년에 페체네그인은 키예프를 공격하고 포위했다. 일부는 970~971년 비잔틴 원정에 키예프 공작 스뱌토슬라프 1세와 합류했지만, 결국 972년에 키예프 공작을 매복하여 살해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페체네그 칸 쿠랴는 스텝 유목민의 관습에 따라 스뱌토슬라프의 두개골로 성배를 만들었다.

971년,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 (재위: 945년 - 972년)는 불가리아를 침공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동로마 제국은 페체네그를 이용하여 키예프 루시 군을 궤멸시키고 스뱌토슬라프 1세를 전사시켰다. 이때 페체네그는 스뱌토슬라프 1세의 두개골을 해골 술잔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10세기가 되자, 페체네그는 동서로 분열했다. 루스와 페체네그 간의 대결은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1세의 통치 기간(990–995)에 바뀌어 페체네그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여 페레야슬라프를 건설했고,[24] 이후 1036년 슬기로운 야로슬라프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페체네그가 패배했다. 페체네그는 915년부터 1세기 이상 끊임없이 키예프 루시에 침입을 반복해 왔지만, 1036년에 키예프 대공 야로슬라프 1세 (재위: 1016년 - 1054년)의 군대에 크게 패배했기 때문에, 그 종속 하에 들어갔다. 그 직후 다른 유목민들이 폰토스 스텝에서 약화된 페체네그를 대체했다: 쿠만족과 토르크족. 미하일로 흐루셰프스키(''우크라이나-루테니아 역사'')에 따르면, 키예프 근처에서 패배한 후 페체네그 호드는 다뉴브 강으로 이동하여 강을 건너 폰토스 스텝에서 사라졌다.

11세기 중반, 페체네그는 도나우강을 건너 동로마 제국령이 된 구 불가리아에 침입했다. 페체네그는 그곳에서 구 불가리아의 반란 분자들에 가담하는 등, 동로마 제국의 새로운 위협이 되었지만, 동로마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 (재위: 1081년 - 1118년)의 요청을 받은 포로베츠 (쿠만, 킵차크)의 공격을 받고 궤멸 상태가 되었다 (1091년).

페체네그 용병들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틴을 섬겼다.[25]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키예프 루스, 하자르, 그리고 마자르족을 포함한 모든 이웃과 관련된 수 세기의 전투 이후, 페체네그는 1091년 레부니온 전투에서 비잔틴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 휘하의 비잔틴-쿠만 연합군에 의해 독립 세력으로서 멸망했다. 알렉시우스 1세는 패배한 페체네그를 모집하여 모글레나 지역(오늘날 마케도니아)에 "모글레나 페체네그" 타그마로 정착시켰다.[26] 1094년 쿠만족의 공격을 다시 받아 많은 페체네그가 살해되거나 흡수되었다. 비잔틴군은 1122년 오늘날 불가리아 영토에서 베로이아 전투에서 페체네그를 다시 격파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뉴브 강 남쪽의 페체네그는 민족 정체성을 잃고 대부분 루마니아인불가리아인에게 완전히 동화되었다.

12세기에 들어서자, 페체네그는 민족으로서 해체되기 시작하여 불가르, 포로베츠, 마자르 등에게 흡수되어 갔다. 일부 페체네그인은 로시 강,부크강 연안에 살며, 같은 튀르크계 투르크인,베렌데이스인,코우이인,투르페이인과 함께 '''흑두건''' (초르누이예 크로브키)라고 불리며, 루스 제후의 동맹자가 되어, 포로베츠인의 침입을 막거나 군대를 공급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5. 1. 기원 및 초기 활동

오멜리안 프리차크에 따르면, 페체네그인은 고대 타슈켄트에서 기원한 강가르의 후손이다. 오르혼 비문에는 강가르가 동튀르크 카간국의 피지배 민족으로 언급되어 있다. 프리차크는 페체네그인의 고향이 아랄해와 시르다리야 강의 중류 사이에 위치해 있었으며,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을 연결하는 중요한 무역로를 따라 위치해 있었다고 주장하며, 그들을 강가르와 연관시켰다.

폰토스 스텝


폴 펠리오는 7세기 중국의 저작인 ''수서''에 페체네그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이 보존되어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책은 "베이루"라는 민족을 언급했는데, 그들은 "엔큐"와 "알란" 민족 (각각 오노구르와 알란족으로 확인됨) 근처, "푸린" (또는 동로마 제국)의 동쪽에 정착했다. 빅토르 스피네이는 페체네그가 "베이루"와 연관되었다는 것은 "불확실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8세기 위구르 사신의 보고서가 티베트어로 번역되어 남아 있는데, 이것이 페체네그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언급을 담고 있다고 제안한다. 이 보고서는 시르다리야 강 지역에서 "베-차-나그"와 "호르" (위구르 또는 오구즈 튀르크족) 민족 간의 무력 충돌을 기록했다.[17]

이븐 호르다드베, 마흐무드 알-카슈가리, 무함마드 알-이드리시 및 다른 많은 무슬림 학자들은 페체네그인이 튀르크 민족에 속한다고 동의한다. ''러시아 연대기''는 "토르크멘, 페체네그, 토르크, 폴로브치"가 "기독교인에게 벌로 보내진 이스마엘의 불경한 아들들"의 후손이라고 진술했다.[18]

유럽 1097


744년 돌궐 제2제국이 붕괴되면서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여러 부족 간의 대립이 일어났다. 카를루크오구즈 튀르크를 공격하여 페체네그족의 땅으로 서쪽으로 이동하게 만들었다. 위구르 사신의 보고는 오구즈족과 페체네그족이 8세기부터 서로 전쟁을 벌였으며, 이는 아마도 무역로를 장악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증언한다. 10세기 학자 알마수디에 따르면, 오구즈족은 카를루크, 키마크와 동맹을 맺고 850년 전에 아랄해 근처 전투에서 페체네그족과 그 동맹군을 물리쳤다. 대부분의 페체네그족은 볼가강으로 새로운 이주를 시작했지만, 일부는 오구즈족에 합류해야 했다. 후자는 11세기에 오구즈 부족 연맹의 19번째 부족을 형성했다.

고향을 떠난 페체네그족은 우랄강과 볼가강 사이에 정착했다. 가르디지와 9세기 자료에 근거한 다른 무슬림 학자들에 따르면, 페체네그족의 새로운 영토는 30일 걸리는 광대한 지역으로, 쿠만족, 하자르, 오구즈 튀르크, 슬라브족과 경계를 이루었다.

아불가지의 «투르크멘족 계보»에 따른 탐가 페체네그 부족


같은 자료에는 페체네그족이 이웃, 특히 하자르와 하자르의 봉신인 부르타스를 상대로 정기적인 약탈을 벌여 포로를 팔았다는 내용도 있다. 하자르는 페체네그족에 대항하여 우즈족과 동맹을 맺고 두 방향에서 공격했다. 적에게 수적으로 열세였던 페체네그족은 새로운 서쪽 이주를 강요받았다. 그들은 하자르 카간국을 가로질러 헝가리인의 거주지를 침략하고, 쿠반강과 도네츠강 상류 지역에서 그들을 몰아냈다. 페체네그족의 이 두 번째 이주에 대한 합의된 날짜는 없다. 오멜리안 프리차크는 약 830년경에 일어났다고 주장하지만 크리스토 귤라는 850년대 이전에는 일어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페체네그족은 도네츠강과 쿠반강을 따라 정착했다. 10세기의 《후두드 알-알람》에 언급된 "튀르크계 페체네그족"과 "하자르계 페체네그족"의 구별은 이 시기에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 10세기 후반의 페르시아 지리서인 《후두드 알-알람》은 두 개의 페체네그족 집단을 구분하여 도네츠강을 따라 사는 사람들을 "튀르크계 페체네그족"이라고 불렀고, 쿠반강을 따라 사는 사람들을 "하자르계 페체네그족"이라고 불렀다. 빅토르 스피네이는 후자의 명칭이 하자르의 종주권을 받아들인 페체네그족 집단을 지칭할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한다.

이 두 분파 외에도 이 시기에는 세 번째 페체네그족 집단이 존재했다.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와 이븐 파들란은 고향을 떠나지 않기로 결정한 사람들이 튀르크 부족의 오구즈 연맹에 편입되었다고 언급한다.

콘스탄티누스 7세는 페체네그 왕국인 파치나키아가 서쪽으로 시레트 강 (또는 심지어 동부 카르파티아 산맥)까지 뻗어 있었으며, "투르키아" (즉, 헝가리)에서 나흘 거리에 있었다고 기록했다.

> 파치나키아 전체는 여덟 개의 대공을 가진 여덟 개의 주로 나뉜다. 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의 이름은 이르팀, 두 번째는 추르, 세 번째는 귈라, 네 번째는 쿨페이, 다섯 번째는 차라보이, 여섯 번째는 탈마트, 일곱 번째는 초폰, 여덟 번째는 조폰이다. 페체네그족이 그들의 나라에서 쫓겨났을 때, 그들의 공작은 이르팀 주에서는 바이차스, 추르에서는 쿠엘, 귈라에서는 쿠르쿠타이, 쿨페이에서는 이파오스, 차라보이에서는 카이둠, 탈마트 주에서는 코스타스, 초폰에서는 기아지스, 조폰 주에서는 바타스였다.

>

> 콘스탄티누스 7세: ''제국 경영론''[16]

> 원래 페체네그족은 아틸(볼가강)과 게이치강에 거주하며 하자르 및 소위 우즈족과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그러나 50년 전 소위 우즈족은 하자르와 동맹을 맺고 페체네그족과 전투를 벌여 그들을 쫓아내고, 소위 우즈족이 오늘날까지 그 땅을 점령하고 있다. [...] 페체네그족이 그들의 땅에서 쫓겨났을 때, 그들 중 일부는 자발적으로 개인적인 결정에 따라 그곳에 남아 소위 우즈족과 연합했으며, 오늘날까지 그들 사이에 살고 있으며, 그들의 기원을 드러내고 그들이 어떻게 그들 자신의 민족과 갈라지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그러한 구별되는 표시를 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튜닉은 무릎까지 짧고 소매는 어깨에서 잘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그들이 그들 자신의 민족과 그들의 종족에서 잘려져 나갔음을 보여준다.

>

>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 ''제국 통치론''[19]

그러나 이 집단의 형성이 페체네그족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이주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에 따르면, 오구즈 튀르크의 우쵸크 씨족 중 하나는 1060년대에도 페체네그족으로 구성되었다.

5. 2. 비잔틴 제국과의 관계

9세기, 비잔틴 제국은 페체네그족과 동맹을 맺고, 이들을 활용하여 키예프 루스와 마자르족(헝가리인)과 같은 더 위험한 부족들을 막았다.[20]

당시 남루스의 초원에서는 하자르 카간국의 권위가 실추되었기 때문에, 페체네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그 때문에 동로마 제국은 페체네그와 동맹을 맺고, 불가리아에 대항하기 위해 북쪽의 키예프 루스와도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페체네그와 키예프 루시는 적대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동로마 제국으로서는 양면 외교가 되었다.

971년,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 (재위: 945년 - 972년)는 불가리아를 침공하여 큰 타격을 입히고 그곳에 자리 잡으려 했다. 그러나 이를 위협으로 느낀 동로마 제국은 키예프 루시를 몰아내기 위해 페체네그를 사용하여 키예프 루시 군을 궤멸시키고 스뱌토슬라프 1세를 전사시켰다. 이때 페체네그는 스뱌토슬라프 1세의 두개골을 술잔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11세기 중반, 페체네그는 도나우강을 건너 동로마 제국령이 된 구 불가리아에 침입했다. 페체네그는 그곳에서 구 불가리아의 반란 분자들에 가담하는 등, 동로마 제국의 새로운 위협이 되었지만, 동로마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 (재위: 1081년 - 1118년)의 요청을 받은 포로베츠 (쿠만, 킵차크)의 공격을 받고 궤멸 상태가 되었다 (1091년).

5. 3. 키예프 루스와의 관계

9세기에 페체네그인은 키예프 루스와 전쟁을 시작했다. 2세기 이상 지속된 침략은 때때로 키예프의 이고르가 페체네그인을 상대로 한 920년 전쟁(''원초 연대기''에 기록됨)과 같은 전면전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페체네그인과 키예프 루스 간의 전쟁은 10세기와 11세기에 발라키아 영토의 슬라브족이 드네스트르강 북쪽으로 점차 이주하도록 만들었다.[21] 그러나 943년 이고르가 이끈 비잔틴 원정과 같이 루스와 페체네그 간의 일시적인 군사 동맹도 있었다.[22]

968년에 페체네그인은 키예프를 공격하고 포위했다. 일부는 970~971년 비잔틴 원정에 키예프 공작 스뱌토슬라프 1세와 합류했지만, 결국 972년에 키예프 공작을 매복하여 살해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페체네그 칸 쿠랴는 스텝 유목민의 관습에 따라 스뱌토슬라프의 두개골로 성배를 만들었다.

10세기가 되자 페체네그는 동서로 분열했다.

971년,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 (재위: 945년 - 972년)는 불가리아를 침공하여 큰 타격을 입히고 그곳에 자리 잡으려고 했다. 그러나 동로마 제국은 키예프 루시를 몰아내기 위해 페체네그를 사용하여 키예프 루시 군을 궤멸시키고 스뱌토슬라프 1세를 전사시켰다. 이때 페체네그는 스뱌토슬라프 1세의 두개골을 해골 술잔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루스와 페체네그 간의 대결은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1세의 통치 기간(990–995)에 바뀌어 페체네그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여 페레야슬라프를 건설했고,[24] 이후 1036년 슬기로운 야로슬라프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페체네그가 패배했다. 페체네그는 915년부터 1세기 이상 끊임없이 키예프 루시에 침입을 반복해 왔지만, 1036년에 키예프 대공 야로슬라프 1세 (재위: 1016년 - 1054년)의 군대에 크게 패배했기 때문에, 그 종속 하에 들어갔다. 그 직후 다른 유목민들이 폰토스 스텝에서 약화된 페체네그를 대체했다: 쿠만족과 토르크족. 미하일로 흐루셰프스키(''우크라이나-루테니아 역사'')에 따르면, 키예프 근처에서 패배한 후 페체네그 호드는 다뉴브 강으로 이동하여 강을 건너 폰토스 스텝에서 사라졌다.

12세기에 들어서자, 페체네그는 민족으로서 해체되기 시작하여 불가르, 포로베츠, 마자르 등에게 흡수되어 갔다. 일부 페체네그인은 로시 강,부크강 연안에 살며, 같은 튀르크계 투르크인,베렌데이스인,코우이인,투르페이인과 함께 '''흑두건''' (초르누이예 크로브키)라고 불리며, 루스 제후의 동맹자가 되어, 포로베츠인의 침입을 막거나 군대를 공급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5. 4. 쇠퇴와 멸망

9세기에 페체네그인은 키예프 루스에 대항한 전쟁을 시작했다. 2세기 이상 지속된 침략은 때때로 키예프의 이고르가 페체네그인을 상대로 한 920년 전쟁(''원초 연대기''에 기록됨)처럼 전면전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페체네그인과 키예프 루스 간의 전쟁은 10세기와 11세기에 발라키아 영토의 슬라브족이 드네스트르강 북쪽으로 점차 이주하도록 만들었다.[21] 그러나 943년 이고르가 이끈 비잔틴 원정과 같이 루스/페체네그 간의 일시적인 군사 동맹도 있었다.[22]

968년에 페체네그인은 키예프를 공격하고 포위했다. 일부는 970~971년 비잔틴 원정에 키예프 공작 스뱌토슬라프 1세와 합류했지만, 결국 972년에 키예프 공작을 매복하여 살해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페체네그 칸 쿠랴는 스텝 유목민의 관습에 따라 스뱌토슬라프의 두개골로 성배를 만들었다. 루스-페체네그 대결의 운명은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1세의 통치 기간(990–995)에 바뀌어 페체네그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여 페레야슬라프를 건설했고,[24] 이후 1036년 슬기로운 야로슬라프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페체네그가 패배했다. 그 직후 다른 유목민들이 폰토스 스텝에서 약화된 페체네그를 대체했다: 쿠만족과 토르크족. 미하일로 흐루셰프스키(''우크라이나-루테니아 역사'')에 따르면, 키예프 근처에서 패배한 후 페체네그 호드는 다뉴브 강으로 이동하여 강을 건너 폰토스 스텝에서 사라졌다.

10세기가 되자, 페체네그는 동서로 분열했다.

971년,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 (재위: 945년 - 972년)는 불가리아를 침공하여 큰 타격을 입히고, 그곳에 자리 잡으려고 했다. 그러나, 이것을 위협으로 느낀 동로마 제국은 키예프 루스를 몰아내기 위해, 페체네그를 사용하여 키예프 루스 군을 궤멸시키고, 스뱌토슬라프 1세를 전사시켰다. 이때 페체네그는 스뱌토슬라프 1세의 두개골을 술잔 (해골 술잔)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페체네그는 915년부터 1세기 이상 끊임없이 키예프 루시에 침입을 반복해 왔지만, 1036년에 키예프 대공 야로슬라프 1세 (재위: 1016년 - 1054년)의 군대에 크게 패배했기 때문에, 그 종속 하에 들어갔다.

또한, 그 외의 페체네그는 11세기 중반에 도나우강을 건너, 동로마 제국령이 된 구 불가리아에 침입했다. 페체네그는 그곳에서 구 불가리아의 반란 분자들에 가담하는 등, 동로마 제국의 새로운 위협이 되었지만, 동로마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 (재위: 1081년 - 1118년)의 요청을 받은 포로베츠 (쿠만, 킵차크)의 공격을 받고 궤멸 상태가 되었다 (1091년).

페체네그 용병들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틴을 섬겼다.[25]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키예프 루스, 하자르, 그리고 마자르족을 포함한 모든 이웃과 관련된 수 세기의 전투 이후, 페체네그는 1091년 레부니온 전투에서 비잔틴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 휘하의 비잔틴-쿠만 연합군에 의해 독립 세력으로서 멸망했다. 알렉시우스 1세는 패배한 페체네그를 모집하여 모글레나 지역(오늘날 마케도니아)에 "모글레나 페체네그" 타그마로 정착시켰다.[26] 1094년 쿠만족의 공격을 다시 받아 많은 페체네그가 살해되거나 흡수되었다. 비잔틴군은 1122년 오늘날 불가리아 영토에서 베로이아 전투에서 페체네그를 다시 격파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뉴브 강 남쪽의 페체네그는 민족 정체성을 잃고 대부분 루마니아인불가리아인에게 완전히 동화되었다.

12세기에 들어서자, 페체네그는 민족으로서의 해체를 시작하여, 불가르, 포로베츠, 마자르 등에게 흡수되어 갔다. 일부 페체네그인은 로시 강,부크강 연안에 살며, 같은 튀르크계 투르크인,베렌데이스인,코우이인,투르페이인과 함께 '''흑두건''' (초르누이예 크로브키)라고 불리며, 루스 제후의 동맹자가 되어, 포로베츠인의 침입을 막거나, 군대를 공급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6. 정치 체제

페체네그인의 정치 체제는 전형적인 알타이계 유목민과 마찬가지로, 집회를 열어 수장의 선출 등을 결정했다.[1][2] 유목 국가의 집회는 그 영내에 흩어져 있는 여러 부족이 한 곳에 집결하기 때문에, 소집을 걸고 나서 수 주일이 걸리는 부족도 있지만, 페체네그의 경우는 일주일로 충분했는데,[1][2] 이는 페체네그의 기동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1][2]

페체네그에는 "수도"는 없었지만, 중심지로는 고고학 유물이 다수 출토된 로시 강 부근으로 생각된다.[1][2]

참조

[1] 문서 "{{langx|az|Peçeneq(lər)}}, {{langx|tr|Peçenek(ler)}}, [[Middle Turkic languages|Middle Turkic]]: {{lang|xqa|بَجَنَكْ}} {{transliteration|xqa|Bäčänäk}}, {{langx|ro|Pecenegi}}, {{langx|ru|Печенег(и)}}, {{langx|uk|Печеніг(и)}}, {{langx|hu|Besenyő(k)}}, {{langx|el|Πατζινάκοι, Πετσενέγοι, Πατζινακίται}}, {{lang-ka|პაჭანიკი}}, {{langx|bg|печенеги|pechenegi}}, {{langx|bg|печенези}}, {{transliteration|bg|pechenezi}}; {{lang-sh-Latn-Cyrl|Pečenezi|separator=/|Печенези}}, {{langx|la|Pacinacae, Bisseni}}"
[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https://www.academia[...]
[3] 서적 Türk Şiveleri Lügatı = Dīvānü Luġāt-It-Türk Tekin
[4] 문서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ch. 37), p. 171."
[5] 간행물 "[https://www.academia.edu/7798262/_Ethnogenesis_in_the_Tribal_Zone_The_Shaping_of_the_T%C3%BCrks_ Ethnogenesis in the Tribal Zone: The Shaping of the Türks]" https://www.academia[...]
[6] 서적 "''[https://brill.com/view/book/9789047428800/Bej.9789004175365.i-482_005.xml|The Romanians and the Turkic Nomads North of the Danube Delta from the Tenth to the Mid-Thirteenth Century]''" https://brill.com/vi[...] Brill
[7] 문서 "Németh, \"Die Inschriften,\" 16, pp. 50-1; Ligeti, \"A magyar nyelv,\" p.362, 506; and [[György Györffy|Györffy]], \"A Besenyők nyelve,\" p.170-91. Cited in the [[Encyclopaedia of Islam|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VIII, Leiden 1994, p.289"
[8] 문서 "Баскаков, Н. А. ''Тюркские языки'', Москва 1960, с. 126-131."
[9] 문서 "Hammer-Purgstall, Joseph, Freiherr von, ''[https://archive.org/details/geschichtedergo02purgoog/page/n70 Geschichte der Goldenen horde in Kiptschak, das ist: der Mongolen in Russland]'', 1840. digital page n70 or 6/mode/2up." https://archive.org/[...]
[10] 문서 "''Tang Huiyao'', [https://ctext.org/wiki.pl?if=gb&chapter=461266 \"Vol. 72\"] quote: \"'''康國'''馬。'''康居國'''也。是大宛馬種。形容極大。武德中。康國獻四千匹。今時官馬。猶是其種。……'''康曷利'''馬。印宅。\" rough translation: \"Horses of the '''Kang nation''', which is the '''Kangju nation'''. They are a stock of [[Ferghana horse|Dayuan horse]]s. In the middle of the [[Emperor Gaozu of Tang|Wude era]] [622 - 626 CE], the '''Kang nation''' tributed 4,000 horses. Nowadays, the officials' horses are [probably] of that stock. [...] '''Kangheli''''s horses; [[tamga]] [resembles] [character] 宅\"" https://ctext.org/wi[...]
[11] 문서 "K. H. Menges, Altaic elements, s. 101-104. ([https://doczz.biz.tr/doc/5145/tarih-enstit%C3%BCs%C3%BC-dergisi-say%C4%B1-4-5---edebiyat-fak%C3%BCltesi cited PDF])" https://doczz.biz.tr[...]
[12] 문서 "[[Klyashtorny, Sergey Grigorevich|S.G. Klyaštornij]], ''Drevnetyurkskie Runiçeskie Pamyatniki Kak Istoçnik Po Istorii Sredney Azii'', Moscow 1964, p.163-167 ([https://doczz.biz.tr/doc/5145/tarih-enstit%C3%BCs%C3%BC-dergisi-say%C4%B1-4-5---edebiyat-fak%C3%BCltesi cited PDF])" https://doczz.biz.tr[...]
[13] 문서 "Баскаков, Н. А. Тюркские языки, Москва 1960, с. 126-131."
[14] 문서 A magyarok eredete, Vámbéry
[15] 논문 MONUMENTS DU LEXIQUE PETCHÉNÈGUE
[16] 문서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ch. 37), p. 167."
[17] 논문 An Old Tibetan document on the Uighurs: A new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2008
[18]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year 6604/1096), p. 184)"
[19] 문서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ch. 37), pp. 167., 169."
[20] 웹사이트 Problems of Byzantine Historiography ~ Three Notes on Miniatures in the Chronicle of Manasses http://archive.org/d[...] 2023-06-21
[21] 문서 V. Klyuchevsky, The course of the Russian history. v.1: "Myslʹ.1987,
[22] 문서 "[[Ibn Haukal]] describes the Pechenegs as the long-standing allies of the Rus', whom they invariably accompanied during the 10th century [[Caspian expeditions of the Rus|Caspian expeditions]]."
[23] 웹사이트 Stories About Spies. Story 1. Through the Pecheneg Camp https://szru.gov.ua/[...]
[24] 문서 The chronicler explains the town's name, derived from the Slavic word for "retake", by the fact that Vladimir "retook" the military glory from the Pechenegs.
[25] 서적 Armies and Enemies of the Crusades Second Edition Lulu.com 2019
[26] 문서 "{{Warfare, State and Society in the Byzantine World, 565–1204|page=117}}"
[27] 서적 Magyar néprajzi lexikon https://mek.oszk.hu/[...] Akadémiai Kiadó
[28] 문서 Kinnamos, IV, 4, p. 143
[29] 문서 "[[Ferdinand Chalandon|Chalandon]] 1907"
[30] 문서 "[[Ivan Katchanovski]], Zenon E. Kohut, Bohdan Y. Nebesio, Myroslav Yurkevich, ''Historical Dictionary of Ukraine'', Scarecrow Press, 2013, p. 439."
[31] 웹사이트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http://archive.org/d[...] Westminster, A. Constable and co. 1896-06-21
[32] 문서 "[https://dergipark.org.tr/tr/download/article-file/172732 Studies on Pechenegs Dr. AKDES KURAT]" https://dergipark.or[...]
[33] 문서 "[https://dergipark.org.tr/tr/download/article-file/1177828 ATLAS 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ISSN 2602-4128 TWO FRIEND PEOPLE IN THE NORTH OF THE BLACK SEA: ON THE RELATIONS OF THE PECHENEKS AND THE KUMAN-KIPCHAKS]" https://dergipark.or[...]
[34] 문서 "[https://openaccess.firat.edu.tr/xmlui/bitstream/handle/11508/15341/428284.pdf?sequence=1 T.R. FIRAT UNIVERSITY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HISTORY THE RELATIONS OF PEÇENEK AND KIPÇAKS WITH THE BYZANTINE STATE MASTER'S THESIS]" https://openaccess.f[...]
[35] 논문 Peçenekler https://www.academia[...] 2023-06-21
[36] 논문 Batı Anadolu'da Bir Peçenek Beği: Kızıl Beğ https://belleten.gov[...] 1998-06-21
[37] 웹사이트 Türkalemiyiz.com "Türk Dünyasının İnternet Sitesi" https://www.turkalem[...] 2023-06-21
[38] 서적 The Pechenegs: nomads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Medieval Europe https://brill.com/di[...] Brill 2021
[39] 문서
[40] 논문 Batı Anadolu'da Bir Peçenek Beği: Kızıl Beğ https://belleten.gov[...]
[41] 서적 Гумилёв Л. Н. От Руси к России. — М.: Алгоритм, 2007. — С. 83. — 384 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