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옥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옥 전투는 1884년 11월 19일,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흑기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다. 프랑스군은 뚜옌꽝 요새의 보급을 위해 유옥을 공격하여 흑기군을 격퇴하고 뚜옌꽝으로 가는 길을 확보했다. 전투 결과 프랑스군은 10명이 사망하고 37명이 부상당했으며, 흑기군은 더 많은 사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유옥 전투 이후 뚜옌꽝은 포위되었고, 이는 뚜옌꽝 포위전의 시작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11월 - 1884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8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민주당의 그로버 클리블랜드가 공화당의 제임스 G. 블레인을 근소한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으며, 개인의 청렴함과 도덕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 1884년 11월 - 지치부 사건
지치부 사건은 1884년 사이타마현 지치부 지역에서 발생한 메이지 시대 농민 봉기로, 경제 불황과 자유 민권 운동의 영향으로 농민들이 봉기하여 정부 청사와 고리대금업 사무실을 공격했으나, 약 10일 만에 진압되고 가혹한 처벌이 이루어진 사건이다. - 프랑스 외인부대의 전투 - 랑선 원정
랑선 원정은 1885년 2월 프랑스가 청불 전쟁 중 응우옌 왕조를 압박하고 통킹을 점령하기 위해 랑선을 공격한 군사 작전으로, 프랑스가 랑선을 점령했으나 진남관 전투에서 패배하며 청불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 확장에 영향을 주었다. - 프랑스 외인부대의 전투 - 누이밥 전투
누이밥 전투는 1885년 프랑스-청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 광서군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로, 룩남강을 건너 청나라군의 좌익을 측면 공격하여 누이밥의 요새를 점령하고 랑선 원정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 1884년 베트남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4년 베트남 - 박레 매복
박레 매복은 1884년 6월 23일 프랑스군이 통킹 지역 박레에서 청나라 군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청불 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유옥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분쟁 | 청불전쟁, 통킹 원정 |
날짜 | 1884년 11월 19일 |
장소 | 베트남 북부 뚜옌꽝 남쪽 |
결과 | 프랑스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제3공화국 |
교전국 2 | 흑기군 |
지휘관 및 지도자 | |
프랑스 | 자끄 듀센 |
흑기군 | 류융푸 |
병력 규모 | |
프랑스 | 700명 |
흑기군 | 약 2,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프랑스 | 10명 사망, 37명 부상 |
흑기군 | 수백 명의 사상자 발생 |
2. 배경
1884년 청불 전쟁이 발발하면서 탕징숭의 윈난성 군대와 유영복의 흑기군이 뚜옌꽝을 공격할 위험에 놓였다. 흑기군은 베트남의 독립과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프랑스에 대항하여 전투를 벌였다. 보급 문제로 인해 청나라 군대의 뚜옌꽝 집결은 늦어졌지만, 1884년 10월부터 흑기군은 뚜옌꽝 요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4]
2. 1. 프랑스의 통킹 북부 진출
프랑스군은 1884년 6월, 흥호아와 타이응우옌을 점령한 후 뚜옌꽝에 기지를 설치했다. 로강을 따라 위치한 고립된 정착지인 뚜옌꽝은 통킹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프랑스 전초 기지였으며, 흥호아와 타이응우옌의 프랑스 수비대에서도 100km 이상 떨어져 있었다. 1884년 여름과 가을에는 대대장 프루지(Frauger)의 지휘 하에 외인부대 1연대 1대대 2개 중대(쉬미틀랑 대위와 브루시에 대위)가 이 초소에 주둔했다.[20]1884년 8월 23일,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당경숭의 윈난군과 유영복의 흑기군의 공격을 받았다. 보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뚜옌꽝 주변의 청나라군의 집결이 지연되었지만, 1884년 10월 12일 운남군의 선봉대가 그 초소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프루지의 수비대는 10월 13일과 19일 사이에 수많은 청나라군의 공격과 싸워야 했다. 프루지의 병사들은 말라리아로도 수많은 사망자를 냈으며, 10월 말경에는 총 550명의 수비대 병력 중 170명은 복무에 부적합한 상태였다.[21]

1884년 10월과 11월, 뚜옌꽝에 기반을 둔 파시형 포함[22] 리볼베(''Revolver'')와 미트라예즈(''Mitrailleuse'')와 흥호아에서 운영되는 부르끄(''Bourrasque''), 에끌레르(''Éclair''), 무틴(''Mutine'') 및 트롬브(''Trombe'')가 뚜옌꽝에 있는 소규모 프랑스 주둔지를 지원하기 위해 흥호아와 뚜옌꽝 사이의 로강을 따라 많은 무기 보급품을 실어 날랐다. 1884년 10월 15일 리볼버와 미트라예즈가 한 최초의 보급은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10월 말, 흑기군은 유옥을 점령하고, 흥호아에 있는 가장 가까운 프랑스군 초소에서 육로로 뚜옌꽝을 차단했으며, 뚜옌꽝으로 가는 강길도 통제했다. 며칠 전 포함 무틴은 뚜옌꽝에 있는 리볼베와 미트라예즈를 증원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로강을 항해해 올라가는 동안 좌초되었고, 에끌레르는 무틴을 끌고 흥호아로 견인해 돌아가야 했다.[23]
11월 상반기, 프랑스군은 로강을 오가는 포함이 유옥의 흑기군과 교전하면서 지속적인 사상자를 냈다. 11월 12일 교전에서 트롬브는 1명의 사망자와 7명의 부상자를 냈다. 한 번은 리볼베가 로강에 설치된 장애물을 돌파하기 위해 전속력으로 증기선을 가동해야 했다. 11월 16일, 리볼베의 선원들은 유옥에 포진한 적의 사격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명(지휘관 드 발랭쿠르 중위 포함)이 부상당했다.[24]
통킹 원정군 사령관 루이 브리에르 드 리즐 장군은 11월 16일 리볼베에 대한 공격에 신속하게 대응했다. 그는 추가 공격을 예견하고 즉시 유옥에서 흑기군을 제거하기 위한 원정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식량 수송대가 재보급을 하여 물길로 떠나 뚜옌꽝의 수비대를 구원할 예정이었다. 흥호아에서 자크 뒤센 중령의 지휘 하에 포병의 지원을 받는 5개 중대로 구성된 보병대 부대가 꾸려졌다.[25][26]
뒤센의 부대는 11월 18일 아침 뚜옌꽝을 향해 출발했다. 프랑스군은 흥호아에 정박한 포함 4척의 호위를 받으며, 정크선을 타고 유옥 상류 7km 지점까지 이동했다. 부대는 11월 18일 오후에 로강 오른쪽 강둑에 상륙하여, 유옥과 뚜옌꽝을 향해 천천히 일렬로 이동했다. 11월 18일 저녁, 이 부대는 유옥 몇 시간 거리 내에 도달했다. 적의 흔적은 아직 보이지 않았다.[27]
2. 2. 청불전쟁 발발과 흑기군의 개입
1884년 8월 23일, 청불 전쟁이 발발하면서 당경숭의 윈난 성 군대와 유영복의 흑기군이 뚜옌꽝을 공격할 위험이 커졌다.[20] 흑기군은 베트남의 독립과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프랑스에 대항하여 전투를 벌였다. 보급 문제로 인해 청나라 군대의 뚜옌꽝 집결은 늦어졌지만, 1884년 10월부터 흑기군은 뚜옌꽝 요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21] 프랑스군은 잦은 공격과 말라리아로 인해 많은 병력을 잃었다. 10월 말에는 550명의 수비 병력 중 170명이 전투에 부적합한 상태였다.[21]2. 3. 로강을 통한 보급 작전
1884년 10월과 11월, 프랑스군은 포함(砲艦)을 이용하여 로강을 통해 뚜옌꽝 요새에 보급품을 전달하려 했다. 이를 위해 파시형 포함[22] 리볼베(Revolver)와 미트라예즈(Mitrailleuse)가 뚜옌꽝에 배치되었고, 흥호아에서는 부르끄(Bourrasque), 에끌레르(Éclair), 무틴(Mutine), 트롬브(Trombe)가 작전을 지원했다. 10월 15일의 첫 보급은 성공했지만, 10월 말 흑기군이 유옥을 점령하면서 육로와 강을 통한 보급로가 모두 차단되었다. 포함 무틴은 뚜옌꽝 지원을 위해 로강을 거슬러 올라가던 중 좌초되어 에끌레르가 구조해야 했다.[23]11월 상반기, 로강을 오가는 프랑스 포함들은 유옥의 흑기군과 교전하며 지속적인 피해를 입었다. 11월 12일 트롬브는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했다. 리볼베는 로강의 장애물을 돌파하기 위해 전속력을 내야 했고, 11월 16일에는 유옥의 포격으로 2명이 사망하고 지휘관 드 발랭쿠르 중위를 포함한 3명이 부상당했다.[24]
3. 유옥 전투 (1884년 11월 19일)
1884년 11월 19일, 프랑스군은 뚜옌꽝 요새를 구원하기 위해 유옥으로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흑기군 및 청나라군과 여러 차례 교전을 벌였다.
오전 10시 30분, 프랑스군은 전사자를 매장하고 부상자들을 포함 ''에클레르''에 태워 뚜옌꽝으로 이송한 뒤 재집결했다. 한 시간 후, 행군을 재개한 프랑스군은 오후 3시 30분에 유옥의 소로에 접어들었다. 뚜옌꽝 쪽으로 난 출구는 2개의 작은 요새와 일련의 참호로 막혀 있었고, 거의 300m 깊이의 아바티스(쓰러진 나무 등으로 만든 장애물)가 길을 덮고 있었다.
오후 7시경, 프랑스군 전위대가 성채에 접근했고, 나팔수들이 프랑스 외인부대의 후렴구인 "르 부댕(Le Boudin)"의 첫 소절을 연주하자 뚜옌꽝의 병사들이 이에 응답했다. 요새에서 온 정찰대는 마지막 개울을 건너는 것을 도왔다.[12]
3. 1. 프랑스군의 유옥 공격 결정
1884년 11월 19일 새벽, 프랑스군은 흑기군의 공격에 대응하고 뚜옌꽝 요새를 구원하기 위해 유옥으로 출발했다. 에르뱅과 샤누의 해병 보병대가 선두에 섰고, 포병대가 뒤따랐으며, 두 개의 외인부대 대대가 후미를 맡았다. 이들은 중국군이 자신들의 이동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오전 7시경 중국 정찰병들이 프랑스군의 접근을 알리는 총성을 울렸다.몇 분 후, 프랑스 선봉대는 세 방향에서 중국군의 공격을 받았다. 중국군은 길을 막고, 서쪽 숲과 클리어 강 건너편 둑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에 뒤셴은 두 해병 보병대에 중국군의 저지선을 정면 공격하도록 명령했고, 동시에 드 보렐리 부대 대대는 적의 우익을 공격했다. 세 개의 중대가 배치되어 중국군 진지에 십자포화를 퍼부은 후, 드 보렐리의 외인부대원들은 돌격하여 중국군 전선을 돌파했다. 이 과정에서 고에리 중위와 그의 소대원 두 명이 부상을 입었다. 중국군은 300m 뒤편의 강력한 요새로 도주했다.
해병 보병대는 중국군 주 진지로 진격하려 했으나, 강력한 화력에 막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두 시간 넘게 갇히게 되었다. 이들은 흑기군의 전선 앞에서, 그리고 강의 동쪽 둑에 있는 산병들의 공격을 받으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슈스터 중위가 전사하는 등 사상자가 늘어나고, 보병과 포병 모두 탄약이 부족해지기 시작했다.[10]
그러나 오전 10시, 샤누와 에르뱅 부대가 적과 정면으로 교전하는 동안, 드 보렐리의 외인부대 대대가 다시 한번 중국군의 측면을 우회하여 중국군 진지 서쪽 숲에서 나타나 퇴각로를 위협했다. 이에 중국군은 즉시 진지를 포기하고 유옥 방향으로 후퇴하며, 여러 깃발과 탄약 상자를 남겨두었다.[11]
3. 2. 전투 경과
1884년 11월 19일 새벽, 프랑스군은 유옥으로 진격했다. 선봉에는 에르빈(Herbin)과 샤뉴(Chanu)가 지휘하는 해병 보병 중대가, 포병이 그 뒤를 따랐으며, 프랑스 외인 부대 2개 중대가 후방을 맡았다. 오전 7시경, 청나라군 척후병들이 프랑스군의 접근을 알리는 총성을 발사했고, 얼마 후 프랑스군 전위대는 세 방향에서 공격을 받았다. 청나라군은 길을 가로막고 서쪽 숲과 로강 건너편에 배치되어 있었다.뒤센(Duchesne)은 해병 보병 2개 중대에게 정면 공격을, 드 보렐리(de Borelli)의 외인부대 중대에게는 적의 우측면 공격을 명령했다. 프랑스군은 교차 사격으로 청나라군 초소를 점령했고, 드 보렐리의 외인부대원들은 돌격하여 청나라군 전열을 돌파했다. 이 과정에서 궈리(Goeury) 중위와 소대원 2명이 부상을 입었다.
해병 보병대는 청나라군 본진으로 진격을 시도했으나, 강력한 사격에 막혀 2시간 이상 흑기군 전열 앞에서 고착되었다. 해병 보병대의 사상자가 증가하고 탄약이 부족해지기 시작할 무렵, 드 보렐리의 외인부대 중대가 다시 청나라군의 측면을 우회하여 오전 10시에 청나라군 진지 서쪽 숲에서 나타나 퇴로를 위협했다. 청나라군은 즉시 진지를 버리고 유옥 쪽으로 퇴각했다.[29]
뒤센은 계속 압박했고, 보렐리의 외인부대원은 주도권을 잡고 청나라군 요새를 향해 진격했다. 외인부대원들은 총검 돌격으로 요새를 점령했고, 청나라군은 유옥의 숲속으로 사라졌다. 프랑스군은 유옥 탑으로 진격하여 방어선을 구축하고, 청나라군 병영에 불을 지르며 진지 일부를 파괴했다.
오전 10시 30분, 프랑스군은 재집결하여 전사자를 매장하고 부상자들을 포함 ''에끌레르''에 태워 뚜옌꽝으로 이송했다. 한 시간 후, 행군을 재개한 프랑스군은 오후 3시 30분에 유옥의 소로에 접어들었고, 뚜옌꽝 쪽으로 난 출구는 2개의 작은 요새와 일련의 참호로 막혀 있었다. 오후 7시경, 프랑스군 전위대가 성채에 접근했고, 나팔수들이 르 부댕의 처음 몇 마디를 연주하자 뚜옌꽝의 군대가 응답했다.[30]
유옥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10명이 사망하고 37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대부분 해병 보병이었다.[31] 청나라군과 흑기군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프랑스군보다 많았다.[32]
3. 3. 전투 결과
프랑스군은 유옥 전투에서 10명이 사망하고 37명이 부상당했으며, 대부분 해병 보병대였다.[13] 중국군과 흑기군의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프랑스군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4]이 전투의 결과로 프랑스군은 유옥을 점령하고 뚜옌꽝으로 가는 길을 확보했다.
4. 전투의 여파
1884년 11월 24일, 듀셴이 떠난 다음 날, 도미네는 투옌꽝을 포위 상태로 선포했다. 유옥 전투는 4개월간 이어진 투옌꽝 공방전 (1884년 11월 24일 – 1885년 3월 3일)의 전조였다.[17] 파르시(Farcy) 포함 ''레볼버''(Revolver)는 투옌꽝에서 철수했지만, ''미트라유즈''(Mitrailleuse)는 자리를 지켜 이후 투옌꽝 공방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1. 뚜옌꽝 요새 보급
11월 20일, 프랑스 호송대는 ''에끌레르''(''Éclair'')의 호위를 받으며 뚜옌꽝에 도착하여 요새에 보급품을 전달했다. 같은 날, 뒤센은 뚜옌꽝 주변의 흑기군을 몰아내기 위한 정찰 작전을 수행했다. 그는 직접 쯔엉무(Truong Mu)로 진격하여 흑기군을 푸안빈(Phu An Binh)으로 밀어냈고, 스미틀랭(Chmitelin) 대위는 ''에끌레르''의 대포 지원을 받아 로강 좌안에 있는 뚜옌꽝 근처의 청나라군 진지를 파괴했다. 11월 21일과 22일, 뒤센은 북서쪽으로 진격하여 흑기군이 기지로 사용하던 동디엔 마을을 불태웠다. 흑기군은 프랑스군의 접근에 마을을 비웠고, 프랑스군의 진격을 막지 않았다. 11월 22일 저녁, 뒤센은 뚜옌꽝으로 돌아왔다.[33][15]11월 23일, 뒤센의 부대는 뚜옌꽝을 떠나 선떠이로 돌아갔다. 뒤센은 뚜옌꽝 남쪽 80km 지점의 로강 강변에 있는 푸도언에 프랑스군 기지를 설립하고 해병대 보병 중대를 수비대로 남겼다.[34][16]
뒤센은 원래 뚜옌꽝 요새를 지키고 있던 외인부대 2개 중대를 데려가고, 마르 에드몽 도미네(Marc-Edmond Dominé)를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도미네의 휘하에는 드 보렐리와 무리네의 외인부대 중대, 디아의 통킹 소총병 중대, 드라프의 포병대 포대, 보비요의 공병대와 소규모 의료 및 행정 참모가 남았다. 포함 ''리볼베''(''Revolver'')는 일찍 떠났지만, ''미트라예즈''는 기지 방벽 너머 로강에 있는 나루에 남아있었다. 뚜옌꽝 요새는 이제 630명 이상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120일 분량의 식량과 군수품을 비축했지만, 포탄은 200개에 불과했다.[35][17]
4. 2. 뚜옌꽝 포위전의 시작
1884년 11월 24일, 흑기군이 뚜옌꽝 요새를 다시 포위하면서 4개월간의 뚜옌꽝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유옥 전투는 이 포위전의 서막을 알리는 전투였다.[33]11월 20일, 포함 ''에끌레르''(''Éclair'')의 호위를 받으며 프랑스 호송대가 뚜옌꽝에 도착했다. 다른 포함들은 유옥에 남아 있었다. 같은 날, 일시적으로 외인부대 대대 전체를 지휘하게 된 뒤센은 뚜옌꽝 주변의 흑기군을 몰아내기 위해 강력한 정찰대를 파견했다. 뒤센은 직접 쯔엉무(Truong Mu)로 진격하여 흑기군을 푸안빈(Phu An Binh) 방향으로 밀어냈다. 한편, 스미틀랭(Chmitelin) 선장은 ''에끌레르''에 장착된 대포를 이용하여 로강 좌안에 있는 뚜옌꽝 근처의 청나라군 진지를 파괴했다. 11월 21일과 22일, 뒤센은 북서쪽으로 진격하여 흑기군이 기지로 사용하던 동디엔 마을을 불태웠다. 흑기군은 프랑스군이 접근하자 마을을 비우고 별다른 저항을 하지 않았다. 11월 22일 저녁, 뒤센은 뚜옌꽝으로 돌아왔다.[33]
뒤센의 부대는 11월 23일 뚜옌꽝을 떠나 선떠이로 돌아갔다. 뒤센은 뚜옌꽝 남쪽 80km 지점의 로강 강변에 있는 푸도언에 프랑스군 기지를 설치하고 해병대 보병 중대를 주둔시켰다.[34]
뒤센은 원래 뚜옌꽝 요새를 지키고 있던 외인부대 2개 중대를 데려가는 대신, 대대장 마르 에드몽 도미네(Marc-Edmond Dominé)를 새로운 기지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도미네의 휘하에는 드 보렐리와 무리네의 외인부대 중대, 디아의 통킹 소총병, 드라프의 포병대 포대, 보비요의 공병대와 소규모 의료 및 행정 참모가 배속되었다. 포함 ''리볼베''(''Revolver'')는 일찍 떠났지만, ''미트라예즈''는 기지 방벽 너머 로강에 있는 나루에 남아있었다. 뚜옌꽝 요새는 이제 630명 이상의 병력과 120일 분량의 식량 및 군수품을 보유했지만, 포탄은 200개에 불과했다.[35]
파시형 포함 ''리볼베''는 뚜옌꽝에서 철수했지만, ''미트라예즈''는 나루에 남아 이후 뚜옌꽝 포위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조
[1]
서적
Imperial Wars 1815–1914
[2]
간행물
Huguet, 23–43 and 49–54; Lecomte, 141–7; Nicolas, 385–6; Thomazi, Conquête, 237–9; Histoire militaire, 101–2
[3]
간행물
Lecomte, 141
[4]
간행물
Lecomte, 141–3; Thomazi, Conquête, 237–8; Histoire militaire, 101
[5]
간행물
Lecomte, 142; Thomazi, Histoire militaire, 101
[6]
간행물
Lecomte, 116–17 and 142; Thomazi, Conquête, 237–8
[7]
문서
Duchesne’s column consisted of the 3rd and 4th Companies, 1st Foreign Legion Battalion (Captains de Borelli and Moulinay), the 25th and 28th Companies, 1st Marine Infantry Regiment (Captains Chanu and Herbin), the 8th Company, 1st Tonkinese Rifle Regiment (Captain Dia) and Lieutenant Derappe’s section of Vintemberger’s battery. Chef de bataillon Bouguié and Captain Cattelin were in overall command of the two marine infantry companies and the two Legion companies respectively.
[8]
간행물
Lecomte, 143–4; Thomazi, Conquête, 238
[9]
간행물
Lecomte, 144
[10]
간행물
Lecomte, 144–5
[11]
간행물
Lecomte, 145
[12]
간행물
Lecomte, 145–6
[13]
문서
Losses in the two marine infantry companies were 9 men killed (including one officer, 2nd Lieutenant Schuster) and 30 wounded. Losses in the two Legion companies were 1 man killed and 7 wounded (including two officers, Lieutenants Goeury and Vincent).
[14]
간행물
Lecomte, 146
[15]
간행물
Lecomte, 146–7
[16]
간행물
Lecomte, 147; Thomazi, Conquête, 239
[17]
간행물
Lecomte, 146–7; Thomazi, Conquête, 238–9
[18]
간행물
Huguet, 42–3
[19]
간행물
Huguet, 23–43 and 49–54; Lecomte, 141–7; Nicolas, 385–6; Thomazi, Conquête, 237–9; Histoire militaire, 101–2
[20]
간행물
Lecomte, 141
[21]
간행물
Lecomte, 141–3; Thomazi, Conquête, 237–8; Histoire militaire, 101
[22]
웹사이트
Farcy gunboat
https://www.bonhams.[...]
[23]
간행물
Lecomte, 142; Thomazi, Histoire militaire, 101
[24]
간행물
Lecomte, 116–17 and 142; Thomazi, Conquête, 237–8
[25]
문서
Duchesne’s column consisted of the 3rd and 4th Companies, 1st Foreign Legion Battalion (Captains de Borelli and Moulinay), the 25th and 28th Companies, 1st Marine Infantry Regiment (Captains Chanu and Herbin), the 8th Company, 1st Tonkinese Rifle Regiment (Captain Dia) and Lieutenant Derappe’s section of Vintemberger’s battery. Chef de bataillon Bouguié and Captain Cattelin were in overall command of the two marine infantry companies and the two Legion companies respectively.
[26]
간행물
Lecomte, 143–4; Thomazi, Conquête, 238
[27]
간행물
Lecomte, 144
[28]
간행물
Lecomte, 144–5
[29]
간행물
Lecomte, 145
[30]
간행물
Lecomte, 145–6
[31]
문서
해병대 2개 중대의 사망자는 9명이었고(장교 1명, 슈스터 소위 포함), 30명의 부상자가 있었다. 외인부대 2개 중대의 사상자는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했는데 궈리 중위와 빈센트 중위를 포함한 2명의 장교가 포함되어 있었다.
[32]
간행물
Lecomte, 146
[33]
간행물
Lecomte, 146–7
[34]
간행물
Lecomte, 147; Thomazi, Conquête, 239
[35]
간행물
Lecomte, 146–7; Thomazi, Conquête, 238–9
[36]
서적
Hugu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