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선의 길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선의 길이는 곡선 상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값이다. 유클리드 공간 또는 거리 공간에서 연속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구간을 분할하여 다각형 경로로 근사할 수 있다. 곡선이 매끄러울 경우, 분할을 무한히 세분화하면 적분을 통해 호의 길이를 정의할 수 있다. 17세기에는 미적분학의 발달과 함께 호의 길이를 계산하는 방법이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적분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극좌표, 구면 좌표, 원통 좌표 등 다양한 좌표계에서 호의 길이를 계산하는 공식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경우 닫힌 형식으로 해를 구할 수 없어 수치 적분을 사용한다. 일부 곡선은 무한 길이를 가지며, 유사 리만 다양체로 일반화하여 정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개념 - 차원
차원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에서 객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핵심 개념으로, 수학에서는 객체 위의 점이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의 수, 물리학에서는 시공간, 컴퓨터 과학에서는 기하 기본 요소 정의나 문자 코드 묶음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수학 개념 - 무차원량
무차원량은 물리량의 차원이 1인 값으로, 동일 종류 물리량의 비율이나 물리 상수 정규화로 얻어지며, 물리 법칙의 단위계 독립성을 나타내는 버킹엄 π 정리에 의해 중요성이 강조되고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 미적분학 정리 - 연쇄 법칙
연쇄 법칙은 둘 이상의 미분 가능한 함수 합성의 미분법을 제공하며, z의 y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과 y의 x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을 곱하여 z의 x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을 계산하는 직관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변수 함수, 다변수 함수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된다. - 미적분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 곡선 - 선적분
선적분은 스칼라장이나 벡터장의 곡선에 대한 적분으로, 함수의 종류와 곡선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물리학과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곡선 - 아스트로이드
아스트로이드는 별 모양의 곡선으로, `x2/3 + y2/3 = a2/3` (a는 상수)로 표현되는 6차 실수 대수곡선이며, 매개변수 방정식, 페달 방정식 등 다양한 수학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고, 면적은 (3/8)πa², 둘레는 6a이며, 원 내부에서 작은 원이 구르며 생기는 자취로도 설명된다.
곡선의 길이 | |
---|---|
정의 | |
정의 | 곡선의 길이는 곡선의 주어진 두 점 사이의 호의 길이이다. |
역사적 용어 | 곡선의 정량화 |
공식 | |
미분 가능한 함수 | y = f(x), a ≤ x ≤ b 곡선의 길이 L = ∫ab √(1 + (dy/dx)2) dx |
매개변수 방정식 | x = x(t), y = y(t), a ≤ t ≤ b 곡선의 길이 L = ∫ab √((dx/dt)2 + (dy/dt)2) dt |
극좌표 | r = f(θ), α ≤ θ ≤ β 곡선의 길이 L = ∫αβ √(r2 + (dr/dθ)2) dθ |
3차원 공간 | 곡선의 길이 L = ∫ab |r'(t)| dt, 여기서 r'(t)는 속도 벡터이다. |
추가 정보 | |
관련 개념 | 미분 기하학 곡률 측지선 |
2. 정의
평면의 곡선은 곡선상의 점들을 (직선) 선분으로 연결하여 다각형 경로를 생성하여 근사할 수 있다. 각 선분의 길이는 (예를 들어, 유클리드 공간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근사의 총 길이는 각 선분의 길이를 합산하여 구할 수 있으며, 이 근사는 ''(누적) 현 거리''라고 알려져 있다.[1]
곡선이 이미 다각형 경로가 아닌 경우, 점차 더 많은 수의 짧은 선분을 사용하면 곡선 길이를 더 잘 근사할 수 있다. 곡선을 연결된 (직선) 선분으로 근사하여 곡선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곡선의 ''교정''이라고 한다. 연속적인 근사의 길이는 감소하지 않고 무한정 증가할 수 있지만, 매끄러운 곡선의 경우 선분의 길이가 임의로 작아지면 유한한 극한에 가까워진다.
일부 곡선의 경우, 모든 다각형 근사(교정)의 길이에 대한 상한인 가장 작은 수 이 존재한다. 이러한 곡선을 '''가선'''이라고 하며, '''호의 길이'''는 숫자 로 정의된다.
'''부호 있는 호의 길이'''는 곡선에서 원점으로 간주되는 기준점에 대한 방향 또는 "방향" 감각을 전달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참고: 곡선 방향 및 부호 있는 거리).[2]
을 단사이고 연속 미분 가능 (즉, 도함수가 연속 함수임) 함수라고 하자. 로 정의된 곡선의 길이는 세그먼트 수가 무한대에 가까워질 때 의 정규 분할에 대한 선형 세그먼트 길이의 합의 극한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고 (). 이 정의는 호의 표준 정의와 동등하다.
마지막 등식은 다음 단계로 증명된다.
# 미적분학의 제2 기본 정리는 다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는 에서 로 매핑되고 이다. 아래 단계에서 다음의 동등한 표현이 사용된다.
# 함수 는 닫힌 구간 에서 실수 집합으로의 연속 함수이므로, 하이네-칸토어 정리에 따라 균등 연속이므로, 양의 실수 에 대한 양의 실수이자 단조 감소하지 않는 함수 가 존재하여 이면 여기서 이고 이다. 다음 수식의 극한 를 고려해보자.
위 단계의 결과를 사용하여, 다음이 된다.
항들을 재배열하면 다음이 된다.
여기서 가장 왼쪽에 있는 가 사용된다. 에 의해, 다음이 된다.
, 를 사용하여, 극한 에서 이므로 이므로, 왼쪽이 에 접근한다. 즉,
이고, 이 등식의 오른쪽은 에 대한 리만 적분이다. 이 호의 길이 정의는 연속 미분 가능한 함수 로 표현된 곡선의 길이가 에서 항상 유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가장 길이를 잴 수 있다.
도함수의 노름의 적분으로 매끄러운 곡선의 호의 길이 정의는 다음 정의와 동등하다.
여기서 상한은 의 모든 가능한 분할 에 대해 취해진다.[3] 이 정의는 가 미분 가능하지 않고 단순히 연속적인 경우에도 유효하다.
곡선은 무한히 많은 방식으로 매개변수화될 수 있다. 를 임의의 연속 미분 가능한 전단사라고 하자. 그러면 은 처음에 로 정의된 곡선의 다른 연속 미분 가능한 매개변수화이다. 곡선의 호의 길이는 곡선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 매개변수화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유클리드 공간이나 더 일반적인 거리 공간에서 곡선 는 실수 직선 내의 닫힌 구간 에서 거리 공간으로의 연속 사상 의 상이다.
구간 에 대한 구간의 분할
:
4. 적분을 이용한 호의 길이 계산
평면의 곡선은 곡선상의 점들을 (직선) 선분으로 연결하여 다각형 경로를 생성하여 근사할 수 있다. 각 선분의 길이는 (예를 들어, 유클리드 공간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근사의 총 길이는 각 선분의 길이를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근사는 ''(누적) 현 거리''라고 알려져 있다.[1]
곡선이 이미 다각형 경로가 아닌 경우, 점차 더 많은 수의 짧은 선분을 사용하면 곡선 길이를 더 잘 근사할 수 있다. 곡선을 연결된 (직선) 선분으로 근사하여 곡선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곡선의 ''교정''이라고 한다. 연속적인 근사의 길이는 감소하지 않고 무한정 증가할 수 있지만, 매끄러운 곡선의 경우 선분의 길이가 임의로 작아지면 유한한 극한에 가까워진다.
일부 곡선의 경우, 모든 다각형 근사(교정)의 길이에 대한 상한인 가장 작은 수
:
여기서
:
연속 미분 가능한 함수
도함수의 노름의 적분으로 매끄러운 곡선의 호의 길이 정의는 다음 정의와 동등하다.
:
여기서 상한은
곡선은 무한히 많은 방식으로 매개변수화될 수 있다.
:
L(f) &= \int_a^b \Big|f'(t)\Big|\ dt = \int_a^b \Big|g'(\varphi(t))\varphi'(t)\Big|\ dt \\
&= \int_a^b \Big|g'(\varphi(t))\Big|\varphi'(t)\ dt \quad \text{경우 }\varphi\text{가 감소하지 않음} \\
&= \int_c^d \Big|g'(u)\Big|\ du \quad \text{치환 적분 사용}\\
&= L(g).
\end{align}
: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
호의 길이에 대한 폐쇄 형식의 해가 있는 곡선에는 현수선, 원, 사이클로이드, 로그 나선, 포물선, 절반 입방 포물선 및 직선이 포함된다. 타원 및 쌍곡선 호의 길이에 대한 폐쇄 형식 해가 없다는 것은 타원 적분의 개발로 이어졌다.
4. 1. 수치 적분
대부분의 경우, 단순한 곡선을 포함하여 호의 길이에 대한 폐쇄형 해가 없으므로 수치 적분이 필요하다.[1] 호 길이 적분의 수치 적분은 대개 매우 효율적이다.[1] 예를 들어, 호 길이 적분을 수치 적분하여 단위 원의 1/4 길이를 구하는 문제를 고려해 보자.[1] 단위 원의 윗부분은:
이 적분에 대한 15점 가우스-크론로드 규칙 추정값은 1.570796326808177이고, 실제 길이
:
와 1.3e-11만큼 차이가 나고, 16점 가우스 구적법 규칙 추정값 1.570796326794727은 실제 길이와 1.7e-13만큼 차이가 난다.[1] 즉, 16번의 피적분 함수 계산만으로 이 적분을 거의 머신 엡실론에 가깝게 계산할 수 있다.[1]
4. 2. 다양한 좌표계에서의 호의 길이
극좌표, 구면 좌표, 원통 좌표 등 다양한 좌표계에서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살펴본다.극좌표는 평면 위의 점을 거리와 각도로 나타내는 좌표계이며, 구면 좌표는 3차원 공간에서 점을 거리, 극각, 방위각으로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원통 좌표는 3차원 공간에서 점을 거리, 각도, 높이로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이러한 좌표계들에서 곡선의 길이는 각각 다르게 표현된다.[1]
4. 2. 1. 극좌표
극좌표로 표현된 곡선 '''C''''(t) = (r(t), θ(t))가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극좌표에서 직교 좌표로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x''''(r, θ) = (rcos|코스영어θ, rsin|사인영어θ).
호의 길이 적분식의 피적분 함수는
따라서 극좌표로 표현된 곡선의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int_{\theta(t_1)}^{\theta(t_2)} \sqrt{\left(\frac{dr}{d\theta}\right)^2 + r^2 \,} d\theta.
두 번째 식은 t=θ로 매개변수화된 극좌표 그래프 r = r(θ)에 대한 식이다.
4. 2. 2. 구면 좌표
:
연쇄 법칙을 사용하면
:
따라서 구면 좌표로 표현된 곡선의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1]
:
4. 2. 3. 원통 좌표
원통 좌표로 표현된 곡선의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 간단한 경우
원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할 때, 원주의 길이는 \(C = 2\pi r\)로 표현된다. 반원의 경우 호의 길이는 \(s = \pi r\)이다. 중심각 \(\theta\)가 라디안이면 \(s = r\theta\)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현수선, 사이클로이드, 로그 나선, 포물선, 반입방 포물선 등은 닫힌 형태로 호의 길이를 표현할 수 있다. 반면 타원과 쌍곡선의 호의 길이는 닫힌 형태로 표현할 수 없어 타원 적분으로 나타낸다.
5. 1. 원호
호의 길이는 라틴어로 길이(또는 크기)를 뜻하는 단어 ''spatium''이기 때문에 ''s''로 표기한다.다음에서
C = 2\pi r, 는C = \pi d. 와 같다. 이 방정식은\pi. 의 정의이다.- 호가 반원인 경우
s = \pi r. 이다. - 임의의 원형 호의 경우:
\theta 가 라디안인 경우s = r\theta. 이다. 이는 라디안의 정의이다.\theta 가 도인 경우s = \frac{\pi r \theta}{180^\circ}, 는s = \frac{C \theta}{360^\circ}. 와 같다.\theta 가 그라드인 경우(100 그라드, 또는 등급, 또는 그래디언트는 한 직각)s = \frac{\pi r \theta}{200\text{ grad}}, 는s = \frac{C\theta}{400\text{ grad}}. 와 같다.\theta 가 회전인 경우(한 회전은 완전한 회전 또는 360°, 또는 400 그라드, 또는2\pi 라디안)s = C\theta/1\text{ turn} 이다.
6. 무한 길이 곡선
이미 언급했듯이, 일부 곡선은 꺾은선 근사의 길이에 상계가 없어 길이를 얼마든지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곡선은 길이가 무한하다고 표현한다. 곡선 위의 임의의 호(적어도 두 점 이상을 포함하는)가 무한 길이를 갖는 연속 곡선이 존재한다. 그러한 곡선의 예시로는 코흐 곡선과 0을 한쪽 끝으로 하는 임의의 열린 구간에서 f(x) = x \cdot \sin(1/x) 이고 f(0) = 0으로 정의되는 함수의 그래프 등이 있다. 이러한 무한 길이 곡선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하우스도르프 차원이나 Hausdorff measure|하우스도르프 측도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7. (유사-) 리만 다양체로의 일반화
M영어을 유사 리만 다양체, g영어를 (유사-) 계량 텐서라고 하고, γ:[0,1]→M영어을 M영어의 곡선으로, n영어개의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
γ영어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또는 국소 좌표 x영어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상대성 이론에서 시간꼴 곡선(세계선)의 호의 길이는 세계선을 따라 경과된 고유 시간이며, 공간꼴 곡선의 호의 길이는 곡선을 따른 고유 거리이다.
참조
[1]
서적
The Theory of Splines and Their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67
[2]
논문
Arc length as a global conformal parameter for analytic curves
Elsevier BV
[3]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McGraw-Hill, Inc.
[4]
웹사이트
Special Publication 811
http://www.physics.n[...]
2009-07-02
[5]
간행물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6]
논문
Circular Reasoning: Who First Proved That C Divided by d Is a Constant?
2015-05
[7]
논문
The Lengths of Curves
1953-02
[8]
서적
Tractatus Duo. Prior, De Cycloide et de Corporibus inde Genitis…
http://gallica.bnf.f[...]
University Press
1659
[9]
서적
Renati Des-Cartes Geometria
https://books.google[...]
Louis & Daniel Elzevir
1659
[10]
서적
De Linearum Curvarum cum Lineis Rectis Comparatione Dissertatio Geometrica
https://books.google[...]
Arnaud Colomer
1660
[11]
서적
解析学序説 上巻
裳華房
198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