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산동 응회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산동 응회암은 경상 분지 하양층군의 주요 열쇠층으로, 1976년 영천시 신녕면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령 역암으로 불리다가 장기홍에 의해 구산동 응회암으로 명명되었다. 내부 구조와 조성에 따라 기저층상층, 괴상층, 상부층상층으로 구분되며, 의성소분지 지역은 북부 구산동 응회암(NKT), 밀양소분지 지역은 남부 구산동 응회암(SKT)으로 나뉜다. 고자기 연구와 화학 조성 분석을 통해 북부와 남부 구산동 응회암의 형성 시기와 마그마 기원을 밝혀냈으며, 절대 연령 측정 연구를 통해 분출 시기를 96~97 Ma로 추정했다. 구산동 응회암은 경상 분지의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지역별로 지질학적 특징과 분포 범위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지리 - 자인층
    자인층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경산시 일대에 분포하며 암회색 내지 흑색 셰일로 이루어져 있고 반야월층과 점이적인 관계를 가지며 400m 이상의 두께를 가진 지층이다.
  • 대구광역시의 지리 - 대구층
    대구층은 경상 누층군에 속하는 백악기 지층으로,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경상 분지 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특히 울주군에서는 다양한 지질 및 고고학적 유적을 포함한다.
  • 경상남도의 지리 - 주산안산암질암
    주산안산암질암은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에 속하는 화산암류로, 안산암, 조면안산암, 휘석안산암 등으로 구성되어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일대에 분포하며, 퇴적암 지층을 관입하거나 지표로 분출되어 형성되었고, 양산 단층과 관련을 맺으며, 열변질 작용을 받았고, 수직 절리가 발달하여 폭포 지형을 형성하고 건설 자재나 광물 자원으로 활용된다.
  • 경상남도의 지리 - 합천군의 지질
    합천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시대 미상의 화강암 및 섬록암, 중생대 백악기의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상 누층군 내에는 합천배티세일동굴이, 진주층과 칠곡층 내에는 운석 충돌 학설이 제기된 초계분지가 발달해 있고, 지하자원은 빈약하지만 과거 소규모 채취가 있었으며, 하천쟁탈 현상이 나타나고, 역사적으로 지진 피해 기록과 현대적인 지진 활동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 경상북도의 지리 - 경산시의 지질
    경산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 동남부에 위치한 경산시의 지질학적 특징으로, 백악기 지층이 넓게 분포하며 대구층, 자인층, 채약산 화산암층,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주산안산암질암 등의 지층과 적제 단층, 고은 단층이 존재하고 보국 코발트 광산과 흥남광산 등의 자원이 있다.
  • 경상북도의 지리 - 영덕군의 지질
    영덕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암석, 트라이아스기 화성암, 쥐라기 화성암, 경상 누층군, 영해 분지, 단층, 광산 등으로 구성된다.
구산동 응회암
개요
의성군 사곡면 공정리 산 17-1 지방도 제912호선 도로변, 사곡층과 춘산층의 경계에 위치한 구산동 응회암의 노두
의성군 사곡면 공정리 산 17-1 지방도 제912호선 도로변, 사곡층춘산층의 경계에 위치한 구산동 응회암의 노두
유형퇴적암
주 암질응회암
지질 정보
시대중생대
시기백악기
시기 (백악기)97 ~ 96 Ma
상위 단위경상 누층군
하위 단위북부 구산동 응회암(NKT)
남부 구산동 응회암(SKT)
하층사곡층
상층춘산층
두께최대 30 m
지역경상북도 의성군, 영천시, 대구광역시
명명 및 학술 정보
이름 따옴구산동 지질도폭 (1977)
명명장기홍 (1977)
참고 자료

2. 연구 역사

구산동 응회암은 1976년 영천시 신녕면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령 역암으로 불렸으나, 이후 응회암으로 확인되고 장기홍(1977)에 의해 구산동 응회암으로 명명되었다.[3] 하양층군의 주요 열쇠층인 구산동 응회암의 두께는 보통 2~3 m이나 구산동 응회암의 표식지인 구산동도폭의 삼학등 부근에서는 24 m에 달한다.[3] 구산동 응회암은 유문석영안산암질(rhyodacite)의 응회암이며 일반적으로 퇴적구조가 없는 괴상의 암석이다.[3]

구산동 응회암은 내부 구조와 조성에 따라 기저층상층, 괴상층, 상부층상층으로 구분된다.[4] 의성소분지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을 '''북부 구산동 응회암'''(NKT)으로, 밀양소분지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을 '''남부 구산동 응회암'''(SKT)으로 구분한다.[4] 고자기 연구 결과 구산동 응회암의 주 자성광물은 자철석과 적철석이며 북부와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거의 동시기에 퇴적되었고 의성소분지와 밀양소분지 간에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6][7] 화학 조성 분석 결과 북부 및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각각 성인이 완전 다른 마그마로부터 분출하였으며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두 마그마가 또다시 두 번 분출하여 기저층상층과 괴상층을 형성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8]

2. 1. 초기 발견과 명명 (1970년대)

구산동 응회암은 1976년 영천시 신녕면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령 역암으로 불렸으나, 이후 응회암으로 확인되고 장기홍(1977)에 의해 구산동 응회암으로 명명되었다.[3] 하양층군의 주요 열쇠층인 구산동 응회암의 두께는 보통 2~3 m이나 구산동 응회암의 표식지인 구산동도폭의 삼학등 부근에서는 24 m에 달한다.[3] 구산동 응회암은 유문석영안산암질(rhyodacite)의 응회암이며 일반적으로 퇴적구조가 없는 괴상의 암석이다.[3]

2. 2. 구분 및 분류 (1970년대 후반 ~ 2000년대)

구산동 응회암은 1976년 영천시 신녕면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령 역암으로 불렸으나, 이후 응회암으로 확인되고 장기홍(1977)에 의해 구산동 응회암으로 명명되었다.[3] 하양층군의 주요 열쇠층인 구산동 응회암의 두께는 보통 2~3 m이나 구산동 응회암의 표식지인 구산동도폭의 삼학등 부근에서는 24 m에 달한다. 구산동 응회암은 유문석영안산암질(rhyodacite)의 응회암이며 일반적으로 퇴적구조가 없는 괴상의 암석이다.[3]

구산동 응회암은 내부 구조와 조성에 따라 기저층상층, 괴상층, 상부층상층으로 구분된다.[4] 의성소분지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을 '''북부 구산동 응회암'''(NKT)으로, 밀양소분지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을 '''남부 구산동 응회암'''(SKT)으로 구분한다.[4] 고자기 연구 결과 구산동 응회암의 주 자성광물은 자철석과 적철석이며 북부와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거의 동시기에 퇴적되었고 의성소분지와 밀양소분지 간에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6][7] 화학 조성 분석 결과 북부 및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각각 성인이 완전 다른 마그마로부터 분출하였으며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두 마그마가 또다시 두 번 분출하여 기저층상층과 괴상층을 형성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8]

2. 3. 고자기 및 화학 조성 연구 (2000년대)

구산동 응회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결과, 주 자성광물은 자철석과 적철석이며 북부와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거의 동시기에 퇴적되었고 의성소분지밀양소분지 간에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5] 논문의 오타와 이에 따른 계산상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고지자극의 위치는 북위 67.3°, 동경 196.2°으로 확정되었다.[6][7] 화학 조성 분석 결과, 북부 구산동 응회암(NKT)과 남부 구산동 응회암(SKT)은 각각 성인이 완전히 다른 마그마로부터 분출하였으며,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두 마그마가 다시 두 번 분출하여 기저층상층과 괴상층을 형성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8]

3. 구산동 응회암의 절대연령

장기홍 외(1998)는 북부 구산동 응회암에서의 저어콘 U-Pb CHIME 연령을 113±10 Ma로 보고하였다.[9] 좌용주와 정종옥(2002)은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을 실시하여 창녕 북쪽의 북부 구산동 응회암은 97.4~103.4 Ma, 창녕 남쪽의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81.9~88.1 Ma의 연령을 보고하였다.[10] 좌용주 외(2004)는 저어콘에 대한 Laser Ablation ICP-MS 분석을 통해 구산동 응회암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고,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97±2 Ma, 북부 구산동 응회암은 96±2 Ma라고 보고하여 구산동 응회암의 분출 시기를 96~97 Ma로 정하고 이 시기를 진동층 퇴적시기의 하한으로 설정하였다.[11] 김찬수 외(2005)는 좌용주 외(2004)의 연대측정 결과가 방법론적으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분출 시기라고 판단하였다.[12]

좌용주 외(2009)는 LA-ICP-MS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북부 및 남부 구산동 응회암에서 각각 97.1±2.0 Ma과 97.3±1.8 Ma의 연령을 보고하였다. 또한 북부 구산동 응회암에는 특이하게 평균 107.9±3.0 Ma의 연령을 가지는 저어콘들도 함께 존재함을 보고하였으나, 이들 저어콘은 구산동 응회암 분출 이전의 옛날 저어콘인 것으로 해석하였다.[13] 김종선 외(2013)는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북부 및 남부 구산동 응회암에서 각각 103.0±1.2 Ma와 104.1±1.3 Ma의 연령을 보고하였다.[14]

3. 1. 연대 측정 방법 및 결과

장기홍 외(1998)는 북부 구산동 응회암에서의 저어콘 U-Pb CHIME 연령을 113±10 Ma로 보고하였다.[9] 좌용주와 정종옥(2002)은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을 실시하여 창녕 북쪽의 북부 구산동 응회암은 97.4~103.4 Ma, 창녕 남쪽의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81.9~88.1 Ma의 연령을 보고하였다.[10] 좌용주 외(2004)는 저어콘에 대한 Laser Ablation ICP-MS 분석을 통해 구산동 응회암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고,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97±2 Ma, 북부 구산동 응회암은 96±2 Ma라고 보고하여 구산동 응회암의 분출 시기를 96~97 Ma로 정하고 이 시기를 진동층 퇴적시기의 하한으로 설정하였다.[11] 김찬수 외(2005)는 좌용주 외(2004)의 연대측정 결과가 방법론적으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분출 시기라고 판단하였다.[12]

좌용주 외(2009)는 LA-ICP-MS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북부 및 남부 구산동 응회암에서 각각 97.1±2.0 Ma과 97.3±1.8 Ma의 연령을 보고하였다. 또한 북부 구산동 응회암에는 평균 107.9±3.0 Ma의 연령을 가지는 저어콘들도 함께 존재함을 보고하였으나, 이들은 구산동 응회암 분출 이전의 옛날 저어콘인 것으로 해석하였다.[13] 김종선 외(2013)는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북부 및 남부 구산동 응회암에서 각각 103.0±1.2 Ma와 104.1±1.3 Ma의 연령을 보고하였다.[14]

4. 지역별 지질

구산동 응회암은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에서는 사곡층춘산층의 경계에, 밀양소분지에서는 함안층진동층의 경계 부근에 나타나지만, 경상남도 함안군 이남 지역에서는 함안층의 중부에 나타난다.[15] 일반적으로 구산동 응회암의 하위에는 암회색의 이암 지층이, 상위에는 사암 지층이 있다. 의성소분지에서는 심하게 풍화되어 있으며 밀양소분지에서는 혼펠스화되어있다.[15]

의성소분지 지역의 북부 구산동 응회암(NKT)은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 용산동까지 분포하며 청송융기부와 영양소분지로는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다. 의성소분지와 밀양소분지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은 화학조성에 차이를 보여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서로 다른 두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

4. 1. 분포 범위 및 층서

구산동 응회암은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에서는 사곡층춘산층의 경계에, 밀양소분지에서는 함안층진동층의 경계 부근에 나타나지만, 경상남도 함안군 이남 지역에서는 함안층의 중부에 나타난다.[15] 일반적으로 구산동 응회암의 하위에는 암회색의 이암 지층이, 상위에는 사암 지층이 있다. 의성소분지에서는 심하게 풍화되어 있으며 밀양소분지에서는 혼펠스화되어있다.[15]

의성소분지 지역의 북부 구산동 응회암(NKT)은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 용산동까지 분포하며 청송융기부와 영양소분지로는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다. 의성소분지와 밀양소분지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은 화학조성에 차이를 보여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서로 다른 두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

4. 2. 의성군과 군위군

의성군 사곡면 공정리 산 17-1 지방도 제912호선 도로변에는 구산동 응회암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1] 이곳의 구산동 응회암은 풍화가 심하지만 전 경상 분지를 통틀어 구산동 응회암이 가장 두껍게 나타나는 곳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두께가 1~4 m에 불과한 것에 비해 이곳에서는 30 m에 달한다.[1] 도로변 철제 펜스에 의성지질공원 마크가 붙어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1] 구산동 지질도폭(1976)에 의하면 사곡층과 춘산층의 경계는 구산동 응회암을 춘산층의 기저로 하여 구별된다.[16] 춘산층의 기저에는 두께 2~24 m의 구산동 응회암층이 존재하며, 이 층을 추적하여 대구광역시 지역에 이르면 함안층의 최상부에 놓인다.[16] 군위 지질도폭(1980)에 의하면 두께 2 내지 3 m인 구산동 응회암이 춘산층의 기저가 된다.[17]

4. 3. 영천시

영천시 신녕면 지역에는 경상 누층군 함안층 최상부에 2~3 m 두께의 응회암이 분포한다.[1] 이 응회암은 외관상 화강반암과 유사하다.[1] 이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면 대구광역시 이남 지역에서도 함안층 최상부에서 발견된다.[1]

4. 4. 대구광역시

밀양소분지 지역에서 구산동 응회암은 층서적으로 함안층진동층의 경계 직하 80 m, 즉 함안층의 상부에 위치한다. 대구층의 하부와 상부가 각각 함안층진동층에 해당하여 대구광역시 시내에도 구산동 응회암이 분포하며, 이는 층서를 밝히는 중요한 열쇠층일 뿐 아니라 충적층 아래 잠복된 기반암의 지질 구조를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도시 개발로 인해 대구광역시 시내의 노두들은 대부분 소멸되어 현재는 찾기 힘들다.

현재까지 발견된 노두는 다음과 같다.

  • 한전아파트(수성구 수성동4가 달구벌대로471길 10)와 신천시장(범어동 1003) 사이 범어천 복개 도로변
  • 범어동 신천시장에서 한영아파트를 향해 오르는 계단 옆 언덕
  • 청구삼거리 부근 건설공제조합 건물 서편 (소멸)
  • 중원빌라(동구 동부로30길 92-6) 동편 (소멸)
  • 구 동부시외정류장 내 북동부 (소멸)


해당 지역의 구산동 응회암 하부에는 중~암회색의 이암 내지 셰일이 퇴적되어 있고, 위에는 두께 2.5 m의 사암이 관찰된다. 응회암층 아래에 니질암이, 위에는 사질암이 놓이는 층서는 이곳 대구뿐만 아니라 경상 분지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양상이다. 구산동 응회암 저어콘 결정들의 U-Pb CHIME 연대측정 결과는 약 113.6 Ma로, 이는 백악기 전기 압트절(Aptian)에 해당한다.

4. 5. 창녕군 ~ 남해군

밀양소분지 지역에서 남부 구산동 응회암(SKT)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에서 남해군 창선면 천포리까지 총 연장 130 km의 범위로 추적되며, 전체 두께는 1.4~4.7 m이다.[1][18][19] 두께 4~33 cm의 기저층상층(Basal Layered Division)과 두께 1.3~3.8 m의 괴상층(Massive Division)으로 구분된다. 괴상층은 희미한 층리를 보이고 최하부 수 cm 구간에는 역점이층리가 발달한다.[1] 고수류 측정 결과에 의하면 남부 구산동 응회암은 창원시 부근에서 분출하여 경상 분지 경계부를 향하여 약 80 km 이상 방사형으로 이동하여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마그마 기원의 결정은 26.5~50.3 vol. % 함유되어 있다.[1] 사천시 정동면 학촌리 국도 제33호선에서 구산동 응회암이 관찰된다.[20]

참조

[1] 웹인용 의성지질공원 지질명소, 의성 구산동응회암 https://www.usc.go.k[...] 의성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2023-12-23
[2] 저널 Magnetic fabric changes through thermal treatment: a case study on the Cretaceous Gusandong Tuff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열처리를 통한 자기미세구조의 변화: 경상분지 구산동응회암에서의 사례연구) https://www.dbpia.co[...] 2015-04
[3] 저널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 (慶尙盆地 上部中生界의 層序堆積 및 地構造) https://www.dbpia.co[...] 1977-06
[4] 저널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of the Kusandong Tuff, Cretaceous Gyeongsang Basin, Korea https://www.proquest[...] 2003-03
[5] 저널 Pal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Gusandong Tuff in the Gyeongsang Basin: Discussion (경상분지내 백악기 구산동응회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비평) https://www.dbpia.co[...] 2009-02
[6] 저널 Pal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Gusandong Tuff in the Gyeongsang Basin (경상분지내 백악기 구산동응회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https://www.dbpia.co[...] 2008-06
[7] 저널 Pal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Gusandong Tuff in the Gyeongsang Basin: Reply (경상분지내 백악기 구산동응회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회신) https://www.dbpia.co[...] 2009-02
[8] 저널 Petrography and modal compositional variations of the Cretaceous Kusandong Tuff, Korea (백악기 구산동응회암의 암석기재와 모드조성 변화) https://www.dbpia.co[...] 2005-03
[9] 저널 Zircon Morphology, CHIME Age and Geological Significance of Kusandong tuff (Cretaceous) (백악기 구산동응회암 저어콘 결정들의 형태, CHIME 연령 및 지사적 의의) https://www.dbpia.co[...] 1998-12
[10] 저널 Spatial contrast within the Cretaceous Kusandong tuff : Geochemical evidences https://www.dbpia.co[...] 2002-10
[11] 저널 구산동 응회암과 진동 화강암에서 산출되는 저콘에 대한 U-Pb 연대와 진동층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 https://www.dbpia.co[...] 2004-10
[12] 저널 백악기 신라역암 내 화산암력의 40Ar/39Ar 연대 및 하양층군의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 (40Ar/39Ar Age of the Volcanic Pebbles within the Silla Conglomerate and the Deposition Timing of the Hayang Group) https://www.dbpia.co[...] 2005-03
[13] 저널 Eruption age of the Kusandong Tuff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Korea https://link.springe[...] 2009-11
[14] 저널 백악기 경상분지 구산동응회암의 SHRIMP 저콘 연대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Gusandong (Kusandong) Tuff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https://www.dbpia.co[...] 2013-09
[15] 저널 구산동 응회암의 암석기재 및 지구화학적 연구 https://kiss.kstudy.[...] 2002-05
[16] 웹인용 九山洞 地質圖幅說明書 (구산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6
[17] 웹인용 軍威 地質圖幅說明書 (군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
[18] 저널 Basal layered deposit of the Cretaceous Kusandong Tuff : Sedimentology, source-vent direction, and eruption dynamics https://www.dbpia.co[...] 2003
[19] 저널 남부 구산동 응회암의 조성변화 및 퇴적과정 https://www.dbpia.co[...]
[20] 뉴스 사천 응회암에 남은 1억 년 전 화산 폭발의 흔적 https://www.news4000[...] 뉴스사천 202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