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공인회계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공인회계사는 재무 감사, 세무, 재무,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를 의미한다. 1854년 스코틀랜드에서 세계 최초의 공인회계사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미국에서는 1896년 뉴욕주 법률에 따라 공인회계사(CPA) 자격증 제도가 도입되었다. 한국에서는 1966년 공인회계사법 제정으로 공인회계사 제도가 시작되었으며, 1, 2차 시험을 통과해야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기술 발전과 국제 회계 기준의 변화에 따라 공인회계사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으며,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기여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계 자격증 - 칙허 회계사
    칙허 회계사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회계 및 감사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아 공인 회계사 협회에서 부여하는 자격증으로, 협회에 따라 ACA, FCA 등의 칭호가 사용되며, 국제 회계사 연맹과의 연계를 통해 국제적인 활동을 지원받기도 한다.
  • 회계사 - 카를 토마스 모차르트
    카를 토마스 모차르트는 피아니스트로 활동했으며, 공무원과 번역가로도 일했고, 아버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관련된 행사에 참여했으며, 1858년 밀라노에서 사망하여 모차르트 가문의 대를 잇지 못했다.
  • 회계사 - 빌럼 드레이스
    빌럼 드레이스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으로, 사회민주노동당에서 활동하며 하원 의원, 총리를 역임했고 탈식민지화, 경제 재건, 복지 국가 설립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에 관한 - 간호사
    의학적, 간호 지침을 포함한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에 관한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공인회계사 - [회사]에 관한 문서
개요
종류자격 있는 회계사
산업 분야회계 및 재무
자격 요건
시험CPA 시험
영어 명칭
명칭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2. 역사적 배경

푸거 상사


공인회계사 제도를 완성한 것은 영국이다. 산업 혁명에 따른 자본 투자 및 재고 확대, 금융업 발달로 인한 차입의 복잡화 등으로 발생주의 회계가 중요해지면서 감가상각 등 이전의 회계에 포함되지 않았던 개념이 등장하고, 회계 처리 수요가 급증했다. 19세기에 이르러 회계사들이 전문 조합 "회계사 협회"를 형성했다.[4] 1853년 스코틀랜드에든버러에서 성립된 에든버러 회계사 협회는 1854년 10월 23일 국왕으로부터 칙허(Royal Charter)를 받아, 세계 최초의 공인회계사가 탄생했다.[4]

주식회사가 자본주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면서, 기업의 경영진과 소유자(주주)가 분리되고, 기업의 주식(및 채권)이 유가 증권으로 시장에서 거래되게 되었다. 이전에는 내부 자료에 불과했던 기업의 회계 자료가 이러한 유가 증권의 공정한 가격의 기준으로 공공성을 띠게 되었다. 윌리엄 퀼터는 주주가 감사를 수행하는 것을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며 "감사의 독립성"을 강조했다. 이후, 영국에서는 주식 시장에 상장하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관한 적정성을 증명하는 감사 업무에 관해서는 공인회계사에게 독점적인 업무 권한이 법적으로 부여되었다.

그러나 칙허 회계사 단체는 설립 당시 시티 오브 런던의 회계사무소 등 금융가 외의 회계사 입회를 거부하는 등 배타적인 회원제로 상장 주식회사의 감사 업무를 독점하려고 했기 때문에, 다른 회계사 집단으로부터 맹렬한 반발을 받았다.

미국에서 "CPA"는 주 정부 기관에서 부여하는 자격인 공인회계사(Certified Public Accountant)를 의미한다. 1896년 4월 17일, 뉴욕주 법률에 따라 공인회계사 자격증 제도가 처음으로 만들어졌다.[7][8] 프랭크 브로커가 최초로 자격증을 받았으며, 조셉 하드캐슬은 시험을 통해 최초로 자격을 취득했다.[7][8]

2. 1. 회계사 제도의 기원

산업 혁명주식회사 제도의 발달로 발생주의 회계와 감사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공인회계사 제도가 탄생했다. 19세기 영국에서 회계사들이 전문 조합인 "회계사 협회"를 결성하기 시작했다. 1853년 스코틀랜드에든버러에서 설립된 에든버러 회계사 협회는 1854년 10월 23일 국왕으로부터 칙허(Royal Charter)를 받아 세계 최초의 공인회계사 제도를 확립했다.[4]

2. 2. 한국 회계사 제도의 발전

1950년 계리사법이 공포되었으나 6.25 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12월에 비로소 한국계리사회가 설립되었다. 1965년에 계리사법이 폐지되고, 1966년 7월 15일 공인회계사법이 공포됨에 따라, 공인회계사가 그 업무를 행하게 되었다.[45]

1961년 9월 법률 제712호로 <세무사법>이 제정되면서 공인회계사의 업무에서 세무대리업무만 할 수 있는 세무사가 탄생하였으며, 공인회계사 자격을 취득하면 세무사 자격을 자동부여 받도록 하였다. 1965년에는 계리사법이 폐지되면서 세무 대리가 모호한 상태로 유지되었다.[45]

2012년 <세무사법>의 개정으로 인해 2012년 이후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는 공인회계사 자격으로 세무사 자격을 자동 부여받을 수 없게 되었으나, 공인회계사는 세무사 자격을 부여받지 않더라도 <공인회계사법>에 의해 세무대리 업무를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인회계사의 업무 범위 자체는 변동이 없다.[45]

2. 3. 미국, 영국, 일본의 회계사 제도

IASB에서 제정한 IFRS를 많은 나라에서 도입하면서, 여러 나라들이 타국의 회계사 자격증을 인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4]

미국에서 "CPA"는 주 정부 기관에서 부여하는 자격인 공인회계사(Certified Public Accountant)를 의미한다. 1896년 4월 17일, 뉴욕주 법률에 따라 공인회계사 자격증 제도가 처음으로 만들어졌다.[7][8] 프랭크 브로커가 최초로 자격증을 받았으며, 조셉 하드캐슬은 시험을 통해 최초로 자격을 취득했다.[7][8]

미국 공인회계사 시험은 AICPA에서 출제하고 NASBA에서 관리한다. 시험은 세 개의 핵심 섹션과 세 개의 분야 섹션으로 구성되며, 후보자는 세 개의 핵심 섹션을 모두 응시하고, 세 개의 분야 섹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총 4개 섹션을 응시해야 한다.

CPA 시험 섹션
핵심 섹션분야 섹션
감사 및 증명 (AUD)정보 시스템 및 통제 (ISC)
재무 회계 및 보고 (FAR)사업 분석 및 보고 (BAR)
세무 및 규제 (REG)세금 준수 및 계획 (TCP)



CPA 시험에 응시하려면 일반적으로 회계 및 비즈니스 관련 학점을 일정 수준(120~150학점) 이상 이수하고, 특정 과목을 이수한 학사 학위가 필요하다. 일부 주에서는 석사 학위와 같은 추가적인 교육 요건을 요구하기도 한다.

영국에서 "CPA"는 공인회계사 협회(구 공인회계사 협회)의 회원인 회계 및 금융 전문가를 지칭한다.[10]

호주에서 "CPA"는 공인 실무 회계사(Certified Practicing Accountant)를 의미하며, 특정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얻기 위해 일정 수준의 교육과 경력이 필요하다.[11][12]

캐나다에서 "CPA"는 공인 전문 회계사(Chartered Professional Accountant)를 의미하며, 회계학 전공자는 CPA 전문 교육 프로그램(CPA PEP)에, 비전공자와 국제 후보자는 CPA 필수 교육 프로그램(CPA PREP)에 입학해야 한다.[13]

3. 각국의 공인회계사 제도

각국의 회계기준 차이로 인해 한 국가의 회계사 자격이 다른 국가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가 제정한 국제회계기준인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를 많은 국가들이 도입하면서, 타국 회계사 자격증을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공인회계사 시험(Uniform CPA Exam)은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Boards of Accountancy(NASBA)에서 주관하고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AICPA)가 위탁받아 시행한다. 시험은 FAR, AUDIT, REG, BEC의 4개 섹션으로 구성되며, 각 섹션에서 75점 이상을 얻어야 합격한다. 시험 합격 후에는 각 주 정부 회계위원회의 수련 요건을 충족하고 윤리 시험을 통과해야 정식 회계사(CPA License)가 될 수 있다. 미국 내에서는 권위 있는 시험 중 하나로 꼽히며, 인증받은 국가에서도 미국 CPA 자격을 활용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 이후 회계 처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19세기 후반 회계사들이 전문 조합인 "회계사 협회"를 형성했다. 1853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설립된 에든버러 회계사 협회는 1854년 국왕 칙허를 받아 세계 최초의 공인회계사인 Chartered Accountant(칙허 회계사) 자격을 부여했다. 영국에는 칙허 회계사 외에도 다양한 공인회계사 단체가 존재하며, 각 단체마다 자격 요건이 다르다.

일본에서는 2005년까지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에게 "회계사보" 자격을 부여했으나, 2006년 이후 회계사보 제도는 폐지되었다.[31] 현재는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했지만 공인회계사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람은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로 칭한다.

이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CPA"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의 공인회계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미국 공인회계사(CPA)
  • 영국 勅許会計士(CA)
  • 영국 勅許公認会計士(CCA)
  • 공인회계사 (일본)(CPA)

3. 1. 한국 공인회계사 (K-CPA)

한국의 공인회계사(K-CPA) 시험은 1차 객관식 시험과 2차 주관식 시험으로 나뉜다. 1차 시험은 과목별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하며, 2차 시험 최소 선발 예정 인원의 2배수를 선발한다.[43] 2차 시험은 재무회계(150점 만점)는 90점 이상, 나머지 과목(100점 만점)은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한다.

1차 시험 과목은 다음과 같다.

  • 경영학
  • 경제학
  • 상법
  • 세법개론
  • 회계학 (원가회계, 재무회계, 정부회계[44])


2차 시험 과목은 다음과 같다.

  • 세법
  • 재무관리
  • 회계감사
  • 원가회계
  • 재무회계


1950년 계리사법이 공포되었으나, 6.25 전쟁 이후 1954년에 한국계리사회가 설립되었다. 1965년 계리사법이 폐지되고 1966년 공인회계사법이 제정되면서 공인회계사가 계리사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61년 세무사법 제정으로 공인회계사 자격 취득 시 세무사 자격이 자동 부여되었으나, 2012년 세무사법 개정으로 2012년 이후 합격자부터는 자동 부여가 중단되었다. 그러나 공인회계사는 세무사 자격 없이도 공인회계사법에 따라 세무 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 업무 범위에는 변동이 없다.[45]

3. 2. 미국 공인회계사 (US CPA)

미국 공인회계사 시험

미국에서 공인회계사(CPA)가 되려면 통일 공인회계사 시험(Uniform CPA Exam)을 치르고 통과해야 한다. 이 시험은 미국 공인회계사 협회(AICPA)에서 출제하고 전국 주 회계 위원회 협회(NASBA)에서 관리한다.

통일 공인회계사 시험은 세 개의 핵심 섹션과 세 개의 분야 섹션으로 구성된다. 응시자는 세 개의 핵심 섹션을 모두 응시해야 하며, 세 개의 분야 섹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총 4개 섹션을 응시해야 한다.

CPA 시험 섹션
핵심 섹션분야 섹션
감사 및 증명 (AUD)정보 시스템 및 통제 (ISC)
재무 회계 및 보고 (FAR)사업 분석 및 보고 (BAR)
세무 및 규제 (REG)세금 준수 및 계획 (TCP)



CPA 자격은 1896년 4월 17일 뉴욕주에서 법으로 처음 제정되었다.

미국에서 CPA 시험 자격을 얻으려면 일반적으로 공인된 기관에서 회계 및 비즈니스 관련 학점(120~150학점)을 최소한 이수하고 감사 및 재무 회계와 같은 과목에서 특정 강좌를 이수한 학사 학위가 필요하다. 일부 주에서는 석사 학위와 같은 추가적인 교육 요건을 요구할 수 있다. 거주 및 시민권 요건은 주마다 다르다. 응시자는 해당 주의 회계 위원회를 통해 지원해야 하며, 필요한 수수료를 지불하고, 윤리 시험을 통과해야 할 수 있다. 시험 자체에는 일반적으로 실무 경력이 필요하지 않지만, CPA 면허를 받으려면 실무 경력이 필요하다.

과거 공인회계사가 수행했던 많은 업무가 현재는 자동화되었다. 따라서 현재와 미래의 공인회계사는 자동화된 더 간단한 업무 외에 기술을 사용하여 더 복잡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더 복잡한 업무의 예시로는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 있다. 기술은 공인회계사의 업무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며, 공인회계사로 시작할 때 기술적 숙련도가 필요할 정도이다.[29]

기술적 숙련도가 과거보다 더 중요해짐에 따라, 회계 관련 기관들은 대학의 회계 교육 과정에서 기술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2013년에 일어난 한 가지 중요한 변화는 경영대학 발전 협의회(AACSB)가 모든 인증된 회계 프로그램에 정보 기술을 포함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회계 교육 과정에 정보 기술을 추가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회계 교육 과정에 정보 기술을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한 가지 구체적인 문제는 학생들을 공인회계사 시험에 대비시키는 것과 졸업 후 공인회계사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공인회계사 시험에 대비하는 것과 졸업 후 공인회계사로 일할 준비를 하는 것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교수와 학교가 커리큘럼에 무엇을 포함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강사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전체 회계 정보 시스템에 대해 가르칠 때 포함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학교의 전체 회계 교육 과정에 데이터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강사는 거의 없다.[29]

3. 3. 영국 공인회계사 (UK CPA)

공인회계사 제도를 완성한 것은 영국이다. 산업 혁명에 따른 기계 투자를 통해 감가상각 등 기존의 부기에 포함되지 않았던 개념이 등장하고, 회계 처리 수요가 급증했다. 처음에는 전문직으로 성립되지 않았지만,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회계사가 전문 조합 "회계사 협회"를 형성했다. 1853년 스코틀랜드에든버러에서 설립된 에든버러 회계사 협회는 1854년 10월 23일 국왕으로부터 칙허(Royal Charter)를 받아 Chartered Accountant(칙허 회계사)라는 자격을 부여하게 되었다.[9] 이로써 세계 최초의 공인회계사가 탄생했다. 영국의 잉글랜드에서는 1880년에 잉글랜드 및 웨일스 칙허 회계사 협회(ICAEW)가 잇따라 칙허를 받았다.

그러나 칙허 회계사 단체는 설립 당시 시티 오브 런던의 회계사무소 등 금융가 외 회계사의 입회를 거부하는 등 배타적인 회원제로 상장 주식회사의 감사 업무를 독점하려 했기 때문에, 다른 회계사 집단으로부터 맹렬한 반발을 받았다. 또한 설립 당시에는 감사 업무에 한정했기 때문에 기업의 경리나 재무 등의 업무와 관련된 회계사 집단이 다른 단체를 만들게 되었고, 이로 인해 영국에서는 (공인) 회계사 단체가 난립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지역이나 업무에 특화된 회계사 단체가 수십 개 존재했지만 지역 단체의 통합 및 회계 업무의 변화에 따른 조직의 소멸과 통합을 반복하여 현재는 아래와 같이 8개의 공인회계사가 존재한다.

  • 칙허 회계사(Chartered Accountant)
  • 칙허 공인 회계사(Chartered Certified Accountant)
  • 칙허 관리 회계사(Chartered Management Accountant)
  • 칙허 공공 재무 회계사(Chartered Public Finance Accountant)
  • 인가 공인 회계사(Authorised Public Accountants)
  • 국제 회계사(International Accountant)
  • 재무 회계사(Incorporated Financial Accountants)
  • 공인 회계사(Certified Public Accountant)


칙허는 왕실의 인정을 의미하며, 이를 받는다는 것은 단순한 인가 단체 이상의 존재임을 의미한다. 각 단체마다 자격 시험 및 자격 취득에 필요한 실무 경험의 내용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코틀랜드 칙허 회계사 자격 취득이 가장 어렵다고 여겨진다. 이전에는 ACA(칙허 회계사)만이 칙허의 칭호를 가진 회계사 단체였으며 상장 기업의 감사를 법적으로 독점했다. 또한 런던의 증권 시장이 사실상의 국제 금융의 중심지라는 점, 영국의 저명한 회계학자가 동시에 칙허 회계사라는 점, 더 나아가 설립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었다는 점 등도 맞물려 칙허 회계사는 세계 회계사 중에서도 특별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게다가 국제 회계 기준 위원회는 원래 ACA가 중심이 되어 시작한 기획이며, 현재 회장과 부회장은 둘 다 ACA의 칙허 회계사이다. ACA 취득과 관련해서는 영국의 4대 회계 법인에 근무하며, 3년간의 트레이닝 계약 기간 동안 15과목의 시험을 합격해야만 취득할 수 있다. 3년 이내에 ACA를 취득하는 것이 감사 부서에 남는 조건이다.

한편 영국에서는 회계 업무 집행이 원칙적으로 자유이므로, 아마추어라도 회계사(Accountant)를 칭할 수 있다. 또한 영국의 "칙허·인가" 회계사 제도는 법령에 의한 단일 단체의 독점이 아닌, 특정 기준에 도달한 회계사 단체가 국가 또는 왕실로부터 인가 또는 칙허를 받는 제도이기 때문에, 각 회계사 단체가 자사 세력과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회원 수 및 재계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목표로 하는 실정이다. 다만 세계 4대 회계 법인 등에서는 감사 업무는 여전히 칙허 회계사 자격 보유자(또는 스코틀랜드 칙허 회계 협회에서 인정하는 칙허 회계사만)가 독점하고 있으며, 업계 내 차별화가 존재한다. 또한 ACA는 ACA 회원인 회계 사무소에 견습으로 근무하는 자 외에는 자격 시험이 없다는 배타적인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과점 상태에도 변화가 보인다. 지금까지 소규모로 난립했던 회계사 단체가 ACA에 대항하기 위해 통합 등을 통해 세력을 키웠다. 게다가 ACA의 감사 독점을 싫어하는 재계 기업들이 다른 회계사 단체에도 법적인 감사 권한을 부여하도록 한 결과, ACA의 대항 조직으로 결성된 런던 회계사 협회(London Association of Accountants)가 1930년에 법적인 감사 권한을 획득했다. 또한 회계 업무의 다양화 및 전문화로 인해, 관리 회계나 내부 감사, 세무, 공공 재무 등 새로운 전문 업무에 특화된 회계사 단체가 ACA의 칙허 회계사 회계 사무소의 부업에 파고들고 있다. 게다가 관리 회계 협회와 공공 재무 회계사 협회도 법적인 감사 자격을 획득한 후에 칙허를 획득했다.

특히 런던 회계사 협회는 영국의 다른 지역의 칙허 회계사 이외의 회계사 단체를 흡수하는 형태로 확대되어, 1971년에 명칭을 공인 회계사 협회(Association of Certified Accountants)로 변경했다. 1974년에는 영국 여왕으로부터 칙허(Royal Charter)를 받아 협회명을 Association of Chartered Certified Account(ACCA) 칙허 공인 회계사 협회로 개칭하고 칙허 공인 회계사(Chartered Certified Accountant)라는 자격을 부여하게 되었다. ACCA는 ACA의 배타성에 대항하여 설립된 경위를 반영하여 자격 시험 응시 자격도 낮고, 대졸 이외에도 공인 회계사가 될 수 있는 제도를 설치하고 있다. ACCA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다른 회계사 단체는 별개 전문 업무에 특화하는 형태로 감사에 특화하는 ACA에 대항한 것에 비해, ACCA는 반대로 업무에 특화하지 않고 해외 진출에 의한 확대 전략을 취했다는 것이다. 먼저 회계사 육성 제도가 정비되지 않은 영국 연방의 개발도상국에 접근하여, 세무 및 상법에 관한 시험을 국가별로 설치하는 등, 이러한 국가에서 ACCA 자격을 국내 자격으로 인정받았다. 그 후 유럽 연합에서 전문 자격이 상호 인정되자, EU 국가의 회계사 전문 학교에 ACCA 학과 설립을 추진하고, 영국 이외 국가에서 칙허 공인 회계사 자격 보유자 수를 늘리는 데 성공했다. 세계 회계 기준 통합에 따라, 현재는 영국 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유럽, 아프리카, 카리브해 국가, 캐나다, 중국, 베트남 등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그 자격이 인정되어 사실상의 공인 회계사 국제 자격이 되고 있다. ACCA의 성장에 대항하는 형태로 과거에 칙허 회계사와 칙허 관리 회계사, 칙허 공공 재무 회계사 단체의 통합이 여러 번 기획되었지만, 과반수 회원 합의를 얻지 못하고 좌절되었다.

3. 4. 일본 공인회계사

일본에서는 2005년까지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에게 "회계사보"라는 자격이 주어졌지만, 2006년 1월 1일에 시행된 개정 공인회계사법에 따라 2006년 이후 회계사보 제도는 폐지되었다.[31] 다만, 개정법 부칙 규정에 의해 공인회계사법 개정 전부터 회계사보인 자는 공인회계사를 보조하는 것 외에 회계사보로서 독립하여 공인회계사법 제2조 제2항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세무사 등록이 인정되는 것은 공인회계사이므로, 다른 방법으로 세무사 등록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회계사보는 세무사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 현재는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한 자 중 공인회계사가 될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로 칭한다.

4. 공인회계사의 업무 영역

공인회계사의 업무는 크게 감사, 세무, 재무, 컨설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감사: 재무제표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GAAP)에 따라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기업 경영 전반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 세무: 세무사 자격 없이도 <공인회계사법>에 의해 세무 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45] 소득세 신고 준비, 세금 계획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세청(IRS) 앞에서 납세자를 대리할 수도 있다.[15]
  • 재무: 기업 금융(합병 및 인수, 기업 공개 등), 재무 분석 등 기업의 재무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 컨설팅: 경영 컨설팅, 재무 컨설팅, IT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활용한다.


일본에서는 공인회계사가 감사 업무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공인회계사 자격 보유자가 적고, 세무사 자격이 별도로 존재하며, 감사 외 업무로 수입을 얻는 것이 법률로 제한되는 등의 사정에 따른다. 반면, 유럽미국 등에서는 공인회계사가 감사 법인에서 경력을 쌓은 후 민간 기업, 금융 기관, 컨설팅 회사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4. 1. 감사 (Audit)

공인회계사(CPAs)가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보증 업무와 관련이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재무 감사 서비스이다.[14] 재무 감사는 공시의 합리성, 중대한 오류의 부재, 그리고 재무제표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GAAP)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업무이다.

감사 업무에서 공인회계사는 감사 대상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14] 이는 전문 기준과 연방 및 주법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이다. 엔론 스캔들에서 아서 앤더슨이 감사와 컨설팅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감사 의무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친 사건은, 많은 회계 법인이 컨설팅 부문을 매각하게 만들었지만, 이후 이 추세는 반전되었다.

감사·증명 업무는 영어로 Audit&Assurance로 표기되며, 감사와 (회계) 증명 업무라는 관련 있는 두 가지 업무를 지칭한다. 감사(監査, audit 또는 auditing)는 어떤 대상에 대해 일정한 기준에 비추어 증거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회계학에서는 재무 회계 기준에 따른 감사 증명 업무와, 관리 회계 기준에 따른 업무 감사(내부 감사)로 나뉜다. 회계 증명 업무는 타인의 요청으로 보수를 받고 특정 기준에 따라 재무 서류의 감사 및 증명을 수행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 업무는 공인회계사가 수행하도록 법률로 정해져 있으며,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공인회계사에 의한 회계 감사를 받는 것이 법률로 의무화되어 있다.

업무 감사는 조직의 경영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합법성과 합리성 관점에서 공정하고 독립적인 입장에서 경영 활동을 검토·평가하고, 의견을 제시하며, 조언·권고하는 감사 업무 및 특정 경영 활동 지원을 수행하는 진단 업무이다. 일반 회사원에게 가장 가까운 것은 사내 부정·배임 행위에 관한 조사이다. 증권업에서는 말단 사원이 수백억 엔의 자금을 매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업무 감사를 소홀히 한 기업이 수천억 엔의 손실을 보고 도산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컴플라이언스를 철저히 하여 불상사를 방지하는 등의 역할이 있다. 일본에서는 업무 감사를 사내 인원이 수행하지만, 일본 외에서는 회계 사무소 등 제3자에게 위탁하여 객관성을 높이기도 한다.

감사·증명 업무는 공인회계사 커리어의 기초가 되는 업무이다. 공인회계사 지망생은 대개 대규모 회계 사무소에 근무하며 감사 증명 업무를 수행한다. 감사 법인의 사원이 되면 감사를 지휘하는 것뿐만 아니라 감사 계약 획득을 위한 영업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영업 능력이 사원의 출세를 가르기도 했다. 최근에는 감사 영업으로 인해 감사 법인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수주 심사 등의 품질 관리가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사원으로서의 영업 능력 유무는 과거만큼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게 되었다.

공인회계사는 감사뿐만 아니라 경영 전반에 관한 깊은 식견을 고객에게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4. 2. 세무 (Tax)

1961년 9월 법률 제712호로 <세무사법>이 제정되면서 공인회계사의 업무에서 세무 대리 업무만 할 수 있는 세무사가 탄생하였으며, 공인회계사 자격을 취득하면 세무사 자격을 자동 부여받도록 하였다.[45] 2012년 <세무사법> 개정으로 2012년 이후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는 세무사 자격을 자동 부여받을 수 없게 되었으나, 공인회계사는 세무사 자격 없이도 <공인회계사법>에 의해 세무 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45]

공인회계사는 각 국가의 세법에 근거하여 세무 대리, 세무 서류 작성, 세무 상담 등의 세무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는 법률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요구하며, 변호사 등과 경쟁하는 분야이다. 다국적 기업의 세무는 회계사로서 가장 복잡하고 어려운 부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에서는 세무사가 세무에 관한 독점 업무 권한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국가에도 세무사 협회가 존재하며, 세무는 복잡한 업무이기 때문에 기업 및 감사 법인의 세무 부문과 국세청의 관료는 대개 세무 관련 자격을 갖는다.

4. 3. 재무 (Finance)

기업 금융(합병 및 인수, 기업 공개, 주식 및 부채 발행) 및 재무 분석 분야에서 공인회계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의 재무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공인회계사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고, 투자 가치를 평가하며, 자금 조달 방안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업 인수 합병(M&A) 과정에서 공인회계사는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적정 인수가격을 산정하고, 인수 후 통합(PMI) 과정을 지원한다. 또한, 기업 공개(IPO) 시에는 공인회계사가 기업의 재무 상태를 검토하고,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재무 정보를 작성하는 데 참여한다.

일부 공인회계사는 투자 은행 등 금융 기관에서 투자 대상을 평가하는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도 한다. 이들은 회계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을 분석하고, 투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공인 재무 분석사(CFA)나 공인 국제 투자 분석사(CIIA)와 같은 증권 분석 전문 자격을 취득하여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기도 한다. 금융 관련 회사에서는 최고 재무 책임자(CFO)를 거쳐 최고 경영자(CEO)로 승진하는 경우도 있다.[14]

4. 4. 컨설팅 (Consulting)

경영 컨설팅, 재무 컨설팅, IT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인회계사의 전문 지식이 활용된다.[14] 공인회계사는 기업의 재무 정보를 분석하고 분류하는 데 능숙하며, 이는 정보 관리 업무의 연장선상에서 IT 컨설팅과도 연결된다.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액센츄어(Accenture)는 원래 세계 5대 회계 법인 중 하나였던 아서 앤더슨(Arthur Andersen)에서 분사된 기업이다. 액센츄어는 1953년 제너럴 일렉트릭(GE)의 자동 급여 지급기 도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IT 컨설팅의 기반을 다졌다. 이처럼 감사 회사를 기원으로 하는 컨설팅 회사들은 IT 관련 기업 컨설팅 분야에서 강점을 보인다.

공인회계사는 관리 회계 지식을 바탕으로 재무, 경리, 금융,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공인회계사법 제2조에 따라 재무 서류 작성, 재무 조사 및 입안, 재무 상담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1990년대에는 세계 5대 회계 법인의 이익 중 상당 부분이 컨설팅 업무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감사 대상 기업의 컨설팅 업무가 주를 이루면서 감사 법인의 독립성이 훼손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 2000년대 초반의 회계 부실 사태 이후에는 감사 회사의 컨설팅 부문이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다.

회계사들은 감사 법인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다른 컨설팅 회사에서 재무, 경리, 금융, 경영, IT 컨설턴트 등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회계사 자격 외에도 IT 관련 자격증, 증권 분석사 자격증, MBA 등을 취득하여 전문성을 강화하기도 한다.

5. 현대 사회와 공인회계사

현대 사회는 기술 발전, 국제화, 윤리적 요구 증대 등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는 공인회계사(CPA)의 역할과 책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술 발전은 공인회계사의 업무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과거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던 많은 회계 업무가 자동화되면서, 공인회계사는 단순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데이터 분석 및 해석과 같은 고차원적인 업무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회계 교육 과정에도 정보 기술 관련 내용이 강화되는 추세이다.[29]
국제화는 공인회계사의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IFRS를 도입하고 타국 회계사 자격증을 인정하면서, 공인회계사는 국경을 넘어 다양한 국가의 회계 기준 및 법규를 준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공인 회계사 협회(AICPA)와 주 회계 위원회 전국 협회(NASBA)는 주 경계를 넘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통일된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1]
윤리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공인회계사는 회계 투명성을 확보하고 기업 윤리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회계 부정이나 관련 법규 위반 시 자격이 정지 또는 취소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요구된다.[30]

이처럼 현대 사회의 변화는 공인회계사에게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는 동시에,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더 넓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5. 1. 기술 발전과 공인회계사의 역할 변화

과거 공인회계사가 수행했던 많은 업무는 현재 자동화되었다. 따라서 현재와 미래의 공인회계사는 자동화된 더 간단한 업무 외에 기술을 사용하여 더 복잡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더 복잡한 업무의 예시로는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 있다. 기술은 공인회계사의 업무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며, 공인회계사로 시작할 때 기술적 숙련도가 필요할 정도이다.[29]

기술적 숙련도가 과거보다 더 중요해짐에 따라, 회계 관련 기관들은 대학의 회계 교육 과정에서 기술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2013년에 일어난 한 가지 중요한 변화는 경영대학 발전 협의회(AACSB)가 모든 인증된 회계 프로그램에 정보 기술을 포함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정보 기술을 추가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는데, 회계 교육 과정에 정보 기술을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한 가지 구체적인 문제는 학생들을 공인회계사 시험에 대비시키는 것과 졸업 후 공인회계사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공인회계사 시험에 대비하는 것과 졸업 후 공인회계사로 일할 준비를 하는 것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교수와 학교가 커리큘럼에 무엇을 포함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강사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전체 회계 정보 시스템에 대해 가르칠 때 포함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학교의 전체 회계 교육 과정에 데이터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강사는 거의 없다.[29]

5. 2. 국제화와 공인회계사의 역할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에서 제정한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를 많은 나라에서 도입 및 채택하고 있으며, 많은 나라들이 타국의 회계사 자격증을 인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회계사는 업무를 수행하려는 모든 주의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31]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 많은 조직은 주간 및 국제적 차원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여러 관할 구역에서 규정 준수 책임을 지기 위해 공인회계사의 전문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 결과, 공인회계사의 업무는 종종 주 경계와 국제 경계를 넘어 확장된다.[31] 미국 공인 회계사 협회(AICPA)와 주 회계 위원회 전국 협회(NASBA)는 주 경계를 넘어 업무 특권을 얻기 위한 현재 시스템을 분석하고, 통일된 이동성 시스템을 지지해 왔다.[31]

2012년 10월 기준으로, 미국 50개 주 중 49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가 이동성 관련 법률을 통과시켰으며, 시행 및 적용 단계에 있었다.[32] 2013년 7월 1일부터 캘리포니아의 이동성 관련 법률은 발효되었다.[33]

경제의 국제화와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회계 기준과 마찬가지로 국제적 컨버전스가 과제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다.

5. 3.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기대

공인회계사는 높은 수준의 윤리적 책임감을 가져야 하며,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회계 투명성을 높이고 기업 윤리를 확립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인회계사 자격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지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 자격증을 제때 갱신하지 않고 만료시키는 경우
  • 자격증이 없거나 만료된 사무소에서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 만료된 자격증으로 계속 활동하며 공인회계사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
  • 자격증 취득 또는 갱신 과정에서 허위 진술을 하는 등 사기나 기만을 사용하는 경우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나 미국 국세청(IRS) 등 다른 규제 기관으로부터 업무 정지 또는 금지 처분을 받은 경우
  • 회계 기준이나 세법 등 관련 기준을 따르지 않거나, 회계 업무와 관련된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경우


공인회계사는 전문 지식과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회계 부정 사건을 예방하고, 투명한 회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미국 공인회계사협회(AICPA) 회원 구성을 보면, 과거에는 상류층 출신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양해지고 여성 회계사의 비율도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30] 이는 공인회계사라는 직업이 사회적, 경제적 계층 이동의 기회를 제공하며, 성별에 관계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임을 보여준다.[30]

영국에서는 영국 공개회사의 회사 비서(company secretary)가 되기 위한 자격으로 공인회계사 자격이 인정되기도 하며, 파산 관재인 업무도 변호사뿐만 아니라 공인회계사가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자산 처리 및 경영 재건에 회계사의 전문성이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PA Exam Requirements By State https://www.becker.c[...]
[2] 웹사이트 Are you really able to use the term CPA? https://www.journalo[...] 2024-03-14
[3] 웹사이트 Texas OC. Code Ann. Sec. 901.453 http://codes.lp.find[...] Codes.lp.findlaw.com 2011-11-26
[4] 논문 A History of the Certified Public Accounting Profession in Louisiana 1976
[5] 학술지 A concise history of professional accounting associations 2017-09-01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ICPA https://www.aicpa.or[...]
[7] 학술지 The Profession of Accountancy 1896
[8] 학술지 Contributions of Joseph Hardcastle to accounting theory https://egrove.olemi[...] 2022-10-20
[9] 웹사이트 What is a CPA? What does a Certified Public Accountant Do? https://www.franklin[...] Franklin University 2023-09-27
[10] 웹사이트 What is a certified public accountant? https://uk.indeed.co[...]
[11] 웹사이트 About CPA Australia https://www.cpaaustr[...]
[12] 웹사이트 Australian Accountants Directory / Australian Accountants Directory / Accountants https://australianac[...]
[13] 웹사이트 CPA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CPA PEP) https://www.cpacanad[...]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0-05-04
[15] 판례 https://www.cadc.usc[...] 2014
[16] 웹사이트 Cal Bus. & Prof. Code Section 5053 https://leginfo.legi[...] leginfo.legislature.ca.gov 2020-03-10
[17] 판례 https://law.justia.c[...] 1992
[18] 웹사이트 Profiling the New Industrial Professionals: The First CPAs of 1896–97 http://www.h-net.org[...] Business & Economic History, volume 25, 1996 2013-10-18
[19] 학술지 The Experience Requirement for CPA Licensure 2014-02-01
[20] 웹사이트 Legislative sunset provision for two-tier designation of CPAs in Illinois (Illinois General Assembly) http://www.ilga.gov/[...] Ilga.gov 2013-10-18
[21] 웹사이트 Home http://www.dos.pa.go[...]
[22] 웹사이트 Wisconsin CPA CPE Requirements https://www.sequoiac[...]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2014-03-10
[23] 웹사이트 State Requirements http://www.mypescpe.[...] Professional Education Services CPE 2014-03-10
[24] 웹사이트 Statement of Standards for CPE Programs http://www.aicpa.org[...] AICPA 2014-03-10
[25] 웹사이트 2015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Snapshot https://www.ceworksh[...] McDevitt & Kline, LLC 2015-08-18
[26] 웹사이트 CPE State Accreditation Information http://www.mypescpe.[...] Professional Education Services CPE 2014-03-10
[27] 웹사이트 CPE Requirements http://www.cpa2biz.c[...] AICPA 2014-03-10
[28] 웹사이트 Texas State Board of Public Accountancy Individual Detail https://www.tsbpa.te[...] Tsbpa.texas.gov 2017-02-17
[29] 웹사이트 Integrating technology into accounting curriculum as CPA Exam evolves https://www.thetaxad[...] 2022-04-21
[30] 학술지 The social class,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and recruitment of American CPAs: An historical profile 2016-06-01
[31] 웹사이트 August 2011 :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at the Uniform Accountancy Act (UAA), Sixth Edition, August 2011, is now available https://web.archive.[...] AICPA
[32] 웹사이트 AICPA : CPA Mobility Map http://www.aicpa.org[...] Aicpa.org 2013-10-18
[33] 웹사이트 California becomes 49th state to pass CPA mobility law http://www.journalof[...] Journalofaccountancy.com 2012-12-12
[34] 웹사이트 CPA mobility law takes effect in Washington http://www.journalof[...] Journalofaccountancy.com 2012-12-12
[35] 웹사이트 Bisk CPA Review http://www.cpaexam.c[...] CPA Exam 2013-10-18
[36] 문서
[37] 문서
[38] 간행물 公認会計士業界が直面する課題とその対応 会計・監査の基盤強化へ向けて http://www2.deloitte[...] 2014
[39] 웹사이트 https://www.fsa.go.j[...] 2016-09-21
[40] 웹사이트 市場の番人としての監査法人 https://www.jip.co.j[...]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뉴스 회계사에 세무사자격부여 폐지-세무사법개정안 공포 http://www.taxtimes.[...] 세정신문 2013-02-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