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 다카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도 다카마사는 조슈 번 번사 구하라 료조와 기토 다카요시의 여동생 하루코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기토 쇼지로의 사망으로 기토 다카요시의 양자가 되어 1884년 후작 작위를 받았으며, 1890년 귀족원 의원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 미국 유학 후 개성학교, 도쿄 대학, 오사카 전문학교를 수료했으며, 야마구치 사범학교 교원, 농상무성 관료 등을 역임했다. 이후 동궁시종장, 궁중고문관 등을 거쳐 유신 자료 편찬 위원을 맡았고, 정2위에 서훈되었다. 은제 황수포장, 욱일장, 서보장 등을 받았으며, 태국 왕관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도가 - 기도 고이치
기도 고이치는 쇼와 시대 궁중 정치의 핵심 인물로, 내대신으로서 태평양 전쟁 개전과 종전 과정에 깊이 관여한 후 A급 전범으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일기는 당시 일본 정부의 내부 사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 기도가 - 기도 다카요시
기도 다카요시는 조슈번 출신의 무사로, 요시다 쇼인에게 존왕양이 사상을 배우고 메이지 유신에 기여했으며, 입헌군주제를 주장하다가 세이난 전쟁 중 사망했다. - 기도 다카요시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기도 다카요시 - 기도 고이치
기도 고이치는 쇼와 시대 궁중 정치의 핵심 인물로, 내대신으로서 태평양 전쟁 개전과 종전 과정에 깊이 관여한 후 A급 전범으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일기는 당시 일본 정부의 내부 사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 고문 (역직) - 알렉산드르 두긴
알렉산드르 두긴은 러시아의 정치 철학자이자 지정학자, 정치 이론가로서, 신유라시아주의 이념을 주창하며 러시아 중심의 유라시아 제국 건설을 주장하는 극우 민족주의 성향의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사상은 러시아 정치계에 영향을 미치고 파시즘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우크라이나 및 서방 국가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 고문 (역직) - 오키 다카토
오키 다카토는 일본의 사무라이 가문 출신으로, 메이지 시대에 정치인, 교육자, 법학자로 활동하며 사가번 개혁을 추진하고 보신 전쟁에서 사가 군대를 이끌었으며, 도쿄도지사, 문부대신, 법무대신 등을 역임하고 민법 제정에 기여했다.
기도 다카마사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기도 다카마사 |
출생일 | 1857년 9월 14일 (안세이 4년 7월 26일) |
출생지 | 야마구치현 |
사망일 | 1917년 8월 10일 (향년 59세) |
출신 학교 | 개성학교 도쿄대학 이학부 오사카전문학교 |
소속 정당 | (정보 없음) |
칭호/훈장 | 정2위 은제 황수포장 제3등 타이 왕관 훈장 훈4등 욱일소수장 욱일중수장 훈2등 서보장 |
배우자 | 선처: 기도 요시코 (기도 다카요시의 장녀) 후처: 스에코 (야마오 요조의 장녀) |
자녀 | 장남: 기도 고이치 (후작, 내대신) 차남: 와다 쇼로쿠 (공학자) 장녀: 도키노리 하루코 (육군 중장 도키노리 히사시의 아내) 차녀: 고다마 야에코 (육군 대좌 고다마 쓰네오의 아내) |
친족 (정치가) | (정보 없음) |
정치 경력 | |
직책 | 귀족원 후작 의원 |
임명일 | 1890년 (메이지 시대 23년) 2월 |
퇴임일 | 1917년 (다이쇼 시대 6년) 8월 10일 |
2. 경력
조슈 번사 구하라 료조와 하루코(기도 다카요시의 여동생) 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3] 기도 다카요시의 양자였던 동생 기도 쇼지로가 사망하자 기도 가문을 계승하여 1884년(메이지 17년) 11월 18일, 후작 작위를 받았다.[2] 1890년(메이지 23년) 2월, 귀족원령 시행에 따라 귀족원 후작 의원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4]
기도 다카마사는 1917년 8월 10일 정2위에 서위되었고[5], 1887년 7월 21일 은제 황수포장[6], 1905년 9월 26일 훈4등 욱일소수장[7], 1914년 6월 18일 욱일중수장[8], 1915년 8월 28일 훈2등 서보장[9]을 받았다. 1891년 5월 7일에는 태국에서 3등 태국 왕관 훈장을 수여받았다.[10]
1871년(메이지 4년)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4] 귀국 후 개성학교, 도쿄 대학 이학부, 오사카 전문학교를 수료했다.[3][4] 1882년(메이지 15년) 이후, 야마구치 사범학교 교원 겸 야마구치 중학교 교원, 역체국 속, 농상무성 어용계, 주렵관 등을 역임했다.[4] 1902년(메이지 35년)에 동궁시종장 겸 식부관, 1908년(메이지 41년)에 궁중고문관 식부관 겸 간원관 별당이 되었다. 1911년(메이지 44년)에는 유신 자료 편찬 위원을 맡았다.[1] 묘소는 다마 영원이다.
3. 영전
3. 1. 위계
1917년 (다이쇼 6년) 8월 10일 - 정2위[5]
3. 2. 훈장 등
3. 3. 외국 훈장 패용 허가
1891년 5월 7일 태국에서 3등 태국 왕관 훈장을 수여받았다.[10]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내 | 기토 요시코 | 기토 다카요시의 장녀 |
후처 | 기토 스에코 | 야마오 요조의 장녀[2] |
장남 | 기토 고이치 | 후작, 내대신[2] |
차남 | 와다 고로쿠 | 공학자[2] |
장녀 | 도키노리 하루코 | 육군 중장 도키노리 히사시의 아내[2] |
차녀 | 고다마 야에코 | 육군 대좌 고다마 쓰네오의 아내[2] |
참조
[1]
웹사이트
20世紀日本人名事典「木戸 孝正」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上巻、503 - 504頁
[3]
서적
『人事興信録』第4版、き2頁
[4]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15頁
[5]
간행물
『[[官報]]』第1509号「叙任及辞令」
1917-08-11
[6]
간행물
『官報』第1219号「彙報」
1887-07-22
[7]
간행물
『官報』第6675号「叙任及辞令」
1905-09-27
[8]
간행물
『官報』第565号「叙任及辞令」
1914-06-19
[9]
간행물
『官報』第924号「叙任及辞令」
1915-08-30
[10]
간행물
『官報』第2355号「叙任及辞令」
1891-05-09
[11]
웹인용
기도 다카마사 프로필
http://spysee.jp/%E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