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저수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흥저수지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과거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였던 수질이 개선되어 2016년 농업용수 수준을 충족했으며, 2020년까지 3등급 수질을 목표로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저수지 주변에는 순환 산책로, 공원, 편의 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조정 경기장과 기흥호수살리기대책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유역면적은 5,300ha, 저수량은 11,630천m3이며, 흙댐 형식의 제방과 게이트식 물넘이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저수지 - 백운호수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백운호수는 주변에 다양한 시설과 볼거리가 있으며, 훼손지 복구 사업으로 문화체육공원 등 4개의 테마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 경기도의 저수지 - 광교저수지
광교저수지는 광교산 근처에 위치하며 산책로와 공원이 조성되어 등반객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 1964년 완공된 건축물 - 남산도서관
남산도서관은 1922년 경성부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일제강점기 명동과 소공동에서 운영되다가 1963년 후암동으로 이전한 서울특별시 중구의 공공도서관으로,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을 포함한 다양한 자료실과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코너를 운영한다. - 1964년 완공된 건축물 - 예당저수지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있는 저수지로,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낚시터와 수상 스포츠 시설, 예당호 출렁다리 등의 관광 명소이다. - 한국농어촌공사 -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는 일제강점기 말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건설된 흙댐으로, 수변 개발 사업과 출렁다리 조성으로 관광 명소가 되었으나 가뭄으로 인한 생태계 피해 사례도 있다. - 한국농어촌공사 - 예당저수지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있는 저수지로,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낚시터와 수상 스포츠 시설, 예당호 출렁다리 등의 관광 명소이다.
기흥저수지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
면적 | 71만 평 |
수질 | 4~5급수 |
역사 | |
명칭 유래 | 옛 기흥읍에 위치하여 기흥저수지로 명명 |
특징 | |
시설 | 보트장, 낚시터 |
주변 환경 | 한국민속촌, 남서울컨트리클럽, 아시아나컨트리클럽, 코리아컨트리클럽 |
수계 | 오산천 |
2. 역사
2. 1. 명칭의 유래
2. 2. 조성 과정
2. 3. 시설 현대화
3. 수질
한때 농업용수(6급)로 사용이 힘들었던 용인시 기흥저수지의 수질이 개선되고 있다. 용인시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2016년 기흥저수지의 연평균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와 T-P(총인)가 각각 7.28ppm, 0.072ppm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는 농업용수 수준(4등급)인 8과 0.1 이하를 충족한 것이다. COD는 2014년에 12.2ppm에 달했지만, 2016년에는 약 40% 개선되었다. 물속 인(비료 성분 중 하나)의 지표인 T-P 농도도 2014년 0.108ppm에서 2015년 0.053ppm, 2016년 0.072ppm 등으로 개선되었다. 2017년 들어서도 T-P 농도는 모든 조사 지점에서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여름철 녹조의 원인인 인이 감소하면서 악취도 줄었다.[4]
수질 개선은 용인시가 하수처리장인 기흥ㆍ구갈레스피아를 증설하고 하수 분류관거를 신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는 기흥저수지 수질을 2020년까지 3등급(COD 5ppm 이하, T-P 0.05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 250억원을 투입하여 진위ㆍ신갈천 비점오염 저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흥저수지로 유입되는 신갈천ㆍ공세천ㆍ상하천에는 생태하천복원이 진행되고 있다.[4]
3. 1. 과거 수질 오염
3. 2. 수질 개선 노력
용인시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기흥저수지의 수질이 개선되고 있다.[4] 한때 농업용수(6급)로 사용이 힘들었던 기흥저수지의 수질은,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분석 결과 2016년 연평균 COD(화학적산소요구량)와 T-P(총인)가 각각 7.28ppm, 0.072ppm로 나타나 농업용수 수준(4등급)인 8과 0.1 이하를 충족했다.[4] COD는 2014년 12.2ppm에 달했으나 40%가량 개선되었다.[4] 물속 인의 지표인 T-P 농도도 2014년 0.108ppm에서 2015년 0.053ppm, 2016년 0.072ppm 등으로 개선되었다.[4] 2017년 들어서도 T-P 농도는 모든 조사 지점에서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으며, 여름철 녹조의 원인인 인이 감소하면서 악취도 줄었다.[4]이러한 수질 개선은 용인시가 기흥·구갈레스피아를 증설하여 하수 분류관거를 신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4] 시는 기흥저수지 수질을 2020년까지 3등급(COD 5ppm 이하, T-P 0.05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250억원을 투입하여 진위ㆍ신갈천 비점오염 저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4] 기흥저수지로 유입되는 신갈천, 공세천, 상하천에는 생태하천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4]
3. 3. 현황 및 과제
한때 농업용수(6급)로 사용이 힘들었던 기흥저수지의 수질이 개선되고 있다. 용인시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2016년 기흥저수지의 연평균 COD(화학적산소요구량)와 T-P(총인)가 각각 7.28ppm, 0.072ppm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는 농업용수 수준(4등급)인 8과 0.1 이하를 충족한 것이다.[4] COD는 2014년 12.2ppm에 달했으나 40%가량 개선되었다.[4] 물속 인(비료성분 중 하나)의 지표인 T-P농도도 2014년 0.108ppm에서 2015년 0.053ppm, 2016년 0.072ppm 등으로 개선되었다.[4] 2017년 들어서도 T-P농도는 모든 조사지점에서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으며, 여름철 녹조의 원인인 인이 감소하면서 악취도 줄었다.[4]이러한 수질 개선은 용인시가 하수처리장인 기흥ㆍ구갈레스피아를 증설하고 하수 분류관거를 신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4] 시는 기흥저수지 수질을 2020년까지 3등급(COD 5ppm 이하, T-P 0.05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250억원을 투입, 진위ㆍ신갈천 비점오염 저감사업도 진행하고 있다.[4] 기흥저수지로 유입되는 신갈천, 공세천, 상하천에는 생태하천복원이 되고있다.[4]
그러나 윤석열 정부의 환경 정책 후퇴로 인해 추가적인 수질 개선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깊이 우려하며,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촉구하고 있다.
4. 시설
4. 1. 공원 및 휴식 시설
기흥저수지에는 순환산책로, 반려동물공원, 축구장, 농구장, 조류 관망대, 생태학습장 등 다양한 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특히, 기흥레스피아는 하수처리 시설을 활용한 친환경 공간으로, 시민들의 여가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기흥호수살리기대책위원회는 기흥호수를 깨끗하게 보존하기 위한 주민들의 자발적 봉사단체이다. 호수를 중심으로 주차장 6곳 정도가 있으며, 화장실은 3곳으로 호수의 동쪽면에만 있다.
4. 2. 조정 경기장
기흥저수지에는 조정 경기장이 있어 선수 훈련 및 대회 유치에 활용되고 있다.4. 3. 기흥호수살리기대책위원회
기흥호수살리기대책위원회는 기흥호수를 깨끗하게 보존하기 위한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봉사단체이다.4. 4. 편의 시설
5. 주변 환경
5. 1. 자연 환경

기흥저수지에는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매미산 등 주변 산림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5. 2. 상업 시설
호수 주변에는 식당, 카페 등 다양한 상업 시설이 있어 방문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상류쪽에는 식당들이 있으며, 하류쪽에는 코피하우스와 식당들, 그리고 수중 골프연습장이 있다. 특히, 수중 골프연습장은 기흥저수지의 특색 있는 시설 중 하나이다.5. 3. 접근성
6. 순환산책로
저수지 전체를 둘레길로 순환산책로가 완성되었다.[3]도보로는 대략 3시간 정도 걸린다. 동쪽 호수 옆길은 전용 자전거길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매미산쪽으로 연결되어 이용이 가능하기에 최적의 순환길이며 서쪽에도 호수옆으로 도로가 완성되어 자전거로 이동할 수 있다. 호수 하류는 오산과 동탄주민들이 상류에서는 영통시민과 용인시민들이 접근하기에 매우 좋고 자동차 주차장도 몇군데 지정되었다.
6. 1. 조성 현황
기흥저수지 둘레에는 순환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3], 도보로는 약 3시간이 소요된다. 동쪽 호수 옆길은 자전거 전용 도로가 잘 갖춰져 있고 매미산 쪽으로 연결되어 이용이 편리하다. 서쪽에도 호수 옆으로 도로가 완성되어 자전거로 이동할 수 있다. 호수 하류는 오산와 동탄 주민들이, 상류에서는 영통 시민과 용인 시민들이 접근하기 좋으며, 자동차 주차장도 여러 곳 마련되어 있다.6. 2. 구간별 특징
기흥저수지 둘레길로 순환산책로가 완성되었다.[3] 도보로는 대략 3시간 정도 걸린다. 동쪽 호수 옆길은 전용 자전거길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매미산 쪽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코스를 즐길 수 있다. 서쪽에도 호수 옆으로 도로가 완성되어 자전거로 이동할 수 있다. 호수 하류는 오산과 동탄 주민들이, 상류에서는 영통 시민과 용인시민들이 접근하기에 매우 좋고 자동차 주차장도 몇 군데 지정되었다.6. 3. 이용 편의
기흥저수지 순환산책로는 저수지 전체를 둘러 조성되어 있으며, 도보로는 대략 3시간 정도 소요된다.[3] 동쪽 호수 옆길은 전용 자전거길이 잘 갖추어져 있고 매미산 쪽으로 연결되어 있어 자전거 이용에 용이하며, 서쪽에도 호수 옆으로 도로가 완성되어 자전거로 이동할 수 있다.[3] 호수 하류는 오산과 동탄 주민들이, 상류에서는 영통 시민과 용인 시민들이 접근하기 좋으며, 자동차 주차장도 여러 곳 마련되어 있다.[3]7. 사진 자료
7. 1. 조류 사진
7. 2. 호수 전경 사진

7. 3. 순환산책로 사진

8. 저수지 제원
8. 1. 규모
유역면적은 5,300ha이며, 저수량은 11,630천m3이다. 관개면적은 1226ha이다.8. 2. 시설 제원
제방은 흙댐(필댐) 형식이며, 길이는 222m, 높이는 14.3m이다. 물넘이는 게이트식으로, 길이는 32m, 높이는 5.3m이다.참조
[1]
뉴스
용인 기흥저수지 9km 순환산책로 연말까지 조성
http://go.seoul.co.k[...]
서울신문사
2017-05-29
[2]
웹사이트
국내 최대 규모 반려견 놀이터 기흥호수공원에 조성
http://news.khan.co.[...]
[3]
웹사이트
기흥호수공원 순환산책로
http://www.ekn.kr/ne[...]
[4]
뉴스
용인 기흥저수지 수질 개선… 공원화 청신호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7-06-09
[5]
저널
기흥저수지 지역의 지반조사를 통한 신갈단층대 확인 (Identification of the Singal Fault Zone in the Kiheung Reservoir Area by Geotechnical Investigations)
https://www.dbpia.co[...]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