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욤 패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욤 패트리는 캐나다 출신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시절 'X~ds-grrr...'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며, 기발한 전략과 상대 분석을 통해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스타크래프트 초창기를 평정했다.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가장 성공한 외국인 프로게이머로 평가받았으며, 2000년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에서 우승했다. 2001년부터 기량이 하락하여 2004년 은퇴했으며, 은퇴 후 갬블러로 활동하다가, 스타크래프트2 선수로 전향하기도 했다. 2012년에는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방송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e스포츠 선수 - 사샤 호스틴
사샤 호스틴은 'Scarlett'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캐나다의 트랜스젠더 여성 프로게이머로, 《스타크래프트 II》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e스포츠에서 성공한 여성 선수로 평가받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 캐나다의 e스포츠 선수 - XQc
XQc는 펠릭스 랑젤의 닉네임으로, 오버워치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여러 대회에 참가, MVP로 선정된 후 스트리밍에 전념하여 트위치에서 가장 많은 시청 시간을 기록하고 Kick으로 이적하며 스트리밍 업계의 주목을 받는 스트리머이다. - 캐나다의 방송인 - 알렉스 (가수)
알렉스는 클래지콰이 멤버이자 솔로 가수, 배우,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2008년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 캐나다의 방송인 - 제이드 레이먼드
제이드 레이먼드는 캐나다의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이자 기업 임원으로, 유비소프트에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개발을 주도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EA, 구글을 거쳐 현재는 헤이븐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소니와 협력하여 새로운 게임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 퀘벡 출신 - 폼 클레멘티에프
폼 클레멘티에프는 한국인 어머니와 프랑스계 러시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 배우로, 프랑스 영화 데뷔 후 할리우드에 진출하여 《올드보이》에 출연했으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맨티스 역을 맡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퀘벡 출신 - 스테판 디옹
스테판 디옹은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자유당 소속 하원 의원, 연방-주 관계부 장관, 환경부 장관, 자유당 대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독일, 프랑스, 모나코 대사를 지냈다.
기욤 패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기욤 패트리 |
로마자 표기 | Guillaume Patry |
국적 | 캐나다 |
출생일 | 1982년 6월 19일 |
출생지 | 캐나다 퀘벡주 퀘벡시 |
별명 | 세계 최강, 푸른 눈의 전사 |
프로게이머 정보 | |
아이디 | X~ds-grrr... |
종족 | 랜덤/선택랜덤(~2001) 프로토스(2001년~) |
포지션 | 프로토스 |
은퇴 여부 | 은퇴 |
게임 | 스타크래프트 |
커리어 시작 | 알 수 없음 |
커리어 종료 | 2004년 |
마우스 | Logitech |
소속팀 | |
과거 소속팀 | AMD 드림팀/헥사트론(2002~2005) |
현재 소속 | JTBC스튜디오 |
2. 선수 경력
기욤 패트리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 게임 리그 초창기를 평정한 외국인 프로게이머로, AMD 드림팀과 헥사트론 드림팀(구 이스트로) 소속이었다. 스타크래프트 종족은 초기에 저그 중심 랜덤을 사용하다가 이후 프로토스 위주로 변경했다. '''X~ds-grrr...'''라는 아이디를 사용했으며, 한국 프로게이머에 비해 느린 손과 낮은 컨트롤 실력에도 불구하고 기발한 전략과 철저한 상대 분석으로 초창기(1998~2000년) 스타크래프트 프로 게임계를 평정했다.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가장 성공한 외국인 프로게이머로 평가받았다.
2000년 2월부터 대한민국에서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한 기욤은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활약했다. 포모스 보도에 따르면 기욤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초대 우승자이지만, 온게임넷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실은 아니었다.[1] 이후 온게임넷에서 이제동을 7대 로열로더로 칭하면서 기욤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초대 로열로더로 등극했다.[1] 그러나 2001년 2월부터 기량이 저하되며 하락세를 보였고, 2004년 7월에 은퇴하였다.
2. 1. 1998년: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
1998년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 3 시즌부터 뛰어난 게이머로서 명성을 떨쳤다. 이때부터 각종 세계 대회를 휩쓸었는데, 당시 종족인 저그로 즐겨 사용하던 전략인 히드라리스크 웨이브로 연전연승을 거두며 배틀넷에서 최강자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기욤 외에도 당시 스타 세계 최강으로 손꼽히던 게이머로 슈팅 리버 전략을 즐겨 사용하던 톰 캐드웰(Zealias)이 있었고, 곧 둘의 최강 대결이 성사되었다. 이 대결에서 기욤은 히드라 웨이브로 압승을 거두며 1998년 스타계의 유일한 최강자가 되었다.[1]2. 2. 1999년: 브루드워와 래더 토너먼트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서 종족은 초창기 저그 중심 랜덤을 사용했다가, 이후 프로토스 위주로 바뀌었다. '''X~ds-grrr...'''라는 아이디를 사용했으며, 대한민국 출신 프로게이머에 비해 느린 손과 낮은 컨트롤 실력에도 불구하고 기발한 전략과 철저한 상대 분석으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 초창기(1998~2000년)를 평정했다. 그리하여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가장 성공한 외국인 프로게이머로 평가받았다.브루드워가 나오면서 기욤은 저그에서 랜덤으로 전환하였다. 당시 한국에도 스타크래프트가 널리 퍼지면서 한국인 게이머들이 대거 배틀넷 상위권에 진출하였다. 한국인 게이머들은 특유의 빠른 손놀림과 컨트롤로 타국적 게이머들을 압도했는데, 한 조사에 따르면 당시 배틀넷 래더 상위 100위 안에 한국인 게이머가 64명에 달할 정도였다. 이 와중에도 기욤은 99년 블리자드 브루드 워 레더 토너먼트 시즌1에서 4개월 이상 최장기간 래더 1위 자리를 지키면서 세계 최강임을 다시 입증했으나 본선 토너먼트에서는 16강 탈락, 시즌2에서는 어뷰저 유저들에게 밀려 아예 순위권에조차 들지 못하였다. 기욤 패트리의 탈락 사건은 그동안 논쟁이 있어왔던 레더 토너먼트의 어뷰저 논란이 수면 위로 부상하기 시작하였고 이 과정에서 시즌2의 우승자 이기석이 어뷰저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레더 토너먼트에 대한 불신과 논란이 한층 가열되었다. 이 사건 이후 블리자드는 레더 토너먼트를 즉시 종료하였으며 최후로 진정한 세계 최강을 가리는 월드 챔피언십을 개최하였다. 기욤은 결승에서 한국의 김창선(前 온게임넷 해설)을 상대로 3:0 완승을 거두며 블리자드가 인증한 유일한 세계 최강의 자리에 등극한다. 그동안 세계 각지의 대회를 우승하였음에도 정작 블리자드 레더 본선 토너먼트에서만 약한 모습을 보이던 기욤 패트리는 최후의 대회에서 우승하여 그 한을 풀게 된다. 이 밖에도 PGL, 파리오픈 등을 우승하면서 세계 대회를 석권한다.
2. 3. 2000년: 한국 진출과 스타리그 우승
AMD 드림팀과 헥사트론 드림팀(구 이스트로) 소속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이다. 스타크래프트 종족은 초창기 저그 중심 랜덤을 사용하다가, 이후 프로토스 위주로 바뀌었다. '''X~ds-grrr...'''라는 아이디를 사용했으며, 대한민국 출신 프로게이머에 비해 느린 손과 낮은 컨트롤 실력에도 불구하고 기발한 전략과 철저한 상대 분석으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 초창기(1998~2000년)를 평정했다.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가장 성공한 외국인 프로게이머로 평가받았다.[1]2000년 2월부터 대한민국에서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한 기욤은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는 등 명성에 걸맞은 활약을 보였다.[1] 포모스의 보도에 따르면 기욤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초대 우승자이지만, 온게임넷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었다.[1] 이후 온게임넷에서 이제동을 7대 로열로더로 칭하면서 온게임넷 스타리그 초대 로열로더로 등극했다.[1]
2000년에 접어들자마자 스타크래프트의 인기는 세계적으로 식어가기 시작했다. 이에 기욤은 지속적인 게이머 생활을 위해 여전히 스타크래프트가 인기를 끌고 있었던 한국으로 왔다.[1] 이전에도 몇몇 외국인 선수들이 스타크래프트의 인기가 떨어진 자국을 떠나 한국에 들어와 몇몇 대회에 참여하긴 했으나, 대부분 조기 탈락하며 고배를 마셨다. 1999년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에 출전했던 스웨덴 출신의 세계적인 프로게이머 빅터 마틴은 1라운드에서 3패로 탈락하였다. 그러나 기욤은 그들과 달리 기발한 전략과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1] 2000년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에서 기욤은 전 시즌 준우승자였던 국기봉을 상대로 러커에 옵티컬 플레어를 사용하는 전략으로 승리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결국 이 대회에서 우승하며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선수로서는 유일하게 스타리그를 우승하였다.[1]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박찬문, 김완철에게 패하며 8강에서 탈락, 최강의 입지가 흔들리는 듯 했다.[1] 그러나 2000년 말 치러진 온게임넷 스타크래프트 Final 2000에서 다시 한번 우승하며 최강의 게이머임을 재입증하였다.[1]
2. 4. 2001년 ~ 2004년: 쇠퇴와 은퇴
2001년 기욤은 온게임넷 스타크래프트 Final 2000에서 우승하며 2000년을 자신의 해로 만들었지만, 2001년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기대와 달리 장진남에게 완패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1] 4강에서 다시 장진남을 만나 2:0으로 패배, 결국 3전 전패를 당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1] 대회 폐막 후 임요환과의 경기에서 3:0으로 패배하며 기욤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1] 이후에도 프로게이머로 활동했지만, 2002년 들어 급격한 기량 저하를 겪었다.[1] 2003년 WCG 2003 그랜드파이널에서 3위를 차지했지만, 2004년부터는 연전연패를 당하며 그 해 여름 은퇴하였다.[1]3. 은퇴 이후 행보
2010년에 들어 스타크래프트2 선수로 활동하였으며, GSL (글로벌 스타 리그)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에 다시 방문했다. 그러나 GSL 64강 진출은 좌절되었다.[9]
2012년 마지막 스타크래프트 1 리그인 Tving 스타리그 2012를 관전하였다. 결승전 이전에 진행된 홍진호와 임요환 간의 친선경기 도중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와 함께 앉아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외국인 최초로 한국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15년 12월 21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손석희 앵커와 블리자드 대표 마이클 모하임의 인터뷰에 참여했다.
2017년 7월 30일 GG투게더(부산광역시 광안리해수욕장) 행사에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직원 국기봉과의 경기가 펼쳐졌다.
4.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인 어학당
- 셔브룩 대학교
5. 방송 출연
기욤 패트리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 게임 리그 초창기에 활동한 외국인 프로게이머이다. 오랜 기간 대한민국에 체류하여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으며, JTBC의 비정상회담을 비롯한 여러 방송에 출연하였다.[1]
5. 1. 드라마
- 선암여고 탐정단 (2015년, JTBC)
- 썸남 (2017년, 웹드라마) - 고든 역
5. 2. 텔레비전 프로그램
6. 수상 경력
연도 | 대회 | 결과 |
---|---|---|
1999년 | 블리자드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 | 우승 (3:0 김창선) |
1999년 | i2e2 인비테이셔널 1vs1 토너먼트 | 우승 |
1999년 | 스포츠서울배 개인전 | 준우승 |
1999년 | PGL 시즌3 샌프란시스코 대회 | 3위 |
1999년 | PGL 시즌4 뉴욕 대회 | 우승 |
1999년 | 프랑스 파리 오픈 | 우승 |
2000년 | 크레지오 코넷배 스타 8인전 | 우승 (3:1 국기봉) |
2000년 |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 우승 (3:2 강도경)[10] |
2000년 | SBS배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 우승 |
2000년 |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8강 |
2000년 | 슬기방 초청전 | 우승 |
2000년 | 온게임넷 왕중왕전 2000 | 우승 (3:2 국기봉) |
2000년 | 코리아 e스포츠 챔피언십 KUF 부문 | 4강 |
2001년 | 크레지오 종족별 최강자전 | 준우승 (3:4 최인규) |
2001년 |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3위 |
2001년 | 온게임넷 Last 1.07 특별전 | 준우승 (0:3 임요환) |
2001년 |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 16강 |
2001년 | WCG 2001 캐나다 국가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 | 우승 |
2002년 | 2002 KPGA 1차리그 | 16강 |
2002년 | GhemTV 1차 스타리그 | 준우승 (0:3 한웅렬) |
2002년 | GhemTV 2차 스타리그 | 16강 |
2002년 | WCG 2002 캐나다 국가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 | 우승 |
2002년 | WCG 2002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 7위 |
2003년 | 스타우트배 Again 2000 | 우승 (2:0 송병석) |
2003년 | WCG 2003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 3위(동메달) |
2003년 | iTV 랭킹전 6차리그 | 4위 |
2012년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 헌액 |
참조
[1]
웹사이트
Transcription de : Guillaume Patry : Maître de StarCraft
https://web.archive.[...]
2010-11-27
[2]
웹사이트
Gamers unite for video game Olympics
https://www.cbc.ca/n[...]
[3]
웹사이트
Ongamenet
https://web.archive.[...]
2010-01-04
[4]
웹사이트
포모스::포모스
https://web.archive.[...]
2010-01-04
[5]
웹사이트
이런 비정상 G11 때문에 월요일이 기다려지다니, 이런 나 비정상인가요?
https://web.archive.[...]
Naeil Shot Magazine
2014-08-27
[6]
웹사이트
Teaser Video of 'Where Is My Friend's House?' Is Available
https://sg.style.yah[...]
Yahoo! News Singapore/BNT News
2015-01-27
[7]
웹사이트
"[단독] 알베르토-다니엘-기욤, JTBC와 매니지먼트 계약"
https://n.news.naver[...]
2015-10-01
[8]
뉴스
딴지일보 - 잊지 마라, 0대 본좌 기욤 패트리를!
http://www.ddanzi.co[...]
딴지일보
[9]
웹인용
포모스 2008년 11월 1일
https://web.archive.[...]
2010-01-04
[10]
문서
스타리그 1회 우승.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긴 연휴 특집] 어디도 가기 싫다면, 이걸 보세요 – 바이라인네트워크
게임 녹인 새 예능 '비긴어게임', 내달 방영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