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애견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애견연맹(FCI)은 1911년 독일,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5개국에서 설립된 애견 단체이다. 순종견의 번식, 전시, 심사에 대한 전 세계적인 통일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98개국에 회원, 준회원 및 파트너를 두고 있다. FCI는 356개의 견종을 인정하고, 각 견종의 표준을 관리하며, 도그 쇼 심사위원의 자격 및 면허를 관리한다. 또한,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 캐나다 켄넬 클럽(CKC), 더 켄넬 클럽(TKC) 등 비회원 단체와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견협회 - 아메리칸 케널 클럽
아메리칸 케널 클럽(AKC)은 1884년에 설립된 미국의 순종견 등록 기관으로, 혈통 있는 개를 연구, 번식, 전시하며 순수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도그 스포츠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개 관련 법안에 대해 로비 활동을 펼치지만, 유전 질환 발생률과 상업 번식자 문제, 건강 기준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11년 설립된 단체 - 권업회
권업회는 1911년 러시아 연해주에서 이종호, 최재형, 홍범도 등이 조직한 단체로, 농업, 상업, 공업, 교육 진흥을 표면적인 목표로 했지만, 실제로는 연해주 한인 사회를 대표하며 한국 독립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 에노주 - 피카르디어
피카르디어는 프랑스 북부에서 사용되는 오일어 방언으로,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병사들을 지칭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고, 1000년 이전부터 사용되어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벨기에에서는 지역 언어로 인정받았지만 프랑스에서는 공식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다. - 에노주 - 몽스의 천사
몽스의 천사 이야기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몽스 전투에서 영국군을 도왔다는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소문으로, 군 사기 진작에 활용되었으나 허구 논란과 정보 조작 가능성, 그리고 다양한 재해석으로 현재까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제애견연맹 | |
---|---|
개요 | |
명칭 | 국제 애견 연맹 |
프랑스어 명칭 | Fédé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
약칭 | FCI |
유형 | 애견 클럽 연맹 |
상태 | 활동 중 |
목적 | 불명 |
본부 위치 | 튀앵, 벨기에 |
서비스 제공 지역 | 국제 |
언어 |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
조직 | |
임원 | 타마스 자켈 |
주요 조직 | FCI 총회 |
연혁 | |
설립일 | 1911년 5월 22일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국제 애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국제애견연맹(FCI)은 1911년 독일,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5개국에서 설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해산되었다가, 이후 프랑스와 벨기에의 애견 연맹이 FCI를 재창립했다.
일본은 1979년 (쇼와 54년) 재팬 케넬 클럽(JKC)을 통해 FCI에 정식 가맹했으며, FCI 아시아 지역 대표 멤버가 되었다.[15]
2. 1. 설립 배경
국제애견연맹(FCI)은 1911년 독일,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5개국 켄넬 클럽의 후원으로 설립되었다. FCI의 목적은 순종견의 번식, 전시, 심사에 대한 전 세계적인 통일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해산되었다가 1921년 벨기에와 프랑스에 의해 재창립되었다. 설립 이후 FCI의 회원국은 유럽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를 포함하여 전 세계 대부분 국가의 켄넬 클럽으로 성장했다.일본은 가맹국 중 하나이며, 공익법인 재팬 케넬 클럽(JKC)의 정식 가맹은 1979년이다. JKC는 FCI의 아시아 지역 대표 멤버가 되었다[15].
2. 2. 설립과 재창립
국제애견연맹(FCI)은 1911년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5개국의 켄넬 클럽의 후원으로 설립되었다. FCI의 목적은 순종견의 번식, 전시, 심사에 대한 전 세계적인 통일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해산되었다가 1921년 벨기에와 프랑스에 의해 재창립되었다.[15] 설립 이후 FCI의 회원국은 유럽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를 포함하여 전 세계 대부분 국가의 켄넬 클럽으로 성장했다.2. 3. 회원국 확장
국제애견연맹(FCI)은 1911년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켄넬 클럽의 후원으로 설립되어 순종견의 번식, 전시, 심사에 대한 전 세계적인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해산되었다가 1921년 벨기에와 프랑스에 의해 재창립되었다. 설립 이후 FCI의 회원국은 유럽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로 확장되었다.일본은 1979년(쇼와 54년) 재팬 케넬 클럽(JKC)을 통해 FCI에 가맹하였으며, FCI 아시아 지역 대표 멤버가 되었다.[15]
2. 4. 한국의 가입
1979년 일본 재팬 케넬 클럽(JKC)이 국제애견연맹(FCI) 정식 회원국이 되었고, FCI 아시아 지역 대표 멤버가 되었다.[15]3. 기능
FCI는 회원국에서 개최된 애견 품평회와 콘테스트 결과를 보고받고, 각 회원국에 연락한다. FCI는 또한 애견 품평회, 애질리티 트라이얼(장애물 경기), 오비디언스 (복종 경기), 시각 하운드 경주, 수렵 야외 경기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를 직접 개최한다.[16][17]
3. 1. 주요 목적
FCI의 주요 목적은 모든 FCI 회원국에서 혈통서와 심사위원을 상호 인정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FCI는 각 국가의 애견 협회와 달리 개별 개체에 대한 혈통서를 발급하는 등록 기관이 아니며, 혈통서 발급 및 브리더와 브리더 주소의 기록 유지는 FCI에서 인정하는 각 국가의 애견 단체의 책임이다.[2]현재 FCI는 356개의 견종을 인정하고 있으며, 각 견종은 일반적으로 해당 견종이 처음 기원한 국가를 기반으로 특정 국가의 '자산'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견종 '소유' 국가는 FCI의 표준 및 과학 위원회의 감독 하에 해당 견종의 이상적인 유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인 견종 표준을 작성한다. FCI는 이러한 견종 표준의 발행 및 유지 책임이 있으며,[3] 견종 표준을 FCI의 4개 공식 언어(original text|영어영어, texte original|프랑스어프랑스어, ursprünglicher Text|독일어de, texto original|스페인어es)로 번역한다.[2]
FCI 견종 표준은 FCI 회원국에서 개최되는 쇼의 심사위원에게 참고 자료로 작용하며, FCI 회원국의 도그 쇼 심사위원의 자격 및 면허를 관리한다.[2] 브리더의 경우, FCI 견종 표준은 FCI에서 정한 이상적인 유형에 따라 최고 품질의 개를 생산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3]
FCI는 세계에서 가장 큰 애견 협회로 여겨지지만,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은 국가 애견 협회 또는 순종견 등록 기관이 부족하여 대표성이 부족하다. 유럽에서는 영국, 코소보, 불가리아만 FCI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과 캐나다만 회원국이 아니다.[4]
FCI의 회원 또는 계약 파트너가 아닌 북미 지역의 공식 순종견 등록 기관에는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 캐나다 켄넬 클럽(CKC),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이 있으며, 유럽에는 영국의 더 켄넬 클럽(TKC)이 있다.[5] FCI는 회원 또는 준회원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혈통서를 상호 인정하고, FCI와 AKC, TKC 및 미국의 CKC, 영국 및 캐나다 간의 협력을 위한 오랜 합의를 체결하고 있다. 또한, TKC와 FCI는 심사위원 상호 인정에 관한 합의를 맺고 있다. 반면, FCI는 UKC를 인정하지 않으며 어떠한 합의도 체결되어 있지 않다.[6]
AKC에 따르면, FCI 표준은 더 주관적이며 개의 경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한다.[7] 반면, FCI는 일부 비회원 국가 애견 협회, 특히 AKC 및 UKC에 비해 일반적인 동물 건강 및 복지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한다. AKC 및 UKC와 달리, FCI는 견종 표준에서 귀 자르기 및 꼬리 자르기 관행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으며, FCI 회원국의 도그 쇼에 귀를 자르고 꼬리를 자른 개의 출전을 금지하고 있다.[8][9] 또한 FCI는 견종의 건강이 심하게 제한된 유전자 풀로 인해 영향을 받거나, 단두종 기도 폐쇄 증후군과 관련된 상황에서 개의 외모보다 개의 건강 개선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한다.
3. 2. 견종 표준 관리
국제애견연맹(FCI)은 356개의 견종을 인정하며, 각 견종은 기원 국가를 기반으로 특정 국가의 '자산'으로 간주된다. 견종 '소유' 국가는 FCI 표준 및 과학 위원회의 감독 하에 견종 표준(해당 견종의 이상적인 유형에 대한 상세 설명)을 작성한다. FCI는 견종 표준 발행 및 유지 책임이 있으며,[3] FCI의 4개 공식 언어(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로 번역한다.[2]FCI 견종 표준은 FCI 회원국 개최 쇼 심사위원의 참고 자료이며, FCI 회원국의 도그 쇼 심사위원 자격 및 면허도 관리한다.[2] 브리더에게 FCI 견종 표준은 FCI가 정한 이상적인 유형에 따라 최고 품질의 개를 생산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3]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의 데니스 플레임에 따르면, 실현 가능한 표준 제정은 어려운 과제이며, "FCI 표준은 보통 더 많은 실격 사유가 있고, 때로는 주관적이며, 개의 경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심각하지 않다."[7] 반면, FCI는 일부 비회원 국가 애견 협회, 특히 AKC 및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보다 동물 건강 및 복지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한다. AKC 및 UKC와 달리, FCI는 견종 표준에서 귀 자르기 및 꼬리 자르기를 금지하며, FCI 회원국 도그 쇼에 귀나 꼬리를 자른 개의 출전을 금지한다.[8][9] 또한 FCI는 유전자 풀 제한으로 인한 견종 건강 문제나 단두종 기도 폐쇄 증후군 관련 상황에서 개의 외모보다 건강 개선에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한다.
3. 3. 심사위원 관리
FCI는 모든 회원국에서 혈통서와 심사위원을 상호 인정하도록 보장한다.[2] FCI 회원국의 도그 쇼 심사위원 자격 및 면허 관리는 FCI의 역할 중 하나이다.[2] FCI 견종 표준은 FCI 회원국에서 개최되는 도그 쇼의 심사위원에게 참고 자료로 작용한다.[2]더 켄넬 클럽(TKC)과 FCI는 심사위원 상호 인정에 관한 합의를 맺고 있다.[6]
3. 4. 혈통서 발급
FCI는 모든 FCI 회원국에서 혈통서와 심사위원을 상호 인정하도록 보장한다. FCI는 각 국가의 애견 협회와 달리, 개별 개체에 대한 혈통서를 직접 발급하지 않는다. 혈통서 발급 및 브리더와 브리더 주소 기록 유지는 FCI에서 인정하는 각 국가의 애견 단체가 책임진다.[2]FCI 회원 또는 계약 파트너가 아닌 북미 지역의 공식 순종견 등록 기관에는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 캐나다 켄넬 클럽(CKC),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이 있으며, 유럽에는 영국의 더 켄넬 클럽(TKC)이 있다.[5] FCI는 특정 상황에서 이들과 혈통서를 상호 인정하고, FCI와 AKC, TKC, 미국의 CKC, 영국 및 캐나다 간의 협력을 위한 오랜 합의를 체결하고 있다. 또한, TKC와 FCI는 심사위원 상호 인정에 관한 합의를 맺고 있다. 반면, FCI는 UKC를 인정하지 않으며 어떠한 합의도 체결되어 있지 않다.[6]
3. 5. 동물 복지 증진
FCI는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 및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과 같은 일부 비회원 국가 애견 협회에 비해 일반적인 동물 건강 및 복지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한다.[8] AKC 및 UKC와 달리, FCI는 견종 표준에서 귀 자르기 및 꼬리 자르기 관행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으며, FCI 회원국의 도그 쇼에 귀를 자르고 꼬리를 자른 개의 출전을 금지하고 있다.[8][9] 또한 FCI는 견종의 건강이 심하게 제한된 유전자 풀로 인해 영향을 받거나, 단두종 기도 폐쇄 증후군과 관련된 상황에서 개의 외모보다 개의 건강 개선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한다.4. 견종 분류
국제애견연맹(FCI)은 회원국인 각 켄넬 클럽에서 인정하는 모든 품종을 자동적으로 인정하므로, FCI가 인정하는 견종 목록에는 원산지 외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품종도 포함된다.[1] FCI는 외모나 역할 등 다양한 기준으로 인정하는 품종을 10개 그룹으로 나눈다.[2]
# 양치기개와 소몰이개 (스위스 소몰이개 제외)
# 핀셔와 슈나우저 - 몰로소이(molossoid breeds) - 스위스 마운틴 독 및 기타 견종
# 테리어
# 닥스훈트
# 스피츠 및 원시형
# 사냥개 및 관련 품종
# 포인팅 독 및 세터
# 리트리버 - 플러싱 독 - 워터 독
# 애완견 및 토이 독
# 시사이드(Sighthound)
5. 회원 및 파트너
국제애견연맹(FCI)은 98개국에 회원, 준회원, 파트너를 둔 세계 최대 규모의 애견 협회이다.[10] 하지만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은 국가 애견 협회나 순종견 등록 기관이 부족하여 FCI 대표성이 낮다. 유럽에서는 영국, 코소보, 불가리아,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과 캐나다가 FCI 회원이 아니다.[4]
FCI 회원 또는 계약 파트너가 아닌 주요 애견 단체로는 북미의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 캐나다 켄넬 클럽(CKC),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 유럽의 더 켄넬 클럽(TKC)이 있다.[5] FCI는 이들과 회원/준회원 관계는 아니지만, 혈통서 상호 인정, 심사위원 상호 인정을 위한 합의 등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6]
FCI는 AKC 및 UKC보다 동물 건강 및 복지에 더 적극적이며, 귀/꼬리 자르기를 금지하고, 유전자 풀이 제한된 견종 건강 개선에 힘쓴다. [https://www.fci.be/medias/30-2020-annex1-20210303-13025.pdf]
5. 1. 회원

국제애견연맹(FCI)은 98개국에 회원, 준회원 및 파트너를 두고 있다.[10]
국가 | 회원 클럽 이름 |
---|---|
아르헨티나 | Federación Cinológica Argentina[11] |
아르메니아 | Armenian Dog-Lovers' Association[12]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내셔널 켄넬 협회(Australian National Kennel Council)[13] |
오스트리아 | Österreichische Kynologenverband[12] |
아제르바이잔 | Kennel Union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12] |
바레인 | Bahrain Kennel Club[13] |
벨라루스 | Belarusian Cynological Union[12] |
벨기에 | Union Royale Cynologique Saint Hubert[12] |
볼리비아 | Kennel Club Boliviano[11]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Kinološki Savez u Bosni i Hercegovini[12] |
브라질 | 브라질 애견 연맹(Confederação Brasileira de Cinofilia)[11] |
불가리아 | Bulgarian Republican Federation of Cynology[12] |
칠레 | Kennel Club de Chile[11] |
중국 | China Kennel Union[13] |
콜롬비아 | Asociación Club Canino Colombiano[11] |
코스타리카 | Asociación Canófila Costarricense[11] |
크로아티아 | Hrvatski Kinoloski Savez[12] |
쿠바 | Federación Cinólogica de Cuba[11] |
키프로스 | Cyprus Kennel Club[12] |
체코 | Českomoravská Kynologická Unie[12] |
덴마크 | Dansk Kennel Club[12] |
도미니카 공화국 | Federación Canina Dominicana[11] |
에콰도르 | Asociación Ecuatoriana de Registros Caninos[11] |
이집트 | Egyptian Kennel Federation[13] |
엘살바도르 | Asociación Canófila Salvadoreña[11] |
에스토니아 | Eesti Kennelliit[12] |
핀란드 | 핀란드 켄넬 클럽(Suomen Kennelliitto)[12] |
프랑스 | 프랑스 중앙 애견 협회(Société Centrale Canine)[12] |
조지아 | 조지아 애견 연맹(Fédération Cynologique de Géorgie)[12] |
독일 | 독일 견종 협회(Verband für das Deutsche Hundewesen)[12] |
지브롤터 | Gibraltar Kennel Club[12] |
그리스 | Kennel Club of Greece[12] |
과테말라 | Asociación Canófila Guatemalteca[11] |
온두라스 | Asociación Canófila de Honduras[11] |
헝가리 | Magyar Ebtenyésztők Országos Egyesülete[12] |
아이슬란드 | Hundaræktarfélags Íslands[12] |
인도 | 인도 켄넬 클럽(Kennel Club of India)[13] |
인도네시아 | PERKIN Perkumpulan Kinologi Indonesia[13] |
아일랜드 | 아일랜드 켄넬 클럽(Irish Kennel Club)[12] |
이스라엘 | Israel Kennel Club[12] |
이탈리아 | 이탈리아 국립 애견 협회(Ente Nazionale della Cinofilia Italiana)[12] |
일본 | 재팬 켄넬 클럽(Japan Kennel Club)[13] |
카자흐스탄 | Union of Cynologists of Kazakhstan[12] |
키르기스스탄 | Union of Cynologists of Kyrgyz Republic[12] |
라트비아 | Latvijas Kinologiska Federacija[12] |
리투아니아 | Lietuvos kinologų draugija[12] |
룩셈부르크 | Fédération Cynologique Luxembourgeoise[12] |
북마케도니아 | Kennel Association of Republic of Macedonia[12]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켄넬 협회(Malaysian Kennel Association)[13] |
몰타 | Malta Kennel Club[12] |
멕시코 | Federación Canófila Mexicana[11] |
몰도바 | Uniunea Chinologică din Moldova[12] |
모나코 | Société Canine de Monaco[12]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 애견 협회(Kinološki savez Crne Gore)[12] |
모로코 | Société Centrale Canine Marocaine[12] |
네덜란드 | 네덜란드 애견 협회(Raad van Beheer op Kynologisch Gebied in Nederland)[12] |
뉴질랜드 | 뉴질랜드 켄넬 클럽(New Zealand Kennel Club)[13] |
니카라과 | Asociación Canina Nicaragüense[11] |
노르웨이 | Norsk Kennel Klub[12] |
파키스탄 | 파키스탄 켄넬 클럽(Kennel Club of Pakistan)[13] |
파나마 | Club Canino de Panama[11] |
파라과이 | Paraguay Kennel Club[11] |
페루 | Kennel Club Peruano[11] |
필리핀 | Philippine Canine Club[13] |
폴란드 | 폴란드 애견 협회(Związek Kynologiczny w Polsce)[12] |
포르투갈 | Clube Português de Canicultura[12] |
푸에르토리코 | Federación Canófila de Puerto Rico[11] |
루마니아 | Asociația Chinologică Română[12] |
러시아 | Russian Kynological Federation[12] |
산마리노 | Kennel Club San Marino[12] |
세르비아 | Kinološki savez Srbije[12] |
싱가포르 | Singapore Kennel Club[13] |
슬로바키아 | Slovenská Kynologická Jednota[12] |
슬로베니아 | Kinološka Zveza Slovenije[1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켄넬 연합(Kennel Union of Southern Africa)[13] |
대한민국 | Korea Kennel Federation[13] |
스페인 | 스페인 왕립 애견 협회(Real Sociedad Canina en España)[12] |
스리랑카 | Kennel Association of Sri Lanka[13] |
수단 | Sudanese Kennel Club Association[13] |
스웨덴 | 스웨덴 켄넬 클럽(Svenska Kennelklubben)[12] |
스위스 | Société Cynologique Suisse[12] |
타이완 | Kennel Club of Taiwan[13] |
태국 | The Kennel Association of Thailand[13] |
튀르키예 | Köpek Irklari ve Kinoloji Federasyonu[12] |
우크라이나 | Ukrainian Kennel Union[12] |
우루과이 | Kennel Club Uruguayo[11] |
우즈베키스탄 | Kynological Federation of Uzbekistan[12] |
베네수엘라 | Federación Canina de Venezuela[11] |
베트남 | Vietnam Kennel Association[13] |
5. 2. 비회원 단체와의 관계
국제애견연맹(FCI)은 세계에서 가장 큰 애견 협회로 여겨지지만,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은 국가 애견 협회 또는 순종견 등록 기관이 부족하여 대표성이 부족하다. 유럽에서는 영국, 코소보, 불가리아,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과 캐나다만이 FCI 회원국이 아니다.[4]FCI 회원 또는 계약 파트너가 아닌 북미 지역의 공식 순종견 등록 기관에는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 캐나다 켄넬 클럽(CKC),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이 있으며, 유럽에는 영국의 더 켄넬 클럽(TKC)이 있다.[5] FCI는 회원 또는 준회원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혈통서를 상호 인정하고, AKC, TKC, 미국의 CKC, 영국 및 캐나다 간의 협력을 위한 오랜 합의(또는 '합의서')를 체결하고 있다. TKC와 FCI는 심사위원 상호 인정에 관한 합의도 맺고 있다. 반면, FCI는 UKC를 인정하지 않으며 어떠한 합의도 체결되어 있지 않다.[6]
AKC에 따르면 FCI 표준은 더 주관적이고 실격 사유가 많다고 한다.[7] 반면, FCI는 AKC 및 UKC에 비해 일반적인 동물 건강 및 복지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하며, 귀 자르기 및 꼬리 자르기 관행을 금지하고, 유전자 풀이 제한된 견종의 건강 개선에 더 적극적이다. [https://www.fci.be/medias/30-2020-annex1-20210303-13025.pdf]
6. 행사
FCI는 가맹국에서 개최된 애견 품평회와 콘테스트의 결과 보고를 받아 각 가맹국에 연락한다. 또한, FCI가 직접 개최하는 세계 선수권 대회도 애견 품평회, 애질리티 트라이얼(장애물 경기), 오비디언스(복종 경기), 시각 하운드 경주, 수렵 야외 경기 등 여러 카테고리로 진행된다[16][17]。
참조
[1]
웹사이트
FCI: the largest canine organisation of the world
http://www.fci.be/en[...]
[2]
웹사이트
Main activities of the FCI Secretariat
https://www.fci.be/e[...]
2023-07-02
[3]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our organisation
https://www.fci.be/e[...]
2023-07-02
[4]
웹사이트
FCI members and contract partners
https://www.fci.be/e[...]
2023-07-02
[5]
웹사이트
Statistics: FCI members, partners & sections
https://www.fci.be/e[...]
2022-06-20
[6]
웹사이트
Members & Partners
https://www.fci.be/e[...]
2023-07-02
[7]
웹사이트
How Does a Dog Breed Become AKC-Recognized?
https://www.akc.org/[...]
2022-01-05
[8]
웹사이트
CROPPED/DOCKED DOGS OF BREEDS CUSTOMARILY CROPPED/DOCKED
https://www.fci.be/e[...]
2023-07-02
[9]
웹사이트
CROPPED/DOCKED DOGS OF BREEDS CUSTOMARILY CROPPED/DOCKED: REMINDER
https://www.fci.be/e[...]
2023-07-02
[10]
웹사이트
FCI members and contract partners
http://www.fci.be/en[...]
[11]
웹사이트
FCI members and contract partners, The Americas & Caribbean
http://www.fci.be/en[...]
Fédé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2018-12-24
[12]
웹사이트
FCI members and contract partners, Europe
http://www.fci.be/en[...]
Fédé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2018-12-24
[13]
웹사이트
FCI members and contract partners, Asia, Africa & Oceania
http://www.fci.be/en[...]
Fédé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2018-12-24
[14]
웹사이트
Members & Partners
http://www.fci.be/en[...]
2021-07-08
[15]
웹사이트
社団法人ジャパンケネルクラブの事業内容について
http://www.jkc.or.jp[...]
2010-07-16
[16]
웹사이트
FCI 同伴犬訓練試験規程(2019年一部規程変更を伴い改めて施行)
https://www.jkc.or.j[...]
2019-08-28
[17]
웹사이트
FCI 国際作業犬試験規程集(2019年規程改正を伴い改めて施行)
https://www.jkc.or.j[...]
2019-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