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리 쿨리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쿨리크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소련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여 붉은 군대에서 포병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1937년 붉은 군대의 포병총감이 되었으나, 군사적 보수 성향으로 인해 붉은 군대의 현대화 계획을 반대했다. 1939년에는 국방장관 대리를 역임하며 겨울 전쟁에 참전,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1940년에는 소련 원수로 진급했다. 그러나 그는 무능함과 독선적인 태도로 비판받았으며, T-34 및 KV-1 전차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고, 기관단총 사용을 금지하는 등 군사적 실책을 저질렀다. 독소전쟁 초기 레닌그라드 방어에서 실패하여 강등되었고, 1947년 체포되어 반역 혐의로 1950년에 처형되었다. 1957년 흐루쇼프에 의해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반역죄 사형수 - 겐리흐 야고다
겐리흐 야고다는 러시아 제국의 유대인 출신으로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굴라그 감독, 대숙청 주도 등 권력을 행사했으나 스탈린과의 갈등으로 처형되었다. - 소련의 반역죄 사형수 - 라브렌티 베리야
라브렌티 베리야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비밀 경찰 수장으로, 스탈린의 심복으로서 대숙청을 주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생산을 감독했으나, 스탈린 사후 권력 투쟁에서 밀려 처형되어 공포 정치의 대명사로 남았다. - 소련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로디온 말리놉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공을 세우고 소련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소련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러시아 제국군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으며, 독소 전쟁과 만주 작전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 소련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는 폴란드의 공산주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장군으로 복무했으며, 종전 후 폴란드 공산 정권 수립에 참여하여 반공 세력 탄압에 관여했지만 우크라이나 반군에 의해 사망하여 폴란드 인민 공화국 시절에는 영웅으로 칭송받았으나 논란으로 인해 현재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우크라이나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스테판 반데라
우크라이나의 극우 민족주의자이자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의 지도자였던 스테판 반데라는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 나치 독일 협력, 소련 KGB 암살 등으로 점철된 논란의 인물이다. - 우크라이나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하일 키르포노스
미하일 페트로비치 키르포노스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한 소련 군인으로, 독소 전쟁 초기에 남서 전선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키예프 전투에서 전사 후 소련 영웅 칭호와 1급 조국전쟁 훈장을 받았다.
그리고리 쿨리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그리고리 이바노비치 쿨리크 |
원어명 | ru: 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Кулик uk: Григорій Іванович Кулик 흐리호리 이바노비치 쿨리크 |
출생 | 1890년 11월 9일 |
출생지 | 두드니코보, 폴타바 현, 러시아 제국 (현재 우크라이나) |
사망 | 1950년 8월 24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안장지 | 돈스코이 공동묘지 |
별칭 | 쿨리크 |
군사 복무 | |
소속 | (1912–1917) (1918–1922) (1922–1946) |
복무 기간 | 1912–1946년 |
최종 계급 | 소련방 원수 (1940–1942) |
주요 지휘 | 주요 포병 관리국 |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겨울 전쟁 동부 전선 |
훈장 | |
주요 훈장 | 소련 영웅 |
2. 초기 이력
쿨리크는 러시아 제국(현 우크라이나) 폴타바 근처 두브니코보 마을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2][3][4][5]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 제국 육군에서 싸웠으며, 포병 부대에서 부사관으로 복무했다.[2][3][4][5] 1917년 볼셰비키에 가담하였고,[2][3][4][5] 1918년에는 붉은 군대에 입대하였다.
1937년 붉은 군대 포병총감으로 임명되었다.[6] 그는 스탈린에게 충성하는 군사적 보수파로서, 미하일 투하체프스키가 추진하던 붉은 군대의 현대화 계획에 반대했다. 투하체프스키는 1937년 대숙청 기간 중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쿨리크는 숙청을 피할 수 있었다. 그는 스페인 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전차 무기가 없는 상황에서만 전차가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며 투하체프스키의 기동전 및 종심 전투 이론을 비판했다.[6]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붉은 군대의 포병 지휘관(대대장)이 되어 하르코프 등지에서 전투에 참전했다. 내전 초기에 볼셰비키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와의 친분으로 붉은 군대에 합류하게 되었고, 그 결과 1918년 차리친 전투에서 이오시프 스탈린과 인연을 맺었다. 그는 스탈린과 보로실로프가 공동 지휘하던 제1기병군의 포병 사령관을 맡게 되었다.
쿨리크의 보직은 상당 부분 정치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이는 그가 붉은 군대에 합류하고 보로실로프에게 충성한 데 대한 보상으로 여겨진다. 그는 포병 운용이나 지휘 경험이 거의 없었고, 당시 차리친의 볼셰비키 포병 부대는 3문의 구식 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투 결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쿨리크의 활약은 스탈린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내전 이후 1919년 폴란드의 소련 침공 당시 스탈린이 가장 선호하고 정치적으로 신뢰하는 장군 중 한 명으로 남아 전쟁을 직접 지휘했다. 그러나 그의 부진한 활약으로 인해 전 기병 하사관 출신인 세묜 부됸니로 교체되었다. 그럼에도 스탈린은 쿨리크를 보로실로프가 지휘하는 국방 인민 위원 제1차관직에 임명했다.
3. 전쟁 사이의 기간
1939년 국방장관 대리가 되었고, 같은 해 9월 폴란드 침공 당시 소련군을 지휘했다. 이후 겨울 전쟁에도 참전하여 포병을 지휘했으며, 이 공로로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1940년 5월, 세묜 티모셴코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 원수 계급으로 승진했다. 그의 군사적 능력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스탈린과의 개인적인 친분이 승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원수로 승진하기 불과 이틀 전인 1940년 5월 5일, 그의 아내 키라 쿨리크-시모니치가 NKVD에 의해 알 수 없는 이유로 납치되어 처형되었으나, 쿨리크는 아내를 구하려는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고 곧 재혼했다.[9] 스탈린은 이후 그녀에 대한 모든 기록을 지우도록 명령한 것으로 추정된다.
3. 1. 군사적 수구파
보로실로프나 부됸니 원수처럼 대숙청을 무사히 넘긴 쿨리크는 스탈린과 가까웠으나 전문적인 군사 지식은 부족했다. 그의 승진은 러시아 내전 당시 반혁명군과 싸운 전공과 스탈린과의 친분에 크게 의존했지만, 현대전을 지휘할 능력은 거의 없었다.
쿨리크는 군사 기술 발전에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며 여러 차례 소련군의 현대화를 방해했다. 대표적으로 T-34와 KV-1 전차에 성능이 더 우수한 고리키 공장의 전차포 대신, 자신이 후원하는 레닌그라드 공장의 결함 많은 전차포를 탑재하도록 고집했다. 특히, 바실리 그라빈이 설계한 우수한 F-34 포의 채택을 정치적인 이유로 반대했다.[8] 이 때문에 독소전쟁 초기 소련군의 T-34와 KV-1 전차는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의 3호 전차를 효과적으로 상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쿨리크의 관료주의적인 일 처리 방식은 군수 생산에 차질을 빚게 했다. 그는 의도적으로 탄약 생산을 지연시켜[8] 전차 포탄이 심각하게 부족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많은 전차가 충분한 포탄 없이 전투에 투입되었고, 전투 중 포탄이 떨어지면 전차를 버리고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쿨리크는 새로운 무기 체계에 대한 이해도 부족했다. 독일군의 MP-40 기관단총을 "부르주아적이고 파시스트적인 무기", "탄약 낭비가 심하고 명중률이 낮다"고 평가절하하며, 소련군이 새로 개발된 PPD-40 기관단총으로 무장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는 기관단총을 "경찰의 무기"로 취급했다. 그러나 1941년 독소 전쟁이 발발하고 독일군 MP-40의 위력에 큰 피해를 입자, 소련은 부랴부랴 PPD-40을 개량한 PPSh-41을 대량 생산하여 보급해야 했다.
투하쳅스키가 제안한 붉은 군대의 기계화와 기갑부대 창설 계획에도 강력히 반대했다. 투하쳅스키가 숙청된 후 세묜 티모셴코가 이를 계속 추진하려 하자, 스탈린에게 "이런 개념은 퇴화된 파시스트적인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는 편지를 보내 막으려 했다. 그는 기계화 부대를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종심 전투와 기동전을 수행하려는 새로운 전략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반대했다.[6]
방어 전술에 있어서도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을 고수했다. 지뢰밭 구축을 "약자의 방법", "겁쟁이의 무기"라고 비난하며 사용을 좌절시켰다. 이 때문에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 독일 기갑부대는 소련군의 방어 거점을 쉽게 우회하며 진격할 수 있었고, 소련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나중에 쿨리크가 실각한 후 설치된 대규모 지뢰밭은 레닌그라드 포위전과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을 막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쿨리크는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후퇴는 절대 금지되어야 한다고 스탈린에게 주장했으며, 이러한 강경한 입장은 독소전쟁 초기에 수많은 소련군 부대가 포위되어 섬멸당하는 참패의 한 원인이 되었다.
심지어 자신의 전문 분야인 포병에서도 새로운 기술 도입에 소극적이었다. 혁신적인 카츄샤 로켓 발사기의 생산을 지지하지 않으며 "로켓 포병이 우리에게 왜 필요한가? 가장 중요한 것은 말에 끄는 포병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카츄샤는 결국 전쟁에서 가장 효과적인 소련 무기 중 하나로 증명되었다.
포병 총감으로서 쿨리크는 직무에 필요한 기술적 지식과 조직 운영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관이었던 니콜라이 보로노프는 쿨리크가 협조성이 부족하고 독선적이며, 부하들에게 막연하게 일을 지시하고 "감옥인가, 훈장인가"라는 말로 위협하기 일쑤였다고 회고했다.[12] 이러한 그의 수구적인 태도와 무능은 독소전쟁 초기 소련군이 겪었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4. 독소전쟁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그리고리 쿨리크는 1941년 6월 레닌그라드 전선의 제54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 그는 이곳에서 쇄도하는 독일군에게 참패하여 레닌그라드 시가 포위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때문에 총참모장이었던 게오르기 주코프가 레닌그라드 방면으로 급히 파견되어 방어전을 지휘하며 전선을 안정시켰고, 쿨리크의 지휘권을 인수했다. 주코프는 쿨리크가 "지휘관에서 해임되었고, 스타프카가 1941년 9월 29일 제54군을 레닌그라드 전선에 배치했다"고 언급했다.[11]
1942년 3월, 쿨리크는 패배에 대한 책임으로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소장으로 강등되었다. 스몰렌스크에서 대패했던 드미트리 파블로프 대장이 사형을 선고받은 것과 달리, 쿨리크는 스탈린과의 개인적인 친분 덕분에 총살형을 면하고 강등에 그쳤다.
1943년 4월, 쿨리크는 제4근위군의 사령관이 되었다.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남은 전쟁 기간 동안 그는 동원국 부국장이자 볼가 군관구의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5. 몰락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승리로 소련군 고급 지휘관들의 명성과 인기가 높아지자, 이오시프 스탈린과 NKVD 부장 라브렌티 베리야는 이를 경계하여 군부에 대한 새로운 숙청을 계획하였다.
1946년 쿨리크는 전화 통화에서 정치가들이 군인들의 공적을 가로채고 있다고 불평했는데, 이 내용이 NKVD에 도청되었다. 이후 쿨리크는 바로 해임되고, 1947년에는 체포되어 수감 생활을 하였다. 1950년 8월 23일 재판에서 반역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고, 다음 날인 8월 24일 처형되었다.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집권하고 스탈린 비판이 이루어지면서, 쿨리크는 1956년에 명예가 회복(복권)되었다. 1957년에는 소련 원수 계급도 복원되었다.
6. 스페인 내전
7. 아내의 처형
쿨리크가 소비에트 연방 원수 계급으로 승진하기 이틀 전인 1940년, 그의 아내 키라 시모니치는 NKVD에 의해 체포되었다. 쿨리크는 스탈린과의 개인적인 친분 덕분에 군 경력에서 승승장구했지만, 정작 아내가 정치적 이유로 위험에 처했을 때는 그녀를 구하기 위한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다. 결국 키라 시모니치는 처형당했다.
참조
[1]
서적
"The Devils' Alliance: Hitler's Pact With Stalin, 1939-1941"
Basic Books, NY
2014
[2]
웹사이트
Кулик 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https://encyclopedia[...]
2022-10-02
[3]
웹사이트
Кулик 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https://warheroes.ru[...]
[4]
웹사이트
Кулик 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 Мартиролог: Жертвы политических репрессий, расстрелянные и захороненные в Москве и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в период с 1918 по 1953 год
https://www.sakharov[...]
[5]
서적
Joseph Stalin: A Reference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8-23
[6]
서적
The Red Army and the Second World War
[7]
간행물
ANALYSIS OF DEEP OPERATIONS ATTACK OPERATIONS OPERATION BAGRATION BELORUSSIA 22 JUNE – 29 AUGUST 1944
https://www.armyupre[...]
1987-03
[8]
문서
"T-34/76 Medium Tank 1941–45"
[9]
서적
Kings, Conquerors, Psychopaths: From Alexander to Hitler to the Corporation
Hidden Hills Press
2020
[10]
서적
Road to Stalingrad
Cassel Military Paperbacks edition
2003
[11]
서적
Marshal of Victory, Volume I
Pen and Sword Books Ltd.
[12]
뉴스
И выдвиженец, и жертва Сталина
https://nvo.ng.ru/hi[...]
Независимое военное обозрение
2006-02-17
[13]
서적
Трагедия РККА 1937-1938
TEP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