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겨울 폭풍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겨울 폭풍 작전은 1942년 12월,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갇힌 독일 제6군을 구출하기 위해 독일군이 시도한 군사 작전이다. 독일군은 헤르만 호트의 제4 기갑군을 투입하여 북동쪽으로 진격했으나,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과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의 소극적인 태도, 아돌프 히틀러의 무리한 명령으로 인해 작전은 실패했다. 이로 인해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전세는 소련군에게 유리하게 기울었고, 독일 제6군은 결국 1943년 2월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12월 - 스탈린그라드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추축국이 소련의 스탈린그라드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 중 하나로, 소련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42년 12월 - 1942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42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그 해 영화계의 뛰어난 작품과 인물에게 수여된 상으로, 최우수 작품상은 《우리 생애에서》가 수상했으며 제임스 캐그니와 아그네스 무어헤드가 각각 남녀주연상을, 존 패로우가 감독상을 수상했고, 《모스크바는 반격한다》가 최우수 전쟁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바실리 자이체프
    바실리 자이체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활약하며 225명 이상의 독일군을 사살하고 독자적인 저격 전술을 개발한 소련군 저격수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그의 활약상은 선전에 활용되었으며 일부 기록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지만, 그의 이야기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6군 사령관으로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지휘하다 소련군에 항복했으며, 전후 반나치 활동에 참여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는 등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 1942년 분쟁 - 둘리틀 공습
    둘리틀 공습은 1942년 미국이 일본 본토를 처음으로 공습한 사건으로, 진주만 공격에 대한 보복과 일본의 사기 저하를 위해 지미 둘리틀 중령이 지휘하는 B-25 폭격기 16대가 도쿄 등 일본 주요 도시를 폭격했으며, 일본군에게 큰 충격을 주어 미드웨이 해전에 영향을 미쳤다.
  • 1942년 분쟁 - 죽음의 바탄 행진
    죽음의 바탄 행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탄 반도 전투에서 패한 연합군 포로 약 7만 명이 일본군에 의해 강제 행진을 당하며 기아, 탈수, 질병, 학대로 7,000명에서 10,000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혼마 마사하루 중장이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미국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어 현재까지 추모되고 있다.
겨울 폭풍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일부
날짜1942년 12월 12일 ~ 12월 23일
장소소련 스탈린그라드 남서부
결과소련군의 승리, 스탈린그라드에서 포위된 독일 제6군 구출 작전 실패
교전 세력
교전국 2

지휘관
소련안드레이 예료멘코
로디온 말리놉스키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독일 및 동맹국에리히 폰 만슈타인
헤르만 호트
카를아돌프 홀리트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이탈로 가리볼디
병력 규모
소련군병력: 115,000명
전차: 329대
야포: 1,133문
항공기: 220기
독일군 및 동맹군병력: 124,000명
전차: 211대
야포: 852문
항공기: 500기
피해 규모
소련군불명
독일군 및 동맹군1942년 12월 11일 ~ 12월 31일: 15,751명 (사망: 3,700명, 부상: 10,874명, 실종: 1,086명)
기타 정보
독일군의 [[6호 전차 티거 1]] 전차와 소련군의 [[T-34]] 전차가 소련 남서부에서 일어난 전투 이후에 파괴된 채로 남아 있는 모습
독일 티거 I 전차와 격파된 소련 T-34 전차 (남서부 전투 이후)

2. 배경

1942년 11월 19일, 소련군은 스탈린그라드 남북에서 우라노스 작전이라는 반격을 시작하여, 루마니아 제3군 및 루마니아 제4군이 유지하던 전선을 돌파했다. 11월 23일에는 칼라치 근교에서 남북 공격 부대가 합류하여 포위망이 완성되었다. 이로 인해 독일 제6군을 비롯한 추축군 30여만 명이 스탈린그라드에서 고립되었다.[4][5] 당시 독일 제6군은 스탈린그라드 시가지의 약 90%를 점령하고 완전 점령을 목표로 소련 제62군과 치열한 시가전을 벌이고 있었다.

1942년 11월 19일부터 1943년 3월 1일까지의 동부 전선


아돌프 히틀러는 포위된 제6군에게 스탈린그라드 현 전선 유지를 명령했다. 또한, 제11군 사령부를 기반으로 에리히 폰 만슈타인 원수를 사령관으로 하는 돈 군 집단을 신설했다. 이 집단은 제6군 및 제4기갑군, 루마니아 제3군으로 구성되었으며, 만슈타인의 지휘하에 제6군의 구출 작전인 겨울 폭풍 작전을 실시하게 되었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돈강 방면으로 파견되어 스탈린그라드 남쪽 및 서쪽에서 방어전을 전개 중인 각 군을 통괄하는 임무를 맡았다. 또한 "적의 공격을 중지시킬 것"과 "전에 점령한 지역을 탈환할 것"이라는 요구 사항이 주어졌지만, 현실주의자였던 만슈타인은 처음부터 히틀러가 금지한 제6군의 탈출 작전을 돕는 데 전력을 다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돈 군 집단의 주 전선은 약했기 때문에 만슈타인은 히틀러에게 전력 충원을 요구했고, 이 때문에 A군 집단, OKW 예비대, 다른 전선에서 병력을 이동시키게 되었지만, 이관하는 측에서 꺼리거나 수송상의 문제도 있어서 증원 부대의 도착에는 시간이 걸렸다.

한편, 소련군 최고 사령부 ''스타프카''는 11월 23일, 갇힌 추축군을 파괴하기 위해 외부 포위망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16] 11월 24일, 몇몇 소련 부대는 서쪽에서 있을지 모르는 독일군의 침입에 대비해 참호를 파기 시작했다.[17] 또한 제6군과 다른 추축군 부대의 돌파를 막기 위해 포위 병력을 증강했다.[18] 11월 25일에는 이탈리아 제8군을 파괴하고 돈강 서쪽에 위치한 독일군과 코카서스에서 작전 중인 독일군 간의 통신을 차단하기 위한 토성 작전 계획이 시작되었다.[20][21]

2. 1. 히틀러의 오판과 공수 작전의 실패

아돌프 히틀러는 공군 참모총장 한스 예쇼네크 상급대장의 "공수 수송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답변에 고무되어 1942년 11월 24일 공수 작전 실시를 명령함과 동시에 제6군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에게 스탈린그라드의 현 전선 유지를 명령했다.[9] 그러나 공군이 공수 작전을 위해 가능한 모든 Ju 52 수송기를 전 전역에서 끌어 모았지만, 제6군이 요구한 전력 유지 수준인 하루 700톤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최고 기록이 320톤, 심지어 0톤인 날도 있었다.[10] 500대의 ''루프트바페'' 수송기 함대는 이 임무를 수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11] 많은 항공기가 혹독한 소련의 겨울 날씨 속에서 제대로 운용되지 못했고, 12월 초에는 소련 전투기에 의해 파괴된 독일 화물기보다 사고로 파괴된 항공기가 더 많았다.[12] 제6군은 일일 필요량의 20%도 채 공급받지 못했다.[13]

11월 25일, 제4항공함대의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상급대장은 아돌프 히틀러에게 "공수 수송에는 500대의 Ju 52가 필요하지만 제4항공함대는 298대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으니 제6군의 탈출을 허가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히틀러는 이를 거부했다. 공수 작전이 부진했기 때문에 포위된 부대는 곧 식량난에 빠졌고, 먼저 말을 잡아먹었기 때문에 중장비 이동 등이 어려워져 더욱 전력 저하에 박차를 가했다.

3. 작전의 전개

에리히 폰 만슈타인제6군 구출을 위해 겨울 폭풍 작전(Unternehmen Wintergewitterde)을 계획했다. 이 작전은 돈 집단군이 남서쪽 코텔니코보에서 LVII 기갑군단을 통해 북동쪽으로 진격하고, 상황에 따라 니즈네르치스카야에서 XXXXVIII 기갑군단이 동쪽으로 견제 공격을 하는 것이었다.[24]

만슈타인은 소련군을 칼라치 방면으로 유인하기 위해 서쪽으로 진격하는 척했다. 그 후 헤르만 호트 휘하의 제4기갑군 1개 군단을 파울루스의 고슴도치 진지로 나아가게 하여 제6군 부대와 합류시키고, 식량 보급로를 확보하고자 했다. 만약 성공하면 파울루스는 전군을 동원하여 소련군 포위망을 돌파할 계획이었다.

제11장갑사단은 제6군 구출 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남쪽에서 파견된 부대 중 하나였다. 12월 7일, 이들은 로스토프를 넘고 치르 강으로 접근하던 중 소련군 2개 전차여단과 마주쳤다. 양측은 제79 국영농장 안팎에서 포격전을 벌였고, 밤이 되자 소련군은 방어 태세에 들어갔다. 그러나 제11장갑사단은 공병대대와 88mm포를 남겨두고 적과 대치하는 척하면서 전차부대를 우회시켜 소련군 후방을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전차 53대를 잃고 패주했다.

그 직후, 제11장갑사단은 치르 강변에 소련군이 구축한 교두보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소련군의 증원으로 인해 격전이 벌어졌고, 독일군 전차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제11기갑사단은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기동 방어전을 펼쳤지만, 헤르만 호트의 제4장갑군 주력과 파울루스의 제6군이 기대대로 움직여주어야만 했다.

호트는 12월 12일 진격을 개시했고, 선봉에는 제6기갑사단이 있었다. 이들은 이틀 동안 하루 20km의 속도로 진격했다. 소련군의 저항은 경미했지만, 지형을 잘 이용했다. 진격 2일째에 호트는 아크사이 강에 도착했고, 미시코바 강을 향해 진격했다.

제6기갑사단의 선두 부대는 미시코바 강까지 24km를 남긴 지점에서 소련군 증원 부대와 조우하여 전차 300대와 전투를 벌였다. 독일군은 우수한 포격술로 소련군 전차를 격파했지만, 탄약 부족으로 진격을 멈춰야 했다. 12월 19일, 제6기갑사단은 미시코바 강에 도착했고, 에리히 폰 만슈타인에게 제6군을 향한 최후 돌진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문제는 파울루스가 겨울 폭풍 작전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3. 1. 독일군의 초기 진격과 소련군의 대응

1942년 12월 12일, 헤르만 호트가 지휘하는 독일 제4기갑군은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을 구출하기 위해 북동쪽으로 진격을 개시했다.[51] 주공을 맡은 제6기갑사단제23기갑사단은 소련 제51군을 기습하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첫날에만 일부 부대는 50km까지 전진했다.[52] 독일군은 제503중전차대대의 티거 I 전차를 앞세울 예정이었으나, 이 부대는 1943년 1월 초가 되어서야 전투에 참여했다.[51]

초기 독일군의 진격은 순조로웠다. 소련군은 독일군의 공세가 빠르게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고, 알렉산드르 바실레프스키는 제2근위군을 즉시 투입할 수 없었다.[53] 제6 및 제23 기갑사단은 소련군 포병을 온전히 획득하고, 보병 주력을 격멸하는 등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54] 소련 제51군의 제302소총사단은 12월 12일 말에 궤멸되었다.[55]

그러나 소련군은 곧 전력을 재정비하고 저항하기 시작했다. 12월 13일, 제6 기갑사단은 치르 강 주변의 독일군 방어를 축소하려던 소련 제5전차군과 교전했다.[59][53] 악사이 강을 도하한 독일군은 베르흐네-쿰스키 마을 근처에서 소련군과 격렬한 전차전을 벌였다.[62] 이 전투에서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소련 제4기계화군단은 전차 대부분을 잃었다.[64]

1942년 12월 소련 남부의 독일 3호 전차


소련군은 스탈린과 참모총사령부(스타프카)의 결정에 따라 제2근위군을 투입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다.[70] 12월 16일에는 작은 토성 작전을 개시하여 이탈리아 제8군을 공격했다.[76] 이탈리아군은 큰 타격을 입었고, 이는 독일군에게도 위협이 되었다.[77]

만슈타인은 상황이 어려워지자 공세를 재고할 수밖에 없었다.[80] 제6 기갑사단이 12월 19일에 미시코바 강을 건넜지만,[82] 소련군의 저항이 거세어 더 이상의 진격은 어려웠다. 결국 독일군은 타친스카야 기습으로 큰 피해를 입고 방어에 집중해야 했다.[84]

3. 2. 파울루스의 딜레마와 만슈타인의 고뇌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무전병 10명에게 헤르만 호트 장갑군단의 위치를 추적하게 할 정도로 구출 작전에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그는 딜레마에 빠져 있었다. 휘하 부대 중 3개 사단이 파울루스가 호트와 합류하기 위해 탈출해야 할 바로 그 지역에서 격렬한 방어전을 펴고 있었기 때문에, 방어에서 공세로 전환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또한 탈출 허가가 나올 때까지 전선을 유지할 자신도 없었다. 더 큰 문제는 파울루스에게서 호트와 합류하기 위해 탈출하려는 절박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것이었다.[47][48][49]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파울루스의 의도를 급히 알기 위해 정보 주임참모인 아이스만 소령을 포위망 내의 파울루스 사령부로 파견했다. 아이스만은 제6군이 살 길은 호트 군과의 합류밖에 없다고 필사적으로 설득했지만, 파울루스는 "겨울 폭풍 작전에는 큰 어려움과 위험이 따를 것이다."라며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보급 물자 부족 때문에 겨울 폭풍 작전을 성공시키기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다.[29][50]

슈미트는 파울루스의 발언을 지지하며 제6군이 호트 장갑군과의 합류에 나서는 것은 "패배를 용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제6군은 부활절이 될 때까지 진지를 지키고 있을 것이다. 당신들이 해야 할 일은 좀 더 잘 보급해 주는 것뿐이다."라고 덧붙였다. 파울루스는 "겨울 폭풍 작전은 불가능하다."라고 최종 결정을 내렸다.

만슈타인은 히틀러에게 제6군의 탈출 허가를 요청했지만, 히틀러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았다. 12월 16일, 소련군 대부대가 돈강 상류의 이탈리아 제8군을 분쇄하고 남진하여 만슈타인의 돈 집단군을 위협했고, 코카서스의 독일 A집단군도 위험에 노출되었다. 북서쪽이 무너졌고, 독일 제6군은 괴멸 직전에 놓였으며, 호트의 장갑부대는 안전 한계를 훨씬 넘어 전진해 있었다.

결국 12월 23일, 만슈타인은 호트에게 미시코바 강으로부터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는 이미 미시코바 강 대안 수km까지 진출해 있던 제6기갑사단을 먼저 철수시키기로 했다. 이로써 제6군을 구출하려 한 "겨울 폭풍 작전"은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4. 작전의 실패와 결과

1942년 12월 12일, 독일 제4기갑군은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을 구출하기 위해 북동쪽으로 진격을 시작했다.[51] 초기에는 빠르게 진격했으나,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특히 12월 13일, 제6 기갑사단은 소련 제5전차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59] 베르흐네-쿰스키 근처 전투에서 소련군은 큰 피해를 보았지만, 독일군을 악사이 강까지 밀어냈다.[65]

스타프카는 독일군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제2근위군을 투입했고, 작은 토성 작전을 개시하여 이탈리아 제8군을 격파하고 독일 돈 집단군의 좌익을 위협했다.[72][73][78] 미시코바 강으로의 진격이 어려워지자, 만슈타인은 공세를 재고하게 되었다.[80]

12월 19일, LVII 기갑군단은 악사이 강을 돌파하여 제6군 전선에서 48km 이내까지 접근했지만,[85] 제6군은 돌파를 시도할 힘이 부족했다.[86] 만슈타인은 12월 23일 제6 기갑사단에게 공세를 중단하고 치르 강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렸고,[87] 12월 24일 제4기갑군은 완전히 후퇴했다.[10][88] 결국 겨울 폭풍 작전은 12월 24일에 실패로 끝났다.[89]

작전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히틀러가 제6군의 탈출을 허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만슈타인은 히틀러에게 제6군의 탈출을 요청했지만, 히틀러는 이를 거부했다. 또한, 소련군의 타친스카야 기습으로 독일군의 공수 작전에 큰 차질이 생긴 것도 작전 실패의 한 원인이 되었다.[84]

겨울 폭풍 작전의 실패로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독일 제6군을 포함한 추축군의 운명은 결정되었다. 스탈린그라드의 추축군은 결국 1943년 2월 2일에 항복했다.

4. 1.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전환점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고슴도치 진지에 틀어박혀 무전병 10명에게 호트 장갑군단의 위치를 추적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울루스는 휘하 부대 중 3개 사단이 호트와 합류하기 위해 탈출해야 할 지역에서 격렬한 방어전을 펴고 있어 곤경에 처해 있었다. 그는 방어에서 공세로 전환할 방법을 몰랐고, 탈출 허가가 나올 때까지 전선을 유지할 자신도 없었다. 더 큰 문제는 파울루스에게서 겨울 폭풍 작전에 따라 호트와 합류하기 위해 탈출하려는 절박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만슈타인은 파울루스의 의도를 급히 알기 위해 정보 주임참모인 아이스만 소령을 포위권 내의 파울루스 사령부로 파견했다. 아이스만은 도착하자마자 파울루스와 슈미트 장군과 협의를 시작했지만, 성공할 가망이 없는 임무였다. 파울루스는 겨울 폭풍 작전에 큰 어려움과 위험이 따를 것이라며 동의하지 않았고, 보급 물자 부족 때문에 작전 성공이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다.[96] 슈미트는 파울루스의 발언을 지지하며 제6군이 호트 장갑군과의 합류에 나서는 것은 "패배를 용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제6군은 부활절이 될 때까지 진지를 지킬 것이며, 해야 할 일은 좀 더 잘 보급해 주는 것뿐이라고 덧붙였다. 이 말로 파울루스는 "겨울 폭풍 작전은 불가능하다"라고 결론 내렸다.

파울루스의 딜레마는 만슈타인에게도 큰 두통거리였다. 만슈타인은 히틀러에게 제6군의 탈출 허가를 요청했지만, 히틀러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만슈타인도 멋대로 탈출 지령을 내릴 수 없었다. 그러나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다. 12월 16일, 소련군 대부대가 돈강 상류의 이탈리아 제8군을 분쇄하고 남진을 시작해 만슈타인의 돈 집단군을 위협했고, 코카서스의 독일 A집단군도 위험에 노출되었다. 북서쪽이 무너졌고, 독일 제6군은 괴멸 직전에 놓여 있었으며, 호트의 장갑부대는 안전 한계를 훨씬 넘어 전진해 있었다.

12월 23일, 만슈타인은 헤르만 호트에게 미시코바 강으로부터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는 이미 미시코바 강의 대안 수km까지 진출해 있던 제6장갑사단을 먼저 철수시키기로 했다. 이로써 제6군을 구출하려 한 "겨울 폭풍 작전"은 실패로 끝나게 된다.

독일 구원 작전이 실패하면서, '''스타프카'''는 스탈린그라드 포위전 내의 추축군 파괴와 붉은 군대의 서쪽 진격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90] 붉은 군대는 물러나는 제4 기갑군에 거의 15만 명의 병력과 820대의 전차를 투입할 수 있었으며, 볼스키의 제4 기계화 군단(1942년 12월 18일 제3 근위 기계화 군단으로 개칭)이 재정비를 위해 철수했지만, 제51군, 제1 근위 소총 군단, 제7 전차 군단은 무슈코바 강과 악사이 강 사이에서 퇴각하는 독일군 부대를 공격했다.[91] 3일 만에 공격해온 소련군은 LVII 기갑군단 측면을 방어하는 루마니아군 진지를 돌파했고, 제4 기갑군을 남쪽에서 위협하여 독일군이 계속 남서쪽으로 물러나도록 강요했다.[92] 그 동안, 주로 제11 기갑사단이 이끄는 XLVIII 기갑군단은 치르 강을 따라 그들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93] 성공에도 불구하고 XLVIII 기갑군단은 이탈리아 제8군의 부분적인 붕괴 이후 소련군의 돌파가 임박한 것으로 보이자 로스토프 방어를 위해 급히 투입되었다.[94] 붉은 군대가 악사이 강으로 제4 기갑군을 추격하고 치르 강둑에서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하는 동안, 작전 링(스탈린그라드 내 병력 감소)을 준비하기 시작했다.[95]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은 곧 보급품이 바닥나기 시작했고,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말 고기를 사용했다.[96] 1942년 말까지, 독일 제6군과 포위망 밖의 병력 사이의 거리는 멀어졌고, 이 지역의 대부분의 독일군 부대는 극도로 약해져 있었다.[97] 스탈린그라드를 끝까지 사수하라는 히틀러의 주장은 제6군의 존립을 위협했다.[98] 독일군의 공세가 종료되면서 붉은 군대는 1월 중순에 시작될 코카서스의 독일군 차단 노력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99] 반면에, 제6군의 포위와 파괴 작전은 상당수의 소련군 병력을 묶어 두어 다른 전선의 소련 작전에 영향을 미쳤다.[100]

19일, 만슈타인은 군 집단 정보 참모 아이스만 소령을 스탈린그라드로 보내 파울루스를 설득하려 했지만, 파울루스와 제6군 참모장 아르투어 슈미트 소장은 지금의 제6군에는 탈출 작전을 할 수 있는 연료도 힘도 없다며 탈출 작전 발동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했다. 이를 받아들여 히틀러는 탈출 작전 발동을 거부했다.

23일, 제6 기갑 사단은 치르 강 전선으로 전용되어 사실상 구출 작전은 중단되었다. 제51군과 제2 친위군은 22일부터 무이시코바 강 선에서 공세에 나서 24일에는 독일군을 악사이 강까지 밀어냈다.

24일, 소련 제3 친위군의 제24 전차 군단은 타친스카야의 독일군 공수 작전 비행장을 습격하여 소련군 주장에 따르면 300기 이상, 독일군 주장에 따르면 72기의 항공기가 파괴되어 공수 작전에 큰 타격을 입혔다. (타친스카야 비행장 습격(영어판))

본 작전이 실패하면서 제6군을 포함한 포위된 부대의 운명은 결정되었다. 공수 작전은 그 후에도 계속되었지만, 공수 작전 비행장이 소련군 수중에 떨어지는 등의 결과로 공수량은 결국 생존에 필요한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전후 파울루스의 회고록에 따르면 12월 하순에 최초의 아사자가 나왔다고 한다. 결국, 스탈린그라드의 추축군은 2월 2일에 모두 항복했다.

5. 한국의 시각에서 본 겨울 폭풍 작전

겨울 폭풍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에서 벌어진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한국 전쟁과도 연결된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군이 패배하면서 소련은 동부 전선에서 승기를 잡았고, 이는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반도의 분단과 한국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겨울 폭풍 작전의 실패는 독재자 히틀러의 잘못된 판단과 독단적인 결정이 얼마나 큰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을 제공한다. 이는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며, 민주주의의 중요성과 리더십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계기가 된다. 특히, 권위주의적인 일제 강점기와 독재 정권을 경험한 한국 사회에서는 이러한 교훈이 더욱 중요하게 받아들여진다.

6. 관련 인물

다음은 겨울 폭풍 작전과 관련된 주요 인물들이다.


  • '''에리히 폰 만슈타인''': 당시 독일군에서 가장 유능한 장군 중 한 명으로, 겨울 폭풍 작전을 입안하고 지휘했다. 크림반도 전역에서 뛰어난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독일 제6군의 사령관이었다. 겨울 폭풍 작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작전 실패의 한 원인을 제공했다.
  • '''아돌프 히틀러''': 독일의 총통으로, 제6군의 스탈린그라드 사수를 고집하여 겨울 폭풍 작전 실패의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했다.
  • '''헤르만 호트''': 독일 제4기갑군 사령관으로, 겨울 폭풍 작전에 참여하여 제6군 구출을 시도했다.
  • '''귄터 폰 클루게''': 독일 중부집단군 사령관으로, 만슈타인에게 조언을 제공했다.
  • '''한스 예쇼네크''': 독일 공군 참모총장으로, 공수 작전이 가능하다고 보고하여 히틀러가 제6군 철수를 거부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독일 제4항공함대 사령관으로, 공수 능력 부족을 이유로 제6군 철수를 건의했으나 히틀러에게 거부당했다.
  • '''게오르기 주코프''': 소련군 원수로, 우라노스 작전을 지휘하여 독일 제6군을 스탈린그라드에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

7. 관련 사건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겨울 폭풍 작전의 배경이 된 전투이다. 1942년 11월 23일, 붉은 군대는 스탈린그라드에서 추축군에 대한 포위망을 좁혔다.[4] 약 30만 명의 독일군과 루마니아군 병사들이 스탈린그라드와 그 인근 지역에 갇혔으며,[5] 대략 110만 명의 소련군 병력이 그들을 포위했다.[6]

우라노스 작전은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을 포위한 소련군의 작전이다. 게오르기 주코프 소련 원수는 이 작전을 위해 11개의 소련군을 배치했다.[47] 붉은 군대와 붉은 공군은 100만 명 이상의 병력, 13,500문의 포, 890대의 전차, 1,100대의 전투기를 66개의 소총 사단, 5개의 전차 군단, 14개의 전차 여단, 1개의 기계화 여단, 1개의 기병 군단, 127개의 포병 및 박격포 연대로 조직했다.[49]

토성 작전은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을 더욱 강화하고, 독일군의 구출 시도를 저지하기 위한 소련군의 작전이다. 스탈린그라드에 예상외로 많은 규모의 독일군이 포위되자,[15] 11월 23일 ''스타프카''(소련군 최고 사령부)는 갇힌 추축군을 파괴하기 위해 외부 포위망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16] 11월 25일, 이탈리아 제8군을 파괴하고 돈강 서쪽에 위치한 독일군과 코카서스에서 작전 중인 독일군 간의 통신을 차단하기 위해 이 작전 계획이 시작되었다.[20][21]

참조

[1] 웹사이트 Сталинградская битва. Гл. 8, таб. 11 http://militera.lib.[...]
[2] 웹사이트 Сталинградская битва. Гл. 8, таб. 11 http://militera.lib.[...]
[3] 웹사이트 1942 http://ww2stats.com/[...] 2017-12-17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With Paulus at Stalingrad Pen and Sword Books Ltd.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Cooper (1978), p. 429
[37] 서적 Clark (1965), pp. 259–260
[38] 서적 Clark (1965), pp. 260–261
[39] 서적 Clark (1965), p. 261
[40] 서적 Clark (1965), pp. 261–263
[41] 서적 Clark (1965), p. 264
[42] 서적 Clark (1965), pp. 264–265
[43] 서적 Clark (1965), p. 265
[44] 서적 Clark (1965), p. 266
[45] 웹사이트 4. Panzerarmee https://www.axishist[...] 2013-07-15
[46] 웹사이트 4. Panzerarmee https://www.axishist[...] 2013-07-15
[47] 서적 McTaggart (2006), p. 50
[48] 서적 Erickson (1975), p. 457
[49] 서적 Erickson (1975), p. 462
[50] 서적 Glantz (1996), p. 121
[51] 서적 McCarthy & Syron (2002), p. 145
[52] 서적 McCarthy & Syron (2002), pp. 145–146
[53] 서적 Beevor (1998), p. 298
[54] 서적 Raus (2002), p. 128
[55] 서적 Isaev (2008), p. 365
[56] 서적 Raus (2002), pp. 128–129
[57] 서적 von Manstein (1982), pp. 330–331
[58] 서적 Heiber & Glantz (2003), p. 22
[59] 서적 Raus (2002), p. 147
[60] 서적 Raus (2002), pp. 147–149
[61] 서적 This included a number of flame-thrower [[Kliment Voroshilov tank#KV and other heavy Soviet tanks compared|KV-8]] tanks which were intended to be used in the street fighting in Stalingrad and were not on par with the German [[Panzer IV]] tanks; Isaev (2008), p. 372
[62] 서적 Raus (2002), p. 149
[63] 서적 Joly (2017), p. 171
[64] 서적 Joly (2017), p. 173
[65] 서적 Raus (2002), pp. 147–156
[66] 서적 Raus (2002), pp. 156–158
[67] 서적 Raus (2002), p. 158
[68] 서적 Beevor (1998), pp. 298–299
[69] 서적 Raus (2002), pp. 158–159
[70] 서적 Erickson (1983), pp. 12–13
[71] 서적 2008
[72] 서적 1983
[73] 서적 1998
[74] 서적 1983
[75] 서적 1983
[76] 서적 1998
[77] 서적 1998
[78] 서적 1998
[79] 서적 1983
[80] 서적 1998
[81] 서적 1982
[82] 서적 1983
[83] 서적 1982
[84] 서적 1995
[85] 서적 1982
[86] 서적 1998
[87] 서적 1982
[88] 서적 2002
[89] 서적 1983
[90] 서적 1995
[91] 서적 1983
[92] 서적 1983
[93] 서적 2002
[94] 서적 2002
[95] 서적 1983
[96] 서적 1995
[97] 서적 1983
[98] 서적 1978
[99] 서적 1983
[100] 서적 1995
[101] 문서 ティーガーIを装備した部隊はこの作戦に参加していないので無関係な写真と思われる。ヒトラーは、ティーガーIを装備した503重戦車大隊をマンシュタインに約束していたが、この部隊は輸送中で、この作戦には参加出来なか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