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륭 원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륭 원정은 1884년 프랑스가 청나라의 통킹 철수를 압박하기 위해 대만 기륭 항구를 점령하려 한 사건이다. 프랑스는 1884년 8월 기륭에 상륙을 시도했으나 청나라군의 저항으로 실패했고, 이후 10월에 다시 기륭을 점령했다. 프랑스는 기륭을 요새화하며 주변 지역에서 청나라군과 교전을 벌였지만, 1885년 3월 팽호 열도를 점령한 것을 제외하면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청불 전쟁 종결 후, 프랑스는 1885년 6월 기륭에서 철수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은 기륭 원정을 주시하며 군사적 정보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대만 - 담수 전투
1884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군을 공격했으나 유명전이 강화한 방어 시설과 청나라군의 저항으로 패배한 담수 전투는 청나라 조정 내 강경파의 목소리를 높여 전쟁의 진행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 - 1885년 대만 - 펑후 해전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 극동 함대가 청나라군의 증원로를 차단하기 위해 펑후 제도를 공격, 점령하여 프랑스 해군이 승리한 해전이다. - 1885년 대만 - 아메데 쿠르베
아메데 쿠르베는 프랑스 해군 장교로, 해군 소령, 프리게이트 선장, 해군 선장을 거쳐 누벨칼레도니 총독을 역임했으며, 통킹 해안 해군 사단 사령관으로 후에 포격 및 청불전쟁에서 활약하다 1885년 펑후 제도에서 사망했다. - 프랑스 외인부대의 전투 - 유옥 전투
유옥 전투는 1884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흑기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뚜옌꽝 요새의 보급로를 확보한 전투이다. - 프랑스 외인부대의 전투 - 랑선 원정
랑선 원정은 1885년 2월 프랑스가 청불 전쟁 중 응우옌 왕조를 압박하고 통킹을 점령하기 위해 랑선을 공격한 군사 작전으로, 프랑스가 랑선을 점령했으나 진남관 전투에서 패배하며 청불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 확장에 영향을 주었다.
기륭 원정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기륭 원정 |
전쟁의 부분 | 청불전쟁 |
기간 | 1884년 8월 ~ 1885년 3월 |
장소 | 타이완 북부 해안 |
결과 | 중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
교전국 2 | 청 제국 |
지휘관 | |
프랑스 | 아메데 쿠르베 세바스티앙 레스페 자크 듀센 |
청나라 | 류밍촨 쑨카이화 쑤더성 장가오위안 차오즈중 린차오둥 왕스정 |
병력 규모 | |
프랑스 | 20척 이상의 군함, 4,500명에서 10,000명 사이의 보병 (1885년 3월 기준) |
청나라 | 20,000명에서 35,000명 사이의 보병 (1885년 3월 기준) |
사상자 및 피해 | |
프랑스 | ~700명 사망, 수백 명 부상 |
청나라 | 수천 명 사망 및 부상 |
관련 전투 | |
청불전쟁 | 푸저우 담수이 스푸 진하이 |
베트남 | 흥호아 케프 유옥 투옌꽝 누이 봅 1차 랑선 동당 호아목 푸람타오 방보 2차 랑선 |
타이완 | 기륭 (담수이) 펑후 제도 |
19세기 포모사 분쟁 | |
관련 분쟁 | 너부다 호 사건 (1842) 로버 사건 (1867) 미국 원정 (1867) 무단 사건 (1871) 일본의 타이완 침공 (18874) 펑후 제도 전역 (1885) 기륭 원정 담수이 전투 (1884) 펑후 제도 전역 (1895) 일본의 타이완 침공 (1895) |
2. 배경
1884년 3월, 박닌 원정에서 프랑스군이 청나라 광서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이후, 베트남 북부에서 프랑스와 청나라 간의 2년간의 대립은 1884년 5월 11일 톈진 협약 체결로 종결되는 듯 했다. 청나라는 이 협약을 통해 베트남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통킹을 프랑스 보호령으로 인정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1884년 6월 23일, 박레 매복 사건으로 인해 이러한 희망은 산산이 부서졌다. 랑선과 다른 국경 도시들을 점령하기 위해 진격하던 프랑스군 부대가 박레 근처에서 광서군의 공격을 받은 것이다.[1]
1884년 8월 2일, 아메데 쿠르베 제독은 청나라가 계속 저항할 경우를 대비하여 대만 북부 기륭항을 공격하고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는 청나라가 통킹에서 철수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저당물' 확보 차원이었다.[60]
1884년 8월 23일 푸저우 전투의 여파로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프랑스는 기륭을 점령하여 청나라에 압박을 가하고자 했다. 아메데 쿠르베 제독은 당초 대만 원정에 반대하며, 뤼순이나 웨이하이웨이를 점령하여 청나라 북부 해역을 장악하자는 대안을 제시했고, 쥘 파트노트르 주중 프랑스 공사도 이를 지지했다.[62]
1884년 10월 2일, 레스페스 제독은 해상 포격을 실시했으나,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에 10월 8일, 600명의 수병을 이끌고 단수이의 청나라군 방어 시설을 공격했다.[16] 당시 단수이에는 많은 외국인 거주자가 있었고, 이들 중 상당수는 소풍을 나와 인근 언덕에서 전투를 구경했다.[16]
담수 전투 이후, 프랑스군은 기륭 주변에 방어 진지를 구축하고, 청나라 군대와 소규모 교전을 벌였다. 이 시기에 콜레라와 장티푸스 등 질병으로 인해 프랑스군의 사상자가 크게 늘었다.[25]
1885년 초, 포모사 원정군은 보병 2개 대대의 증원을 받아 총 병력이 약 4,000명으로 늘어났다. 제3 아프리카 경보병 대대(''대대장'' 퐁트브리드)의 6개 중대 중 4개 중대가 1월 6일 기륭에 도착했고, 제4 외인부대 대대(''대대장'' 비탈리스)의 4개 중대가 1월 20일 하선했다.[28] 증원된 프랑스군은 마다가스카르 정복과 뚜옌꽝 포위전 해소에 공을 세운 자크 뒤센 (1837–1918) 중령이 지휘를 맡았다.
뒤쉔의 승리로 인해, 알퐁스 쿠르베 제독은 1885년 3월 말 기륭 수비대에서 해병대대 하나를 차출하여 팽호 열도를 점령할 수 있었다. 전략적으로 팽호 열도 작전은 중국이 타이완에서 군대를 더 증강하는 것을 막은 중요한 승리였지만, 전쟁의 결과를 바꿀 만큼 시기 적절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했다.[44]
류밍촨은 패배했음에도 굳건했다. 1885년 3월 중순, 류밍촨은 기륭강 남쪽, 기륭 서쪽의 룩타오(류투, 六堵)와 치타오(치투, 七堵) 고지선을 따라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하여 타이베이와 단수이로 가는 길을 막았다. 뒤쉔의 승리 소식은 타이베이에서 짧은 공포를 불러일으켰고, 민병대가 급히 소집되어 프랑스군의 공격에 대비했다.[45]
프랑스의 기륭 점령은 당시 또 다른 약탈적인 강대국이었던 일본 제국에게 큰 관심사였다. 1874년 일본은 난파된 일본인 선원들이 대만 원주민에게 살해된 사건 이후 남부 대만에 징벌 원정을 보냈고, 일본 팽창주의자들은 이미 대만을 미래의 일본 식민지로 눈여겨보고 있었다. 1884년 12월 한국에서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일본은 청나라와의 전쟁을 예상하기 시작했다.[49]
1885년 4월, 청불 전쟁이 끝났지만 프랑스군은 기륭과 마궁을 점령하여 통킹에서 중국군이 철수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 후, 기륭 수비대 병력 일부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벌어진 프랑스의 작전에 투입되었다.[50]
레페스 제독의 요청에 따라, 류밍촨은 프랑스군 전사자 묘지를 존중하기로 약속했다.[54] 이 약속은 지켜져 오늘날에도 기륭에서 프랑스 묘지를 볼 수 있다. 600~700명의 프랑스 군인 및 해군(대부분 전투 부상자가 아닌 콜레라와 장티푸스 희생자)[55][56][57]은 원래 얼샤완 포대 근처 북쪽 묘지에 묻혔으나, 1909년에 현재 위치로 이장되었다.[58] 프랑스 묘지에는 마리-조세프-루이 데르트 부사관과 루이 제헨 중위, 단 두 명의 이름이 명명된 무덤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두 해병대 장교는 기륭이 아닌 1885년 6월 펑후 제도 마궁에서 사망했으며, 1954년에 유해가 발굴되어 기륭 묘지로 옮겨졌다.[59]
[1]
서적
Keeling 2011
https://books.google[...]
박레 매복 소식이 파리에 전해지자, 청나라의 배신 행위에 대한 분노가 일었다. 쥘 페리 정부는 청나라에 사과와 배상, 그리고 톈진 협약의 즉각적인 이행을 요구했다. 청나라 정부는 협상에는 동의했지만, 사과나 배상은 거부했다. 프랑스 내 여론은 타협에 반대했다. 7월 내내 협상이 계속되었지만, 아메데 쿠르베 제독은 푸저우로 함선을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항구에 있는 청나라 함대를 공격하고 푸저우 해군 공창을 파괴할 준비를 했다. 한편, 청나라가 계속 저항할 경우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 보여주기 위한 시위로, 8월 2일 쿠르베는 대만 북부의 지룽항에 해군을 파견하여 해안 방어선을 파괴하고 마을을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는 청나라가 통킹 철수에 대해 흥정할 수 있는 ‘저당물’로 삼고자 했던 것이다.[1]
3. 초기 프랑스군의 상륙 시도 (1884년 8월)
이에 앞서 1884년 2월, 프랑스 극동 해군 사령관 세바스티앙 레스페 제독은 기륭 점령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점령을 추천한 바 있다. 그러나 1884년 7월, 프랑스와 청나라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기륭의 방어는 크게 강화되었다. 유명전은 태평천국의 난에서 활약한 노련한 지휘관으로, 대만 황실 총독으로 임명되어 대만 방어를 책임지게 되었다. 그는 기륭과 단수이가 공격 목표가 될 것을 예측하고, 손개화와 소득승(蘇得勝) 장군 휘하에 2,500명의 병력을 기륭에 배치했다.[61]
8월 2일 저녁, 쿠르베 제독은 기륭 공격 명령을 받고 부사령관 레스페 제독에게 임무를 맡겼다. 레스페는 철갑함 ''바야르''(Bayard)와 ''라 갈리소니에르''(La Galissonnière)를 이끌고 기륭으로 향했다.[61] 8월 4일 아침, 기륭에 도착한 프랑스 함대는 이미 대기 중이던 ''빌라르''(Villars)와 합류했다.[61]
8월 5일 아침, 청나라가 최후통첩을 거부하자, 프랑스 함대는 기륭의 해안 포대 3곳을 공격하여 무력화시켰다. 레스페 제독은 상륙 부대를 투입하여 기륭과 인근 탄광을 점령하려 했으나, 유명전이 이끄는 청나라 군대의 저항에 부딪혀 8월 6일 퇴각해야 했다. 이 실패한 작전으로 프랑스군은 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으며, 청나라 군대는 더 큰 피해를 입었다.[61]
4. 프랑스의 전략 논쟁 (1884년 9월)
그러나 프랑스 총리 쥘 페리는 의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강행했지만, 쿠르베에게 청나라 본토를 공격할 충분한 자원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반면, 기륭 점령은 쿠르베의 권한 내에서 수행 가능한 제한적인 작전이었다. 기륭은 비교적 소규모 병력으로 점령 및 유지가 가능했고, 인근 탄광은 극동 전대의 전진 기지로 활용될 수 있었다. 또한, 기륭에서의 승리는 8월 6일의 패배를 설욕하는 의미도 있었다. 결국 1884년 9월 18일, 프랑스 내각은 기륭 공격을 결정했다. 또한, 유럽 국가들의 상업적 이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단수이 공격도 승인했다.[63]
5. 기륭 점령 (1884년 10월)
1884년 10월 1일, 베르토 르비앙 중령은 통킹과 코친차이나의 프랑스 요새에서 차출한 소규모 원정대(2,250명)와 함께 기륭에 상륙했다. 대만 원정대는 4개의 중대로 구성된 3개 대대의 해병대 보병(대대장 베르, 라크로아, 랑게), 해병대 포병, 80mm 산포 2문, 호치키스 캐논 리볼버 4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64] 소수의 베트남인 짐꾼 부대가 전투원과 동행했다.
원정군의 병력은 9월 셋째 주에 사이공에서 알롱만까지 수송선 ''니베''(''Nive''), ''타르''(''Tarn''), ''드락''(''Drac'')을 타고 항해했고, 9월 29일 마쓰 제도에서 극동 전대와 합류했다. 3개 부대를 실은 수송선은 철갑함 ''바야르''에 의해 여정의 마지막 구간까지 호위를 받았다. 9월 30일 아침, 침공군이 기륭에 도착했다. 쿠르베는 오후에 청나라 방어진을 정찰하고 다음날 아침 상륙 명령을 내렸다.[65]
6. 담수 전투 (1884년 10월 8일)
그러나 프랑스군의 공격은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해병대는 육상 전투 훈련을 받지 않았고, 지형 또한 험난했다. 공격 지휘를 맡은 '샤토-르노'함의 부린노 소령은 중국 요새 앞 덤불 속에서 부하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다. 프랑스군은 점차 대열을 잃고 탄약 부족에 시달렸다. 쑨카이화와 장가오위안 장군이 지휘하는 약 1,000명 규모의 청나라군은 프랑스군의 혼란을 틈타 양쪽 측면을 포위했다.[17] 프랑스군은 해안으로 후퇴하여 함포 지원을 받으며 재승선했다.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17명이 사망하고 49명이 부상당했다. 반면, 단수이 세관의 유럽인 직원들에 따르면 청나라군은 80명이 사망하고 약 200명이 부상당했다.[17]
단수이에서의 패배는 청불전쟁에서 프랑스가 거둔 몇 안 되는 패배 중 하나였다. 이 패배로 인해, 푸저우 해전에서 푸젠 함대를 잃고 수세에 몰렸던 청나라 조정 강경파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청나라는 박레 매복 사건에 대한 배상금 지불 요구를 철회할 때까지 미국의 중재 제안을 거부하고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17]
한편, 청나라군은 11명의 프랑스 해병 포로를 참수하고, ''라 갈리소니에르''함의 퐁텐 선장의 머리를 대나무 기둥에 매달아 전시하여 반프랑스 감정을 자극했다. 이 참수 사진은 상하이의 ''톈스차이 화보(Tien-shih-tsai Pictorial Journal)''에 게재되었다.[18] 당시 참혹한 장면에 대해 제임스 W. 데이비슨은 자신의 저서 ''포르모사 섬, 과거와 현재''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단수이 선교 병원의 요한센 박사는 청나라 부상병 치료에 힘썼고, 많은 생명을 구했다. 10월 19일, 쑨 장군은 병원을 방문하여 요한센 박사와 브라운 박사에게 감사를 표했다.[19]
7. 기륭 주변의 작전 (1884년 11월 - 12월)
류밍촨은 린차오둥의 지휘 아래 현지 하카족 민병대를 모집했으며, 한때는 포모사(타이완)의 야생 중앙 산악 지역에서 머리 사냥을 하는 원주민 집단을 모집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부족들은 돌멩이로 장전된 화승총으로만 무장하여 프랑스군에게 별다른 군사적 가치가 없었다.[27]
thumb
1885년 1월 초, 포모사 원정군은 보병 2개 대대가 대폭 증원되어 총 병력이 약 4,000명으로 늘어났다. 마다가스카르를 정복하고 위옥 전투 (1884년 11월 19일)에서 류융푸의 흑기군을 격파한 자크 뒤센 (1837–1918) 중령이 확장된 원정군 사령관을 맡았다.
1885년 1월 10일, 모리에 하사의 지휘 아래 15명의 ''제피르'' 부대가 막사에서 탈출하여 르 시르크를 공격했다. 이 무모하고 허가받지 않은 공격으로 프랑스군은 전사 17명, 부상 28명의 사상자를 냈다.[28]
2주 후인 1885년 1월 25일, 프랑스군은 핵심 중국군 진지인 라 테이블(위에메이산)을 점령하기 위한 공격을 시작했다. 3일간의 전투에서 프랑스는 보조 진지인 포크 Y를 점령했지만, 폭우로 인해 공격이 중단되었다. 1월 31일 밤 포크 Y에 대한 중국군의 반격은 프랑스군의 근거리 사격에 의해 결정적으로 격퇴되었다. 1월 25일부터 31일까지의 작전에서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전사 21명, 부상 62명이었다.[29]
뒤센은 이 제한적인 승리를 발판으로 라 테이블에 대한 추가 공격을 가하고 싶어했지만, 2월 내내 폭우가 계속되었다. 2월 중순, 중국군은 라 테이블에서 콩그리브 로켓으로 프랑스군 진지를 포격했지만, 피해는 없었다. 프랑스 포병은 반격을 가했고, 운 좋게도 탄약고가 라 테이블에서 폭발했다. 그 후 중국군은 프랑스군을 내버려 두었다.[30]
뒤센은 포크 Y를 점령하기로 결정했는데, 이 점령으로 프랑스는 위에메이산과 훙탄산의 요새를 연결하는 중국군 참호선을 따라 긴 구간을 측면 사격할 수 있었다. 프랑스군은 곧 포크 Y를 비참한 요새로 개명했다.
8. 프랑스의 공세 (1885년 1월 - 3월)
1885년 1월 25일, 뒤센은 중국군 핵심 진지인 라 테이블(위에메이산)을 점령하기 위한 공격을 시작했다. 3일간의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보조 진지인 포크 Y를 점령했지만, 1월 28일 폭우로 인해 공격이 중단되었다. 1월 31일 밤 포크 Y에 대한 중국군의 반격은 프랑스군에 의해 격퇴되었다.[29] 1월 25일부터 31일까지의 작전에서 프랑스군은 전사 21명, 부상 62명의 피해를 입었으며, 중국군 사상자는 최소 2,000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월 내내 폭우가 계속되어 병력 이동이 불가능했다. 2월 중순, 중국군은 라 테이블에서 콩그리브 로켓으로 프랑스군 진지를 포격했지만, 피해는 없었다. 프랑스 포병은 반격을 가했고, 운 좋게도 탄약고가 라 테이블에서 폭발했다.[30]
3월 2일에 비가 멈추었고, 뒤셴은 두 번째 공세를 시작했다. 3월 4일부터 7일까지 일련의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조지중(曹志忠), 왕스정(王詩正), 린차오동(林朝棟)이 지휘하는 중국군의 기륭 포위를 격파하고, 라 테이블(La Table)과 포트 밤부(Fort Bamboo)의 주요 거점을 점령하여 중국군을 기륭강 뒤로 후퇴시켰다.[32]
뒤셴은 1,300명의 병력을 공격 부대에 투입했다. 이 부대는 제4 외인부대 및 제3 아프리카 대대의 6개 중대와 해병 보병 3개 중대로 구성되었다. 포병 지원은 샹플랭 대위가 지휘하는 3문의 대포와 예포(gunboat) ''비페르''(Vipère)가 제공했다.[33]
4일, 프랑스군은 페이타오(八堵)로 동쪽으로 우회 행군을 하여 우켕산(五坑山)과 선오산(深澳山)의 정상들을 점령했다.[34] 5일에는 선오컹(深澳坑) 계곡으로 내려가 남쪽으로 행진하여 중국군의 측면에 위치한 뒤, 동쪽에서 류컹산(六坑山)을 기어올라 유에메이산(月眉山)의 동쪽 면을 힘들게 올라갔다. 오후 늦게, 포크 Y의 프랑스 전진 진지에서 날아온 소총과 포병 사격의 지원을 받아 정면 공격과 측면 공격을 동시에 가해 라 테이블을 점령했다.[35] 6일에는 공격 부대가 재보급을 위해 멈췄고[36], 7일 아침에는 유에메이산에서 서쪽으로 밀고 나가 훙탄산(Hung-tan-shan) 정상까지 진격하여 포트 밤부를 함락했다.[37] 같은 날 오후, 프랑스군은 냐오추이젠(鳥嘴尖) 능선을 따라 남쪽으로 진격하여 완강한 적의 저항에 맞섰다. 프랑스군은 결국 중국군을 능선에서 몰아냈고, 해가 지기 직전에 그들을 루안루안(暖暖) 마을을 통해 후퇴시켰다.[38] 밤이 되자 뒤셴은 추격을 멈추고 기륭강 북쪽 둑에서 병력을 재편성했다.[39] 8일, 프랑스군은 루안루안 주변의 진지를 강화했고, 9일, 중국군은 훙탄산이 프랑스군 손에 들어가 더 이상 지킬 수 없게 된 스추이링(Shih-ch'iu-ling)에서 철수하여 기륭강 뒤로 물러났다.[40]
3월 공세에서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전사 41명, 부상 157명이었다. 중국군 사상자는 전사 및 부상으로 약 1,500명에 달했을 것이다. 프랑스군은 또한 영국 봉쇄선 ''웨이버리''(Waverley)에 의해 타이완에 들여와 라 테이블에 설치된 현대적인 독일 크루프 대포를 포획했다.[41]
라 테이블과 포트 밤부의 함락은 프랑스군에게 큰 승리였다. 뒤셴의 병사들은 100km 이상을 험난하게 행군한 다음 기륭 남쪽의 혼란스럽고 울창한 산악 지형에서 두 번의 주요 전투를 치렀다. 이 전과는 청불 전쟁에서 프랑스군의 가장 인상적인 승리였지만, 당시에는 1885년 3월 3일 뚜옌꽝 포위전 해방 소식에 가려졌다.[42]
9. 팽호 열도 작전 (1885년 3월)
10. 기륭 주변의 최후의 교전 (1885년 3월 - 4월)
그러나 프랑스군은 펑후 작전을 위해 기륭 주둔군에서 병력을 차출한 후, 기륭의 교두보 이상으로 진격할 만큼 강력하지 못했다. 프랑스군은 훙탄산과 위에메이산을 점령하고 포트 밤부와 라 타블을 자신들의 이름과 동일한 두 개의 요새로 대체했다. 두 개의 요새, 포트 베르탱과 남부 요새(''포트 뒤 쉬드'')가 론론 위와 훙탄산의 낮은 경사면에 건설되어 기륭강을 내려다보았다.[46]
기륭 전역은 이제 평형점에 도달했다. 프랑스군은 기륭 주변에 거의 난공불락의 방어선을 유지했지만 그들의 성공을 활용할 수 없었고, 류밍촨의 군대는 그들의 전진 기지 바로 너머에 주둔했다. 중국군은 자신들의 전진 기지에 너무 가까이 위치한 포트 베르탱의 건설을 방해하려 했고, 3월 말에 새 요새 주변에서 몇 차례 소규모 교전이 벌어져 여러 명의 프랑스 군인이 부상을 입었다. 그러나 프랑스군이나 중국군은 어떠한 주요 작전도 수행하지 않았다. 4월 첫 2주 동안 프랑스군과 중국군의 전초 기지가 가끔 교전을 벌였지만 양측 모두 사상자는 없었다.[47]
1885년 3월 말, 통킹에서 프랑스의 실패가 뒤쉔의 기륭에서의 성과를 가렸다. 폴-구스타브 에르빈저 중령의 랑선 퇴각이라는 충격적인 소식이 3월 28일, 홍콩에서 Roland|롤랑프랑스어 순양함을 통해 해군성에서 보낸 전보 형태로 1885년 4월 4일 마궁의 쿠르베에게 전해졌다. 쿠르베는 기륭을 철수하고 포르모사 원정군 대부분을 데리고 통킹으로 돌아가 펑후에 작은 프랑스 수비대만 남겨두라는 명령을 받았다. 4월 둘째 주에 쿠르베와 뒤쉔은 항구에서 전선 요새까지 신중하게 단계적으로 철수하는, 방해를 받는 기륭 철수 계획을 세웠다. 극동 함대의 지원을 받아 철수가 진행되는 동안 소규모 후위대가 항구로 가는 길을 지키도록 남겨질 예정이었다. 실제로 이 계획은 프랑스와 중국 간의 예비 평화 협정이 1885년 4월 4일에 체결되면서 청불 전쟁이 종식되어 실행되지 않았다. 4월 10일, 쿠르베는 기륭의 즉각적인 철수 계획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4월 14일에는 10일 전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제 기륭 주변의 적대 행위는 종식되었다.[48]
11. 기륭 원정에 대한 일본의 관심
비록 프랑스와 일본은 청불 전쟁 동안 공식적인 동맹 관계를 맺지 않았지만, 일본의 해군 및 군사 지도자들은 고르베 제독의 함대와 뒤센 대령의 대만 원정대의 성과를 예리한 전문적 관심으로 관찰했다. 일본 제국 해군의 미래 사령관인 도고 헤이하치로 함장은 전쟁 중 코르벳 *아마기*를 타고 기륭을 방문하여 프랑스 장교들로부터 프랑스가 청나라에 대항하여 사용한 전술에 대한 브리핑을 받았다. 도고의 안내자는 젊은 프랑스 공병 대위 조제프 조프르였으며, 그는 뒤센의 3월 승리 이후 새로운 프랑스 요새를 배치하기 위해 기륭으로 파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작 당시 프랑스 육군 총사령관이자 1914년 결정적인 마른 전투의 승리자인 조프르는 프랑스 원수로 군 경력을 마감했다.[49]
12. 프랑스군의 기륭 철수 (1885년 6월)
1885년 6월 22일, 프랑스군은 최종적으로 기륭에서 철수했다. 6월 17일, 류밍촨과 레페스 제독 사이에 맺은 합의에 따라, 프랑스군은 3일에 걸쳐 훙탄산과 위에메이산의 요새에서 단계적으로 철수했고, 중국군은 신중하게 그 자리를 다시 점령했다. 중국 장교들은 병사들을 잘 통제했고, 프랑스 요새 점령은 위엄과 자제력을 갖추고 진행되었다. 한 프랑스 장교는 "승리의 기미는 전혀 없었고, 우리의 감정을 상하게 하거나 정당한 자존심을 상하게 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라고 기록했다. 8개월 동안 기륭 상공에 펄럭이던 프랑스 국기는 철갑함 ''라 갈리소니에르''의 21발 예포를 받으며 내려졌다. 포르모사 원정군 사령관 뒤센 대령은 대기 중인 수송선에 탑승한 마지막 프랑스 군인이었다. 포르모사 원정군 병사들은 펑후의 마궁이나 통킹의 아롱 만으로 이동하여 통킹 원정군에 합류했다.[51]
1885년 6월, 기륭은 중국 도시로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프랑스군은 사원을 존중했지만, 프랑스 수비대의 사격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가옥을 철거했고, 남은 건물들은 하얗게 칠하고 프랑스식으로 장식했다. 프랑스군은 도시를 가로지르는 넓은 가로수길과 대로를 건설하고, 해안가를 악대와 함께 산책로로 만들었다.[52] 캐나다 선교사 조지 매케이는 프랑스 군함이 항구를 떠나자마자 기륭이 이전 주민들에게 다시 점령되었다고 언급했지만, 그들이 부재 중에 일어난 변화에 대한 반응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기륭은 다시 이전의 모습을 되찾았다.[53]
13. 기륭 프랑스 묘지
참조
[2]
간행물
Loir
[3]
간행물
Lung Chang
[4]
간행물
Loir
[5]
간행물
Garnot
1894
[6]
서적
Sino-French Naval War 1884-1885
https://www.worldcat[...]
2012
[7]
간행물
Billot
[8]
간행물
Billot
[9]
간행물
Loir
[10]
간행물
Garnot
1894
[11]
간행물
Garnot
1894
[12]
간행물
Davidson
1903
[13]
서적
Tsai 2009
https://books.google[...]
[14]
간행물
Davidson
1903
[15]
간행물
Davidson
1903
[16]
간행물
Davidson
1903
[17]
간행물
Garnot
1894
[18]
서적
Tsai 2009
https://books.google[...]
[19]
간행물
Davidson
1903
[20]
간행물
Garnot
1894
[21]
간행물
Garnot
1894
[22]
간행물
Garnot
1894
[23]
간행물
Garnot
1894
[24]
간행물
Davidson
1903
[25]
간행물
Garnot
1894
[26]
간행물
Garnot
1894
[27]
간행물
Rouil
[28]
간행물
Garnot
1894
[29]
간행물
Garnot
1894
[30]
간행물
Garnot
1894
[31]
간행물
Garnot
1894
[32]
간행물
Garnot
1894
[33]
간행물
Garnot
1894
[34]
간행물
Garnot
1894
[35]
간행물
Garnot
1894
[36]
서적
Garnot
[37]
서적
Garnot
[38]
서적
Garnot
[39]
서적
Garnot
[40]
서적
Garnot
[41]
서적
Garnot
[42]
서적
Garnot
[43]
서적
Davidson
[44]
서적
Duboc
[45]
서적
Lung Chang
[46]
서적
Garnot
[47]
서적
Garnot
[48]
서적
Garnot
[49]
서적
T%C5%8Dg%C5%8D Heihachir%C5%8D Joffre Busch, 38; Falk, 123
https://books.google[...]
[50]
서적
Garnot
[51]
서적
Garnot
[52]
서적
Loir
[53]
서적
MacKay
[54]
서적
Garnot
[55]
문서
120 on the battlefield, 150 from their wounds, the others because of diseases.
[56]
뉴스
Exhuming French history in Taiwan
http://www.taipeitim[...]
2001-11-15
[57]
서적
Tsai 2009
https://books.google[...]
[58]
문서
The 1630 m2 cemetery is located at Tchong Pan teou, Tchong Tcheng district, Keelung.
[59]
서적
Rouil
[60]
서적
Loir
[61]
서적
Garnot
[62]
서적
Billot
[63]
서적
Billot
[64]
서적
Loir
[65]
서적
Garn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