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보 유키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보 유키히로는 1959년부터 1970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긴테쓰 버펄로스, 주니치 드래건스, 한신 타이거스에서 투수로 뛰었으며, 1962년에는 28승으로 다승왕을 차지하고 최우수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한신 타이거스에서 코치, 스카우트 등 지도자 생활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노모 히데오
노모 히데오는 독특한 투구폼으로 유명하며 NPB와 MLB에서 모두 성공을 거둔 일본의 前 프로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로, 일본 선수들의 메이저 리그 진출 붐을 일으킨 선구자이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퍼시픽 리그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 퍼시픽 리그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주니치 드래건스 선수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주니치 드래건스 선수 - 오카모토 신야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에서 중간 계투로 활약하며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최우수 중간 계투상을 수상하고 여러 팀에서 우승을 경험한 오카모토 신야는 은퇴 후 음식점 운영과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구보 유키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구보 유키히로 |
원어명 | 구보 마사히로 (久保 征弘) |
국적 | 일본 |
출신지 | 오사카부 오사카시 다이쇼구 |
생년월일 | 1940년 4월 2일 |
사망일 | 해당사항 없음 |
신장 | 181cm |
체중 | 75kg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수비 위치 | 투수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연도 | 1959년 |
첫 출장 | 1960년 4월 10일 |
마지막 경기 | 1968년 8월 8일 |
소속 구단 | 긴테쓰 버펄로 긴테쓰 버펄로스(1959 ~ 1966) 주니치 드래곤스(1967 ~ 1968) 한신 타이거스(1969 ~ 1970) |
연봉 | 해당사항 없음 |
계약금 | 해당사항 없음 |
획득 타이틀 | 해당사항 없음 |
드래프트 순위 | 해당사항 없음 |
코치 경력 | |
코치 경력 | 한신 타이거스(1972, 1976 ~ 1977, 1992 ~ 1993) |
기타 정보 | |
득표율 | 해당사항 없음 |
선정 연도 | 해당사항 없음 |
선정 국가 | 해당사항 없음 |
경력 보충 | 해당사항 없음 |
경력 보충 제목 | 코치 경력 |
2. 선수 경력
긴테쓰(1959년 ~ 1966년), 주니치(1967년 ~ 1968년), 한신 타이거스(1969년 ~ 1970년)에서 투수로 선수 생활을 했다.[1]
은퇴 후에는 한신에서 2군 투수 코치(1972년, 1976년 ~ 1977년, 1992년), 육성 코치(1993년), 용구 담당(1971년, 1973년 ~ 1974년), 1군 서브 매니저(1975년), 스카우트(1978년 ~ 1983년, 1985년 ~ 1991년), 2군 자료 담당(1984년)을 역임했다.[1] 스카우트 시절에는 유후네 토시로를 영입하기도 했다.
2. 1.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시절 (1959년 ~ 1966년)
오사카 부립 미나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9년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했다.[1] 1959년에는 1군 등판 기회가 없었으나, 프로 2년 차인 1960년에 1군에 합류하여 4월 16일 도에이 플라이어스를 상대로 첫 선발 등판했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장훈에게 2개의 홈런을 허용하며 5회 도중에 강판되어 패전 투수가 되었다.1961년에는 50경기에 등판했지만 8연패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1962년에는 선발, 중간 계투, 마무리 등 다양한 보직을 맡아 리그 최다인 66경기에 등판, 28승 21패를 기록하며 다승왕 타이틀을 획득했고,[1] 규정 투구 이닝(11위, 평균 자책점 3.02)도 달성했다.
1963년에는 19승 12패, 평균 자책점 2.36으로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다.[1]
1964년에도 10승을 기록했지만, 이후 성적이 하락하며 전성기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2. 2.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 (1967년 ~ 1968년)
1967년 주니치 드래건스로 이적했다.[1] 이적 첫 해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54경기에 등판했지만 0승 4패로 부진했다. 1968년에는 주니치에서 8경기에 등판했다.2. 3.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69년 ~ 1970년)
1969년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다.[1] 부상당한 진 버키의 공백을 메울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1군 등판 기회를 얻지 못하고 1970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3. 은퇴 이후
은퇴 후 한신 타이거스에서 2군 투수 코치(1972년, 1976년~1977년, 1992년), 육성 코치(1993년), 용구 담당(1971년, 1973년~1974년), 1군 서브 매니저(1975년), 스카우트(1978년~1983년, 1985년~1991년), 2군 자료 담당(1984년)을 역임했다.[1] 스카우트 시절에는 유후네 도시로를 영입하는 데 기여했다.
4. 상세 정보
구보 유키히로는 오사카부립 미나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긴테쓰(1959년 ~ 1966년), 주니치 드래건스(1967년 ~ 1968년), 한신 타이거스(1969년 ~ 1970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은퇴 후에는 한신 타이거스에서 2군 투수 코치(1972년, 1976년 ~ 1977년, 1992년)와 2군 육성 코치(1993년)를 역임했다.
1962년 다승왕과 최다 승리, 1963년 최우수 평균 자책점을 기록했다. 올스타전에 2회(1962년, 1963년) 출장했다.
첫 등판은 1960년 4월 10일 대 도에이 3차전(고마자와 구장) 7회말 구원 등판(2이닝 무실점)이었다. 첫 선발 등판은 1960년 4월 16일 대 도에이 4차전(일본생명 구장)이었으나, 4⅓이닝 5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됐다. 첫 등판부터 10연패(역대 4번째)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1962년 4월 17일 대 난카이 1차전(일본생명 구장)에서 9이닝 2실점으로 첫 승리, 첫 선발 승리, 첫 완투 승리를 동시에 달성했다. 첫 완봉은 1962년 8월 11일 대 한큐 18차전(일본생명 구장)이었다.
선수 시절 등번호는 긴테쓰 45번(1959년 ~ 1966년), 주니치 22번(1967년 ~ 1968년), 한신 51번(1969년 ~ 1970년)이었다. 지도자 시절에는 74번(1972년), 75번(1976년 ~ 1977년), 86번(1992년 ~ 1993년)을 사용했다.
4. 1. 출신 학교
오사카부립 미나토 고등학교4. 2. 선수 경력
4. 3. 지도자 경력
4. 4. 수상 및 타이틀 경력
연도 | 수상 및 타이틀 |
---|---|
1962년 | 다승왕, 최다 승리 |
1963년 | 최우수 평균 자책점 |
4. 5. 개인 기록
기록 종류 | 내용 |
---|---|
첫 등판 | 1960년 4월 10일, 대 도에이 플라이어스 3차전 (고마자와 구장), 7회말에 두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 |
첫 선발 등판 | 1960년 4월 16일, 대 도에이 플라이어스 4차전 (일본생명 구장), 4⅓이닝 5실점으로 패전 투수 |
첫 등판부터 승리 없는 연패 | 10 (역대 4번째) |
첫 승리·첫 선발 승리·첫 완투 승리 | 1962년 4월 17일, 대 난카이 호크스 1차전 (일본생명 구장), 9이닝 2실점 |
첫 완봉 | 1962년 8월 11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18차전 (일본생명 구장) |
올스타전 출장 | 2회 (1962년, 1963년) |
4. 6.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1959년 ~ 1966년 | 45 |
1967년 ~ 1968년 | 22 |
1969년 ~ 1970년 | 51 |
1972년 | 74 |
1976년 ~ 1977년 | 75 |
1992년 ~ 1993년 | 86 |
5.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60년 | 긴테쓰 | 4 | 1 | 0 | 0 | 0 | 0 | 1 | - | - | .000 | 40 | 8.1 | 12 | 2 | 2 | 0 | 0 | 4 | 0 | 0 | 7 | 7 | 7.00 | 1.68 |
1961년 | 50 | 9 | 0 | 0 | 0 | 0 | 8 | - | - | .000 | 475 | {{cvt|108.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