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견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지는 불교 용어로서, 《중아함경》,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구사론》 등에서 그 의미와 수행 단계가 설명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는 견지를 수법행이 도류지를 얻고서 수법행을 버리고 얻는 것으로 정의하며, 견도에 속한 견으로 수도에 속한 견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과위에 머무는 단계에서 근기의 둔하고 예리함에 따라 신해와 견지로 나뉘며, 이근의 수법행 수행자가 반야의 증상력으로 무루 정견을 얻는 것을 견지라고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견지
기본 정보
견지
견지
유형스포츠
종류낚시
견짓법 시연
견짓법 시연
개요
정의임진강과 한강에서 시작된 전통 낚시 기법
특징작은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는 섬세한 기술
주요 대상 어종누치
돌고기
모래무지
역사
기원임진강과 한강
전승 지역영월군
단양군
정선군
전승 과정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승
도구 및 장비
견짓대가늘고 긴 대나무 장대
낚시 줄섬세하고 가벼운 줄
바늘작고 날카로운 바늘
미끼구더기
밀웜
기술
기본 원리물 흐름을 따라 미끼를 자연스럽게 흘려보내 유인
특징적인 동작섬세한 손놀림으로 낚싯줄 조작
기술의 중요성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캐스팅 기술이 중요
보존 및 전승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8호 (1992년)
전승 노력견지 기능보유자와 전수자들이 전승 활동 지속
추가 정보문화재청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추진 중
참고 자료
관련 서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견지)
관련 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경론별 설명

여러 경론에서 설명하는 견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아함경》에서는 견지에 대해 구해탈, 혜해탈, 신증은 아니지만 견도(見到)를 갖는 비구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들은 부처, 법, 승가(僧伽)를 믿고, 들은 법에 따라 지혜와 인(忍)을 왕성하게 한다. 이러한 비구에게 견도가 있으며, 방일하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는 견지(見至)를 수법행이 도류지를 얻고 수법행을 버린 후 얻는 것이라고 정의한다.[15][16] 즉, 수법행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견지라는 이름을 얻으며, 견도를 버리고 수도를 얻는 것이다. 이 견지에 해당하는 보특가라는 예류과이기도 하고 아라한향이기도 하다. 또한, 견지(見至)는 견(見)에 의하여 견에 이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견도에 속한 견에 의하여 수도에 속한 견에 이르게 되고, 향도에 속한 견에 의하여 과도에 속한 견에 이르게 된다. 더불어 견을 우선으로 삼음으로써 마음이 3결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견지라고 한다.[17][18]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과위에 머무는 단계에서 수신행과 수법행 대신 신해와 견지(見至)라는 명칭을 사용한다고 설명한다.[19][20] 이는 수행자의 근기가 둔하고 예리함에 따라 달라지는데, 둔근(鈍根)인 수신행은 (信)의 증상력으로 무루의 정해가 나타나 '신해'가 되고, 이근(利根)인 수법행(慧)의 증상력으로 무루 정견이 나타나 '견지'가 된다.[19]

2. 1. 중아함경

《중아함경》에서는 견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어떤 비구는 구해탈도 아니고 혜해탈도 아니며, 신증도 아니지만 견도(見到)를 갖는다. 이러한 비구는 한결같이 부처, 법, 승가(僧伽)를 믿고, 들은 법에 따라 지혜로 관(觀)을 왕성하게 하고 인(忍)을 왕성하게 한다. 이러한 비구에게는 견도가 있으며, 방일하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방일하지 않는 비구는 모든 근(根)을 항복받고 선지식을 친근히 하며, 이치를 따라 머무르면 모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하고 지혜가 해탈한다. 현세에서 스스로 깨닫고 증득하여 성취하며, 생(生)은 이미 다하고 범행(梵行)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알게 된다.

2. 2.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에서는 견지(見至)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15][16]

: 어떤 이를 견지(見至)의 보특가라라 하는가? 수법행이 도류지를 얻고서 수법행을 버리고 견지를 얻는 것이다.

: 【문】 그는 그럴 때에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얻는가?

: 【답】 이름을 버리고 이름을 얻으며 도를 버리고 도를 얻는다. 이름을 버린다 함은 수법행의 이름을 버리는 것이요, 이름을 얻는다 함은 견지의 이름을 얻는 것이며, 도를 버린다 함은 견도를 버리는 것이요, 도를 얻는다 함은 수도를 얻는 것이다.

: 이 견지의 보특가라는 예류과이기도 하고 나아가 아라한향이기도 하다. 신승해처럼 그 모양을 해설해야 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에서는 견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17][18]

: 【문】 무엇 때문에 견지(見至)라 하는가?

: 【답】 그는 견(見)에 의하여 견에 이르기 때문에 견지라고 한다. 견도에 속한 견에 의하여 수도에 속한 견에 이르게 되고 향도에 속한 견에 의하여 과도에 속한 견에 이르게 된다.

: 또 그 보특가라는 견을 우선으로 삼음으로써 마음이 3결을 벗어나기 때문에 견지라 한다.

: 【문】 신승해도 신지(信至)라 해야 하고 견지도 견승해(見勝解)라 해야 하는데 무엇 때문에 하나는 신승해라고 하고 하나는 견지라고 하는가?

: 【답】 신승해를 신승해라 하는 것과 같이 견지도 견승해라고 해야 하며 견지를 견지라고 하는 것과 같이 신승해도 신지라고 해야 하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은 다른 모양[異相]과 다른 문[異門]으로 법을 말하여 모든 지혜로운 자들이 좋아하며 받아 지니게 하여 서로 뒤섞이거나 어지럽지 않은 것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2. 3.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과위에 머무는 단계에서 수신행과 수법행이라는 명칭 대신 신해와 견지(見至)라는 두 가지 명칭을 사용한다고 설명한다.[19][20] 이는 수행자의 근기, 즉 능력이 둔하고 예리함에 따라 달라진다. 둔근(鈍根)인 수신행은 (信)의 증상력으로 무루의 정해(正解)가 나타나 '신해'가 된다. 반면 이근(利根)인 수법행(慧)의 증상력으로 무루 정견이 나타나 '견지'가 된다.[19] 이처럼 (信)과 (慧)가 서로 증장하여 신해와 견지로 구분된다.[19]

3. 한국 불교에서의 견지

이전 결과물은 빈 텍스트였기 때문에,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결과물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참조

[1] 불교사전 見至(견지) 운허 2022-08-20
[2] 불교사전 見得(견득) 운허 2022-08-20
[3] 시공 불교사전 견지[見至] 곽철환 2022-08-20
[4] 간행물 見至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08-17
[5] 불교사전 善知識(선지식) 운허 2022-08-20
[6] 시공 불교사전 선지식[善知識] 곽철환 2022-08-20
[7] 불광대사전 善知識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08-20
[8] 불광대사전 見至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08-20
[9] 불학사전 見得 불문망 2022-08-20
[10]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2022-08-20
[11]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2022-08-20
[12]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2022-08-19
[13]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2022-08-19
[14] 불학사전 見至補特伽羅 불문망 2022-08-17
[1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2022-08-20
[16]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2022-08-20
[17]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2022-08-20
[18]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2022-08-20
[19]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2022-08-20
[20]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 202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