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에 대한 개방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새로운 경험, 아이디어, 감정에 대한 개인의 수용성을 나타내는 성격 특성이다. 어휘적 방법과 진술 기반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지적 성향과 미적 감상에 대한 개방성이라는 두 가지 주요 하위 요소로 구성된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창의성, 지능, 일반 지식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몰입, 최면 감수성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사회적, 정치적 태도와 관련하여 자유주의적 성향, 관용적인 태도, 그리고 낮은 자민족 중심주의와 편견을 나타낸다. 유전적 요인이 크며, 뇌의 특정 영역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격 - 인격장애
성격장애는 사고방식, 감정, 대인관계, 행동 양식의 지속적인 패턴이 사회적 기대에서 벗어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1과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는 정의와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정신치료(변증법적 행동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 스키마 치료 등)가 중심적인 치료 방법이다. - 성격 -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5가지 성격 특성 요소는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는 모델로, 경험에 대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등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행동과 성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 | |
---|---|
개방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 |
설명 | 새로운 아이디어와 경험에 대한 수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특성 |
관련 요소 | 상상력 감수성 지적 호기심 |
측정 | 다양한 성격 평가 도구 (예: NEO PI-R) |
5요소 모델 | 성격의 5요소 중 하나 |
반대 특성 | 보수성, 폐쇄성 |
특징 | |
높은 개방성 | 창의적, 상상력이 풍부, 지적 탐구심 강함, 예술과 미에 대한 관심, 추상적인 사고 선호, 새로운 경험 추구 |
낮은 개방성 | 현실적, 실용적, 전통적 가치 중시, 변화에 저항, 익숙한 것을 선호 |
심리학적 연관성 | |
지능 | 지능과 약한 상관관계 |
정신병리 | 특정 정신 질환의 증상과 관련 (예: 조현병) |
주관적 웰빙 | 주관적 웰빙과 긍정적인 관계 |
측정 도구 | |
예시 | NEO PI-R BFAS IPIP |
관련 연구 | |
참고 | 성격 심리학, 특성 이론, 5요소 모델 |
2. 측정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지만, 동료 보고나 제3자 관찰도 활용될 수 있다.[7][8] 설문 문항은 형용사(예: 창의적인, 지적인)를 사용하는 어휘적 방법과[7] 서술형 문장(예: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을 좋아한다)을 사용하는 진술 기반 방법으로 나뉜다.[8]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스스로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는 동기적인 측면과, 서로 멀리 떨어진 생각들을 연결하는 유연한 생각 방식을 가지는 구조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13] 개방성이 높은 사람은 새로운 경험을 찾고, 자신을 돌아보는 것을 즐긴다. 반대로 개방성이 낮은 사람은 익숙하고 전통적인 것을 더 편안하게 느낀다.
어휘적 측정은 '창의적인', '지적인', '예술적인', '철학적인', '심오한'과 같은 형용사를 사용한다.[9][10] G. 소시어는 40단어 미니 마커의 일부로 8단어 측정을 개발했다.[10] 그러나 이 측정은 북미 이외의 표본에서는 최적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7] 그 결과, 국제 영어 미니 마커(International English Mini-Markers)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미국 내외에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평가하는 데 좋은 심리 측정적 타당성을 입증했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 측정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영어 원어민과 비원어민 모두에게 0.84이다.[7]
진술 측정은 어휘적 측정보다 더 많은 단어를 사용한다. 5요인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NEO PI-R 및 HEXACO 성격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HEXACO-PI-R에서 사용된 진술 측정 항목의 예로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을 좋아한다" 및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가 있다.[8] NEO PI-R은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 '감정', '가치', '환상', '미학' 및 '행동'의 6가지 측면을 평가한다. HEXACO-PI-R은 '탐구심', '창의성', '미적 감상' 및 '비관습성'의 4가지 측면을 평가한다.
많은 연구에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는 지적 성향과 관련된 '지성'과 미적 감상 및 감각적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같은 경험적 측면과 관련된 '경험 개방성'이라는 두 가지 주요 하위 구성 요소가 있으며, 이 둘은 서로 강한 긍정적 상관 관계(r = .55)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11]
샘 고슬링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집과 작업 공간을 검사하여 개방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독특하고 관습적이지 않은 장식을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책, 다양한 음악 컬렉션 및 전시된 예술 작품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12]
3. 심리적 측면
개방성은 상상력, 예술적 흥미, 정동성, 모험, 지혜, 자유주의의 6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56] 이러한 측면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 개방성을 특정 형질, 습관, 경향이 모인 하나의 큰 성격 특성으로 볼 수 있다. 개방성은 보통 정규 분포를 따르며, 매우 높거나 낮은 소수의 사람들과 중간 정도의 점수를 가진 다수의 사람들로 구성된다.[55] 개방성이 낮은 사람은 전통적이고 익숙한 것을 선호하며, 관심 분야가 좁은 경향이 있다.[57]
개방성은 창의성, 지능, 지식과 어느 정도 관계가 있으며, 몰입성과 관련이 있고, 최면에 걸리기 쉬운 정도와도 약간의 관계가 있다. 개방성은 주관적 행복과는 약간의 관계만 있을 뿐,[58] 정신 장애 증상과는 거의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59]
개방성은 주로 자기 보고 척도로 평가되지만, 동료나 제3자의 관찰로도 평가할 수 있다. 자기 보고 척도에는 어휘 가설에 기반한 것[60]과 발언[61]에 기반한 두 가지가 있다. 어휘 척도는 창의적, 지적, 예술적, 철학적, 심층적 등 개방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사용한다. 기술 척도는 어휘 척도보다 더 많은 단어를 포함하며, NEO PI-R이나 HEXACO 모델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방식을 생각하는 것을 좋아한다"와 같은 문항이 예시이다.[61][64]
개방성은 지적 기질, 감각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된 두 가지 주요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이들은 각각 지성과 경험적 개방성이라고 불리며, 서로 강한 상관관계(r=.55)를 보인다.[65] 샘 고슬링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집이나 방을 통해 그 사람의 개방성을 짐작할 수 있다. 개방성이 높은 사람은 독특하고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장식을 하고, 다양한 주제의 책, 음악, 예술 작품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66]
개방성의 하위 특성은 다음과 같다.[67]낮은 값의 사람의 특징 높은 값의 사람의 특징 설명 단어 하위 특성 단어 설명 익숙한 일상을 편안하게 느끼며, 거기서 벗어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안정적 모험 모험적 새로운 경험을 갈망한다.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예술적 활동과 창조적 활동에 대한 관심이 적다. 예술 무관심 예술적 관심 예술적 안목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고, 창조적 경험을 추구한다. 자신의 감정에 대해 생각하거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냉정 정서 감정적 자각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안다. 상상력보다 사실을 우선시한다. 현실적 상상력 공상적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선호하며, 추상적인 사고를 거의 하지 않는다. 구체적 지성 철학적 새로운 생각에 열려 있으며, 관심을 가지고 더 알고 싶어한다. 전통을 따르고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권위 존중 자유주의 권위에 도전적 권력이나 전통적 가치에 도전하여 변화를 만들고 싶어한다.
3. 1. 창의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확산적 사고 검사로 측정되는 창의성과 상관관계가 있다.[14]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예술적 창의성과 과학적 창의성 모두와 연관되어 있으며, 직업 예술가, 음악가, 과학자들이 일반 인구보다 개방성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15][69][70][71]
3. 2. 지능 및 지식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지능과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r=.30~.45)를 보인다.[16][72] 이러한 관계는 어떤 지능 구성 요소를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결정성 지능과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유동성 지능과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약하다.[16][18][72][73]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측면 중 아이디어 및 행동 측면은 유동성 지능과 완만한 양의 상관관계(각각 ''r''=.20 및 ''r''=.07)를 보였다.[16][72]
여러 연구에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일반 지식,[19][20][74][75] 특히 언어적 지식과의 긍정적인 연관성이 발견되었다.[17][76]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지식을 늘리는 지적 추구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더 높을 수 있다.[20][77] 경험에 대한 개방성, 특히 아이디어 측면은 인지 욕구(아이디어에 대해 생각하고, 정보를 면밀히 조사하고, 퍼즐을 푸는 것을 즐기는 동기적 경향) 및 전형적인 지적 참여(인지 욕구와 유사한 구성)와 관련이 있다.[21][22][23][78][79][80]
3. 3. 몰입 및 최면 감수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몰입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개인의 표상(지각적, 행동적, 상상적, 관념적) 자원을 완전히 활용하는 '완전한' 주의 에피소드를 경험하는 성향"으로 정의된다.[25] 몰입은 최면 감수성의 개인차를 더 넓은 성격 측면과 연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24][26]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몰입과 마찬가지로 최면 감수성과 중간 정도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26] 요인 분석에 따르면, 개방성의 하위 요인 중 환상, 미학, 감정 측면은 몰입 및 최면 감수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이를 예측하는 반면, 아이디어, 행동, 가치 측면은 이러한 구성 요소와 거의 관련이 없다.[24][26]
이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두 개의 뚜렷하지만 관련된 하위 차원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나는 환상, 미학, 감정 측면으로 평가되는 주의와 의식의 측면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적 호기심과 사회/정치적 자유주의와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개방성'이라는 공통적인 주제를 가진다. 이러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2차원적 관점은 최면 감수성과 관련이 깊다.
3. 4. 다른 성격 특성과의 관계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NEO-PI-R에서 평가되는 외향성과 상당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27] 또한 자극 추구, 특히 경험 추구 측면과도 적당한 수준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28] 기질 및 성격 검사와 빅5 성격 특성 모델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자기 초월( "영적인" 특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새로운 것을 추구(개념적으로 자극 추구와 유사)와도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고,[29] 위험 회피와는 적당한 수준의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29]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된 "직관" 선호도를 측정한다.[30] 로버트 맥크레이는 MBTI의 감각 대 직관 척도가 "사실적이고 단순하며 관습적인 것을 선호하는 것과 가능하고 복잡하며 독창적인 것을 선호하는 것을 대조한다"는 점에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 척도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31]
4. 사회적, 정치적 태도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사회적, 정치적 태도와 관련이 깊은 성격 특성이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며, 다양성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갖는 경향이 있다.[32] 이들은 다른 문화나 생활 방식에 대해 더 열려 있으며, 자민족 중심주의, 우익 권위주의[33], 사회 지배 성향, 편견 등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34]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다른 성격 특성보다 우익 권위주의와 더 강한 부정적 관계를 갖는다.[34] 또한, 낮은 친화성보다 사회 지배 성향과 다소 약한 부정적 관계를 가지며, 다른 어떤 특성보다도 편견과 강한 부정적 관계를 갖는다.[34] 그러나 우익 권위주의와 사회 지배 성향은 각각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나 다른 성격 특성보다 편견과 더 강한 긍정적 관계를 보인다.[34]
한편,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편견 사이의 관계는 다소 복잡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다룬 편견은 주로 성적 소수자나 민족적 소수자와 같은 전통적인 소수 집단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에,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이라도 자신과 다른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관용적이지 않을 수 있다.[35]
보수주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문화적 보수주의는 낮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모든 측면에서 관련이 있지만,[36] 경제적 보수주의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 전체와는 관련이 없고, 미학 및 가치 측면과 약한 부정적 관계를 보일 뿐이다.[36] 경제적 보수주의는 이념에 더 기반을 두는 반면, 문화적 보수주의는 심리적인 경향이 더 강하며, 단순하고 안정적이며 익숙한 관습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36]
5. 주관적 안녕감 및 정신 건강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행복, 긍정적 정서, 삶의 질과 작지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활 만족도, 부정적 정서, 전반적인 정서와는 관련이 없거나 약한 관계를 보인다.[5] 이러한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외향성, 신경성, 성실성, 친화성 같은 다른 5가지 요인 모델 특성보다 약한 경향이 있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정신 질환과의 관련성은 낮거나 일관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6] 하지만, 노년기의 우아한 노화에 기여하여 노인의 건강한 기억력과 언어 능력을 촉진하고 다른 여러 가지 중요한 인지적 특징을 촉진할 수 있다.[39]
6. 성격 장애
높은 개방성은 분열형 성격 장애(기이하고 단편적인 사고), 자기애성 성격 장애(과도한 자기 평가), 편집성 성격 장애(외부 적대감에 대한 민감성)와 관련이 있다.[40][41][102][103] 통찰력 부족(낮은 개방성)은 모든 성격 장애의 특징이며, 부적응적 행동 패턴이 지속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41][103]
강직성은 낮은 개방성의 가장 명백한 측면이며, 자신의 감정적 경험에 대한 지식 부족을 보여준다. 이는 강박성 성격 장애의 가장 큰 특징이다. 반대로 충동성(여기서는 특이하거나 자폐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이는 개방성의 한 측면)은 분열형 성격 장애 및 경계선 성격 장애의 특징이다.[41][103]
7. 종교성 및 영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다양한 유형의 종교성 및 영성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42] 일반적인 종교성은 낮은 개방성과 약한 관련이 있다. 종교적 근본주의는 낮은 개방성과 다소 더 실질적인 관계를 갖는다. 환각 버섯 사용으로 인한 신비 체험은 개방성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04]
8. 성별
55개국에서 빅5 성격 특성의 성차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 간의 평균 차이는 거의 없었다.[43][105] 8개 문화권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4개 문화권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개방성의 감정 측면에서, 남성은 아이디어 측면에서 더 높은 경향이 있지만, 55개국 연구에서는 개별 측면을 평가하지 않았다.[43][105]
9. 꿈 회상
꿈 기억 빈도에 대한 개인차 연구에 따르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꿈 기억과 관련된 유일한 빅5 성격 특성이다. 꿈 기억 빈도는 몰입 및 해리와 같은 유사한 성격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 꿈 기억과 이러한 특성 간의 관계는 의식의 연속성 이론의 증거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특성이 높은 사람들과 같이 낮 동안 생생하고 특이한 경험을 하는 사람들은 더 기억에 남는 꿈 내용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꿈 기억력이 더 좋다.[44][106]
10. 성(性)
개방성은 성(性)의 여러 측면과 관련이 있다. 개방성이 높은 남성과 여성은 성에 대한 정보가 더 많고, 더 넓은 성적 경험을 하며, 더 강한 성적 욕구를 가지고 있고, 더 자유로운 성적 태도를 보인다.[31] 부부 관계에서 아내의 개방성 정도는 성적 만족도와 관련이 있지만, 남편의 개방성 정도는 관련이 없다. 이는 개방적인 아내가 다양한 새로운 성적 경험을 탐구하려는 의지가 더 강하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두 배우자 모두에게 더 큰 만족을 가져다준다.[36] 이성애자에 비해 동성애자, 무성애자, 양성애자는 평균적으로 더 높은 개방성을 보인다.[45]
11. 유전 및 생리적 기반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다른 빅5 성격 특성과 마찬가지로 유전적 요소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동일한 DNA를 가진 일란성 쌍둥이는 서로 다른 가정에 입양되어 매우 다른 환경에서 자랐더라도 경험에 대한 개방성 점수가 유사하게 나타난다.[46] 토마스 J. 부샤드 주니어와 맷 맥그의 네 쌍둥이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빅5 특성 중 가장 유전성이 높은 (평균 57%) 것으로 나타났다.[47]
더 높은 수준의 개방성은 상행 dopaminergic|도파민성영어 시스템과 배외측 전전두피질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배외측 전전두피질 기능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검사와 상관관계가 있는 유일한 성격 특성이며, 경험에 대한 개방성, 인지 기능, 그리고 지능 지수 간의 이론적 연관성을 뒷받침한다.[48]
12. 지리적 분포
이탈리아의 연구에 따르면, 티레니아해의 섬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인근 본토에 거주하는 사람들보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조상들이 20세대 동안 섬에 거주해 온 사람들은 최근에 이주해 온 사람들보다 개방성이 낮았다. 섬에서 본토로 이주한 사람들은 섬에 머무르는 사람들 및 섬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보다 개방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49][113]
미국 동부 및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미국 중서부와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사람들보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았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곳은 뉴욕, 오리건, 매사추세츠, 워싱턴, 캘리포니아였다.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곳은 노스다코타, 와이오밍, 알래스카, 앨라배마, 위스콘신이었다.[50][114]
13. 약물 사용
심리학자들은 1960년대 초반에 마리화나 사용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묘사하기 위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개방성은 높은 창의성, 모험심, 내적 감각에 대한 새로운 자극 추구, 낮은 권위주의로 정의되었다. 여러 상관 연구에서 이러한 특성 집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젊은이들이 마리화나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51]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현대적인 개방성 척도를 사용하여 이러한 결과를 재현했다.[52]
문화 간 연구에 따르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은 문화는 MDMA 약물 사용률이 더 높지만, 네덜란드에서 개인 수준의 연구에서는 사용자 및 비사용자 간의 개방성 수준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36] MDMA 사용자는 비사용자보다 외향성이 높고 성실성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
2011년 연구에 따르면 실로시빈 사용 후 개방성(다른 특성이 아닌)이 증가했으며, 이는 14개월 후에도 유지되는 효과였다.[53] 이 연구는 실로시빈을 복용하는 동안의 신비 체험 수준의 개인적 차이가 개방성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 '완전한 신비 체험'의 기준을 충족한 참가자는 개방성에서 유의미한 평균 증가를 경험한 반면,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참가자는 개방성에서 평균 변화가 없었다. 신비 체험과 관련된 개방성의 여섯 가지 세부 요인 중 다섯 가지(행동 제외)가 이러한 증가 패턴을 보였다. 완전한 신비 체험을 한 사람들의 개방성 증가(세부 요인 및 총점 포함)는 약물 복용 후 1년 이상 유지되었다. 완전한 신비 체험을 한 참가자는 기준선과 후속 조치 사이에 4점 이상의 T-점수 변화를 보였다. 이에 비해 개방성은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라 10년마다 1 ''T''-점수 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조
[1]
논문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https://psycnet.apa.[...]
[2]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Five-Factor Model and its applications
https://digitalcommo[...]
[3]
서적
NEO personality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
논문
Measured intelligence, achievement, openness to experience, and creativity
https://www.scienced[...]
2004-03-01
[5]
논문
R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https://psycnet.apa.[...]
[6]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symptoms of clinical disorders: a meta-analysis
https://link.springe[...]
[7]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https://www.scienced[...]
2008-10-01
[8]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https://www.scienced[...]
[9]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https://psycnet.apa.[...]
[10]
논문
Mini-Markers – a brief version of Goldberg's unipolar big-five markers
https://www.tandfonl[...]
[11]
논문
Introducing the Special Section on Openness to Experience: Review of Openness Taxonomies, Measurement, and Nomological Net
https://www.tandfonl[...]
[12]
서적
Snoop: What your stuff says about you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3]
서적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Elsevier
[14]
논문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and openness to experience
https://zenodo.org/r[...]
2020-09-05
[15]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ersonality o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15]
논문
Musical expertise and personality – differences related to occupational choice and instrument categories
https://www.scienced[...]
2021-04-01
[16]
논문
What facets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predict fluid intelligence score?
https://www.scienced[...]
[17]
논문
Meta-analytic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y
2023-06-06
[18]
서적
The origin of mind: Evolution of brain, cognition, and general intelligence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
논문
Personality, intelligence, and general knowledge
https://www.scienced[...]
[19]
논문
Ability and personality correlates of general knowledge
https://www.scienced[...]
[19]
논문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 acquisition of general knowledge
https://www.scienced[...]
[20]
논문
Cognitive ability, learning approaches and personality correlates of general knowledge
https://www.tandfonl[...]
[21]
논문
Same or Different? Clarifying the Relationship of Need for Cognition to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https://journals.sag[...]
[22]
논문
Relation Between Typical Intellectual Engagement and Openness : Comment on Goff and Ackerman (1992)
https://psycnet.apa.[...]
[23]
논문
Epistemic curiosity and related constructs: Lacking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https://www.scienced[...]
[24]
서적
Introduction to personality
https://archive.org/[...]
Longman
[25]
논문
Openness to absorbing and self-altering experiences ('absorption'), a trait related to hypnotic susceptibility
https://psycnet.apa.[...]
1974-06-01
[26]
논문
Absorpt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hypnotizability
https://psycnet.apa.[...]
1991-02-01
[27]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Zuckerman's three structural models for personality through the NEO-PI-R, ZKPQ-III-R, EPQ-RS and Goldberg's 50-bipolar adjectives
https://www.scienced[...]
[28]
논문
Is Openness to Experience an Independent Personality Dimension?
http://web.udl.es/us[...]
2019-12-13
[29]
논문
Cloninger's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https://www.scienced[...]
[30]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https://www.scienced[...]
[31]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Expanding the boundaries of Factor V
https://zenodo.org/r[...]
2019-09-11
[32]
논문
Social consequences of experiential openness
https://zenodo.org/r[...]
2019-12-13
[32]
논문
The end of the end of ideology
https://psycnet.apa.[...]
[33]
논문
Personality and emotional correlates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https://www.ingentac[...]
[34]
논문
Personality and prejudice: a meta-analysis and theoretical review
https://journals.sag[...]
[35]
논문
Bounded openness: The effect of openness to experience on intolerance is moderated by target group conventionality
https://psycnet.apa.[...]
[35]
논문
The Psychology of Intolerance: Unpacking Diverse Understandings of Intolerance
[36]
서적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https://archive.org/[...]
The Guildford Press
[37]
논문
Does Openness to Experience predict changes in conservatism? A nine-wave longitudinal investigation into the personality roots to ideology
https://www.scienced[...]
[38]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and active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A trait and facet-level analysis
https://www.scienced[...]
[39]
multiref
Openness to experience, identity flexibility, and life change in adults.
https://psycnet.apa.[...]
[40]
논문
Maladaptively high and low openness: the case for experiential permeability
https://onlinelibrar[...]
2012-12
[41]
논문
Using the Five-Factor Model to Identify a New Personality Disorder Domain: The Case for Experiential Permeability
https://psycnet.apa.[...]
[42]
논문
Religion and the five-factors of personality: A meta-analytic review
https://www.scienced[...]
[43]
논문
Why can't a man be more like a woman? Sex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cross 55 cultures
https://psycnet.apa.[...]
[44]
논문
To dream, perchance to remember: Individual differences in dream recall
https://www.scienced[...]
[45]
논문
Personality and Sexual Orientation: Extension to Asexuality and the HEXACO Model
https://www.tandfonl[...]
[46]
논문
Heritability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their facets: A twin study
https://onlinelibrar[...]
[47]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human psychological differences
null
[48]
논문
Sources of openness/intellect: cognitive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fifth factor of personality
[49]
논문
The adaptive value of personality differences revealed by small island population dynamics
https://journals.sag[...]
[50]
multiref
[51]
multiref
[52]
논문
The relations among personality, symptoms of alcohol and marijuana abuse, and symptoms of comorbid psychopathology: Results from a community sample
https://psycnet.apa.[...]
[53]
논문
Mystical experiences occasioned by the hallucinogen psilocybin lead to increases in the personality domain of openness
[54]
논문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55]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Five-Factor Model and its applications
https://doi.org/10.1[...]
[56]
서적
NEO personality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57]
논문
Measured intelligence, achievement, openness to experience, and creativity
https://doi.org/10.1[...]
2004-03
[58]
논문
R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59]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symptoms of clinical disorders: a meta-analysis
[60]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2008-10
[61]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62]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63]
논문
Mini-Markers – a brief version of Goldberg's unipolar big-five markers
[64]
웹사이트
Welcome
https://www.scopus.c[...]
[65]
논문
Introducing the Special Section on Openness to Experience: Review of Openness Taxonomies, Measurement, and Nomological Net
[66]
서적
Snoop: What your stuff says about you
Basic Books
[67]
웹사이트
Big Five Personality Facets: Descriptions of High and Low Values
https://web.archive.[...]
2018-11-26
[68]
서적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Elsevier
[69]
논문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and openness to experience
https://zenodo.org/r[...]
[70]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ersonality o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71]
논문
Musical expertise and personality – differences related to occupational choice and instrument categories
https://www.scienced[...]
2021-04-01
[72]
논문
What facets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predict fluid intelligence score?
[73]
서적
The origin of mind: Evolution of brain, cognition, and general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4]
논문
Ability and personality correlates of general knowledge
[75]
논문
Personality, intelligence, and general knowledge
[76]
논문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 acquisition of general knowledge
[77]
논문
Cognitive ability, learning approaches and personality correlates of general knowledge
[78]
논문
Same or Different? Clarifying the Relationship of Need for Cognition to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79]
논문
Relation Between Typical Intellectual Engagement and Openness : Comment on Goff and Ackerman ( 1992 )
[80]
논문
Epistemic curiosity and related constructs: Lacking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81]
서적
Introduction to personality
https://archive.org/[...]
Longman
[82]
논문
Openness to absorbing and self-altering experiences ('absorption'), a trait related to hypnotic susceptibility
1974-06
[83]
논문
Absorpt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hypnotizability
1991-02
[84]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Zuckerman's three structural models for personality through the NEO-PI-R, ZKPQ-III-R, EPQ-RS and Goldberg's 50-bipolar adjectives
[85]
논문
Is Openness to Experience an Independent Personality Dimension?
https://semanticscho[...]
2019-12-13
[86]
논문
Cloninger's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87]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88]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Expanding the boundaries of Factor V
http://journals.sage[...]
1994-11
[89]
논문
Social consequences of experiential openness
https://zenodo.org/r[...]
2019-12-13
[90]
논문
The end of the end of ideology
[91]
논문
Personality and emotional correlates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92]
논문
Personality and prejudice: a meta-analysis and theoretical review
[93]
논문
Bounded openness: The effect of openness to experience on intolerance is moderated by target group conventionality
[94]
논문
The Psychology of Intolerance: Unpacking Diverse Understandings of Intolerance
[95]
논문
Does Openness to Experience predict changes in conservatism? A nine-wave longitudinal investigation into the personality roots to ideology
[96]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and active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A trait and facet-level analysis
[97]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identity flexibility, and life change in adults.
https://doi.org/10.1[...]
1986
[98]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is related to better memory ability in older adults with questionable dementia
https://doi.org/10.1[...]
2013-06
[99]
논문
Cognitive engagement and cognitive aging: Is openness protective?
https://doi.org/10.1[...]
2010-03
[100]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and activity engagement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verbal ability in older adults.
https://doi.org/10.1[...]
2012
[101]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intelligence, and successful ageing
https://doi.org/10.1[...]
2010-06
[102]
논문
Maladaptively high and low openness: the case for experiential permeability
2012-12
[103]
논문
Using the Five-Factor Model to Identify a New Personality Disorder Domain: The Case for Experiential Permeability
[104]
논문
Religion and the five-factors of personality: A meta-analytic review
[105]
논문
Why can't a man be more like a woman? Sex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cross 55 cultures
[106]
논문
To dream, perchance to remember: Individual differences in dream recall
[107]
서적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https://archive.org/[...]
The Guildford Press
[108]
논문
Personality and Sexual Orientation: Extension to Asexuality and the HEXACO Model
2017-02-23
[109]
논문
Heritability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their facets: A twin study
1996-09
[110]
논문
Serotonin transporter promoter polymorphism, peripheral indexes of serotonin function, and personality measures in families with alcoholism
https://digitalcommo[...]
2019-12-13
[111]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human psychological differences
2003
[112]
논문
Sources of openness/intellect: cognitive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fifth factor of personality
[113]
논문
The adaptive value of personality differences revealed by small island population dynamics
[114]
뉴스
The United States of Mind. Researchers Identify Regional Personality Traits Across America
https://www.wsj.com/[...]
2017-08-08
[115]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and marijuana use in high school students
[116]
논문
Undergraduate marijuana use as related to internal sensation novelty seeking and openness to experience
[117]
논문
The relations among personality, symptoms of alcohol and marijuana abuse, and symptoms of comorbid psychopathology: Results from a community sample
[118]
논문
Mystical experiences occasioned by the hallucinogen psilocybin lead to increases in the personality domain of openness
20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