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저 봉와직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강저 봉와직염(루드비히 협심증)은 구강저의 심각하고 광범위한 봉와직염으로, 주로 턱밑 공간에서 시작되어 빠르게 확산되는 양측성 감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턱과 목 부위의 부종, 구강저 융기, 혀의 후방 전위 등이 있으며, 기도 폐쇄, 연하곤란, 호흡 곤란, 쇼크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치과 관련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치과 엑스레이와 CT 스캔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기도 관리, 항생제 치료, 절개 및 배농, 적절한 영양 공급을 포함하며, 기도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강병리학 - 법랑질 저형성증
법랑질 저형성증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으로 법랑질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치아 결함, 우식 위험 증가,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며, 치아 실런트, 불소 도포 등으로 치료한다. - 구강병리학 - 개구장애
개구장애는 근육 경련 등으로 입을 벌리는 데 제한이 있는 상태로, 정상적인 입 벌림 범위는 35~45mm이며, 원인에 따라 약물, 물리,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고 과거에는 파상풍 초기 증상 묘사 용어로도 사용되었다. - 세균성 피부 질환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세균성 피부 질환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은 β-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피부 감염을 일으키고 면역력 저하 환자에게 심각한 기회감염을 유발하며, 병원 획득 감염과 지역사회 획득 감염으로 나뉜다.
구강저 봉와직염 | |
---|---|
일반 정보 | |
![]() | |
증상 | 발열, 통증, 혀가 올라감, 삼킴장애, 목의 부종 |
발병 시기 | 급성 |
합병증 | 기도 손상 |
위험 요인 | 치아 감염 |
진단 | 증상과 신체검사, CT 스캔을 기반으로 진단 |
치료 | 항생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기관내삽관, 기관절개술 |
기타 | |
라틴어 명칭 | Angina ludovici 안지나 루도비치 |
관련 질환 | 봉와직염 |
2. 증상
루드비히 협심증은 턱밑 공간을 포함하여 입 안 바닥(구강저)에 발생하는 심하고 광범위한 봉와직염(피부와 피하조직에 나타나는 급성 세균 감염증)이다. 이 질환은 급성으로 발병하여 빠르게 확산되므로, 조기 진단과 즉각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7]
2. 1. 일반적인 증상
턱과 목 윗부분의 양측성 하안면 부종(붓기), 구강저 융기 및 혀의 후방 전위 (기도 폐쇄 가능성), 심한 목 부종 및 통증, 침 흘림, 치통, 연하곤란(삼킴 곤란), 숨 가쁨, 발열 및 전반적인 권태감 등이 일반적인 증상이다.[7][8] 기도 위기가 임박하면 천명음, 개구장애 및 청색증도 나타날 수 있다.[8]2. 2. 기도 위협 증상
천명음, 개구장애,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8]2. 3. 기타 증상
이설증(혀의 감각 이상), 하행성 종격동염(세로칸염), 농흉(가슴고름집), 패혈증(균이 혈액 속으로 침투하여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30] 심한 경우 호흡 곤란 및 쇼크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3. 원인
구강저 봉와직염(루드비히 협심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치아 감염이며,[9] 이는 전체 사례의 약 75~90%를 차지한다.[9][10][11][12] 특히 아래쪽 두 번째와 세 번째 어금니의 감염이 주된 원인인데, 이 어금니들의 뿌리가 설골하근 아래로 뻗어 있기 때문이다.[9][13] 이러한 치아의 치근단 농양은 턱밑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9]
3. 1. 기타 원인
구강 궤양, 구강 악성 종양(암)에 의한 이차 감염, 하악 골절(아래턱뼈 골절), 타석증(침샘돌) 관련 턱밑샘(침샘) 감염,[9] 구강 바닥의 관통 부상[14]과 같은 다른 원인도 구강저 봉와직염(루드비히 협심증)의 잠재적 원인으로 기록되었다. 당뇨병, 영양실조, 면역 체계 손상, 장기 이식과 같은 전신 질환이 있는 환자도 구강저 봉와직염(루드비히 협심증)에 걸리기 쉽다.[12] 구강저 봉와직염(루드비히 협심증)과 관련된 질병의 발생률을 보고한 한 검토에 따르면 사례의 18%가 당뇨병, 9%가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과 관련이 있었고, 또 다른 5%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양성이었다.[15]4. 진단
치아 뿌리 감염은 치과 엑스레이로 확인할 수 있다.[16][17] 조영제를 사용한 목 부위 CT 스캔으로 깊은 목 부위 감염을 확인할 수 있다.[18] 흉강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흉부 스캔을 시행하기도 한다.[17]
4. 1. 감별 진단
혈관부종,[19] 설암 및 항응고 치료 후 발생하는 설하 혈종 형성을 가능한 진단에서 배제해야 한다.[18]5. 미생물학
루드비히 협심증은 여러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혐기성 세균(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하는 세균)이 흔하게 발견된다. 전통적으로 배양 검체를 채취하지만, 이는 배양이 올바르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때로는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낸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20]
5. 1. 관련 미생물
루드비히 협심증은 가장 흔하게 다균성이며 혐기성으로 밝혀진다.[21][22]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미생물에는 비리단스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펩토연쇄상구균, 프레보텔라, 포르피로모나스, 푸소박테리움 등이 있다.[21][22]5. 2. 미생물 검사 방법
전통적인 배양 검체를 채취하지만, 이는 배양이 올바르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때로는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낸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20] 루드비히 협심증은 가장 흔하게 다균성 및 혐기성으로 밝혀진다.[21][22]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미생물 중 일부는 ''비리단스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펩토스트렙토코쿠스'', ''프레보텔라'', ''포르피로모나스'' 및 ''푸소박테리움''이다.[21][22]6. 치료
환자 개개인의 감염 단계, 기도 관리 필요성, 동반 질환 등을 고려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의사의 경험, 사용 가능한 자원 및 인력도 치료 계획에 중요한 요소이다.[23] 루드비히 협심증 치료는 기도 관리, 항생제 치료, 절개 및 배농, 영양 및 수분 공급 지원의 네 가지 원칙을 따른다.[24]
일반적으로 항생제 투여를 통한 약물 치료와 절개 및 배농 등의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경구 섭취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하악에서 인두 국소 및 전신의 안정과 수액,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
6. 1. 치료 원칙
기도 확보 및 유지가 최우선 과제이다.[24] 신속하고 적극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24] 약물 치료에 실패하거나 국소 농양(고름집)이 형성된 경우에는 절개 및 배농을 해야 한다.[24] 적절한 영양 및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24]6. 2. 기도 관리

기도 관리는 루드비히 협심증 환자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25] "주요 치료적 관심사"이다.[26] 기도 폐쇄는 루드비히 협심증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
-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본 방법은 환자를 마스크나 비강 캐뉼라를 통해 보충 산소를 공급받으며 앉은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25] 환자의 기도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기관 내 삽관 또는 기관 절개술과 같은 더 침습적인 방법을 위한 면밀한 관찰과 준비가 필수적이다.[25]
- 산소 포화도 수준이 적절하고 항생제가 투여된 경우, 단순한 기도 관찰을 수행할 수 있다.[25] 이는 소아 환자 관리에 적합한 방법인데, 한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소아의 10%만이 기도 조절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15세 이상의 루드비히 협심증 환자의 52%는 기관 절개술을 받았다.[27]
- 더 침습적이거나 외과적인 기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여러 가지 고려 사항이 있다.[4]
- * 유연한 비강 기관 삽관은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다.[4]
- * 비강 기관 삽관이 불가능한 경우, 윤상갑상 연골 절개술 및 국소 마취 하 기관 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 절차는 루드비히 협심증의 진행 단계에 있는 환자에게 수행된다.[4]
- * 기관 내 삽관은 호흡 상태의 급격한 악화와 함께 높은 실패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4]
- * 선택적 기관 절개술은 완전히 진행된 루드비히 협심증 환자에서 더 안전하고 논리적인 기도 관리 방법으로 설명된다.[28]
- * 섬유 내시경 비강 내시경 검사 또한 특히 구강 바닥 부종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25]
6. 3. 항생제 치료
항생제 치료는 경험적으로 진행되며, 배양 및 감수성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시행한다.[25] 경험적 치료는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 모두에 효과적이어야 한다.[25] 배양 및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맞는 치료법으로 조정해야 한다.[25]경험적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및 B-락탐 분해 효소 억제제 (예: 아목시실린/티카실린과 클라불란산) 또는 베타-락타마제 내성 항생제(예: 세폭시틴, 세푸록심, 이미페넴 또는 메로페넴)를 사용해야 한다.[25] 혐기성 세균에 효과적인 클린다마이신 또는 메트로니다졸을 함께 투여해야 한다.[25]
환자가 최소 48시간 동안 열이 없을 때까지 주사(비경구) 항생제를 투여하고,[25] 이후 경구(복용) 항생제로 바꾸어 2주간 지속한다. 경구 항생제로는 아목시실린과 클라불란산, 클린다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메트로니다졸을 사용한다.[25]
6. 4. 절개 및 배농
절개 및 배농은 48시간 이내에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각하고 복잡한 깊은 목 감염을 관리하는 주요 방법이다.[25]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된다.[25]양측 턱밑 공간 절개와 더불어 정중선 턱밑 공간 절개가 수행되어야 한다. 상설골근 상방 공간에 접근하기 위해 하방에서 설골근을 통해 둔탁한 박리를 수행할 수 있다.[25] 양측 상설골근 상방 공간과 하설골근 하방 공간에 페로즈 드레인을 권장한다. 또한, 양쪽의 턱밑 공간에서 턱밑 공간으로 관통하는 드레인도 배치해야 한다.[25] 절개 및 배농 과정은 괴사 조직의 변연 절제술 및 철저한 세척으로 완료된다.[25]
6. 5. 기타 고려 사항
수술 후 모든 환자,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적절한 영양 및 수분 공급은 필수적이다.[24] 목 부위의 통증과 부기는 일반적으로 식사 또는 삼킴 곤란을 유발하여 음식 및 수분 섭취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감염과 싸우기 위해 충분한 영양과 수분을 공급받아야 한다.[29] 경구 섭취가 곤란한 경우가 많으므로, 하악에서 인두 국소 및 전신의 안정과 수액,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6. 6. 수술 후 관리
기관 내 삽관 제거술은 환자를 기계 환기에서 해방하기 위해 기관 내 튜브를 제거하는 것으로, 환자의 기도 개방이 확인되어 적절한 호흡이 가능할 때만 시행해야 한다. 이는 부기가 감소하고, 루멘이 막힌 언커프 기관 내 튜브 주위에서 환자가 적절하게 호흡할 수 있는 능력으로 나타난다.[29]입원 기간 동안 환자의 상태는 다음을 통해 면밀히 모니터링된다.[29]
- 배양 검사 및 감수성 검사를 수행하여 환자의 항생제 코스에 변경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 발열, 저혈압 및 빈맥을 포함한 추가적인 감염 또는 패혈증 징후를 관찰한다.
- 환자의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감소는 효과적이고 충분한 배액을 의미한다.
- 환자의 건강 상태 회복을 증명하거나 감염이 확산되는 경우 영향을 받는 해부학적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CT 스캔을 반복한다.
7. 어원
"안지나(angina)"라는 용어는 "목을 조르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angerela와 "숨 막히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ankhone''에서 유래되었다.[22] 문맥상, 루드비히 안지나는 이 질환의 가장 심각한 잠재적 합병증인 기도 폐쇄로 인한 질식감과 숨 막히는 느낌을 의미한다.[22]
참조
[1]
논문
Clinical Mimics: An Emergency Medicine-Focused Review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Mimics.
2018-05
[2]
서적
Master dentistry.
Elsevier
2013-05-17
[3]
논문
Ludwig angina: forewarned is forearmed
2006-12
[4]
논문
Ludwig's angina
2004-03
[5]
서적
The atlas of emergency medicine
https://www.worldcat[...]
2021
[6]
논문
The person behind the eponym: Wilhelm Frederick von Ludwig (1790-1865)
1996-10
[7]
논문
Ludwig's Angina – An emergency: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2012
[8]
논문
Ludwig's angina
2004-03-01
[9]
서적
Current therap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Elsevier Saunders
2012
[10]
논문
Ludwig's angina.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988-02
[11]
논문
Deep neck abscesses--changing trends
1994-02
[12]
논문
An upper airway obstruction emergency: Ludwig angina
2007-12
[13]
웹사이트
Ludwig's angina - General Practice Notebook
https://gpnotebook.c[...]
2018-02-17
[14]
웹사이트
Peterson's Principles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nd Ed 2004
https://www.scribd.c[...]
2018-02-17
[15]
논문
Ludwig's Angina
1988-02-01
[16]
논문
Ludwig's angina: case report and review
1995-07
[17]
서적
Clinical Review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 Case-Based Approach
Mosby Elsevier
[18]
논문
Clinical versus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eep neck infection
2004-11
[19]
간행물
Angioneurotic Edema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
[20]
논문
Microbiology and treatment of acute apical abscesses
2013-04
[21]
논문
Ludwig's Angina - An emergency: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2012-07
[22]
논문
Ludwig's Angina
2011-02
[23]
논문
Ludwig angina: a review of current airway management
1999-05
[24]
논문
An upper airway obstruction emergency: Ludwig angina
2007-12
[25]
서적
Current Therap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Elsevier
[26]
논문
Ludwig's angina.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988-02
[27]
논문
Ludwig's angina
1997-06
[28]
논문
Deep neck abscess: a retrospective review of 210 cases
2001-11
[29]
서적
Current Therap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Elsevier Saunders
2012
[30]
문서
柳川 洋一,ほか. 診断の遅れから治療に難渋したLudwig's angina の1例. 日本救急医学会雑誌. 2008:19(3);168-173.
[31]
논문
Ludwig's Angina - An emergency: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2012-07
[32]
논문
Clinical Mimics: An Emergency Medicine-Focused Review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Mimics.
2018-05
[33]
서적
Master dentistry.
https://archive.org/[...]
Elsevier
2013-05-17
[34]
논문
Ludwig angina: forewarned is forearmed
2006-12
[35]
논문
Ludwig's angina
2004-03
[36]
서적
The atlas of emergency medicine
https://www.worldcat[...]
2021
[37]
논문
The person behind the eponym: Wilhelm Frederick von Ludwig (1790-1865)
199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