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달진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달진문학상은 시인 김달진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역량 있는 문인을 발굴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김달진문학상, 김달진 창원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젊은 시인상, 김달진문학상 젊은 평론가상, 창원KC 국제시문학상, 진해 김달진문학제 특별상 등이 있으며, 김달진문학상 운영위원회와 서울신문이 공동 주최한다. 김달진문학제는 김달진문학상 시상식 외에도 동화구연대회, 청소년시낭송대회, 월하전국백일장 등의 부대행사를 통해 문학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2. 김달진문학제

1996년부터 김달진문학제전위원회를 구성하여 진해시(현 창원시 진해구)와 마산·창원 불교연합회, 진해 사암연합회 후원으로 제1회 김달진문학제를 매년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개최하고 있다. 행사는 진해 시민회관과 문화의 거리 등에서 열리며, 2005년에는 김달진의 생가가 있는 웅동 소사리에 김달진문학관이 개관되었다.[1][2]

2. 1. 부대행사

김달진문학제는 문학상 시상식 외에도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문학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 동화구연대회: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 청소년시낭송대회: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1999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 월하전국백일장: 1996년부터 개최하고 있으며, 초등학생부터 일반인까지 참여할 수 있다. (개최 장소: 김달진문학관)[3]
  • 김달진문학제 기념 문집 '시애(詩愛)'를 발간한다.[3]

3. 김달진문학상

김달진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역량 있는 문인을 발굴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시 부문과 평론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며, 1990년 제1회 시 부문 수상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매년 뛰어난 작품을 발표한 문인들에게 수여되었다.

3. 1. 김달진문학상 역대 수상자

―한국 현대문학에서 남성성에 대하여〉2005년(제16회)시조용미〈검은 담집〉 외 7편2005년(제16회)평론강웅식〈의 폭력에서 흰그늘의 생성으로〉2006년(제17회)시조정권《떠도는 몸들》2006년(제17회)평론문흥술《형식의 운명, 운명의 형식》2007년(제18회)시엄원태《물방울 무덤》2007년(제18회)평론방민호《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2008년(제19회)시신대철《바이칼 키스》2008년(제19회)평론김종회《디아스포라를 넘어서》2009년(제20회)시황동규《겨울밤 0시 5분》2009년(제20회)평론최유찬《문학과 게임의 상상력》2010년(제21회)시홍신선《우연을 점 찍다》[4]2010년(제21회)평론홍용희《현대시의 정신과 감각》2011년(제22회)시오세영《밤하늘 바둑판》2011년(제22회)평론최현식《시는 매일매일》2012년(제23회)[5]장석남《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2012년(제23회)[5]평론이경수《춤추는 그림자》2013년(제24회)[6]정일근《방!》[7]2013년(제24회)[6]평론오형엽《환상과 실재》[8]2014년(제25회)시김남조《심장이 아프다》2014년(제25회)평론김진희《미래의 서정과 감각》2015년(제26회)시정현종《그림자에 불타다》2015년(제26회)평론김재홍《생명, 사랑, 평등의 시학 탐구》2016년(제27회)[9]유안진《쑥맥노트》2016년(제27회)[9]평론이광호《시선의 문학사》2017년(제28회)시이건청《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2017년(제28회)평론장경렬《꽃잎과 나비, 그 경계에서》


3. 1. 1. 김달진문학상 (시 부문)

‘김달진문학상 운영위원회’와 서울신문이 공동 주최하는 김달진문학상의 시 부문은 1990년 제1회 박태일(〈명지 물끝〉 연작)을 시작으로, 2017년 제28회 이건청(《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까지 이어졌다.

수상년(회차)수상자수상작품
1990년(제1회)박태일〈명지 물끝〉 연작
1991년(제2회)이준관〈가을 떡갈나무숲〉 외 5편
1992년(제3회)김명인〈가을에〉 외 7편
1993년(제4회)이하석〈가야산〉 외 5편
1994년(제5회)송재학〈감은사에 가다〉 외 5편
1995년(제6회)이문재〈타워 크레인〉 외 4편
1996년(제7회)송수권〈쪽빛〉 외 6편
1997년(제8회)고진하〈즈므마을 1〉 외 5편
1998년(제9회)남진우〈타오르는 책〉 외 5편
1999년(제10회)최정례〈3분 자동 세차장에서〉 외 4편
2000년(제11회)문인수〈채와 북 사이, 동백 진다〉
2001년(제12회)나희덕〈엘리베이터〉 외 4편
2002년(제13회)이정록〈무덤에서 무를 꺼내다〉 외 4편
2003년(제14회)박정대〈마두금 켜는 밤〉 외 4편
2004년(제15회)장옥관〈가오리 날아오르다〉 외 5편
2005년(제16회)조용미〈검은 담집〉 외 7편
2006년(제17회)조정권《떠도는 몸들》
2007년(제18회)엄원태《물방울 무덤》
2008년(제19회)신대철《바이칼 키스》
2009년(제20회)황동규《겨울밤 0시 5분》
2010년(제21회)홍신선《우연을 점 찍다》[4]
2011년(제22회)오세영《밤하늘 바둑판》
2012년(제23회)[5]장석남《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2013년(제24회)[6]정일근《방!》[7]
2014년(제25회)김남조《심장이 아프다》
2015년(제26회)정현종《그림자에 불타다》
2016년(제27회)[9]유안진《쑥맥노트》
2017년(제28회)이건청《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


3. 1. 2. 김달진문학상 (평론 부문)

―한국 현대문학에서 남성성에 대하여〉2005년(제16회)강웅식〈의 폭력에서 흰그늘의 생성으로〉2006년(제17회)문흥술《형식의 운명, 운명의 형식》2007년(제18회)방민호《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2008년(제19회)김종회《디아스포라를 넘어서》2009년(제20회)최유찬《문학과 게임의 상상력》2010년(제21회)홍용희《현대시의 정신과 감각》2011년(제22회)최현식《시는 매일매일》2012년(제23회)[5]이경수《춤추는 그림자》2013년(제24회)[6]오형엽《환상과 실재》[8]2014년(제25회)김진희《미래의 서정과 감각》2015년(제26회)김재홍《생명, 사랑, 평등의 시학 탐구》2016년(제27회)[9]이광호《시선의 문학사》2017년(제28회)장경렬《꽃잎과 나비, 그 경계에서》


3. 2. 김달진 창원문학상

김달진 창원문학상은 창원시가 후원하고 (사)시사랑문화인협의회 창원시김달진문학관에서 주관하는 문학상이다. 경남 지역 문학 발전에 기여한 문인에게 수여되며, 월하 지역문학상과 창원문학상을 통합하여 제정되었다. 구체적인 지역 가치의 실천과 전망을 제시하는 문학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시집을 펴낸 경남 출신 또는 경남에 거주하는 문인을 대상으로 한다.[10]

연도월하 지역문학상김달진 창원문학상
12005년김륭
22006년노춘기
32007년이서린
42008년성선경이월춘
52009년이우걸정일근
62010년김연동박형권
72011년김이듬,‘말할 수 없는 애인'[10]
82012년김일태, 코뿔소가 사는 집(시학사, 2012)[11]
92013년서일옥[12]
102014년우무석, '10월의 구름들'
112015년김복근, 새들의 생존법칙[13]
122016년김재근, 무중력 화요일[14]
132017년배한봉, 주남지의 새들(천년의시작)[15]


3. 3. 김달진문학상 젊은 시인상

김달진문학상 젊은 시인상은 등단 10년 미만의 젊은 시인을 대상으로 하며, 지난 1년간 발행한 시집과 평론집을 심사한다.[16]

연도수상자작품
2007년(제1회)김참
2008년(제2회)문성해
2009년(제3회)장만호무서운 속도
2010년(제4회)진은영우리는 매일 매일
2011년(제5회)손택수
2012년(제6회)길상호눈의 심장을 받았네
2013년(제7회)이현승[16]


3. 4. 김달진문학상 젊은 평론가상

김달진문학상 젊은 평론가상은 만 10년 미만의 젊은 평론가를 대상으로 시상한다. 지난 1년간 발행한 시집과 평론집을 대상으로 한다.

연도수상자작품
2007년(제1회)박수연
2008년(제2회)이경수
2009년(제3회)조강석아포리아의 별자리들
2010년(제4회)함돈균얼굴 없는 노래
2011년(제5회)전도현
2012년(제6회)김문주수런거리는 시, 분기하는 비평들
2012년(제7회)이찬헤르메스의 문장들[17]
2014년(제8회)고인환정공법의 문학


3. 5. 창원KC 국제시문학상

北島|베이다오중국어는 2010년 제1회 김달진문학상 창원KC 국제시문학상 수상자이다.[18] 2011년 제2회 수상자는 클로드 뮤샤르(프랑스)이며, ‘보편성’(프랑스 시전문지 <포에지>)으로 수상하였다. 2012년 제3회 수상자는 트레이시 K 스미스, 2013년 제4회 수상자는 왕지시엔이다.[18] 2014년 제5회 수상자는 아사가와 아키(일본)이며, '사과 인간'으로 수상하였다.[19] 2016년 제7회 수상자는 몰찬 오양수흐(몽골), 2017년 제8회 수상자는 크리스토퍼 메릴(미국)이다.

창원KC 국제시문학상 수상자
연도수상자작품비고
2010년(제1회)北島|베이다오중국어중국
2011년(제2회)클로드 뮤샤르‘보편성’프랑스
2012년(제3회)트레이시 K 스미스미국
2013년(제4회)왕지시엔중국[18]
2014년(제5회)아사가와 아키사과 인간일본[19]
2016년(제7회)몰찬 오양수흐몽골
2017년(제8회)크리스토퍼 메릴미국


3. 6. 진해 김달진문학제 특별상

2008년 제1회 수상자는 이효재 진해 기적의 도서관 운영위원장이다.

참조

[1] 뉴스 첫 金達鎭문학제 열려 https://news.naver.c[...]
[2] 뉴스 진해에 '김달진문학관' 개관 https://news.naver.c[...]
[3] 웹인용 올해 탄생 100주년…14~16일 김달진문학제 http://www.busanilbo[...] 2015-02-08
[4] 뉴스 제21회 김달진문학상 “시와 타협 않고 뿌리 뽑겠다” http://www.seoul.co.[...]
[5] 뉴스 제23회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2인 인터뷰 http://www.seoul.co.[...]
[6] 뉴스 제24회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2인 인터뷰 http://www.seoul.co.[...]
[7] 뉴스 김달진 문학상 수상자 정일근 시인 http://www.knnews.co[...]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yeongin.[...] 2015-02-08
[9] 뉴스 http://www.knnews.co[...]
[10] 뉴스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http://www.seoul.co.[...]
[11] 뉴스 제8회 김달진창원문학상 시 부문 김일태 씨 선정 http://www.idomin.co[...]
[12] 뉴스 김달진 창원문학상 서일옥 시인 선정 http://www.idomin.co[...]
[13] 뉴스 http://www.knnews.co[...]
[14] 뉴스 http://www.knnews.co[...]
[15] 뉴스 http://www.knnews.co[...]
[16] 뉴스 김달진 창원문학상 서일옥 시인 선정 http://www.idomin.co[...]
[17] 뉴스 제8회 김달진창원문학상에 김일태 시인 http://www.segye.com[...]
[18] 뉴스 김달진 창원문학상 서일옥 시인 선정 http://www.idomin.co[...]
[19] 뉴스 창원KC국제시문학상에 '사가와 아키'선정 http://www.idom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