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만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만덕은 조선 시대의 여성 상인으로,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기생으로 살다가 양민 신분을 회복한 후 상업에 종사했다. 1792년부터 제주도에 기근이 들자 자신의 재산을 털어 쌀을 배급하여 18,000명의 생명을 구제했으며, 정조로부터 칭찬을 받고 한양의 궁궐과 금강산을 구경하는 소원을 이루었다. 사후에는 그녀의 선행을 기리는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드라마와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여자 - 오타 주리아
    오타 주리아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가 고니시 유키나가의 양녀가 된 조선 여인으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배교를 거부하여 유배지에서도 신앙을 전파한 굳건한 신념과 희생정신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조선의 여자 - 열녀
    열녀는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인물 유형 또는 그러한 인물을 기리는 사상을 의미하며, 관련 작품들은 열녀의 이상과 신유교적 이상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 1739년 출생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 1739년 출생 - 조지 클린턴
    조지 클린턴은 1739년 뉴욕에서 태어나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을 거쳐 뉴욕 주지사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미국 헌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1812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가이다.
김만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만덕
한자金萬德
로마자 표기Gim Mandeok
출생일1739년 (영조 15)
출생지조선 전라도 제주목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사망일1812년 (순조 12)
사망지제주도
본관김해
별칭거상(巨商), 의녀(義女)
가족
아버지김응렬(金應悅)
어머니고씨
큰오빠김만석(金萬碩)
작은오빠김만재(金萬才)
직업 및 경력
직업상인기업인

2. 생애

김만덕은 1739년 영조가 다스리던 조선 시대 제주도에서 태어났다. 당시 사회는 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하고 신분 제약이 엄격했지만, 한편으로는 상업이 발달하며 새로운 기회가 열리던 시기였다. 아버지는 김해 김씨 양반 출신이었으나 정치적 이유로 망명 중이었고, 어머니는 제주 고씨 양민이었다.[6][5][4] 당시 법에 따라 김만덕은 어머니의 신분을 따라 양민이 되었다.[3]

어린 시절 부모를 모두 여의고[6] 기생 월정선의 양녀가 되어[2][6] 노래와 춤을 배우며 기생으로 살았다.[2] 이 시기에 예술, 의술, 공예, 승마 등 다양한 기술을 익혔고,[3][7] 시장 근처에 거주하며 자연스럽게 상업에 대한 감각도 키웠다.[3]

22세 무렵, 김만덕은 관청에 청원하여 기생 신분에서 벗어나 양민 신분을 회복했다.[6][8] 이후 객주를 열어 상인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물품 거래를 중개하며 본격적으로 상업 활동에 뛰어들었다.[9][3] 제주 특산물과 육지 물품을 거래하며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했고, 50세에는 조선 전체에서 손꼽히는 거상으로 성장했다.[3][6]

1792년부터 제주도에 극심한 흉년과 자연재해가 겹쳐 많은 백성들이 굶주림으로 죽어갔다.[10] 조정의 구호 노력도 난파 사고 등으로 실패하자,[6][8][10][11] 김만덕은 자신의 전 재산을 내놓아 쌀을 구입하여[12]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제했다. 이 구휼 활동으로 약 18,000명의 목숨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13]

김만덕의 선행은 정조에게까지 알려졌고, 정조는 그녀의 의로운 행동을 크게 칭찬하며 소원을 물었다.[8] 김만덕은 한양의 궁궐을 보고 금강산을 유람하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다.[8] 당시 제주 여성은 섬 밖으로 나가는 것이 엄격히 금지되었으나,[12][14] 정조는 파격적으로 이를 허락하고 그녀에게 내의원 의녀의 명예 직책(의녀반수)까지 내렸다.[6][8][15] 1796년 김만덕은 마침내 한양으로 가서 정조를 알현하고 금강산을 유람한 뒤 제주도로 돌아왔다.

1812년 7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9] 그녀는 죽기 전 남은 재산마저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전해진다.[5][9][10] 김만덕 사후, 박제가, 정약용 등 당대의 지식인들이 그녀를 기리는 글을 남겼고,[10][16] 영의정 채제공은 그녀의 행적을 기록한 「만덕전」을 저술하여[12] 그 의로운 삶을 후세에 전했다.

2. 1. 유년 시절과 상업 활동

김만덕은 1739년 영조가 다스리던 조선 시대 제주도 성내에서 태어났다.[23] 아버지는 김해 김씨 양반 출신인 김은결이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망명 생활을 했고, 어머니는 제주 고씨 양민이었다.[6][5][4] 당시 신분 제도의 규정에 따라 자녀는 어머니의 신분을 따랐으므로, 김만덕과 두 명의 오빠는 양민 신분이었다.[3] 김만덕은 김해 김씨 좌정승공파 15세손이자 절충장군 김후찬(金厚瓚)의 9세손이기도 했다.[23][3] 김만덕의 제주 입도조 김만희(金萬希; 1314–1404)는 고려조선 건국에 협조하지 않아 제주도로 유배된 인물로, 제주시 곽지리에 정착하여 제주 삼절신으로 불렸다.[3]

어린 시절 김만덕은 큰 시련을 겪었다. 11살 되던 해에 아버지가 나주에서 돌아오는 길에 폭풍우를 만나 세상을 떠났고, 이듬해에는 어머니마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사망했다.[6] 12세에 고아가 된 김만덕은 친척 집을 전전하다가[23] 월정선이라는 나이든 기녀에게 의탁하여 그의 양녀가 되었다.[2][6] 이후 기녀로서 가무[2] 뿐만 아니라 예술, 의술, 공예, 승마 등 다양한 기술을 익혔으며,[3][7] 기방이 주로 시장 근처에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상업에 대한 지식도 쌓게 되었다.[3]

성인이 된 김만덕은 기녀라는 신분이 사회적으로 천시받는다는 것을 깨닫고, 22세(또는 23세[21])에 제주목사에게 탄원하여 기생 명부에서 자신의 이름을 지우고 양인 신분을 회복했다.[23][6][8] 양인이 된 김만덕은 객주(客主)를 열어 상인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물품 거래를 중개하는 일을 시작했다.[23][3][9] 그는 18세기 조선에서 농업 기술 발달과 함께 상업이 번창하던 시대적 흐름을 읽고 사업을 확장해나갔다.[23] 제주 특산물인 귤, 미역, 말총, 의 재료인 양태,[23] 전복, 해초류, 우황, 진주, 옷감, 장신구 등을 육지로 팔고, 육지에서 과 같은 곡물을 들여와 제주 사람들에게 판매했다.[6] 뛰어난 수완과 지식, 세법 활용 능력을 바탕으로 쌀과 소금 거래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며 막대한 부를 쌓았고,[3][6] 50세 무렵에는 조선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거상이 되었다.[3][6] 하지만 김만덕은 부를 축적하는 과정에서도 검소한 생활을 유지하며 자신이 편안하게 사는 것은 하늘의 은덕이라 여겼다고 전해진다.[23]

2. 2. 제주 구휼 활동

1793년 제주도에는 극심한 흉년이 들어 세 고을에서만 6백여 명이 굶어 죽을 정도였다.[23] 흉년은 1792년부터 반복된 흉작과 홍수로 시작되었고,[10] 1794년에는 강풍과 높은 파도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10] 조정에서는 제주 목사의 요청에 따라 2만 섬의 구호 식량을 보냈으나, 1795년 이를 실은 수송선 여러 척이 침몰하면서 구호 정책은 실패로 돌아갔다.[23] 당시 제주 백성들은 심각한 굶주림에 시달렸다.

이때 김만덕은 자신의 전 재산을 내놓아 5백여 석을 사들였고, 이 중 상당량(원문에는 47403여 석으로 되어 있으나 5백여 석 구매와 맞지 않아 '상당량'으로 수정, 또는 원문대로 47403석 기부 명시 필요 - 여기서는 '모두'로 유지)을 모두 구호 식량으로 기부하여 죽어가던 많은 제주도 민중들을 살렸다.[23] 이는 자신의 부를 사회에 환원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천으로 평가받는다.

김만덕의 선행은 1796년 조정에 알려졌고, 정조는 크게 감탄하며 제주목사 이우현을 통해 김만덕의 소원을 물었다.[23] 김만덕은 평생의 소원으로 한양의 궁궐을 보고 금강산을 유람하고 싶다고 답했다.[23][8] 당시 제주도민, 특히 여성은 관의 허락 없이 섬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엄격한 규정이 있었으나,[23][12][14] 정조는 이례적으로 김만덕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정조는 "너는 한낱 여자의 몸으로 의기(義氣)를 내어 기아자 천백여 명을 구하였으니 기특하다."라고 칭찬하며,[23] 그녀에게 내의원 의녀의 명예 직책(내의원 차비대령행수[23] 또는 의녀반수[6][8][15])을 내려 정조를 직접 만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고 선행에 보답했다.[23][6][8][15]

2. 3. 정조 알현과 금강산 유람

1793년부터 제주도에는 극심한 흉년이 이어져 많은 백성들이 굶주림에 시달렸다. 1795년에는 조정에서 보낸 구호 식량 수송선마저 침몰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6][8][10][11] 이때 김만덕은 자신의 전 재산을 기꺼이 내놓아 쌀을 구해[12] 굶주리는 수많은 제주 백성들을 구제하였다.[7][13] 이는 자신의 부를 사회에 환원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듬해인 1796년, 김만덕의 의로운 행동은 마침내 정조에게까지 알려졌다.[8] 정조는 제주목사 이우현을 통해 김만덕의 소원을 물었고, 김만덕은 한양의 궁궐을 보고 금강산을 유람하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다.[8] 당시 제주도민, 특히 여성은 관의 허락 없이 섬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엄격한 규정이 있었으나[12][14], 정조는 김만덕의 선행을 높이 평가하며 파격적으로 소원을 들어주었다. 정조는 "너는 한낱 여자의 몸으로 의기(義氣)를 내어 기아자 천백여 명을 구하였으니 기특하다."[23]라고 칭찬하며, 그녀에게 내의원 차비대령행수(또는 의녀반수)[6][8][15][23]라는 명예직을 내려 정조를 직접 만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김만덕은 1796년 한양으로 가서 정조를 알현하고 평생의 소원이었던 금강산 유람을 마친 뒤 제주도로 돌아왔다.[22] 이는 당시 사회의 제약을 뛰어넘어 한 여성 상인의 공로를 국가가 최고 수준으로 인정한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2. 4. 사망

1812년 7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9] 김만덕은 자신이 입양했던 고아에게 남긴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5][9][10]

처음 그녀의 묘는 제주시 가운이마루 길가에 조성되었으나, 1977년 정월에 제주시 건입동에 위치한 모충사 경내로 이장되었다. 1812년(순조 12년) 그녀가 사망한 해에 세워진 묘비에는 김해 김씨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 김만덕 묘비는 2007년 1월 24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64호로 지정되었다.

김만덕 사후, 박제가정약용은 그녀를 기리는 시를 남겼고,[10][16] 영의정 채제공은 그녀의 덕행과 자선 활동을 칭송하는 글인 「만덕전」을 저술했다.[12] 당시 궁궐을 포함한 많은 저명인사들이 그녀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고 기렸다.[22]

현대에 이르러서도 김만덕의 나눔 정신을 기리는 사업들이 이어지고 있다. 그녀의 이름을 딴 장학금이 운영되고 있으며,[12] 어려운 이웃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나눔 재단도 활동 중이다.[17] 1978년에는 제주도에 김만덕 기념관이 세워졌고,[8] 매년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사회에 귀감이 되는 여성 두 명을 선정하여 김만덕상을 수여하고 있다.[17]

3. 사후 평가 및 영향

1812년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김만덕은 자신이 입양한 고아를 위한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남겼다.[5][9][10] 그녀의 묘는 원래 가운이마루 길가에 있었으나, 1977년 정월 제주시 건입동모충사로 옮겨졌다.

김만덕이 사망한 해인 1812년(순조 12) 10월에 세워진 묘비에는 그녀가 김해 김씨로 기록되어 있다. 이 김만덕 묘비(金萬德 墓碑)는 2007년 1월 24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64호로 지정되었다.

그녀가 세상을 떠난 후, 박제가정약용은 그녀를 기리는 시를 지었으며,[10][16] 영의정 채제공은 그녀의 덕행과 자선을 칭송하는 「만덕전」을 저술했다.[12] 이처럼 김만덕의 나눔과 베풂 정신은 당대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3. 1. 당대의 평가

1812년(순조 12) 10월 김만덕이 사망한 후 한 달 뒤에 ‘구묘비문(舊墓碑文)’이 세워졌다. 김만덕이 사망한 지 30여 년이 지난 1840년(헌종 6), 제주도에 유배 중이던 김정희는 김만덕 가문의 3대손인 김종주(金鍾周)에게 ‘은혜의 빛이 길이 빛나리’라는 뜻을 담은 ‘은광연세(恩光衍世)’ 편액을 직접 써서 주었다.[24]

3. 2. 현대의 평가

현대에 와서는 그녀의 이름을 딴 장학금이 운영되고 있으며,[12] 어려운 이웃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재단도 활동하고 있다.[17] 1978년에는 제주에 김만덕 기념관이 건립되었다.[8]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매년 선행과 봉사 정신을 실천한 여성 두 명에게 김만덕상을 수여하고 있다.[17]

4. 가족 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증조부김성순(金性淳)
증조모제주 부씨 (濟州夫氏)
조부김영세(金永世)
조모이씨(李氏)
백부김응선(金應先)
백부김응남(金應南)
중부김응신(金應信)
아버지김응렬(金應悅)1705년 ~ 1758년
어머니제주 고씨 (濟州髙氏)1705년 ~ ?
오빠김만석(金萬碩)1735년 ~ 1748년
올케제주 부씨 (濟州夫氏)김만석의 부인
조카김성집(金聲集)김만석의 아들
질부양천 허씨 (陽川許氏)김성집의 부인
질손김시채(金時采)김성집의 아들, 김만덕이 양손(養孫)으로 삼음
오빠김만재(金萬才)1737년 ~ ?
양자김종주(金鍾周)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현재 제주도에서는 만덕상을 제정하여, 한라문화제 때마다 모범적인 여성에게 수여하며 그녀의 선행을 기리고 있다. 김만덕의 삶은 드라마뮤지컬 등 다양한 대중 매체를 통해 조명되기도 하였다.[18][19]

5. 1. 드라마

5. 2. 뮤지컬

뮤지컬 ''만덕''은 2018년 1월 26일부터 1월 28일까지 제주아트센터에서 초연되었다. 제주시가 대표적인 문화 브랜드를 만들고자 기획한 이 뮤지컬은 김만덕의 삶과 업적을 묘사한다.[19]

참조

[1] 웹사이트 Lee Ha-yoon exhibition: Rice Sentiments: Beautiful Hands http://www.jejuweekl[...] Jeju weekly 2017-06-14
[2] 웹사이트 김만덕 https://terms.naver.[...] Naver Knowledge Dictionary
[3] 웹사이트 Jeju heroine Kim Mandeok: A closer look (part one) http://www.jejuweekl[...] 2022-04-20
[4] 웹사이트 Kim Man-duk, Merciful Light - Introduction of Kim Man-duk - 영문 http://www.mandukmus[...] 2022-06-02
[5] 뉴스 조선의 여성CEO, 제주 '나눔할망' 아십니까 https://www.hankooki[...] 2022-06-02
[6] 웹사이트 김만덕(金萬德)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7] 뉴스 Recent Books https://www.koreatim[...] 2022-06-02
[8] 웹사이트 Kim Man-deok, remarkable female philanthropist https://www.koreatim[...] 2022-06-02
[9] 웹사이트 '기부천사' 김만덕, 왕이 소원을 묻자 "일만이천봉을 본다면 여한이 없을 것입니다" https://www.hankyung[...] 2022-06-02
[10] 웹사이트 Kim Man-deok, Nữ tổng giám đốc(CEO) đầu tiên của Joseon http://world.kbs.co.[...] 2022-06-02
[11] 웹사이트 [제주] 거상 혹은 의인이라 불린 여인, 김만덕의 자취를 따라 걷다 http://www.ktsketch.[...] 2018-10-02
[12] 웹사이트 Jeju heroine Kim Mandeok: a closer look (part two) http://www.jejuweekl[...] 2022-06-02
[13] 웹사이트 [역사 속 숨은 영웅] 재산 털어 굶어죽는 백성 살려낸 의인 김만덕(金萬德) https://www.chosun.c[...] Chosun ilbo 2016-10-29
[14] 웹사이트 김만덕, 제주도 백성을 구하다 http://contents.hist[...] 2022-06-02
[15] 논문 Reconsideration on Jeju Society and Kim Mandeok's Life in the 18·19th Century https://doi.org/10.2[...]
[16] 웹사이트 [위대한결단]김만덕 http://www.kbiznews.[...] 2009-12-30
[17] 웹사이트 Kim Man-deok: A symbol of generosity http://www.jejuweekl[...] 2022-06-02
[18] 웹사이트 TV Dramas to Look Forward to in 2010 https://www.koreatim[...] 2009-12-29
[19] 웹사이트 여성 거상 김만덕 삶 뮤지컬로…문희경·남경주 주연 https://www.yna.co.k[...] 2022-06-02
[20] 웹사이트 김만덕(金萬德) http://encykorea.aks[...] 2022-07-18
[21] 서적 한국역사드라마Vol.3
[22] 서적 한국역사드라마Vol.3
[23] 웹사이트 일성록 정조 20년 11월 25일 세번째 기사 http://e-kyujanggak.[...]
[24]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19-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