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미치자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조 미치자네는 좌대신 구조 미치타카의 장남으로, 영국 유학 후 공작 작위를 습작하고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식부관, 시종, 제관장 등을 역임하며 황실 관련 업무를 수행했으며, 훈1등 서보장과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1933년 사망했으며, 쇼와 천황과 아키히토 천황의 외증조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가 - 구조 가네자네
구조 가네자네는 섭정 후지와라 타다미치의 아들로, 내람 선하를 받고 섭정, 씨장자가 되었으나 보수적인 성향과 고토바 천황과의 갈등으로 실각하여 정토종에 귀의, 일기 『교쿠요』를 남겼다. - 구조가 - 도요토미 사다코
도요토미 사다코는 도요토미 히데카쓰의 딸로 태어나 요도도노의 양녀가 되었으며, 구조 유키이에와 결혼하여 기타노만도코로가 되었고, 오사카 전투 이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가 되어 공가와 무가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다가 1658년에 사망했다. - 일본 제국의 관료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후작)
마쓰다이라 야스마사는 일본 제국의 후작이자 정치인으로, 귀족원 의원, 내대신 비서관장, 식부두 등을 역임하며 교토 제국대학 법학부 졸업 후 영국과 프랑스 유학, 귀족원 연구회 활동, 쇼와 천황 측근 활동과 저서 집필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본 제국의 관료 - 엔도 류사쿠
엔도 류사쿠는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조선총독부 관료, 지바현, 아오모리현, 미에현 지사, 만주국 총무청장, 아베 노부유키 내각의 내각서기관장,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등을 지낸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해방 후에는 무사시노 은행 창립 기여 및 참의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친일 행적 비판과 더불어 여운형과의 교섭을 통해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발족을 지원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일본의 공작 -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조슈번 출신의 사무라이 아들로, 일본 육군의 창설과 근대화에 기여하고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며, 군국주의적 가치 강조와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일본의 공작 - 가쓰라 다로
가쓰라 다로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세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2,886일간 집권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영일 동맹 체결 및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등으로 한국에서는 비판받기도 했다.
구조 미치자네 | |
---|---|
기본 정보 | |
![]() | |
씨족 | 후지와라 씨 |
가문 | 구조가 |
인물 정보 | |
이름 | 구조 미치자네 |
한자 표기 | 九條 道実 |
로마자 표기 | Kujō Michizane |
생몰년 | 1839년 ~ 1906년 |
작위 | 공작 |
관위 | 종1위 |
신위 | 정2위 |
가계 | |
아버지 | 구조 히사타다 |
어머니 | 이치조 다다요시의 딸 |
배우자 |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딸 |
자녀 | 구조 미치타카, 이치조 사네테루의 아내 |
관력 | |
종1위 | 해당사항 없음 |
정2위 | 해당사항 없음 |
구조가 당주 | 32대 |
전임자 | 구조 미치타카 |
후임자 | 구조 미치히데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후지와라 씨, 구조가 |
2. 생애
구조 미치타카의 장남으로 태어나 1889년 영국으로 유학을 갔다. 190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공작 작위를 물려받고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 이후 식부관, 장전차장, 시종, 제관장, 장전장 등을 역임하며 황실 관련 활동에 참여했다. 1933년 사망했으며, 귀족원에서 조사를 보내고 장례식에는 칙사 등이 파견되어 옥수를 봉헌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좌대신 구조 미치타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9년 (메이지 22년) 영국으로 유학을 갔다. 1906년(메이지 39년) 1월 23일 아버지의 사망으로 공작 작위를 물려받고, 귀족원 공작 의원이 되었으며, 화요회에 소속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2. 2. 귀족원 의원 및 관료 활동
구조 미치타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9년 영국으로 유학을 갔다. 1906년 1월 23일 아버지의 사망으로 공작 작위를 습작, 귀족원 공작 의원이 되었으며, 화요회에 소속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1908년 1월 1일 식부관에 전임되어 고등관 4등 (주임관)에 서임되었고, 연봉 900JPY을 하사받는 동시에 장전차장 직무도 맡았다.
1909년 12월 25일 장전차장에 임명되어 고등관 3등으로 승서했다. 12월 26일 2급 봉급을 받았다.
1912년 9월 21일 시종으로 전임되었고, 11월 8일 제관장으로 임명되었다.
1913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 1주년 제권전 의식에서 제관장으로서 제사를 올렸다. 7월 31일 1주년 제사가 끝나면서 제관직이 폐지되었고, 미치자네 이하 제관직에 봉사한 사람들에게 하사품이 있었다. 8월 9일 장전차장으로 환임했다.
1914년 1월 17일 신궁 칙사로 다이쇼 천황에게 어제문을 받들고, "능히 아뢰어 받들라"는 칙명을 받았다.
1915년 12월 27일 장전장으로 승진했다.
1920년 11월 1일 메이지 천황·쇼켄 황태후의 어령대가 메이지 신궁에 봉납되었고, 칙사로 참석했다. 12월 20일 다이쇼 천황에게 불려 오찬을 받았다.
1924년 12월 14일 친임관 대우가 되었다.
1929년 10월, 제58회 신궁식년천궁에 칙사로 참석했다.
1933년 1월 16일 여동생인 테이메이 황후가 미치자네 저택에 행차했다. 1월 19일 훙거했다. 1월 21일 귀족원에서 조사가 보내졌다. 1월 24일 장례가 거행되었고, 칙사로 시종 간로지 우케나가, 황후궁사로 황후궁 사무관 오오카네 마스지로, 황태후궁사로 황태후궁 사무관 세이칸지 요시사다가 각각 파견되어 옥수를 봉헌했다.
2. 3. 황실 관련 활동
1908년(메이지 41년) 1월 1일, 식부관에 임명되어 고등관 4등 (주임관)에 올랐으며, 연봉 900엔을 받고 장전차장 직무도 맡았다.1909년 (메이지 42년) 12월 25일, 장전차장에 임명되어 고등관 3등으로 승진하고, 다음날인 12월 26일에는 2급 봉급을 받았다.
1912년 (다이쇼 원년) 9월 21일, 시종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11월 8일에는 제관장으로 임명되었다.
1913년 (다이쇼 2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 1주년 제권전에서 제관장으로서 제사를 올렸다. 7월 31일 제사가 끝난 후 제관직이 폐지되면서, 구조 미치자네를 포함한 제관직 봉사자들에게 하사품이 내려졌다. 8월 9일, 장전차장으로 복귀했다.
1914년 (다이쇼 3년) 1월 17일, 다이쇼 천황에게서 신궁 칙사로 임명받아 어제문을 받들고 "능히 아뢰어 받들라"는 칙명을 받았다.
1915년 (다이쇼 4년) 12월 27일, 장전장으로 승진했다.
1920년 (다이쇼 9년) 11월 1일, 메이지 천황과 쇼켄 황태후의 어령대가 메이지 신궁에 봉납될 때 칙사로 참석했고, 12월 20일에는 다이쇼 천황의 초대로 오찬을 함께 했다.
1924년 (다이쇼 13년) 12월 14일, 친임관 대우를 받았다.
1929년 (쇼와 4년) 10월, 제58회 신궁식년천궁에 칙사로 참석했다.
1933년 (쇼와 8년) 1월 16일, 여동생 데이메이 황후가 구조 미치자네의 저택을 방문했으며, 1월 24일에는 장례가 거행되어 칙사 간로지 우케나가, 황후궁사 오오카네 마스지로, 황태후궁사 세이칸지 요시사다가 파견되어 옥수를 봉헌했다.
2. 4. 사망
1933년(쇼와 8년) 1월 16일, 여동생인 데이메이 황후가 미치자네 저택에 행차했다. 1월 19일 사망했으며, 1월 21일 귀족원에서 조사가 보내졌다. 1월 24일 장례가 거행되었고, 칙사로 시종 간로지 우케나가, 황후궁사로 황후궁 사무관 오오카네 마스지로, 황태후궁사로 황태후궁 사무관 세이칸지 요시사다가 각각 파견되어 옥수를 봉헌했다.3. 영전
구조 미치자네는 1894년 궁중 고문관을 시작으로, 1895년 귀족원 부의장, 1907년 궁중 심의관, 1920년 추밀 고문관, 1922년 추밀원 부의장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3. 1. 위계
날짜 | 위계 |
---|---|
연도 불명 | 종5위 |
연도 불명 | 정5위 |
1894년 6월 30일 | 종4위 |
1897년 7월 3일 | 정4위 |
1906년 1월 31일 | 종3위 |
1912년 2월 10일 | 정3위 |
1919년 2월 20일 | 종2위 |
1927년 3월 1일 | 정2위 |
1933년 1월 19일 | 종1위 |
3. 2. 훈장
4. 가계
구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구조 미치타카 | |
어머니 | 노마 이쿠코 | |
남동생 | 구조 요시마사, 구조 요시무네, 구조 요시노부 | |
여동생 | 기쿠마로 왕비 노리코 | 야마시나노미야 기쿠마로 왕 비 |
오타니 즈시 | 오타니 고즈이 처 | |
세이메이 황후 | 다이쇼 천황 황후 | |
시부야 호시 | 시부야 류쿄 처 | |
오타니 닌시 | 오타니 코묘 처 | |
조카 | 쇼와 천황 | 제124대 천황 |
증손자 | 아키히토 | 제125대 천황 |
부인 | 구조 케이코 | 오타니 코에이의 차녀 |
4. 1. 친인척 관계
- 아버지: 구조 미치타카
- 어머니: 노마 이쿠코
- 남동생: 구조 요시마사, 구조 요시무네, 구조 요시노부
- 여동생: 기쿠마로 왕비 노리코(야마시나노미야 기쿠마로 왕 비), 오타니 즈시(오타니 고즈이 처), 세이메이 황후(다이쇼 천황 황후), 시부야 호시(시부야 류쿄 처), 오타니 닌시(오타니 코묘 처)
- 조카: 쇼와 천황 (제124대 천황)
- 증손자: 아키히토 (제125대 천황)
- 부인: 구조 케이코 - 오타니 코에이의 차녀
- 자녀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장녀: 사타케 가네코 | 1894년 - 1964년 | 사타케 요시하루의 처 |
장남: 구조 미치히데 | 1895년 - 1961년 | |
차녀: 나카야마 도요코 | 1899년 - 1985년 | 나카야마 스케치카의 처 |
넷째 딸: 오오카 미쓰코 | 1901년 - 1985년 | 오오카 타다카즈의 양녀 |
다섯째 딸: 가야 도시코 | 1903년 - 1995년 | 카야노미야 쓰네노리 왕 비 |
여섯째 딸: 오오쿠보 히로코 | 1906년 - 1984년 | 자작 오오쿠보 타다노리 후처 |
양녀: 구조 닛쇼 | 1896년 - 1962년 | 센고쿠 마사타카의 장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