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쿠치 다케미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쿠치 다케미쓰는 가마쿠라 막부에 대항하여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했으며,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인 가네요시 친왕의 동맹으로 규슈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그는 치쿠고 강 전투에서 승리하고, 다케히토를 대신하여 기쿠치 씨의 당주가 되었으며, 규슈에서 남조 세력을 확장하는 데 힘썼다. 다자이후를 점령하고 정서부를 확립했으나, 동정 계획이 실패하고 다자이후가 함락되면서 고라 산에서 사망했다. 사후 기쿠치 신사에 모셔졌으며, 메이지 시대에 종3위가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3년 사망 - 이븐 카티르
    14세기 시리아의 샤피이 학파 법학자이자 역사가, 쿠란 주석가인 이븐 카티르는 이븐 타이미야의 제자로서 《이븐 카티르의 타프시르》로 유명하며, 다마스쿠스 대사원 교수 등을 역임했고 그의 신념은 아흘 알-하디스 및 아사리 학파 관점에서 논쟁적이다.
  • 1373년 사망 - 사사키 도요
    사사키 도요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도와 무로마치 막부의 성립에 기여하고 여러 쿠니의 슈고를 역임하며 막부의 안정을 도모했으며, 바사라 풍조를 숭상하고 예술 분야에도 조예가 깊었던 인물이다.
  • 1319년 출생 - 장 2세 (프랑스)
    장 2세는 백년 전쟁 중 잉글랜드군에 포로로 잡혔으며, 브레티니 조약에 따른 몸값 지불을 거부하고 런던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국왕이다.
  • 1319년 출생 - 베르나보 비스콘티
    베르나보 비스콘티는 14세기 밀라노의 영주로, 폭압적인 정치와 잦은 전쟁으로 악명 높았으며 조카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에 의해 폐위되어 암살당했다.
  • 신토의 신 - 니니기
    니니기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천손강림의 주인공으로, 삼종신기를 가지고 지상으로 내려와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와 결혼하여 진무 천황의 조상이 되었으며 농업의 신으로 숭배받는다.
  • 신토의 신 - 야마토타케루
    야마토타케루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게이코 천황의 아들로,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기록된 전설적인 영웅이며, 구마소 정벌과 동쪽 정벌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며 일본 문화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쿠치 다케미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쿠치 다케미쓰
기쿠치 다케미쓰의 초상 (전현고실)
시대가마쿠라 시대 말기 - 남북조 시대
출생겐오 원년 (1319년) ?
사망분추 2년 / 오안 6년 11월 16일 (1373년 12월 29일)
개명다케미쓰 (武光)
별명도요타 주로 (豊田十郎, 통칭)
계명세이겐 (聖厳, 법명)
묘소구마모토현 기쿠치시 와이후 히가시 쇼칸지의 쇼칸지
관위히고 노카미, 증 종3위
주군가네요시 친왕
씨족기쿠치 씨
부모아버지: 기쿠치 다케토키
형제다케시게, 요리타카, 다케시게, 다케즈미, 다카하루, 다케요시, 다케요시, 다케미쓰, 다케히사, 다케히토, 다케타카, 다케토시, 다케토요 외 다수
자녀다케마사, 요시마사
통칭
통칭도요타 주로 (豊田十郎)
법명
법명쇼겐 (聖厳)
관위 (사후 추증)
관위종3위
기타 정보

2. 생애

기쿠치 다케미쓰는 기쿠치 다케토키의 아홉 번째 아들로, 아버지처럼 고다이고 천황 편에서 싸웠으며, 가마쿠라 막부와의 투쟁에서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인 가네요시 친왕의 든든하고 믿음직한 동맹이었다.[1]

1345년 아소 고레즈미와 함께 기쿠치 씨의 거성 후카와성을 북조 세력으로부터 탈환하였고, 이후 와이후성(隈府城)에 들어와 당주였던 동생 다케히토를 유폐하고 자신이 당주가 되었다.[3] 이후 가네요시 친왕을 세이세이다이쇼군(征西大将軍)으로 규슈에 맞이하고 규슈에서 남조 세력으로써 정서부(征西府)를 확대하는데 힘썼다.

1351년 지쿠고국(筑後国)으로 진출해 세력을 확대하고, 1353년 2월에는 북조의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잇시키 노리우지(一色範氏)와 쇼니 요리히사(少弐頼尚)의 다툼에 개입, 하리스루바루 전투에서 승리했다. 같은 해 7월 이이모리 산(飯盛山)에서 잇시키 군세를 격파하고, 1354년부터 분고히젠 등지로 진출하여 오토모 우지야스(大友氏泰)를 항복시키고 잇시키 노리우지를 나가토로 쫓아내어 규슈에서 남조 세력의 우세를 확립하였다.

1359년 7월, 기쿠치 다케미쓰는 가네요시 친왕을 옹립하고 남조측 군세를 이끌고 지쿠고 강 전투(오호바루 전투)에서 쇼니 요리히사와 결전을 벌여 승리했다.[1] 이 승리 이후 1361년 7월에 다자이후 제압에 성공했고, 가네요시 친왕다자이후에 입성하면서 정서부도 이곳으로 옮겨와 규슈 지배 체제를 확립하게 된다.

1368년 2월, 가네요시 친왕과 기쿠치 다케미쓰는 동쪽으로 진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오우치 씨에 의해 진군이 막히면서 큰 손해를 입고 패배했다. 결국 정서부 군세에 의한 동정(東征) 계획은 좌절되었고, 이후 정서부는 점차 쇠퇴해갔다.[1]

1372년 이마가와 사다요(이마가와 료슌)가 이끄는 규슈 단다이 군세에 의해 다자이후가 함락되면서, 가네요시 친왕과 기쿠치 다케미쓰를 비롯한 정서부 군세는 지쿠고 국의 고라산으로 후퇴해야 했다.[1] 1373년 11월 16일, 다케미쓰는 고라 산 공방전 중에 사망했다.[2]

2. 1. 기쿠치 소료(惣領) 계승

히고국 마시키군 도요다 장(현 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미나미구 조난마치) 출신이다.[3] 연약한 동생 다케히토를 대신해 고코쿠 6년/조와 원년(1345년)에 아소 고레즈미와 함께 기쿠치 씨의 거성 후카와성을 북조 세력으로부터 탈환하였다. 이를 계기로 기쿠치 일족 가운데서 두각을 나타내게 되고, 훗날 와이후성(隈府城)에 들어와 당주 다케히토를 유폐하고 다케미쓰 자신이 당주가 되었다.

2. 2. 규슈에서의 남조 세력 확장

고코쿠(興国) 6년/조와(貞和) 원년(1345년), 기쿠치 다케미쓰는 아소 고레즈미(阿蘇惟澄)와 함께 기쿠치 씨의 거성(居城) 후카와성(深川城)을 북조 세력으로부터 탈환하였다. 이를 계기로 기쿠치 일족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었고, 훗날 와이후 성(隈府城)에 들어와 당주였던 동생 다케히토를 유폐하고 자신이 당주가 되었다.[3]

이후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인 가네요시 친왕을 세이세이다이쇼군(征西大将軍)으로 규슈에 파견, 구마베 산성(隈部山城)으로 맞이하고 규슈에서 남조 세력으로써 정서부(征西府)를 확대하는데 힘썼다. 쇼헤이(正平) 6년/간노(観応) 2년(1351년) 지쿠고국(筑後国)으로 진출해 세력을 확대하고, 쇼헤이 8년/분나(文和) 2년(1353년) 2월에는 북조(北朝)의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잇시키 노리우지(一色範氏)와 쇼니 요리히사(少弐頼尚)의 다툼에 개입, 지쿠젠 하리스루바루(針摺原)에서 잇시키 노리우지의 규슈 단다이 군세를 격파하였다.( 하리스루바루 전투 ). 같은 해 7월 지쿠젠 이이모리 산(飯盛山)에서 잇시키 군세를 격파하고, 쇼헤이 9년/분나 3년(1354년)부터 분고(豊後)・히젠(肥前) 등지로 진출하여 오토모 우지야스(大友氏泰)를 항복시키고 잇시키 노리우지를 나가토로 쫓아내어 규슈에서 남조 세력의 우세를 확립하였다.

잇시키 노리우지는 쇼헤이 11년/엔분(延文) 원년(1356년) 10월에 규슈를 다시금 공격하였으나, 다케미쓰는 부젠(豊前)에서 이를 격파하였다. 이로써 잇시키 노리우지는 규슈 제압을 단념하고 교토로 돌아갔다. 쇼헤이 13년/엔분 3년(1358년) 1월 아버지 노리우지를 대신해 단다이가 된 잇시키 다다우지(一色直氏)가 또 다시 도전해 왔으나 다케미쓰는 이마저 격퇴하고, 11월에는 휴가국(日向国)의 북조측 무장 하타케야마 다다아키(畠山直顕)마저 격파하여 규슈 지역에서 아시카가의 세력을 거의 몰아내었다.

2. 3. 지쿠고 강 전투 (오호바루 전투)

쇼헤이 14년/엔분 4년(1359년) 7월, 기쿠치 다케미쓰는 가네요시 친왕을 옹립하고 남조측 군세를 이끌고 지쿠고로 진군하여 쇼니 요리히사와 결전을 벌였다. 이 전투는 지쿠고 강 합전 또는 오호바루(大保原) 합전이라고도 불린다.[1] 남조측 군은 고라 산(高良山)에, 쇼니 군세는 지쿠고 강(筑後川) 우측 둔치의 아지사카(味坂)에 진을 쳤다.

지쿠고가와 합전도(筑後川合戦図)


기쿠치 군세 4만 명, 쇼니 군세 6만 명이 동원되었다고 전해지는 이 전투는, 7월 19일 기쿠치 군세가 지쿠고 강을 건너면서 시작되었다. 쇼니 군세가 오호바루로 물러난 뒤 양측은 일진일퇴의 공방을 이어갔다. 8월 7일, 양측 군세의 주력이 격돌했는데, 이 격전에서 가네요시 친왕이 세 곳에 중상을 입을 정도로 치열했지만, 다케미쓰를 비롯한 남조측 무장들의 분전으로 남조측이 승리했다.

쇼니 군세는 총대장 요리히사의 아들 쇼니 나오스케를 포함해 2만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다자이후로 패주했다. 기쿠치측도 다케미쓰의 조카 기쿠치 다케아키와 기쿠치 일족의 아카보시 다케누시 등이 전사하는 등 많은 사상자를 내어 쇼니측을 추격할 여력이 없었다.

오늘날 일본 후쿠오카현 미이군 다치아라이정의 이름은 지쿠고 강 합전 이후 상처를 입은 다케미쓰가 자신의 칼에 묻은 피를 작은 강물에 씻었다(「다치아라이」太刀洗)는 데에서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이밖에 지쿠고 강의 옛 전장(戦場) 부근에는 「다이쇼즈카」(大将塚), 「센닌즈카」(千人塚), 「고반키즈카」(五万騎塚) 등 지쿠고 강 합전에서 유래한 지명이 상당수 남아 있다.

2. 4. 정서부 확립과 다자이후 점령

지쿠고 강 전투에서 승리한 후, 다케미쓰는 북조 군세의 일소를 추진하여 쇼헤이 16년/고안(康安) 원년(1361년) 7월에 몸소 규슈의 「수부」(首府)로 일컬어지던 다자이후 제압에 나섰고, 성공했다. 8월에는 다자이후를 잃고 완강하게 저항하던 쇼니 씨도 본거지 우치 산성(有智山城)을 버리고 분고의 오토모 씨에게로 달아났고, 가네요시 친왕다자이후에 입성한다. 정서부도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가네요시 친왕 - 기쿠치 다케미쓰」에 의한 규슈 지배 체제를 확립하게 된다.

쇼니 씨 군세의 참패 소식에 일관되게 북조 군세가 압도적이었던 교토(京都)의 정계는 크게 흔들리기 시작했고, 쇼군(将軍) 아시카가 요시아키라(足利義詮)는 오토모 우지토키에게 쇼니 요리히사와 협력해 정서부를 공격할 것을 명하는 동시에 막부의 최고실력자였던 시바 다카쓰네(斯波高経)의 아들 우지쓰네(氏経)를 새로운 규슈 단다이로 규슈로 파견하였다. 또한 고코곤 천황(後光厳天皇)은 다케미쓰의 무위(武威)를 두려워해서 「진제이노미야(鎮西宮, 가네요시 친왕) 및 기쿠치 다케미쓰 이하 흉도(凶徒)를 추토할 것」을 명하는 윤지(綸旨)를 내렸다.

쇼헤이 17년/조지(貞治) 원년(1362년) 8월, 다케미쓰는 그때까지도 정서부에 항복하지 않고 있던 오토모 우지토키를 공격했고, 동생 기쿠치 다케요시(武義)를 정서부의 유수로 삼으면서 자신은 부젠 ・ 분고 방면으로 출진하였다. 이 틈을 타서 단다이 시바 우지쓰네가 아들 마쓰오마루(松王丸)를 대장으로 쇼니 후유스케(少弐冬資) 등에게 다자이후를 습격하게 하였다. 그러나 다자이후 수비를 맡고 있던 기쿠치 다케요시는 부상을 입어가면서 이를 막아내는데 성공했고, 이 사이에 다케미쓰도 부젠에서 말을 달려 돌아와 구원에 나섰으며 일족인 조 다케아키(城武顕)와 함께 규슈 단다이 군세를 쳐부수었다. 조자가하라 전투(長者原の戦い)이다. 시바 우지쓰네는 이 패배 소식을 접하고 전의를 상실한 채 이듬해 봄에 교토로 도망쳐 돌아오고 말았다.

그 뒤로도 가네요시 친왕과 다케미쓰가 거느린 정서부의 무위는 더욱 높아갔고 쇼헤이 20년/조지 4년(1365년) 시바 우지쓰네를 대신해 규슈 단다이로 취임한 시부카와 요시유키(渋川義行)도 규슈 땅에는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한 채 교토로 돌아오는 등, 쇼헤이 16년/고안 원년의 다자이후 입성 이후 11년 동안 정서부는 규슈에서 그 세력의 절정을 이루었다.

2. 5. 동정(東征)의 좌절과 정서부의 쇠퇴

1368년 2월, 가네요시 친왕과 기쿠치 다케미쓰는 규슈에서 확보한 세력을 바탕으로 동쪽으로 진격할 계획을 세웠다. 마침 교토에서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가 사망하고 어린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뒤를 이었기 때문에, 정서부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나가토스오 방면으로 진군을 시작했다. 당시 일본 전국 각지에서 남조 세력이 열세였지만, 규슈에서만큼은 정서부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기에 남조의 마지막 희망으로 여겨졌다. 『북비전지』(北肥戦誌)나 『진서요략』(鎮西要略)에 따르면, 이때 정서부의 동정군은 기쿠치 씨 ・ 하라다 씨 ・ 이토 씨 ・ 아키즈키 씨 ・ 시마즈 씨 ・ 미하라 씨(三原氏) ・ 구사노 씨(草野氏) ・ 마쓰우라 씨 ・ 호시노 씨(星野氏) ・ 히라도 씨(平戸氏) ・ 치바 씨 ・ 오무라 씨 ・ 야마가 씨(山鹿氏) 등 규슈의 유력 씨족을 따르는 7만 기에 달하는 대규모 군세였다.[1]

그러나 남조 군세의 기사회생을 노린 이 계획은 정서부 군세가 세토우치(瀬戸内) 지방의 제해권을 완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졌고, 북조 측으로 돌아선 오우치 씨에 의해 시모노세키(下関) 부근에서 진군이 막히면서 큰 손해를 입고 패배했다. 결국 정서부 군세에 의한 동정(東征) 계획은 좌절되었고, 다자이후로 패주했던 가네요시 친왕과 기쿠치 다케미쓰는 규슈에서 정서부의 위세를 유지하기는 했지만, 이후 정서부는 점차 쇠퇴해갔다.[1]

2. 6. 다자이후 함락과 죽음

이마가와 사다요(이마가와 료슌)가 이끄는 규슈 단다이 군세에 의해 1372년 다자이후가 함락되면서, 가네요시 친왕과 기쿠치 다케미쓰를 비롯한 정서부 군세는 지쿠고 국의 고라산으로 후퇴해야 했다.[1] 다자이후 입성 후 11년간 규슈에서 패권을 떨치던 정서부는 사실상 붕괴를 맞이했다.[1]

고라산(후쿠오카현 구루메시)


고라 산은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이마가와 사다요도 쉽게 공격하지 못했다.[2] 다케미쓰는 기쿠치 다케마사, 기쿠치 다케야스에게 명해 지쿠고 강 북안에 진을 친 규슈 단다이 군세를 공격하게 했지만, 양측 군세는 교착 상태에 빠졌다.[2] 이 고라 산 공방전이 한창이던 1373년 11월 16일, 다케미쓰는 사망했다.[2] 그의 나이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설에는 52세였다고 한다.[2]

다케미쓰 사후, 적남 다케마사가 기쿠치 씨의 소료(惣領)가 되었으나, 반년 뒤인 1374년 5월 26일에 사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고라 산도 함락되면서 정서부의 쇠퇴는 결정적인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2]

3. 사후

메이지 시대구마모토현 기쿠치시에 기쿠치 신사가 세워져 아버지 다케토키, 형 다케시게와 함께 신으로 모셔졌고, 1902년에는 남조에 대한 충성을 기려 종3위가 추증되었다.[2] 조상의 업적은 그 자손들이 남작 작위를 받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지쿠고 강 전투의 옛 전장이었던 후쿠오카현 오토와리마치의 오토와리 공원(별칭 기쿠치 공원)과 기쿠치 씨의 본거지였던 구마모토현 기쿠치시의 기쿠치 공원에는 다케미쓰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기쿠치 신사 (기쿠치시)

3. 1. 근현대의 현창

메이지 시대구마모토현 기쿠치시에 기쿠치 신사가 세워져, 다케미쓰는 아버지 다케토키, 형 다케시게와 함께 신으로 모셔졌다.[2] 1902년(메이지 35년)에는 남조에 대한 충성을 기려 종3위가 추증되었다. 다케미쓰를 비롯한 조상의 업적은 그 자손들이 남작 작위를 받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지쿠고 강 전투의 옛 전장이었던 후쿠오카현 오토와리마치의 오토와리 공원(별칭 기쿠치 공원)과 기쿠치 씨의 본거지였던 구마모토현 기쿠치시의 기쿠치 공원에는 다케미쓰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菊池神社 http://www.city.kiku[...] 菊池市 2021-03-18
[3] 문서 지금의 일본 구마모토현(熊本県) 구마모토시(熊本市) 미나미 구(南区) 조난 정(城南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